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32A -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Google Patents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132A
KR20220049132A KR1020200132354A KR20200132354A KR20220049132A KR 20220049132 A KR20220049132 A KR 20220049132A KR 1020200132354 A KR1020200132354 A KR 1020200132354A KR 20200132354 A KR20200132354 A KR 20200132354A KR 20220049132 A KR20220049132 A KR 2022004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plane
transition metal
composite transition
metal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택
박선홍
진주성
강원경
장성균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 앤 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to KR102020013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132A/ko
Priority to PCT/KR2021/013300 priority patent/WO2022080710A1/ko
Publication of KR2022004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132A/ko
Priority to KR1020240017139A priority patent/KR20240019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nickel,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Li(MyNixMn1-x-y)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i과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몰 비율로 Ni의 함량이 전이금속 전체량을 기준으로 60% 이상이며, XRD 분석에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 내지 1.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Composite Transition Metal Precursor for Cathode Active Material an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repar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Ni이 고함량으로 포함되어 있고 XRD 분석에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리튬 소스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와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이차전지는 우수한 출력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휴대용 전자장치에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대두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HEV, PHEV, EV)와 같은 수송 분야나 에너지 저장장치(ESS) 같은 전력 저장용 장치와 같은 중대형 분야로 확장되었다.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으로 고효율, 고용량을 요구함과 동시에 안정성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물질로는 LiNiO2, LiCoO2, LiMn2O4 등이 있다. LiCoO2는 작동 전압이 높고 용량 특성이 우수하지만, 탈리튬에 따른 결정구조의 불안정화로 열적 특성이 매우 열악하고 고가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에 비해, LiMn2O4는 가격면에서 저렴하고 출력 및 안정성에서 우수하나, 충방전시 Mn3 +로 인한 구조 변형이 일어나 고온에서 Mn 용출이 발생하여 급격한 성능 변화를 갖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LiNiO2는 높은 전기 용량을 갖는 반면, 충방전 시 사이클 특성 및 안전성 등에 대한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층상구조를 갖는 Ni, Co, Mn 등 3원계 복합 산화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Co보다 가격 경쟁력 면에서 우수하면서 높은 방전 용량 및 출력 성능이 우수한 High Ni 계열(Ni 70% 이상)의 양극 활물질에 대한 연구와 양극재 시장 점유를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기존 Low Ni(Ni 60% 미만)의 경우 Li과의 반응성이 문제되지 않아 낮은 온도에서 반응이 잘 진행되었지만, High Ni의 경우 Li과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긴 소성 시간, LiOH 사용 및 산소 주입 등 소성 공정이 까다로운 실정이다. 이는 구조적 불안정성에 의한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High-Ni에서도 반응성이 높은 전구체를 제조하여, 기존 소성 공정의 문제점인 반응성을 개선하고, 구조 안정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들을 거듭한 끝에, High-Ni 양극 활물질 제조용 전구체의 XRD 분석을 통해 구조적으로 안정한 형태의 물질을 정의할 수 있는 조건들을 확인하였고, High-Ni에서 우수한 초기 용량 및 전기화학적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 제조용 전구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Ni과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몰 비율로 Ni의 함량이 전이금속 전체량을 기준으로 60% 이상이며, XRD 분석에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 내지 1.1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Ni을 60몰% 이상으로 포함하고 있는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High-Ni계 전구체'로 칭할 수 있다. 이러한 High-Ni계 전구체에서 바람직한 Ni 함량은 70몰%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에서, 70몰% 내지 98몰%의 범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High-Ni계 전구체는 입자의 균일성 확보 및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공침법으로 제조되며, 전구체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는 MeSO4 (Me: Ni을 포함한 전이금속 원소) 등의 금속염과, NaOH 및 NH4OH를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 중, NaOH는 침전을 위한 pH 조절용 원료로 사용되며, NH4OH는 착화물의 형성을 돕는 킬레이팅제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공침 반응 메커니즘의 화학식은 킬레이팅제 유무에 따른 하기 반응식 (a) 또는 (b)로 진행된다.
(a) Me2 + + 2OH- → Me(OH)2
(b) Me2 + + nNH3 → [Me(NH3)n]2+
[Me(NH3)n]2 ++ 2OH- → Me(OH)2 + nNH3
침전 반응시 우선 생성되는 물질은 전이금속(Me)에 6개의 배위결합 형태의 Octahedron structure 이다. Me2 +(Ni2 +, Co2 +, Mn2 +)가 중앙에 위치하고 6개의 OH-기가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이며, 이는 도 1에서 결정구조의 (001)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암모니아는 금속과 [Me(NH3)n]2+의 착이온 형태로 변환된다. 이렇게 양전하를 띄는 착이온과 다량의 OH-기를 갖고 있어, 음전하를 띄는 (001)면과 가까워지면, 정전기적인 힘에 의해 Me2 +를 방출하게 된다. 이렇게 방출된 Me2 +는 (001)면에 침전되고, 이는 (001)면이 아닌 c축을 따라 (010)면을 성장시킨다.
