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908A -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908A
KR20220048908A KR1020210023107A KR20210023107A KR20220048908A KR 20220048908 A KR20220048908 A KR 20220048908A KR 1020210023107 A KR1020210023107 A KR 1020210023107A KR 20210023107 A KR20210023107 A KR 20210023107A KR 20220048908 A KR20220048908 A KR 2022004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vacuum
food
pressure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화
Original Assignee
오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화 filed Critical 오영화
Priority to KR102021002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908A/ko
Publication of KR2022004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제조 방법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1 진공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제2 진공챔버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에 식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2 진공챔버를 폐쇄하는 단계;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2 진공챔버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를 상기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상기 제1 진공압력과 상기 제2 진공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첨가물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여 식품에 첨가물 성분이 주입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과일 등과 같은 식품에 유효성분을 침투시켜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함침된 유효성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Food manufacturing app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additives into food using vacuum}
본 발명은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임산물과 같은 천연식품은 별도의 가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자연에서 생산되는 그대로 섭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산물 중에서 특히 과일은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단맛이 많으며 향기가 좋아 남녀노소 할 것없이 많이 섭취되고 있다.
과일에는 수분이 85~90%로 가장 많이 포함되고, 나머지 단백질, 지방, 당분, 탄수화물, 무기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과일의 맛은 단맛, 신맛이 주고, 단맛과 신맛의 균형은 완숙되었을 때가 최고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의 품질은 모양과 육질, 당도, 유효 성분 등에 의해 결정된다.
과일의 신맛은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에 의한 것이고, 감귤류는 시트르산, 포도는 타르타르산, 사과는 말산이 주체를 이룬다. 그 밖에 과일에는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엽록소 등의 천연 색소가 들어 있다. 과일의 향기성분은 수십 종이 있으며, 이들이 조화를 이루어 각종 과일의 독특한 향기를 낸다.
이러한 과일들은 재배 방법, 종, 기후, 재배지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 구성 성분은 거의 비슷하다.
최근 들어서는 인체에 유용한 각종 성분들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웰빙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과일은 기본성분 이외에 인위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많이 제안되지 않고 있다.
특히, 과일의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유효성분을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방법으로는 많은 한계가 있다. 과일에 유효성분을 함침시켰다 하더라도 함침시킬 당시의 온도 및 압력과 시중에 판매될 때의 온도 및 압력 차이에 따라 유효성분이 과일 외부로 배출되과 과일의 껍질이 갈라지는 현상도 일어난다.
따라서, 과일 등과 같은 천연식품에 유효성분을 침투시켜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함침된 유효성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육류나 어류에 유효성분을 침투시켜 육질을 개선하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88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과일 등과 같은 식품에 유효성분을 침투시켜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함침된 유효성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 진공챔버; 상기 제1 진공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제2 진공챔버; 상기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2 진공챔버를 폐쇄하는 커버;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 진공펌프; 상기 제2 진공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 진공펌프;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2 진공챔버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하는 연결밸브; 식품에 주입하기 위한 첨가물을 저장하는 첨가물 저장탱크; 상기 첨가물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첨가물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노즐; 상기 첨가물 저장탱크와 상기 공급노즐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하는 주입밸브; 상기 제1 및 제2 진공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식품은 상기 제2 진공챔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진공펌프는 상기 연결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하고, 상기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연결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를 상기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하고, 첨가물은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상기 제1 진공압력과 상기 제2 진공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주입밸브를 통해 상기 제2 진공챔버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2 진공챔버의 식품 내로 첨가물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주입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제2 진공펌프에는 공기를 저장하는 제2 공기저장탱크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저장탱크는 상기 첨가물 저장탱크와 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유로에는 제4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상기 제1 진공압력과 상기 제2 진공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4 밸브가 개방되어 공기압이 상기 첨가물 저장탱크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식품 제조 장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방법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1 진공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제2 진공챔버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에 식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2 진공챔버를 폐쇄하는 단계;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2 진공챔버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를 상기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상기 제1 진공압력과 상기 제2 진공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첨가물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여 식품에 첨가물 성분이 주입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를 개방하여 식품을 꺼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일 등과 같은 식품에 유효성분을 침투시켜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함침된 유효성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식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 방법에서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식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 방법에서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식품 제조 장치는 과일 등과 같은 천연식품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첨가물을 침투시켜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다른 기능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식품은 농산물, 축산물 또는 임산물이 될 수 있고, 식품에 첨가물을 침투시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식품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농산물은 과일, 토마토, 방울토마토, 당근, 오이, 호박 등이 될 수 있고, 축산물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이 될 수 있고, 임산물은 밤, 호두, 잣 등이 될 수 있다.
