KR20220049463A - Article transport apparatus - Google Patents

Article transpor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463A
KR20220049463A KR1020210134691A KR20210134691A KR20220049463A KR 20220049463 A KR20220049463 A KR 20220049463A KR 1020210134691 A KR1020210134691 A KR 1020210134691A KR 20210134691 A KR20210134691 A KR 20210134691A KR 20220049463 A KR20220049463 A KR 2022004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osture
conveying
transf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즈나리 기무라
마사시게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2004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4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In regard to a case in which an article is mov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having carrying surfaces with different angles in a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surface, a shock exerted to the article can be relieved. A first conveyor (1) has a first carrying surface (F1). A second conveyor (2) has a second carrying surface (F2) placed at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arrying surface (F1). As to the first carrying surface (F1), an angle of a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is led toward a first side (W1)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inclined by a first angle to face downward, and, as to the second carrying surface (F2),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is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The article carrying apparatus also includes a middle conveyor plac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The middle conveyor (3) has a middle carrying surface (F3). The middle carrying surface (F3)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arrying surface (F1)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F2).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is inclined by a medium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gles.

Description

물품 반송 장치{ARTICLE TRANSPORT APPARATUS}ARTICLE 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nveyors.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장치의 일례가, 일본 공개특허 제2004-21050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배경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낸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An example of such an article transport devi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10508 (Patent Document 1). Hereinafter, the reference|symbol shown in parentheses in description of a background art is that of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품 반송 장치는, 제1 반송(transport) 벨트(2)와 제2 반송 벨트(3)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반송 벨트(2)로부터 제2 반송 벨트(3)로 물품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반송 벨트(2)와 제2 반송 벨트(3)는, 물품이 반송되는 방향인 반송 방향의 경사 각도가 상이하게 되어 있지만,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의 경사 각도는 같도록(모두 수평) 되어 있다.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first transport belt 2 and a second transport belt 3 , and transfers articles from the first transport belt 2 to the second transport belt 3 . is configured to return Here, the first transport belt 2 and the second transport belt 3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is transported, but in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orthogonal in plan view to the transport direction. The inclination angles of are set to be the same (all horizontal).

일본 공개특허 제2004-210508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210508

그러나, 반송 설비의 레이아웃(layout)이나 반송 대상이 되는 물품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상류측의 컨베이어[예를 들면, 제1 반송 벨트(2)]와 하류측의 컨베이어[예를 들면, 제2 반송 벨트(3)]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를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폭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상류측의 컨베이어와 하류측의 컨베이어와의 상하 방향의 단차(段差)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류측의 컨베이어로부터 하류측의 컨베이어에 물품이 이동할 때, 반송면(搬送面)으로부터 반송면으로 물품이 낙하하는 낙차(落差)가 커지기 쉬워, 상기 물품에 작용하는 충격이 커지기 쉽다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However, depending on the layout of the conveying equipment or the shape of the article to be conveyed, the upstream conveyor (eg, the first conveying belt 2) and the downstream conveyor (eg, the second conveying In some cases, the angle of the conveyance belt 3]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needs to be different. In such a case, the level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stream conveyor and the downstream conveyor increases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when an article moves from the upstream conveyor to the downstream conveyor, the drop that the article falls from the carrying surface to the carrying surface tends to increase, and the impact acting on the article tends to increase. was occurring Regarding such a problem, patent document 1 does not describe anything.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술의 실현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an article is mov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having conveying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t is required to realize a technology capable of mitigating the impact acting on the article. do.

각각 물품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로서, A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first conveyor and a second conveyor for conveying articles, respectively, comprising:

상기 제1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1 반송면과, 상기 제1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first conveyor includes a first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반송면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2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second conveyor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drivi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A second driving unit is provided,

물품이 반송되는 방향인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을 폭 방향 제1 측,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쪽 측을 폭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A direction orthogonal in plan view to the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is conveyed,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상기 제1 반송면은,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폭 방향 제1 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1 각도로 경사져 있고, The first carrying surface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faces downward as the width direction first side faces,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이며,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s a second angle in which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를 더 구비하고,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상기 중간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중간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중간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중간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intermediate conveyo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n intermediat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상기 중간 반송면은, 상기 제1 반송면과 상기 제2 반송면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로 경사져 있다.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rrying surface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n an up-down direction, and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t is incl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본 구성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중간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가 구비하는 중간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는, 제1 컨베이어에서의 제1 반송면의 각도인 제1 각도와 제2 컨베이어에서의 제2 반송면의 각도인 제2 각도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면을 구비한 제1 컨베이어와 제2 반송면을 구비한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중간 각도로 경사지는 중간 반송면을 구비한 중간 컨베이어를 개재시킴으로써, 물품이 이들 컨베이어 간에 있어서 반송면으로부터 반송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이 낙하하는 상하 방향의 낙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intermediate conveyor is provided between the 1st conveyor and the 2nd conveyor which have a conveyance surface from which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differs from each other.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veyo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a first angle that is an angle of the first conveying surface in the first conveyor and a second angle that is an angle of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 the second conveyor. It is the intermediate angle between the angle and the angl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n intermediate conveyor having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ncl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provided with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veyor provided with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 when the article moves from the carrying surface to the carrying surface between these conveyors, the vertical drop at which the article falls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n article is mov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having conveying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impact acting on the article can be alleviated.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New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upon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non-limiting embodiments, which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소팅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소팅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복수 단(plurality step) 소팅 장치(sorting device)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 소팅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물품 반송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물품 반송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각각의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중간 반송면이 수수(授受) 자세인 상태를 나타낸 폭 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중간 반송면이 비(非)수수 자세인 상태를 나타낸 폭 방향에서 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rting system having an article transport device;
Fig. 2 is a plan view of a sorting system having an article conveying devic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plurality of steps (plurality step) sorting device (sorting device)
4 is a side view of a sorting system with an article conveying devic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each transport surface;
Fig. 8 is a view seen from the width dire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is in a give-and-take attitude;
Fig. 9 is a view in the width dire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is in a non-transfer posture;

이하, 물품 반송 장치가 소팅[어소트(assort)]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물품 반송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article convey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y exemplifying a case in which the product conveying apparatus is applied to a sorting (assort) system.

[소팅 시스템][Sorting system]

먼저, 도 1∼도 4를 참조하여, 소팅 시스템(P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팅 시스템(PS)은, 예를 들면, 통신 판매를 행하는 사업자가 보유하는 물류 설비에 구비되고, 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G) 중에서 필요한 물품(G)을 소팅하여 출고한다. 소팅 시스템(PS)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자동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물품(G)으로부터 필요한 물품(G)을 소팅하여 출고한다. 이 경우, 자동 창고에는, 복수의 물품(G)이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G)은, 자동 창고로부터 자동으로 반출(搬出)되고, 도시하지 않은 물품 해체부(unpacking portion)에 있어서 개별적인 물품(G)과 분리된다. 그 후, 복수의 물품(G)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물품(G)」의 개념에는, 예를 들면, 식료품이나 생활 용품 등의 각종 상품, 또는, 공장의 생산 라인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작 중인 물품 등이며, 소팅 대상으로 되는 물품(G)에는 다양한 물건이 포함된다. First, the sorting system P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s shown in Fig. 1, the sorting system PS sorts a necessary article G among a plurality of articles G that are provided and stored in a distribution facility owned by, for example, a mail-order business operator. release it The sorting system PS sorts and releases the necessary goods G from the several goods G stored in the automatic warehous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for example. In this case, in the automatic warehouse, a plurality of articles G are stor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containers for each type. Then, the plurality of articles G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for each type are automatically taken out from the automatic warehouse and separated from the individual articles G in an article unpacking portion (not shown). There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articles G is individually convey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article (G)"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goods such as foodstuffs and daily necessities, or goods under production used in a production line of a factory, etc. In the article G to be sorted, Various items are included.

소팅 시스템(PS)은, 복수 단 소팅 장치(7)와, 복수 단 소팅 장치(7)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고, 수취한 물품(G)을 상기 복수 단 소팅 장치(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 X를 따라 반송하는 반출 컨베이어(8)와,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상기 물품(G)을 평면에서 볼 때 제1 방향 X와 교차하는(도시한 예에서는 직교하는) 제2 방향 Y를 따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소팅 시스템(PS)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물품(G)을 반입(搬入)하는 반입 장치(6)와, 물품 반송 장치(100)로부터 물품(G)을 수취하여 반출하는 반출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The sorting system PS receives a multi-stage sorting device 7 and an article G from the multi-stage sorting device 7 , and separates the received article G from the multi-stage sorting device 7 . A discharging conveyor 8 conveying along a first direction X, which is a direction, and receiving an article G from the discharging conveyor 8 and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X when the article G is viewed in a plan view (shown in the figure) In this example,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100 is provided for transport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orthogona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sorting system PS of this example includes a loading device 6 for loading articles G into a multi-stage sorting device 7 , and an article transport device 100 . A discharging device 9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 G is provided.