일반적으로, 전구체 입자의 성장시 높은 에너지를 갖는 면의 결정 성장률이 낮은 에너지를 갖는 면의 결정 성장률보다 빠르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면은 성장 중에 사라지게 되고, 성장한 결정 면은 낮은 에너지 면의 지배를 받게 된다. 여기서, 결정면의 높은 표면 에너지는 원자구조 배열에 의해 결정되며, 원자에 미결합 bonding이 많이 존재할수록 표면의 에너지가 높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는 단사정계 (Monoclinic)와 유사한 구조로 배열하게 된다.
단사정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주요 peak는 (001), (100 or 010), (101)이며, (010)면의 peak 위치는 (100)면과 같다. 또한, 완벽한 결정의 경우 (100)면과 (010)면은 동일하며, 여기서 (010)면은 Li의 거동과 연관되는 면이다. 입자가 [010]으로 과도하게 성장하게 되면 (001)면이 넓게 형성되는 것과 같다. (001)면은 자체적으로는 전기화학적 활성이 없는 면이며 (001)면이 넓어지면 Li diffusion 시 내부로 침투하기가 어려워 불안정한 층상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c축 방향인 [001]로 성장시켜 (010)면의 노출을 되도록 많이 확보하게 되면, Li이 효율적으로 저장되며 삽입/탈리가 가능하게 된다.
전구체는 공침 조건에 의해서 형성되는 입자의 구조가 달라지게 되며, 이는 XRD pattern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구체의 XRD 분석을 진행하게 되면 β-Ni(OH)2에 근접한 peak를 얻을 수 있다. 약 18도 부근에서 생기는 peak는 (001)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고, 약 33도 부근에서 생기는 peak는 (100)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며, 약 38도 부근에서 생기는 peak는 (101)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바, 이는 도 3의 XDR 분석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심도있는 분석을 통해 전구체의 각각의 면들의 상호 ratio에 의해 활물질의 성능이 변하는지 확인하였고, 본 명세서에서 최적의 ratio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구체의 구조는 양극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직관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가 중요하다. 전구체의 결정구조는 양극 활물질과 다른 단사정계와 유사한 결정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전구체 NCM(OH)2와 Li 소스(source)의 혼합 소성시, 전구체의 결정구조가 재배열되어 a-NaFeO2/hexagonal의 층상 구조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전구체의 결정구조에 따라 활물질의 결정구조가 영향을 받는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양극 활물질의 HCP(Hexagonal Close Packed)의 축으로 보면, a축은 Metal과 Metal 이온과의 평균거리를 뜻하며, a축이 좁을수록 금속이온 격자상수가 좁다는 것을 의미하며 원자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너무 좁을 경우에 활물질 내에 결정립계(Grain Boundary)가 많아져 Li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c축은 Metal과 Metal과의 층간거리를 뜻하며, c축의 면의 개수나 면간 거리가 늘어날수록, Li ion의 삽입과 탈리가 원활하게 되어 구조적 stress를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층간거리가 너무 넓게 되면, Li과 Oxygen의 정전기력이 끊어져 Li의 빈자리가 생성되고, 이 빈자리에 이온 반경이 비슷한 Ni이 자리하게 되어 Ni-O(Rock-salt) 구조가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전구체의 결정구조는 양극 활물질의 결정구조의 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공침반응을 통해 전구체를 수득할 때, 전구체가 형성되는 성장조건에 따라 전구체의 결정구조가 다르고 소성시 Li의 거동이 달라지게 되며, 그 결과 전기화학적 특성이 변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이후 실험 내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구체가 XRD 분석에 기반한 결정 구조 측면에서, (001)면과 (101)면에 대한 상호 비율(ratio)이 상기에서 정의한 조건, 즉,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 내지 1.1의 범위인 조건을 만족할 때,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의 양극 활물질이 제조될 수 있는 전구체가 얻어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101)면과 (001)면의 비율은 Metal 원자간 격자거리를 의미하게 되는데, 격자거리가 너무 길거나 짧을 경우, 결정성이 저하되며, Li의 거동에 삽입/탈리 저항이 발생하고, 구조적 붕괴 및 cation mixing 현상이 증가할 수 있는 바, 상기 강도비가 0.7 내지 1.1의 범위에 포함되면 결정성이 우수하며, Metal 원자와 Li 이온의 결합이 우수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101)면과 (001)면의 비율에 대한 상기 조건과 더불어, (001)면과 (100)면에 대한 상호 비율이 다음의 조건, 즉, (100)면과 (001)면의 피크 강도비(I100/I001)가 0.4 내지 0.8의 범위인 조건을 또한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XRD 피크에서 (100)면과 (001)면은 c축으로 배열된 Li 삽입/탈리층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는 강도비가 0.4 내지 0.8의 범위에 포함되면 (010)면의 Li 삽입/탈리층 노출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Li의 확산(diffusion)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4 내지 1.08의 범위이고, (100)면과 (001)면의 피크 강도비(I100/I001)가 0.43 내지 0.76의 범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Ni 이외에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더 포함하는데,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Co와 Mn을 포함할 수 있다.