첨가물은 물에 용해시켜 제조하고, 식품에 침투시켜 자연 그대로의 식품보다 유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약용성분, 식용성분, 향기성분 등이 될 수 있다. 식용성분은 당분이나 염분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비오사이드, 레 바우 디오 사이드 A, 수크랄로스, 네오탐, 아스파탐, 소금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 제조 장치는 제1 진공챔버(101), 제2 진공챔버(102), 커버(103), 제1 진공펌프(110), 연결밸브(121), 제2 진공펌프(130), 첨가물 저장탱크(140), 공급노즐(150), 주입밸브(145),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제1 진공챔버(10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제2 진공챔버(102)는 제1 진공챔버(101)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다. 제2 진공챔버(102)의 내부에는 저장망(105)에 담겨진 식품, 예를 들어 과일이 저장될 수 있다. 과일은 일례로 전처리한 방울토마토가 될 수 있다. 저장망(105)은 내부에 식품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유체의 출입이 자유로운 망 형태로 제작된다. 제2 진공챔버(102)는 복수 개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마다 방울토마토가 담겨진 저장망(105)이 위치될 수 있다.
커버(103)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 진공챔버(101) 및 제2 진공챔버(102)를 폐쇄한다.
제1 진공펌프(110)는 제1 진공챔버(101)와 연결되어 제1 진공챔버(10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제1 진공펌프(110)에는 제1 공기저장탱크(111)가 연결되고, 제1 진공챔버(101)와 연결되는 유로(11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유로(113)에는 제1 밸브(112)가 연결되어 유로(113)를 개폐할 수 있다.
연결밸브(121)는 제1 진공챔버(101)와 제2 진공챔버(102)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한다. 유로(123)는 제1 진공챔버(101)와 제2 진공챔버(102) 사이를 연결하고, 연결밸브(121)는 유로(123)에 설치된다. 연결밸브(121)에는 제3 공기저장탱크(120)가 연결되고, 제3 공기저장탱크(120)에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밸브(1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진공펌프(110)는 연결밸브(1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진공챔버(102)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2 진공펌프(130)는 제2 진공챔버(102)와 연결되어 제2 진공챔버(10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제2 진공펌프(130)에는 제2 공기저장탱크(131)가 연결되고, 제2 진공챔버(102)와 연결되는 유로(13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유로(134)에는 제2 밸브(132)가 연결되어 유로(134)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공기저장탱크(131)에는 드레인 밸브(133)가 설치될 수 있다.
첨가물 저장탱크(140)는 식품에 주입하기 위한 첨가물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첨가물은 스테비오사이드와 같은 당분이 될 수 있다.
공급노즐(150)은 첨가물 저장탱크(140)와 연결되어 첨가물을 제2 진공챔버(102) 내로 공급한다. 공급노즐(150)은 제2 진공챔버(102)의 상부에 각각의 구획마다 하나씩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급노즐(150)은 첨가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할 수 있다.
주입밸브(145)는 첨가물 저장탱크(140)와 공급노즐(150)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한다. 주입밸브(145)가 개방된 상태에서 첨가물 저장탱크(140) 내의 첨가물은 공급노즐(150)을 통해 제2 진공챔버(102)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에는 공기주입밸브(160) 또는 압력펌프(170)가 연결된다. 공기주입밸브(160) 및 압력펌프(170)는 제2 진공챔버(102)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3 펌프(180)는 유로(185)를 통해 제2 진공챔버(102)와 연결되고, 유로(185)에는 제3 밸브(183)가 설치된다. 제3 펌프(180)는 제2 진공챔버(102) 내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 펌프(180)에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제4 저장탱크(181)가 연결되고, 제4 저장탱크(181)에는 드레인 밸브(182)가 설치된다.