[반입 장치][Carry-in device]

반입 장치(6)는, 종류마다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자동 창고로부터 반출되고, 또한 상기 물품 해체부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분리된 물품(G)을, 순차적으로,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반입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반입 장치(6)는,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The carrying-in device 6 sequentially carries into the multi-stage sorting device 7 the articles G unloaded from the automatic warehouse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for each type and individually separated in the article dismantling unit. do.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the carrying-in apparatus 6 is comprised as a conveyor.

[복수 단 소팅 장치][Multi-stage sorting device]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반입 장치(6)로부터 반입된 물품(G)을 소팅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상하 방향의 높이가 상이한 복수 단의 칸(間口; exits)(71)을 구비하고, 물품(G)을 복수 단의 칸(71) 중 어느 하나로 소팅하여 배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복수 단 및 복수 열로 이루어지는 직교 격자형 배열의 복수의 칸(71)을 가지고 있다.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is an apparatus for sorting the article G carried in from the carrying-in apparatus 6 . As shown in FIG. 3 ,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includes a plurality of stages of exits 71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ticle G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ages of compartments 71 . Discharge by sorting one of them.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has a plurality of cells 71 in an orthogonal grid arrange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a plurality of columns.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복수의 칸(71) 중 어느 하나에 소팅한다. 본 예에서는,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오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칸(71)으로부터 물품(G)을 배출하여 반출 컨베이어(8)로 인도(引渡)함으로써, 물품(G)의 소팅을 행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오더 정보란, 예를 들면, 출하(出荷; shipment)해야 할 물품(G)(단일종이라도 되고, 복수 종류의 조합이라도 됨)의 종별(種別) 및 수량을 지정한 오더[피킹(picking) 오더]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각 오더에 의해 지정된 1개 이상의 물품(G)을, 오더마다 상이한 칸(71)으로 배출함으로써, 물품(G)의 소팅을 행한다.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sorts the article G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umns 71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In this example,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discharges the articles G from the specific compartment 71 determined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articles G to the unloading conveyor 8 to sort the articles G. do Incidentally, the order information here means, for example, an order [picking (picking) picking) order]. Then,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sorts the articles G by discharging one or more articles G designated by each order to a different compartment 71 for each order.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물품(G)을 판별하기 위한 물품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물품 판별부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G)을 소팅한다. 예를 들면, 물품 판별부는, 물품(G)을 촬상(撮像)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정보를 기억하는 IC 태그나 바코드 등(기억부)이 물품(G)에 부여되어 있고 또한, 물품 판별부가, 상기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reader)(판독부)를 구비하고, 이 리더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G)을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Although detailed illustration is abbreviate|omitted, for example,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is provided with the article|item discrimination part for discriminating|distinguishing the article|article G. As shown in FIG.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sorts the articles G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by the article discrimination unit. For example, the article discrimination unit includes a camera for imaging the article G, and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article G by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on image data acquired by the camera.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an IC tag, a barcode, etc.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duct G, and the product discrimination unit is a reader for reading the product information A reader (reader) may be provided to discriminate the article G based on articl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 소팅 장치(7)는, 레일(72)과, 상기 레일(7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반송 캐리지(transport carriage)(73)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72)은, 칸(71)이 설치되는 복수 단마다, 수평 방향(제2 방향 Y)를 따라 설치되는 수평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캐리지(73)는, 레일(72)의 수평 부분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물품(G)을 제2 방향 Y로 반송한다. 또한, 레일(7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을 접속하는 상하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캐리지(73)는, 레일(72)의 상하 부분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복수 단마다 배치되는 수평 부분의 각각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반송 캐리지(73)의 수는, 칸(71)이 설치되는 단수(段數)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칸(71)이 설치되는 단수보다 적은 대수나 많은 대수의 반송 캐리지(73)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8단의 칸(71)에 대하여 8대의 반송 캐리지(73)가 배치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multi-stage sorting apparatus 7 includes a rail 72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carriages 73 moving along the rail 72 . is provided. The rail 72 is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part provid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2nd direction Y) for every plurality of stages in which the compartment 71 is provided. The transport carriage 73 is configured to travel alo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rail 72 , thereby transporting the article G in the second direction Y. Moreover, the rail 72 may be provided with the up-down part which extends in an up-down direction, and connects the horizontal part arrange|positioned at every several stage. In this case, the conveyance carriage 73 is comprised so that it may raise/lower along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rail 72, and, thereby, becomes movable to each of the horizontal part arrange|positioned at every multiple stage.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conveyance carriages 73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stages in which the compartments 71 are provided. Therefor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smaller number or a larger number of transport carriages 73 than the number of stages in which the compartments 71 are provided. An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eight conveyance carriages 73 are arrange|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ompartment 71 of eight stages.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캐리지(73)의 각각은, 물품(G)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상기 물품(G)을 칸(71)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74)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컨베이어(74)는, 반송 캐리지(73)의 주행 경로로부터 제1 방향 X로 물품(G)을 이동시킨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transport carriages 73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nveyor 74 that supports the article G from below and discharges the article G from the compartment 71 . The discharge conveyor 74 moves the article G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travel path of the conveyance carriage 73 .

[반출 컨베이어][Export Conveyor]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의해 소팅된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 컨베이어(8)는, 복수 단의 칸(71)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복수 단 소팅 장치(7)에 의해 칸(71)으로부터 배출된 물품(G)을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고 또한, 상기 저장한 물품(G)을 제1 방향 X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출 컨베이어(8)가, 복수 단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열의 칸(71)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2 방향 Y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The unloading conveyor 8 is a device for conveying the articles G sorted by the multi-stage sorting device 7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loading conveyor 8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compartment 71 , and the articles G discharged from the compartment 71 by the multi-stage sorting device 7 are temporarily remove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store and convey the said stored article G in the 1st direction X. In this embodimen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ages, the plurality of unloading conveyors 8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of compartments 71 .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8)는, 오더마다의 복수의 물품(G)의 집합인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을 반송하고, 물품 반송 장치(100)로 배출한다. 1개의 물품군(Gg)를 구성하는 물품(G)의 수는, 오더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면, 오더에 따라서는, 1개의 물품(G)에 의해 1개의 물품군(Gg)이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2 and 4 , the unloading conveyor 8 transports the articles G in units of article groups Gg, which are aggregation of a plurality of articles G for each order, and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100 discharged with The number of articles G constituting one article group Gg is different for each order.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order, one article group Gg may be constituted by one article G.

[물품 반송 장치][Goods conveying device]

다음에,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물품 반송 장치(100)는, 물품(G)을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는, 물품 반송 장치(100)가 소팅 시스템(PS)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고, 물품 반송 장치(100)는,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 배출된 물품(G)을 제2 방향 Y로 반송하여, 반출 장치(9)에 인도한다.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100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the article G. Here, a cas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is applied to the sorting system PS is exemplified and described, and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moves the article G discharged from the unloading conveyor 8 in the second direction Y It conveys and delivers to the carrying-out apparatus 9.