Ni을 60몰% 이상 포함하고 또한 Co와 Mn을 포함하는 High-Ni 전구체는 공침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OH)2, M(OOH) 및 M(OH1-x)2 (여기서, M은 Ni과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이고, x는 0<x<0.5의 조건을 만족한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일 수 있다.
Ni1 - (a+b+c)CoaMnbMc(OH)2 (1)
상기 식에서,
M은 B, Al, Ti, Sc, V, Cr, Fe, Y, Cu, Zr, Nb, Mo, Tc, Ru, Rh, Ag, Pd, P, W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0≤a<1, 0≤b<1, 0≤c<1 이며, 0<a+b+c≤0.3이다.
본 발명의 전구체는 단일 입자, 1차 입자들이 응집된 2차 입자, 또는 1차 입자와 2차 입자의 혼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1차 입자의 크기는 예를 들어 0.01 ㎛ ~ 0.5 ㎛ 범위일 수 있고, 2차 입자의 크기는 1.5 ㎛ ~ 50 ㎛ 범위일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그것의 제조를 위한 공침 공정에서의 pH, 암모니아 농도, 반응시간, 반응물의 교반 속도, 전이금속들의 성분비 등 상호 연관된 다양한 공정 요소들에 의해 그것의 결정구조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전이금속 성분비, 입자 크기 등에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결정구조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전구체들을 제조하는 예들이 이후 설명하는 실험에 설명되어 있는 바, 이러한 관련 실험의 기재 내용에 한정됨이 없이, 당업자라면 공정 조건들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결정구조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전구체의 제조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pH와 암모니아의 경우, 이후 설명하는 실험 내용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침 공정에서 pH가 12.0 이상으로 설정되면 반응에서 침전제인 가성소다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001) 면을 이루는 Me에 octahedron 형태가 생성되어 강도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설정되는 pH에 따라 양을 조절하게 되는 암모니아의 경우, 양이 적을수록 (100 or 010), (101) 면을 형성하는데 불리한 반면, 양이 많을 경우에는 결정의 이면을 성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와 리튬 소스를 함께 소성하여 제조되는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XRD Main peak의 (003)면과 (104)면의 강도비(003/104)가 1.8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1의 범위일 수 있다.
I(003/104)의 강도비는 양이온 혼합(cation mixing)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인 바, 상기 양이온 혼합은 Ni2 +(0.69Å)와 Li2 +(0.76Å)의 이온 크기가 비슷하여 두 이온의 위치가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강도비가 1.2에 가까울수록 두 이온의 혼합량이 증가하여 특성이 떨어지며, 1.2보다 높을수록 두 이온의 혼합량이 감소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1.2보다 훨씬 높은 수치인 1.8 이상의 강도비를 나타냄을 이후 설명하는 실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XRD 결과에서 c/a = 4.9 이상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데, c/a의 수치가 4.9 이상의 조건에서 층상구조로 잘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입자 강도가 높고 수명 특성이 우수하며, 초기 저항이 낮고 고용량의 특성을 가지는 바, 이는 이후 설명하는 실험 내용에서도 입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바, 리튬 이차전지의 구조 및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리튬 소스와의 소성시 반응성이 뛰어나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소성 공정의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전기화학적으로 우수한 양극 활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고체 결정구조에서 일부 결정면들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2는 고체 결정구조에서 HCP(Hexagonal Close Packed)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XRD 분석 그래프들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양극 활물질과 비교예 1의 양극 활물질의 SEM 이미지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3 ~ 12.6,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0:10:10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도 4에는 상기 양극 활물질의 SEM 이미지가 개시되어 있는 바, 비교예 1의 양극 활물질에 비해, 1차 입자들이 더욱 조밀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정의한 XRD 피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성시 전구체에서 Li의 이동이 원활하여, Li이 전구체의 2차 입자의 내부까지 잘 삽입되고, 표면에는 Li이 균일하게 존재하게 되어, 더 조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2]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0 ~ 12.4, 암모니아 농도 4000 ~ 5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0:10:10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5 ~ 12.9,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0:10:10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1.5 ~ 11.6, 암모니아 농도 4,000 ~ 5,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2:11:07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 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3 ~ 12.6,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0:10:10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3 ㎛이며, 이때 pH 11.5 ~ 11.8,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0 ~ 12.1,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80:10:10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6 ㎛이며, 이때 pH 11.6 ~ 12.0, 암모니아 7000 ~ 10,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3 ~ 12.6,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70:15:1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3 ~ 12.6,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90:05:0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물 200L와 가성소다, 암모니아를 추가한 다음 일정하게 360 rpm으로 교반하여 pH 12.3 ~ 12.6, 암모니아 농도 7000 ~ 8000 ppm을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Ni:Co:Mn의 몰 비율이 95:2.5:2.