이하의 설명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해 물품(G)이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T)」라고 한다. 그리고, 반송 방향 T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W)」라고 하고, 폭 방향 W의 한쪽 측을 「폭 방향 제1 측(W1)」, 폭 방향 W의 다른 쪽 측을 「폭 방향 제2 측(W2)」이라고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T)」는, 전술한 소팅 시스템(PS)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사용한 「제2 방향 Y」와 같고, 「폭 방향(W)」는, 「제1 방향 X」와 같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G is transported by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is referred to as a "transport direction T".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T in planar view is called "width direction W", and one side of width direction W is "width direction 1st side (W1)", and the other side of width direction W is called "the second side W2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ance direction T" is the same as the "second direction Y" used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whole sorting system PS described above, and the "width direction W" is the "first 1 direction X”.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00)는, 각각 물품(G)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100)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컨베이어(1)와 제2 컨베이어(2)와의 반송 방향 T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3)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 장치(100)는, 제어 장치(C)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C)는,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를 제어한다. 5 and 6 ,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conveyor 1 and a second conveyor 2 that transport articles 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in the transport direction T. It further comprises an arranged intermediate conveyor (3). Then, the article transport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device C. The control device C controls the first conveyor 1 , the second conveyor 2 , and the intermediate conveyor 3 .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 T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1)는,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1 반송면(F1)과, 제1 반송면(F1)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M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을 지지하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구비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1st conveyor 1 is arrange|positioned rather than the 2nd conveyor 2 upstream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The first conveyor 1 includes a first conveying surface F1 for conveying the article G in a mounted state, and a first driving unit M1 for driv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F1 . Moreover, the 1st conveyor 1 is equipped with the 1st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10 which supports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풀리(pully)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반송면(F1)은, 벨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부(M1)는, 풀리를 구동시키는 모터이며,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벨트[제1 반송면(F1)]을 구동한다. 제1 구동부(M1)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도 6 참조). 제1 반송면 지지부(10)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벨트, 풀리, 및 제1 구동부(M1)를 지지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1st conveyor 1 is comprised by the belt conveyor provided with a pulley and the belt wound around the said pulley.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a belt. The 1st drive part M1 is a motor which drives a pulley, and drives a belt (1st conveyance surface F1) by rotationally driving a pulley. The first drive unit M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refer to FIG. 6 ). The 1st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10 is provided with the frame member, and is comprised, and supports the belt, a pulley, and the 1st drive part M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폭 방향 W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측벽부(S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부(S1)는, 제1 반송면(F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반송 방향 T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측벽부(S1)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이 제1 반송면(F1)으로부터 폭 방향 W의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측벽부(S1)에 의해, 제1 반송면(F1)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을 반송 방향 T으로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제1 측벽부(S1)는, 적어도,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측벽부(S1)는,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벽부(S1)에 접하는 물품(G)을 반송 방향 T을 따라 반송한다. 즉, 본 예에서는, 물품(G)은, 제1 반송면(F1) 및 제1 측벽부(S1)의 양쪽에 의해, 반송 방향 T을 따라 반송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1st conveyor 1 is provided with the 1st side wall part S1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1st side wall part S1 is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and is arrange|positioned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In this example, the 1st side wall part S1 is provided in the 1st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10 . With the first side wall portion S1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rticle G being conveyed on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from falling off from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article G being transported on the first transport surface F1 can be appropriately guid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 by the first side wall portion S1 . The 1st side wall part S1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with respect to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at least. In this example, the 1st side wall part S1 is comprised as a conveyor, and conveys the article G in contact with the said 1st side wall part S1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That is, in this example, the article G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 by both the first transport surface F1 and the first side wall portion S1 .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는,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11)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도 6 참조). 제1 컨베이어(1)가,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단에 걸쳐 설치된 반출 컨베이어(8)의 각각에 대응한 높이에 제1 반송면(F1)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복수 단 중 어느 쪽의 반출 컨베이어(8)로부터도 물품(G)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기구(11)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트(mast)(111)와,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11)는, 제1 반송면 지지부(10)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반송면 지지부(10)에 지지된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킨다. 1 etc., in this embodiment, the 1st conveyor 1 is equipped with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which raises and lowers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refer FIG. 6). The 1st conveyor 1 raises and lowers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by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As shown in FIG. It is made possible to arrange|position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and it becomes possible to receive the article|item G also from the carrying out conveyor 8 of either of a plurality of stages.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lifting mechanism 11 includes a mast 111 that supports the first carrying surface supporting part 10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ing, and the first carrying surface supporting part 10 . It is provided with the raising/lowering drive part 110 which drives up/lower.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raises/lowers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supported by the said 1st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10 by raising/lowering the 1st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1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베이어(2)는, 제1 컨베이어(1)보다 반송 방향 T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컨베이어(2)는,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2 반송면(F2)과, 제1 구동부(M1)와는 독립적으로 제2 반송면(F2)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M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2)는, 제2 반송면(F2)을 지지하는 제2 반송면 지지부(20)를 구비하고 있다. 5,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veyor 2 is arrange|positioned rather than the 1st conveyor 1 downstream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The second conveyor 2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 and includes a second conveyance surface F2 that conveys the article G in a mounted state, and a first drive unit M1 . and a second drive unit M2 that drives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F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Moreover, the 2nd conveyor 2 is equipped with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which supports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베이어(2)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송면(F2)은, 벨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면(F2)은, 제1 반송면(F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부(M2)는, 풀리를 구동시키는 모터이며,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벨트[제2 반송면(F2)]을 구동한다. 제2 구동부(M2)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도 6 참조). 제2 반송면 지지부(20)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벨트, 풀리, 및 제2 구동부(M2)를 지지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veyor 2 is comprised by the belt conveyor provided with a pulley and the belt wound around the said pulley.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a belt.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arrange|positioned below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2nd drive part M2 is a motor which drives a pulley, and drives a belt (2nd conveyance surface F2) by rotationally driving a pulley. The second drive unit M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refer to FIG. 6 ).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is provided with the frame member, and is comprised, and supports the belt, a pulley, and the 2nd drive part M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면 지지부(20)는, 제2 반송면(F2)을, 그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반송면 지지부(20)는,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대(4)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반송면 지지부(20)는, 고정대(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반송면 지지부(20)에 지지된 제2 반송면(F2)은, 그 위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may be supported in the state fixed to the fixed position. In this example,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is provided in the fixing table 4 fixed to the floor surface.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is fixed immovably with respect to the fixing table 4 . Thereby, the position of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supported by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is being fixed to the fixed posi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베이어(2)는, 제2 반송면(F2)에 대하여 폭 방향 W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측벽부(S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측벽부(S2)는, 제2 반송면(F2)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반송 방향 T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측벽부(S2)는, 제2 반송면 지지부(2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벽부(S2)에 의해, 제2 반송면(F2)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이 제2 반송면(F2)으로부터 폭 방향 W의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2 측벽부(S2)에 의해, 제2 반송면(F2)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을 반송 방향 T로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제2 측벽부(S2)는, 적어도, 제2 반송면(F2)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2 측벽부(S2)는, 제2 반송면(F2)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 및 폭 방향 제2 측(W2)의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veyor 2 is equipped with the 2nd side wall part S2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The 2nd side wall part S2 is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and it is arrange|positioned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In this example, the 2nd side wall part S2 is provided in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 With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S2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rticle G being conveyed on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F2 from falling off from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F2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 In other words, the article G being transported on the second transport surface F2 can be appropriately guid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 by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S2 . The 2nd side wall part S2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1st side W1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at least. 5, in this example, 2nd side wall part S2 adjoins each of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and the width direction 2nd side W2 with respect to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placed.

여기서, 도 7은, 반송 방향 T에서 볼 때, 각 컨베이어의 반송면의 상하 방향의 위치 및 각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은,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각도가 폭 방향 제1 측(W1)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1 각도 θ1로 경사져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 θ1은, 10°∼20°의 범위로 설정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G)을, 제1 반송면(F1) 상에서 폭 방향 제1 측(W1)에 댄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즉, 반송 중인 물품(G)의 폭 방향 W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컨베이어(1)로부터 다른 컨베이어로의 물품(G)의 인도를 일정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벽부(S1)가,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반송면(F1) 상에서 폭 방향 제1 측(W1)에 대어 배치된 물품(G)이 제1 반송면(F1)으로부터 폭 방향 제1 측(W1)으로 탈락하는 것은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F1)의 수평면에 대한 반송 방향 T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Here,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conveyance surface of each conveyor when it sees from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7,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of the 1st conveyor 1 is a 1st so that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may face downward as it goes to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It is inclined at an angle θ1. For example, the first angle θ1 is set in the range of 10° to 20°, more preferably 15°. Thereby, the article G conveyed by the 1st conveyor 1 can be conveyed on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n the state which put it on the 1st side W1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since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rticle G being conveyed can be stabilized, delivery of the article G from the first conveyor 1 to another conveyor can be performed at a fixed posi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1st side wall part S1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with respect to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width direction 1st on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t is restricted that the article G arranged against the side W1 falls off from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to the first side W1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 this example, the angl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s set to 0 degree.

또한, 제2 반송면(F2)은,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각도가 제1 각도 θ1과 다른 제2 각도 θ2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각도 θ2는,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0°이다. 즉, 제2 반송면(F2)은,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G)을 수평면을 따라 반송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 T의 하류측에 있어서 물품(G)의 판별 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에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컨베이어(2)보다 반송 방향 T(제2 방향 Y)의 하류측에, 오더마다의 물품군(Gg) 단위로 물품(G)을 반출 장치(9)에 투입하기 위한 자동 투입기(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자동 투입기(5)에 있어서, 오더에 기초한 물품군(Gg)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 작업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제2 반송면(F2)이 수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판별 작업을 적절히 행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2 반송면(F2)의 수평면에 대한 반송 방향 T의 각도는, 0°로 설정되어 있다. Moreover, as for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becomes the 2nd angle (theta)2 different from the 1st angle (theta)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angle θ2 has an angle of 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at is,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arrange|positioned along a horizontal plane. Thereby, the article G can be transported along a horizontal plane, which is preferable, for example, when the discrimination operation of the article G is per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T from the second conveyor 2 .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T (the second direction Y) from the second conveyor 2, in units of product groups Gg for each order, the products G are transported. An automatic thrower 5 for throwing in the unloading device 9 is provided. In addition, in this automatic input machine 5, a determination operation of whether or not there is an article group Gg based on an order is performed. In this case, since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formed along the horizontal plane, it is easy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discrimination|determination operation suitably. And in this example, the angl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set to 0 degree.

중간 컨베이어(3)는, 물품(G)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중간 반송면(F3)과, 제1 구동부(M1)와는 독립적으로 중간 반송면(F3)을 구동시키는 중간 구동부(M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3)는, 중간 반송면(F3)을 지지하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ncludes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for conveying the article G in a mounted state, and an intermediate driving unit M3 for driving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M1. are being prepared Moreover,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er 3 is equipped with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which supports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 반송면(F3)은, 벨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 구동부(M3)는, 풀리를 구동시키는 모터이며, 풀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벨트[중간 반송면(F3)]을 구동한다. 중간 구동부(M3)는, 제어 장치(C)에 의해 제어된다(도 6 참조).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벨트, 풀리, 및 중간 구동부(M3)를 지지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s comprised by the belt conveyor provided with a pulley and the belt wound around the said pulley.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a belt. The intermediate drive part M3 is a motor which drives a pulley, and drives a belt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by rotationally driving a pulley. The intermediate drive part M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refer to FIG. 6).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s provided with the frame member, and is comprised, and supports the belt, a pulley, and the intermediate|middle drive part M3.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는, 고정대(4)에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고정대(4)에는, 제2 반송면 지지부(20)와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와의 양쪽이 지지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는, 고정대(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s supported by the stationary base 4 . That is, in this example, both the 2nd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20 and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are supported by the stationary table 4 . Although the detail will be mentioned later,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s supported movably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4 .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는, 중간 반송면(F3)에 대하여 폭 방향 W로 인접하여 배치된 중간 측벽부(S3)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측벽부(S3)는, 중간 반송면(F3)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반송 방향 T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중간 측벽부(S3)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측벽부(S3)에 의해, 중간 반송면(F3)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이 중간 반송면(F3)으로부터 폭 방향 W의 외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중간 측벽부(S3)에 의해, 중간 반송면(F3) 상을 반송하고 있는 물품(G)을 반송 방향 T에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중간 측벽부(S3)는, 적어도, 중간 반송면(F3)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중간 측벽부(S3)는, 중간 반송면(F3)에 대하여 폭 방향 제1 측(W1) 및 폭 방향 제2 측(W2)의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or 3 is equipped with the intermediate|middle side wall part S3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The intermediate side wall part S3 is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nd it is arrange|positioned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In this example, the intermediate side wall part S3 is provided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 With the intermediate side wall portion S3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rticle G being conveyed o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from falling off from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article G being transported on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F3 can be appropriately guid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 by the intermediate side wall portion S3 . The intermediate side wall part S3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t least. As shown in FIG. 5, in this example, the intermediate|middle side wall part S3 is arrange|positioned adjacent to each of the width direction 1st side W1 and the width direction 2nd side W2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has been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반송면(F3)은, 제1 반송면(F1)과 제2 반송면(F2)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각도가 제1 각도 θ1과 제2 각도 θ2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 θ3로 경사져 있다. 즉, 제1 각도 θ1의 제1 반송면(F1)을 구비한 제1 컨베이어(1)와 제2 각도 θ2의 제2 반송면(F2)을 구비한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 중간 각도 θ3로 경사지는 중간 반송면(F3)을 구비한 중간 컨베이어(3)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물품(G)이 복수의 컨베이어 간에 있어서 반송면으로부터 반송면으로 이동할 때의 상하 방향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물품 반송 장치(100)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를 물품이 이동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면(F1)은, 제2 반송면(F2)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1 반송면(F1), 중간 반송면(F3), 제2 반송면(F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의 수평면에 대한 반송 방향 T의 각도는, 반송 방향 T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5 and 7,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s arranged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and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F2, and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The angle is incl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θ3 between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That is, between the 1st conveyor 1 provided with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of the 1st angle θ1, and the 2nd conveyor 2 provided with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of the 2nd angle θ2, intermediate An intermediate conveyor 3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nclined at an angle θ3 is disposed.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article G moves from the transport surface to the transport su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ors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act when the article moves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having transport surfaces with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heights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s mentioned above,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Therefore, in this example,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are arrange|positioned sequentially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from upper side. And in this example, the angl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set to the angle which inclines downward as it goes downstream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각도 θ3은, 제1 각도 θ1과 제2 각도 θ2와의 사이의 중간의 각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 각도 θ3은, 제1 각도 θ1과 제2 각도 θ2와의 차의 절반의 각도이며, 다음 식(1)로 표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angle θ3 is an intermediate angle between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More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angle θ3 is an angle of hal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and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θ3=(θ1-2)/2 ㆍㆍㆍ (1)θ3 = (θ1-2)/2 ㆍㆍㆍ (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각도 θ1이 10°∼20°의 범위로 설정되고, 제2 각도 θ2가 0°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 중간 각도 θ3은, 5°∼10°의 범위로 설정된다. 제1 각도 θ1이 바람직한 각도인 15°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중간 각도 θ3은 7.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gle θ1 is set in the range of 10° to 20°, and the second angle θ2 is set to 0°.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intermediate angle θ3 is set in the range of 5° to 10°. When the first angle θ1 is set to 15°, which is a preferred angle, the intermediate angle θ3 is preferably set to 7.5°.

도 8 및 도 9는, 폭 방향 W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5에 나타낸 측벽부(S1, S2, S3)나, 그 외의 설명에 불필요한 섬세한 구조는 생략하고 있다. 8 and 9 show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100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In Figs. 8 and 9,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de wall portions S1, S2, S3 shown in Fig. 5 and other delicate structures unnecessary for explanation are omitted.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는,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機構)(31)를 구비하고 있다. 자세 변경 기구(31)는, 제1 컨베이어(1)와의 사이 및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수를 행하는 수수 자세(도 8 참조)와, 제1 컨베이어(1)와의 사이 및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수를 행하지 않는 비수수 자세(도 9 참조)로,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본 예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가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로 한 상태에서, 중간 반송면(F3)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각도가 중간 각도 θ3로 된다. 한편,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의 상태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 W의 각도는, 중간 각도 θ3이라도 되고, 중간 각도 θ3와는 상이한 각도라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중간 반송면(F3)이, 적어도 제1 컨베이어(1)와의 사이 및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수를 행하는 수수 자세인 상태에 있어서, 컨베이어 사이에서 물품(G)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물품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8 and FIG.9,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or 3 is equipped with the attitude|position change mechanism 31 which changes the attitude|position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31 includes a transfer posture (refer to FIG. 8 ) for transferring the article G between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 and the first conveyor 1 .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changed to a non-transfer posture (refer to FIG. 9 ) in which transfer of the article G is not performed between the two sides and between the second conveyor 2 and the second conveyor 2 . In this example,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becomes intermediate angle (theta)3 in the state which the attitude|position changing mechanism 31 made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 give-and-take attitude.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s in the non-assigned posture,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an intermediate angle θ3 or an angle different from the intermediate angle θ3 .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in a transfer posture in which the article G is transferred between at least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between the conveyors. In the case of moving the article (G),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act acting on the article.