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20시간의 반응시간에 D50이 10 ㎛이며,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으로 관리하여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수산화물 입자는 세척과 여과 과정을 거쳐 130℃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고, 그 결과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82:11:07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10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82:11:07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5 ~ 11.8, 암모니아 4000 ~ 5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3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82:11:07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6 ~ 12.0, 암모니아 7,000 ~ 8,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16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70:15:1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10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90:05:0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10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0.1L/min 질소가스가 일정하게 투입되는 500L 원통형 반응기에 몰비 Ni:Co:Mn의 몰 비율이 95:2.5:2.5인 금속염 수용액을 가성소다와 암모니아 수용액과 함께 반응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60℃에서 공침반응에 의한 합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pH 11.3 ~ 11.7, 암모니아 4000 ~ 5000 ppm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360 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여, D50이 10 ㎛인 Ni-Co-Mn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에 LiOH를 1.03 몰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800℃로 1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된 복합전이금속 수산화물 입자들과 양극 활물질 입자들에 대해 하기와 같은 측정 조건으로 XRD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3에 각각 나타낸다.
<XRD 측정 조건>
파워 소스: CuKα(선초점), 파장: 1.541836Å
조작축: 2θ/θ, 측정 방법: 연속, 계수 단위 : cps
개시 각도: 10.0°, 종료 각도: 80.0°, 적산 횟수: 1회
샘플링폭: 0.01°, 스캔 스피드: 1.3°/min
전압: 40kV, 전류: 40mA
발산 슬릿: 0.2 ㎜, 발산종 제한 슬릿: 10 ㎜
산란 슬릿: 개방, 수광 슬릿: 개방
오프셋 각도: 0°
고니오미터 반경: 285 ㎜, 광학계: 집중법
어태치먼트: ASC-48
슬릿: D/teX Ultra용 슬릿
검출기: D/teX Ultra
인시던트 모노크롬: CBO
Ni-Kβ 필터: 없음
회전 속도: 30rpm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도 3의 결과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구체는 (100)면과 (001)면의 피크 강도비(I100/I001)가 0.4 내지 0.8의 범위이고,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 내지 1.1의 범위에 속하지만, 비교예들의 전구체는 상기 강도비의 범위에 속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의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구체로 만들어진 양극 활물질은 (003)면과 (104)면의 강도비(003/104)가 1.8 내지 2.1의 범위에 속하고, c/a = 4.9 이상임을 알 수 있지만, 비교예들의 양극 활물질은 강도비(003/104)가 1.6을 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된 양극 활물질, 도전재로서 Super-P, 및 바인더로서 PVdF를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 중에서 96.5:1.5:2(중량비)로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양극 활물질 페이스트를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한 후,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과 음극으로 Li metal을 사용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개재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전지케이스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디에틸카보네이트(EC/DMC/DEC의 혼합 부피비=1/2/1)에 비닐렌카보네이트(VC: 2wt%)가 첨가된 유기용매에 1.0M 농도의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가 용해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25℃에서 4.3V 충전 후 방전 시 3.0V 컷오프하는 것으로 하여 0.5C 충전과 1.0C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30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을 1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과 각각 대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비교예들의 이차전지와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방전 효율이 높고,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며, 이차전지의 수명과 관련한 DCIR (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증가율이 줄어들면서 우수한 저항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Ni과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몰 비율로 Ni의 함량이 전이금속 전체량을 기준으로 60% 이상이며, XRD 분석에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 내지 1.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RD 분석에서 (100)면과 (001)면의 피크 강도비(I100/I001)가 0.4 내지 0.8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RD 분석에서, 18도 부근의 피크(peak)는 (001)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고, 33도 부근의 피크는 (100)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며, 38도 부근의 피크는 (101)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Co와 Mn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M(OH)2, M(OOH) 및 M(OH1-x)2 (여기서, M은 Ni과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이고, x는 0<x<0.5의 조건을 만족한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Ni1 - (a+b+c)CoaMnbMc(OH)2 (1)
    상기 식에서,
    M은 B, Al, Ti, Sc, V, Cr, Fe, Y, Cu, Zr, Nb, Mo, Tc, Ru, Rh, Ag, Pd, P, W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며;
    0≤a<1, 0≤b<1, 0≤c<1 이며, 0<a+b, 0<a+b+c≤0.3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101)면과 (001)면의 강도비(I101/I001)가 0.74 내지 1.08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8. 제 1 항에 있어서, (100)면과 (001)면의 피크 강도비(I100/I001)가 0.43 내지 0.7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9. 제 1 항에 따른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와 리튬 소스를 함께 소성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