여기서, 중간 반송면(F3)에서의 제1 컨베이어(1) 측의 단부(端部)를 제1 단부(F31)라고 하고, 중간 반송면(F3)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의 단부를 제2 단부(F32)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단부(F31)와 제1 반송면(F1)이 중복되고, 또한,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이 중복되는 자세이다. 이로써, 중간 컨베이어(3)는,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1)와의 사이 및 제2 컨베이어(2)와의 사이에서 물품(G)의 수수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인 경우에 있어서, 제1 단부(F31)는, 제1 반송면(F1)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또한,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인 경우에 있어서, 제2 단부(F32)는, 제2 반송면(F2)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Here, the end part by the side of the 1st conveyor 1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called the 1st end part F31, and the edge part by the side of the 2nd conveyor 2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called. is referred to as a second end F32.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in planar view, the 1st edge part F31 and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overlap, and the 2nd edge part F32 and 2nd edge part F1 are overlapping in the give-and-take posture. It is an attitude|position in which the conveyance surface F2 overlaps. Accordingly, the intermediate conveyor 3 can properly transfer the article G between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second conveyor 2 whe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in the transfer posture. can In this example, whe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a give-and-take attitude|position, the 1st edge part F31 is arrange|positioned below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n addition, whe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a give-and-take attitude|position, the 2nd edge part F32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단부(F31)와 제1 반송면(F1)이 중복되지 않는 자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면(F1)은 승강 기구(11)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단부(F31)와 제1 반송면(F1)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반송면(F1)이 승강해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중간 반송면(F3)을 퇴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은, 중간 반송면(F3)의 자세가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 중 어디에 있어서도,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2 반송면(F2)은, 그 위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인 경우에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이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되어 있어도,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을 간섭시키지 않는 구성을 실현하기 쉽다. 또한,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을,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로 따르지 않고 평면에서 볼 때 중복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장치(100)의 존재 범위가 확대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the non-transfer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F31 and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F1 do not overlap in plan view. As mentioned above, in this example,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s comprised so that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may raise/low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F3 is in the non-transfer posture, the first end portion F31 and the first transport surface F1 do not overlap in a plan view, so that the lifting mechanism 11 Even i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goes up and dow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can be retract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contact. In this embodiment, the 2nd end part F32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overlap in planar view also in the attitude|position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either a give-and-behind attitude|position and a non-transfer attitude|position. As mentioned above, in this example,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being fixed at the fixed position. Accordingly, even if the second end portion F32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F2 overlap in plan view when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s in the non-transfer posture, the second end portion F32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It is easy to realize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F2). In addition, by overlapping the second end portion F32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F2 in a plan view without following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F3, the existence range of the article carrying apparatus 100 in a plan view It is easy to suppress the enlargement of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의 단부로서 제2 단부(F32)의 바로 아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절결부(切缺部; cut-out portion)(30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결부(30A)는, 비수수 자세의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서의, 제2 컨베이어(2)와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을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이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는 상태라도,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와 제2 컨베이어(2)가 간섭하지 않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인 경우에, 제2 반송면(F2)에서의 중간 컨베이어(3) 측의 단부(반송 방향 T에서의 한쪽 측의 단부)가, 절결부(30A)와 규정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도 9 참조). In this embodiment, in the area|region containing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2nd end part F32 as an edge part on the 2nd conveyor 2 side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a cut-out part (切缺部; cut-out) portion) 30A is formed. Here, the cutout 30A is formed by cutting out a region capable of interfering with the second conveyor 2 i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support 30 in the non-transfer posture. Thereby, eve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nd portion F32 and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F2 overlap in plan view,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support 30 and the second conveyor 2 do not interfere can be realized. there i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s a non-transfer attitude, the edge part (one side en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T) on the side of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n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cut. It is arranged to face the coupling portion 30A with a prescribed gap (see FIG. 9 ).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는, 중간 반송면(F3)을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자세 변경 기구(31)는,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의 상태로부터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킨다. 또한, 자세 변경 기구(31)는, 중간 반송면(F3)을 비수수 자세의 상태로부터 반송 방향 T에서의 제1 컨베이어(1) 측으로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수수 자세로 변경시킨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change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nto a give-and-take posture and a non-transfer posture by moving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T. Specifically,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move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from the state of the transfer posture to the second conveyor 2 side in the transfer direction T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T, whereby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s Change the posture of the non-supervisor. In addition,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moves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from the non-transfer attitude toward the first conveyor 1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T, whereby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Change the posture to the give-and-take position.

본 예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는, 폭 방향 W를 따르는 축으로서 중간 반송면(F3)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1 요동축(搖動軸)(31)(Ax)과, 제1 요동축(31)(Ax) 주위에 중간 반송면(F3)을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축 지지부(31)(As)와,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를 반송 방향 T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31B)와, 중간 반송면(F3)을 제1 요동축(31)(Ax) 주위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310)를 구비하고 있다. In this example,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includes,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a first oscillation shaft 31 (Ax)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F3, and a first yaw A fir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F3 around the coaxial shaft 31 (Ax) and a fir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are transported. It is provided with the guide part 31B which guides movably in the direction T, and the rocking|fluctuation mechanism 310 which rock|fluctuates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round the 1st rocking shaft 31 (Ax).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는, 이동체(31Ba)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요동축(31)(Ax)은, 축(軸) 부재이며,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를 폭 방향 W로 관통하고, 제1 요동축 지지부(31)(As)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요동축 지지부(31)(As) 및 제1 요동축(31)(Ax)은, 중간 반송면(F3) 및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를 폭 방향 W를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요동축(31)(Ax) 및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는, 폭 방향 W 볼 때, 제1 단부(F31)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8 and 9 ,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is attached to the movable body 31Ba. The 1st swing shaft 31 (Ax) is a shaft member, penetrates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is supported by the 1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Thereby, the 1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and the 1st swing shaft 31 (Ax) are axial center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nd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 is supported rotatably around it. In this embodiment, the 1st swing shaft 31 (Ax) and the 1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are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just below the 1st edge part F31,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W.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31B)는, 고정대(4)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를 지지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는, 안내부(31B)를 통해 고정대(4)에 지지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rt 31B is provided in the fixed base 4, and supports the 1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In other words,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31 (As) is supported by the fixing table 4 via the guide portion 31B.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31B)는, 이동체(31Ba)와, 이동체(31Ba)를 반송 방향 T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1Bb)을 구비한 이른바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31Bb)은, 고정대(4)에 장착되고, 반송 방향 T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동체(31Ba)는, 가이드 레일(31Bb) 상을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31Ba)에는, 제1 요동축 지지부(31)(As)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요동축(31)(Ax)은,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를 통해 이동체(31Ba)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요동축(31)(Ax) 및 제1 요동축 지지부(31)(As)는, 이동체(31Ba)의 반송 방향 T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요동축(31)(Ax)은, 중간 반송면(F3)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폭 방향 W에서 볼 때 제1 단부(F31)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간 반송면(F3)의 일부인 제1 단부(F31)는, 이동체(31Ba)의 반송 방향 T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31B)는, 중간 반송면(F3)에서의 제1 단부(F31)를 반송 방향 T을 따라 직동(直動)시키기 위한 직동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rt 31B is comprised by the so-called linear guide provided with the movable body 31Ba and the guide rail 31Bb which guides the movable body 31Ba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guide rail 31Bb is attached to the fixed base 4, and is arrange|positioned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The moving body 31Ba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on the guide rail 31Bb. A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31 (As) is fixed to the movable body 31Ba. Accordingly, the first swing shaft 31 (Ax)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31Ba via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31 (As). Therefore, the first swing shaft 31 (Ax) and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31 (As) mov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 of the movable body 31Ba.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fixed, and, as for the 1st oscillation shaft 31 (Ax), it is the position just below the 1st edge part F31 as seen in the width direction W. is placed in Therefore, the 1st end part F31 which is a part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moves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the movement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of the movable body 31Ba.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rt 31B is comprised as a linear mechanism for making the 1st edge part F31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linearly move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As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기구(310)는, 고정대(4)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를 지지하고 있다. 환언하면,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는, 요동 기구(310)를 통해 고정대(4)에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는, 제1 요동축(31)(Ax), 제1 요동축 지지부(31)(As), 안내부(31B), 및, 요동 기구(310)를 통해, 고정대(4)에 지지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cking|fluctuation mechanism 310 is provided in the fixed base 4, and supports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s supported by the stationary base 4 via the rocking|fluctuation mechanism 310.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is example,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includes the 1st swing shaft 31 (Ax), the 1st swing shaft support part 31 (As), the guide part 31B, and the rocking|fluctuation mechanism 310 ), it is supported on the fixture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기구(310)는, 폭 방향 W를 따르는 축으로서 그 위치가 고정된 고정축(33)(Ax)과, 폭 방향 W를 따르는 축으로서 제1 요동축(31)(Ax)보다 제2 컨베이어(2) 측에 배치되고 중간 반송면(F3)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2 요동축(32)(Ax)과, 고정축(33)(Ax)과 제2 요동축(32)(Ax)을 연결하는 링크 부재(34)와, 고정축(33)(Ax) 주위로 링크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 지지부(33)(As)와, 고정축(33)(Ax) 주위로 링크 부재(34)를 요동시키는 구동 기구(35)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ng mechanism 310 has a fixed shaft 33 (Ax) whose position is fixed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and a first swing shaft 31 (Ax)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2 and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and the fixed shaft 33 (Ax) and the second swing shaft ( 32) a link member 34 connecting (Ax), a fixed shaft support portion 33 (As)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link member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and a fixed shaft 33 ( A drive mechanism 35 for swinging the link member 34 around Ax is provided.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요동축(32)(Ax)은, 축 부재이며, 중간 반송면 지지부(30)를 폭 방향 W로 관통하고, 링크 부재(34)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2 요동축(32)(Ax)은, 중간 반송면(F3) 및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와 링크 부재(34)를, 폭 방향 W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의 단부에서 있어 제2 단부(F32)의 바로 아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절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요동축(32)(Ax)은,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서의 절결부(30A)를 피한 위치로서 제1 요동축(31)(Ax)보다 제2 컨베이어(2) 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요동축(32)(Ax)은, 폭 방향 W 볼 때, 중간 반송면 지지부(30)에서의 절결부(30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is a shaft member, penetrates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support part 30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34 . . Thereby, the 2nd oscillation shaft 32 (Ax) connects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and the link member 34 so that a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about the axis center along the width direction W, there is.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in the area|region including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2nd end part F32 at the edge part on the 2nd conveyor 2 side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30 A of cutouts is formed. The second oscillation shaft 32 (Ax) is a position that avoids the cutout 30A i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supporting portion 30, and is a position on the second conveyor 2 side rather than the first oscillation shaft 31 (Ax). is placed in In this example, the 2nd rocking shaft 32 (Ax) is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adjacent to 30 A of cutouts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support part 30,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W.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축 지지부(33)(As)는, 고정대(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축(33)(Ax)은, 고정축 지지부(33)(As)에 지지되어 있다. 즉, 고정축(33)(Ax)은, 고정축 지지부(33)(As)를 통해 고정대(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축(33)(Ax)은, 축 부재이며, 링크 부재(34)와 고정축 지지부(33)(As)를 폭 방향 W로 연결하고 또한, 고정축 지지부(33)(As)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부재(34)는, 고정축(33)(Ax)의 축심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연장되고, 고정축(33)(Ax)과 제2 요동축(32)(Ax)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34)는, 고정축(33)(Ax)을 축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축(33)(Ax) 주위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링크 부재(34)에서의 고정축(33)(Ax)과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는, 제2 요동축(32)(Ax)이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링크 부재(34)에서의 연장 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고정축(33)(Ax)에 연결되어 있고, 링크 부재(34)에서의 연장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가 제2 요동축(32)(Ax)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35)는, 고정축(33)(Ax) 주위에 링크 부재(34)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이며, 링크 부재(34)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링크 부재(34)에 연결된 제2 요동축(32)(Ax)을 고정축(33)(Ax) 주위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요동축(32)(Ax)이 고정축(33)(Ax) 주위로 요동함으로써, 중간 반송면 지지부(30) 및 중간 반송면(F3)이 자세 변경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shaft support part 33 (As) is being fixed to the fixed base 4 . The fixed shaft 33 (Ax) is supported by the fixed shaft support part 33 (As). That is, the stationary shaft 33 (Ax) is being fixed to the stationary base 4 via the stationary shaft support part 33 (As). The fixed shaft 33 (Ax) is a shaft member, connects the link member 34 and the fixed shaft support portion 33 (As)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is supported by the fixed shaft support portion 33 (As), there is. The link member 34 extends in a posture along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center of the fixed shaft 33 (Ax), and connects the fixed shaft 33 (Ax) and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to each other. are connecting Accordingly, the link member 34 swings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with the fixed shaft 33 (Ax) as an axial center. A second oscillation shaft 32 (Ax)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link member 34 that i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ixed shaft 33 (Ax). In this example, one end of the link member 34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33 (Ax),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34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the second swing shaft. It is connected to (32)(Ax).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mechanism 35 is a motor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link member 34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By rotationally driving the link member 34, it is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34. The connected second oscillation shaft 32 (Ax) is moved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In this way, when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swings around the stationary shaft 33 (Ax),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support part 30 and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F3 change their postures.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중간 반송면(F3)의 전체가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단부(F32)의 위쪽으로의 이동량이 제1 단부(F31)의 위쪽으로의 이동량보다 커지도록 중간 반송면(F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전술한 링크 부재(34)를 사용하여 실현하고 있다. 즉,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2 요동축(32)(Ax)이, 고정축(33)(Ax) 주위로 선회(旋回)하여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기구(35)는,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의 경우에서의 제2 요동축(32)(Ax)의 위치(도 9 참조)가,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의 경우에서의 제2 요동축(32)(Ax)의 위치(도 8 참조)보다 높게 되도록, 링크 부재(34)를 요동시킨다. 이로써,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의 경우에서의 제2 단부(F32)의 위치(도 9 참조)가,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의 경우에서의 제2 단부(F32)의 위치(도 8 참조)보다 높게 되도록,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2 단부(F32)가 제2 컨베이어(2)에 대하여 위쪽으로 멀어지면서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하도록 중간 반송면(F3)이 자세 변경하므로, 중간 컨베이어(3)가 제2 컨베이어(2)에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1 단부(F31)는, 안내부(31B)(직동 기구)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단부(F31)가,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의 경우에 상기 제1 단부(F31)의 위쪽에 배치된 제1 반송면(F1)에 대하여, 중간 반송면(F3)의 자세 변경 시에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entir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moves toward the second conveyor 2 side in the transfer direction 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moves in an up-down direction so that the upward movement amount of the 2nd edge part F32 may become larger than the upward movement amount of the 1st edge part F31. In this example, such a structure is implemented using the link member 34 mentioned above. That is,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rotates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and is conveyed. It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while moving toward the second conveyor 2 in the direction T. In this way, as for the drive mechanism 35, the position (refer FIG. 9) of the 2nd rocking shaft 32 (Ax)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a non-transfer attitude|positio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The link member 34 is rocked so that it may become higher than the position (refer FIG. 8) of the 2nd rocking|fluctuation shaft 32 (Ax) in the case of a give-and-take postur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d portion F32 (see Fig. 9)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n the non-transfer position is the second end F32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s in the transfer position. The attitude of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an be changed so that it may become higher than the position of (refer FIG. 8). Accordingly,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second end portion F32 moves upwardly away from the second conveyor 2 toward the second conveyor 2 . Since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hanges an attitude|posi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or 3 interferes with the 2nd conveyor 2 can be reduc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first end portion F31 is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31B (linear mechanism). By this, it moves to the 2nd conveyor 2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T at a constant height. Thereby, the 1st end part F31 is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with respect to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arrange|positioned above the said 1st end part F31 whe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a give-and-take attitude. It can be don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hange of posture.

이와 같이, 자세 변경 기구(31)는, 중간 반송면(F3)의 전체를 요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수수 자세(도 8 참조)와 비수수 자세(도 9 참조)에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는, 적어도 승강 기구(11)에 의한 제1 반송면(F1)의 승강중, 중간 반송면(F3)을 비수수 자세로 한다. 이로써, 평면에서 볼 때, 중간 반송면(F3)과 제1 반송면(F1)이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반송면(F1)이 승강해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중간 반송면(F3)을 퇴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베이어(1)와 중간 컨베이어(3)가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changes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to a give-and-take posture (see Fig. 8) and a non-transfer posture (see Fig. 9) by swinging the entir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s configured to do 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set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to the non-transfer posture during at leas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transfer surface F1 by the lifting mechanism 11 . Thereby,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and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from overlapping in planar view, even i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is raised/lowered by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it does not contact the position. Therefore,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can be retracted.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conveyor 1 and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nterfere can be reduced.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다음에, 물품 반송 장치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other embodiments of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가, 중간 반송면(F3)의 자세가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 중 어디에 있어서도,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단부(F32)와 제2 반송면(F2)은,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중간 반송면(F3)이 비수수 자세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end portion F32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F2 overlap in a plan view in either the give-and-take posture or the non-transfer posture in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The 2nd edge part F32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overlap in planar view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s a give-and-behind attitude|position, and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overlap in a planar view in the case of the non-supervised posture.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가, 중간 반송면(F3)을 반송 방향 T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자세 변경 기구(31)는, 예를 들면, 중간 반송면(F3)을 폭 방향 W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31 move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T to change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to the give-and-take posture and the non-transfer posture.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moves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along the width direction W, for example, to change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into a give-and-take attitude and a non-transfer attitude. 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o .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35)가, 링크 부재(34)를 고정축(33)(Ax) 주위로 요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2 요동축(32)(Ax)이, 고정축(33)(Ax) 주위에 선회하여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기구(35)가 직동 실린더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직동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중간 반송면(F3)이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2 요동축(32)(Ax)을 반송 방향 T에서의 제2 컨베이어(2)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e mechanism 35 is configured to swing the link member 34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and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F3 moves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ition. In the case of changing the posture to the posture, the second swing shaft 32 (Ax) rotates around the fixed shaft 33 (Ax) and moves upward while moving toward the second conveyor 2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For example, the drive mechanism 35 is comprised using a linear motion cylinder, and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is attitude|positioned from a give-and-take posture to a non-transfer posture by driving of a linear motion cylinder. When changing, you may move upward, moving the 2nd rocking shaft 32 (Ax) to the 2nd conveyor 2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T.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31B)가, 중간 반송면(F3)에서의 제1 단부(F31)를 반송 방향 T을 따라 직동시키기 위한 직동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부(31B)는, 예를 들면, 제2 단부(F32)와 같도록 제1 단부(F31)를 요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4)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guide part 31B is comprised as a linear motion mechanism for linearly moving the 1st end part F31 in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T was demonstrated.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and the guide part 31B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1st edge part F31 may be rock|fluctuated so that it may become the 2nd edge part F32, for example.