  10. 제 9 항에 있어서, XRD Main peak의 (003)면과 (104)면의 강도비(003/104)가 1.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
  11. 제 10 항에 있어서, (003)면과 (104)면의 강도비(003/104)가 1.8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
  12. 제 9 항에 있어서, XRD 결과에서 c/a = 4.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
  13. 제 9 항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200132354A 2020-10-14 2020-10-14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20220049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54A KR20220049132A (ko) 2020-10-14 2020-10-14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PCT/KR2021/013300 WO2022080710A1 (ko) 2020-10-14 2021-09-29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0240017139A KR20240019205A (ko) 2020-10-14 2024-02-05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354A KR20220049132A (ko) 2020-10-14 2020-10-14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139A Division KR20240019205A (ko) 2020-10-14 2024-02-05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132A true KR20220049132A (ko) 2022-04-21

Family

ID=81209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354A KR20220049132A (ko) 2020-10-14 2020-10-14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0240017139A KR20240019205A (ko) 2020-10-14 2024-02-05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139A KR20240019205A (ko) 2020-10-14 2024-02-05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49132A (ko)
WO (1) WO2022080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86B1 (ko) * 2022-11-29 2023-11-08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양극 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6437A1 (zh) * 2022-08-15 2024-02-2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金属氢氧化物、正极材料、电化学装置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672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금속 전구체,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90594B1 (ko) * 2016-07-29 2022-04-26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니켈망간 복합 수산화물과 그 제조 방법,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과 그 제조 방법, 및 비수계 전해질 이차 전지
JP7008828B2 (ja) * 2017-12-26 2022-01-25 ポスコ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495992B1 (ko) * 2018-03-28 2023-02-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전구체 및 이를 활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2385749B1 (ko) * 2019-03-15 2022-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18289B1 (ko) * 2019-08-22 2020-06-03 (주)이엠티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용 전구체,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86B1 (ko) * 2022-11-29 2023-11-08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양극 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710A1 (ko) 2022-04-21
KR20240019205A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4194B (zh) 尖晶石结构的锂锰基正极活性材料和包含所述正极活性材料的正极和锂二次电池
KR102026918B1 (ko)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EP2918545B1 (en) Polycrystalline lithium manganese oxide particles,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an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polycrystalline lithium manganese oxide particles
US10153489B2 (en) Lithium-containing composite oxid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2006207B1 (ko)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121267A (ko) 양극 활물질,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20200125443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805910B1 (ko) 리튬 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0946387B1 (ko) 리튬 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전구체, 리튬 전지용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 전지
KR20240019205A (ko)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CN110817974A (zh) 基于镍的活性材料前体、其制备方法、基于镍的活性材料、和锂二次电池
US9905850B2 (en) Polycrystalline lithium manganese oxide particl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athode active material including the same
CN111771302A (zh) 锂二次电池正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锂二次电池
KR20150144613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3365950A (zh) 制备正极活性材料前体的方法和正极活性材料前体
KR10207718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
WO2019088032A1 (ja) リチウム複合金属化合物、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11495791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220065673A (ko) 정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정극 활물질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방법
WO2020180408A2 (en) Cobalt-free layered oxide cathodes
US20200343551A1 (en)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4501306A (ja) 正極活物質、これを含む正極および二次電池
US20180241072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14477310B (zh) 正极活性物质的制造方法、正极活性物质和锂离子电池的制造方法
KR20230001367A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