(5) 제1 컨베이어(1)의 제1 반송면(F1), 제2 컨베이어(2)의 제2 반송면(F2), 및 중간 컨베이어(3)의 중간 반송면(F3) 각각의 수평면에 대한 반송 방향 T의 각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반송면(F1) 및 제2 반송면(F2)의 수평면에 대한 반송 방향 T의 각도가 0°이며, 중간 반송면(F3)만이 반송 방향 T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또는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는, 제1 반송면(F1), 제2 반송면(F2), 및 중간 반송면(F3)의 모두가, 반송 방향 T의 하류측으로 향함에 따라 아래쪽 또는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5) on the horizontal plane of each of the first conveying surface F1 of the first conveyor 1,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F2 of the second conveyor 2, and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of the intermediate conveyor 3 The angl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respect to this can be set arbitrarily.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is 0 degree like the said embodiment, and only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You may incline so that it may face downward (or upward) as it goes downstream. Or, all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the 2nd conveyance surface F2, and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may incline so that it may face downward or upward as heading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T.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31)는, 적어도 승강 기구(11)에 의한 제1 반송면(F1)의 승강중, 중간 반송면(F3)을 비수수 자세로 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자세 변경 기구(31)는, 승강 기구(11)에 의해 제1 반송면(F1)이 승강 중이라도, 중간 반송면(F3)을 수수 자세로 해도 된다. (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is at least in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is in the non-assignment posture while the first transfer surface F1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mechanism 11 .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and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31 may set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3 to the transfer posture even when the first transfer surface F1 is being raised/lowered by the lifting mechanism 11 .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3)가, 중간 반송면(F3)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컨베이어(3)는, 그와 같은 자세 변경 기구(31)를 구비하지 않고, 중간 반송면(F3)의 자세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7)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s equipped with the attitude|position changing mechanism 31 which changes the attitude|position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or 3 is not equipped with such an attitude|position changing mechanism 31, The attitude|position of the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F3 may be fixed.

(8)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가, 제1 반송면(F1)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1)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베이어(1)는, 그와 같은 승강 기구(11)를 구비하지 않고 제1 반송면(F1)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8)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1st conveyor 1 is equipped with the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which raises and lowers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The height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F1 may be fixed, without the 1st conveyor 1 being equipped with such a raising/lowering mechanism 11.

(9)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가,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베이어(1), 제2 컨베이어(2), 및 중간 컨베이어(3) 중 하나 이상이, 벨트 컨베이어 이외의 컨베이어, 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나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각 컨베이어가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반송면[제1 반송면(F1), 제2 반송면(F2), 또는 중간 반송면(F3)]은, 롤러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 각각의 상단(上端)을 연결하는 가상(假想)적인 면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각 컨베이어가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반송면[제1 반송면(F1), 제2 반송면(F2), 또는 중간 반송면(F3)]은, 체인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인 각각의 상면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면으로 된다. (9) Example in which the 1st conveyor 1, the 2nd conveyor 2, and the intermediate conveyor 3 are comprised by the belt conveyor provided with a pulley and the belt wound around the said pulley in sai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veyor 1 , the second conveyor 2 , and the intermediate conveyor 3 is a conveyor other than a belt conveyor, for example, a roller conveyor or a chain conveyor. may be constituted by When each of the conveyors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by a roller conveyor, the conveying surface (the first conveying surface F1,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F2, or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a plurality of rollers constituting the roller conveyor. It becomes an imaginary surface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each. Similarly, when each of the conveyors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by a chain conveyor, the conveying surface (the first conveying surface F1,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F2, or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 is a plurality of It becomes an imaginary surface connecting the top surfaces of each chain of

(10)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10) Incidentally,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ontradiction. Also regarding other structures,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mere illustration in every point.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appropriately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Summary of the above embodiment]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각각 물품을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로서, A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first conveyor and a second conveyor for conveying articles, respectively, comprising:

상기 제1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1 반송면과, 상기 제1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first conveyor includes a first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반송면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2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second conveyor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drivi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A second driving unit is provided,

물품이 반송되는 방향인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을 폭 방향 제1 측,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쪽 측을 폭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A direction orthogonal in plan view to the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is conveyed,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상기 제1 반송면은,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폭 방향 제1 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1 각도로 경사져 있고, The first carrying surface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faces downward as the width direction first side faces,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이며,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s a second angle in which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상기 중간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중간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중간 반송면을 구동시키는 중간 구동부를 구비하고, The intermediate conveyo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n intermediat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상기 중간 반송면은, 상기 제1 반송면과 상기 제2 반송면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로 경사져 있다.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rrying surface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n an up-down direction, and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t is incl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본 구성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중간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가 구비하는 중간 반송면의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는, 제1 컨베이어에서의 제1 반송면의 각도인 제1 각도와 제2 컨베이어에서의 제2 반송면의 각도인 제2 각도와의 사이의 중간 각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면을 구비한 제1 컨베이어와 제2 반송면을 구비한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 중간 각도로 경사지는 중간 반송면을 구비한 중간 컨베이어를 개재시킴으로써, 물품이 이들 컨베이어 간에 있어서 반송면으로부터 반송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이 낙하하는 상하 방향의 낙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수평면에 대한 폭 방향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반송면을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물품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intermediate conveyor is provided between the 1st conveyor and the 2nd conveyor which have a conveyance surface from which the angle of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differs from each other.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veyo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a first angle that is an angle of the first conveying surface in the first conveyor and a second angle that is an angle of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 the second conveyor. It is the intermediate angle between the angle and the angl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n intermediate conveyor having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nclined at an intermediate angl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provided with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veyor provided with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 when the article moves from the carrying surface to the carrying surface between these conveyors, the vertical drop at which the article falls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n article is mov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having conveying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impact acting on the article can be alleviated.

여기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반송면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Here, the first conveyor includes a lifting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2 반송면을, 그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제2 반송면 지지부를 구비하고, The second conveyor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urface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fixed at a fixed position,

상기 중간 컨베이어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의 사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를 행하는 수수 자세와, 상기 제1 컨베이어와의 사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를 행하지 않는 비수수 자세로, 상기 중간 반송면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The intermediate conveyor includes a transfer posture in which good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and transfer of goods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and a posture change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to a non-transfer posture,

상기 중간 반송면에서의 상기 제1 컨베이어 측의 단부를 제1 단부로 하여, 상기 중간 반송면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의 단부를 제2 단부로 하여, An en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veyor 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a first end, and an en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a second end,

상기 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반송면이 중복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반송면이 중복되는 자세이며, The give-and-take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transfer surface overlap, and the second end portion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overlap in a plan view;

상기 비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반송면이 중복되지 않는 자세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non-transfer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do not overlap in a plan view.

본 구성에 의하면, 중간 반송면의 자세가 수수 자세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단부와 제1 반송면이 중복되고, 또한, 제2 단부와 제2 반송면이 중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간 컨베이어는, 중간 반송면의 자세가 수수 자세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와의 사이 및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중간 반송면의 자세가 비수수 자세인 경우에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단부와 제1 반송면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승강 기구에 의해 제1 반송면이 승강해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중간 반송면을 퇴피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is the give-and-take attitude,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transfer surface overlap, and the second end portion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overlap in a plan view. Therefore, the intermediate conveyor can appropriately transfer articles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when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the transfer pos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is the non-transfer posture, the first end and the first carrying surface do not overlap in plan view, so that the first carrying surface does not come into contact even if the first carrying surface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mechanism.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can be retracted.

또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적어도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반송면의 승강중,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비수수 자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set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to the non-transfer posture at least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transfer surface by the lifting mechanism.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면의 승강 중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와 중간 컨베이어가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ossibility that a 1st conveyor and an intermediate|middle conveyor will interfere can be reduced during the raising/lowering of a 1st conveyance surface.

또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수수 자세와 상기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중간 반송면의 자세가 상기 수수 자세와 상기 비수수 자세 중 어디에 있어서도,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is configured to change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to the give-and-take posture and the non-transfer posture by moving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end portion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include: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itude|position of the said intermediate|middle conveyance surface overlaps in planar view in either of the said give-and-behind attitude|position and the said non-transfer attitude.

본 구성에 의하면, 중간 반송면을, 수수 자세와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자세 변경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2 반송면과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는 영역에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 억제하기 쉽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ace necessary for changing the posture in the area overlapping the second transfer surface in plan view while allowing the posture change of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to the give-and-take posture and the non-transfer posture. Therefore, it is easy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또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상기 중간 반송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1 요동축과, 상기 제1 요동축 주위에 상기 중간 반송면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축 지지부와, 상기 제1 요동축 지지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제1 요동축 주위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In addition,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pivoting shaft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pivotally supporting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around the first pivoting axis in a swingable manner. a swing shaft support portion; a guide portion for movably guiding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swing mechanism for swinging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around the first swing shaft;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기 수수 자세로부터 상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중간 반송면의 전체가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단부의 위쪽으로의 이동량이 상기 제1 단부의 위쪽으로의 이동량보다 커지도록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changed from the give-and-take attitude to the non-transfer position, the amount of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while the entir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moves toward the second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larger than the upward movement amount of the first end.

본 구성에 의하면, 중간 반송면을 수수 자세로부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제2 단부가 제2 컨베이어에 대하여 위쪽으로 멀어지면서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도록 중간 반송면이 자세 변경하므로, 중간 컨베이어가 제2 컨베이어에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from the give-and-take attitud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changes its posture so that the second end moves toward the second conveyor while mov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vey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veyor interferes with the second conveyor.

또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그 위치가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상기 제1 요동축보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반송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2 요동축과,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2 요동축을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상기 고정축 주위에 상기 링크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 지지부와, 상기 고정축 주위에 상기 링크 부재를 요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In addition, the swing mechanism includes a fixed shaft whose position is fixed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rather than the first swing shaft and is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a second pivoting shaft having a fixed position;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fixed shaft and the second pivoting shaft; a fixed shaft supporting portion pivotably supporting the link member around the fixed shaft; A drive mechanism for swinging the link member is provided;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기 수수 자세로부터 상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요동축이, 상기 고정축 주위에 선회하여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second swing axis rotates around the fixed axis and moves upward while moving toward the second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본 구성에 의하면, 중간 반송면의 전체를 반송 방향에서의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제2 단부를 제1 단부보다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요동 기구에 의해 적절히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기구를 간략한 것으로 하기 쉽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operation|movement of moving the whol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toward the 2nd conveyor side in a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operation|movement of moving a 2nd edge part upward from a 1st edge part can be implement|achieved suitably by a rocking|fluctuation mechanism. Therefore, it is easy to simplify the mechanism for realizing the above two operations.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for a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yors.

100: 물품 반송 장치
1: 제1 컨베이어
2: 제2 컨베이어
3: 중간 컨베이어
11: 승강 기구
20: 제2 반송면 지지부
31: 자세 변경 기구
31As: 제1 요동축 지지부
31Ax: 제1 요동축
31B: 안내부
32As: 제2 요동축 지지부
32Ax: 제2 요동축
33Ax: 고정축
34: 링크 부재
35: 구동 기구
310: 요동 기구
F1: 제1 반송면
F2: 제2 반송면
F3: 중간 반송면
F31: 제1 단부
F32: 제2 단부
M1: 제1 구동부
M2: 제2 구동부
M3: 중간 구동부
θ1: 제1 각도
θ2: 제2 각도
θ3: 중간 각도
W: 물품
X: 폭 방향
X1: 폭 방향 제1 측
X2: 폭 방향 제2 측
Y: 반송 방향
100: article conveying device
1: first conveyor
2: Second conveyor
3: middle conveyor
11: Lifting mechanism
20: second carrying surface support part
31: posture change mechanism
31As: first oscillation shaft support portion
31Ax: first oscillation axis
31B: Information Department
32As: second oscillation shaft support
32Ax: 2nd oscillation axis
33Ax: fixed axis
34: no link
35: drive mechanism
310: rocking mechanism
F1: 1st conveyance surface
F2: 2nd conveyance surface
F3: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31: first end
F32: second end
M1: first driving unit
M2: second driving unit
M3: Intermediate drive
θ1: first angle
θ2: second angle
θ3: middle angle
W: Goods
X: width direction
X1: fir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2: seco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conveying direction

Claims (6)

각각 물품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1 반송면과, 상기 제1 반송면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반송면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제2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반송면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이 반송되는 방향인 반송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폭 방향의 한쪽 측을 폭 방향 제1 측, 상기 폭 방향의 다른 쪽 측을 폭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상기 제1 반송면은,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폭 방향 제1 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1 각도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이며,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된 중간 컨베이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중간 반송면과, 상기 제1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중간 반송면을 구동하는 중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반송면은, 상기 제1 반송면과 상기 제2 반송면과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폭 방향의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의 중간 각도로 경사져 있는,
물품 반송 장치.
Containing a first conveyor and a second conveyor for conveying each item (搬送; transport),
The first conveyor includes a first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The second conveyor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the article in a mounted state, and a second conveying surface for drivi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A second driving unit is provided,
A direction orthogonal in plan view to a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is conveyed, is defined as a width directi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e first carrying surface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faces downward as the width direction first side faces,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s a second angle in which a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onvey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The intermediate conveyo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for conveying articles in a mounted state, and an intermediat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unit,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rrying surface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an intermediate angl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clined with
Goods convey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반송면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2 반송면을, 그 위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제2 반송면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의 사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수수 자세와, 상기 제1 컨베이어와의 사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수수를 행하지 않는 비(非)수수 자세로, 상기 중간 반송면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반송면에서의 상기 제1 컨베이어 측의 단부(端部)를 제1 단부로 하고, 상기 중간 반송면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의 단부를 제2 단부로 하여,
상기 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반송면이 중복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반송면이 중복되는 자세이며,
상기 비수수 자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1 반송면이 중복되지 않는 자세인, 물품 반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veyor includes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first conveying surface;
The second conveyor includes a second conveying surface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fixed at a fixed position,
The intermediate conveyor includes a transfer posture in which article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and articles between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and a posture change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to a non-transfer posture in which the transfer is not performed;
An en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veyor 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a first end, and an en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on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is a second end,
The give-and-take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transfer surface overlap and the second end portion and the second transfer surface overlap in a plan view;
and the non-transfer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transfer surface do not overlap in a plan vie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적어도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한 상기 제1 반송면의 승강 중,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비수수 자세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set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to the non-transfer posture at least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transfer surface by the lifting mechanism.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수수 자세와 상기 비수수 자세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중간 반송면의 자세가 상기 수수 자세와 상기 비수수 자세 중 어디에 있어서도,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changes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to the give-and-take posture and the non-transfer posture by moving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and wherein the second end portion and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overlap each other in a plan view in any of the give-and-take posture and the non-transfer posture in postures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상기 중간 반송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1 요동축(搖動軸)과, 상기 제1 요동축 주위에 상기 중간 반송면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축 지지부와, 상기 제1 요동축 지지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중간 반송면을 상기 제1 요동축 주위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기 수수 자세로부터 상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중간 반송면의 전체가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단부의 위쪽으로의 이동량이 상기 제1 단부의 위쪽으로의 이동량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품 반송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pivoting shaft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pivotably supporting the intermediate carrying surface around the first pivoting axis. a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a guide portion for movably guiding the first swing shaft support portion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swing mechanism for swinging the intermediate transport surface around the first swing shaft;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attitude to the non-transfer position, the amount of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end while the entir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moves toward the second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moves in an up-down direction so as to be larger than an upward movement amount of the first e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그 위치가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폭 방향을 따른 축으로서 상기 제1 요동축보다도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반송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제2 요동축과,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2 요동축을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상기 고정축 주위에 상기 링크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 지지부와, 상기 고정축 주위에 상기 링크 부재를 요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반송면이 상기 수수 자세로부터 상기 비수수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요동축이, 상기 고정축 주위로 선회(旋回)하여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물품 반송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scillation mechanism includes a fixed shaft whose position is fixed as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n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that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veyor side of the first oscillation shaft and has a position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conveying surface. a second fixed pivoting shaft;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fixed shaft and the second pivoting shaft; a fixed shaft supporting portion pivotably supporting the link member around the fixed shaft; and the link member around the fixed shaft. A drive mechanism for rocking the
When the intermediate conveyance surface changes its posture from the give-and-take posture to the non-transfer posture, the second swing axis rotates around the fixed axis and moves toward the second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Moving to, the goods conveying device.
KR1020210134691A 2020-10-14 2021-10-12 Article transport apparatus KR2022004946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3499 2020-10-14
JP2020173499A JP7294296B2 (en) 2020-10-14 2020-10-14 Article convey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463A true KR20220049463A (en) 2022-04-21

Family

ID=8138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691A KR20220049463A (en) 2020-10-14 2021-10-12 Article transport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94296B2 (en)
KR (1) KR2022004946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508A (en) 2003-01-07 2004-07-29 Tsubakimoto Chain Co Belt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0800A (en) 1997-07-17 1999-09-14 Sandvik Sorting Systems, Inc. Conveying methods and apparatus
JP5336073B2 (en) 2007-12-28 2013-11-06 株式会社ダスキン Cylindrical article conveyance device, conveyance bundling device, and conveyance identification device
JP6963205B2 (en) 2017-03-17 2021-11-05 株式会社イシダ Article align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508A (en) 2003-01-07 2004-07-29 Tsubakimoto Chain Co Belt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4706A (en) 2022-04-26
JP7294296B2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890B2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7735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trays having a pallet layer loaded
US6201203B1 (en) Robotic containerization system
CN114701792B (en) Picking system
JP4610286B2 (en) Sorting equipment and sorting method
JP7206955B2 (en) AUTOMATED WAREHOUSE CONTROL DEVICE AND CRANE EXIT CONTROL METHOD IN AUTOMATED WAREHOUSE
KR20220049463A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JP7431593B2 (en) Conveyance equipment and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H0388603A (en) Automatic sorting method for article
JP7327337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7439709B2 (en) Goods transfer device
JP7294293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7435392B2 (en) Goods conveyance device
KR20230061903A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JP7302586B2 (en) Goods storage facility
JP7314924B2 (en) Goods storage facility
CN217963589U (en) Commodity circulation sorting device
JP7183732B2 (en) Transfer robot system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TW202317450A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KR20040100071A (en) Apparatus for sorting card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48940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17940355A (en) Article storage device, article storage method, and article storage program
CN117396415A (en) Sor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20110814A (en) picking system
CN115709963A (en) Hoister, warehou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warehousing work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