제2 공기저장탱크(131)는 첨가물 저장탱크(140)와 유로(136)로 연결되고, 유로(136)에는 제4 밸브(1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저장탱크(131)에 저장되는 공기압은 유로(136)를 통해 첨가물 저장탱크(140)로 전달되어, 첨가물 저장탱크(140) 내의 첨가물을 제2 진공챔버(102) 내로 공급하기 위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및 제2 진공펌프(110, 130), 제1 밸브(112), 제2 밸브(132), 연결밸브(121), 주입밸브(145) 등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식품 제조 장치에서, 식품은 제2 진공챔버(102) 내에 수용된다. 제1 진공펌프(110)는 연결밸브(1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진공챔버(101, 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 예를 들어 진공게이지압으로 40 Torr가 될 때까지 흡입한다. 대기압보다 낮은 40 Torr에서 방울토마토 내의 기체는 제2 진공챔버(102) 내로 배출되어 방울토마토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좋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연결밸브(121)를 폐쇄하고, 제2 진공펌프(130)에 의해 제2 진공챔버(102) 내부를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 예를 들어 진공게이지압으로 100 Torr가 될 때까지 흡입한다. 첨가물은 제2 진공챔버(102)의 압력이 40~100 Torr 사이에 있을 때 공급된다.
그에 따라, 첨가물은 대기압보다 낮은 40~100 Torr 사이에서 제2 진공챔버(102)의 방울토마토 내부로 주입되고, 이때도 제2 진공챔버(102)의 압력을 40~100 Torr 사이로 유지하기 위해 제2 진공펌프(130)가 가동된다.
이때, 첨가물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4 밸브(135)와 주입밸브(145)는 주입할 양과 제2 진공챔버(102) 내의 압력에 연동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첨가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밸브(145)가 폐쇄되고, 제2 진공챔버(102) 내의 압력을 공기주입밸브(160) 또는 압력펌프(170)를 이용하여 40 Torr로 상승시키고, 40 Torr가 되면 연결밸브(121)를 개방하여 제1 진공챔버(101)와 제2 진공챔버(102)를 연통시킨다.
공기주입밸브(160) 또는 압력펌프(17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진공챔버(101, 102)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상승시키고, 제2 진공챔버(102)를 개방하여 식품을 꺼내고, 세척, 멸균, 선별 후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방울토마토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첨가물 성분은 방울토마토 내에 더욱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에 남아있는 첨가물은 제3 펌프(180)를 가동시켜 제4 저장탱크(181)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첨가물 성분은 방울토마토 내의 공간 요소들에 더욱 깊숙히 침투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 과일의 당도를 향상시키거나 과일에 다른 유효성분을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많은 한계가 있었고, 과일에 유효성분을 주입했다 하더라도 주입 당시의 온도 및 압력과 시중에 판매될 때의 온도 및 압력의 차이에 따라 유효성분이 과일 외부로 배출되거나 과일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40 Torr 까지 제2 진공챔버(102)의 압력을 낮추는 동안 방울토마토 내의 기체는 배출되어 방울토마토 내부로 첨가물을 주입하기 좋은 상태가 된다. 제2 진공챔버(102)의 압력이 40~100 Torr 사이에 있을 때, 첨가물이 방울토마토 내부로 주입되므로, 첨가물은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력에서 방울토마토에 주입된다. 그에 따라, 첨가물이 주입된 방울토마토가 시중에 판매될 때의 대기압에서 유효성분이 과일 외부로 배출되거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여름철과 같이 외기온도가 상승할 때도 방울토마토에 주입된 유효성분이 과일 외부로 배출되거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식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과일 등과 같은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방법을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 진공챔버(101)와, 이러한 제1 진공챔버(101)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제2 진공챔버(102)를 마련한다.
다음에, 제2 진공챔버(102) 내부에 식품을 위치시키고, 커버(103)로 제1 진공챔버(101) 및 제2 진공챔버(102)를 폐쇄한다. 식품은 예를 들어, 방울토마토로 저장망(105)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에, 제1 진공펌프(110)를 이용하여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제1 및 제2 진공챔버(101, 10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제1 밸브(112)와 연결밸브(121)가 개방되어, 제1 진공챔버(101)와 제2 진공챔버(102)는 연통된다. 제1 진공압력은 진공게이지압으로 40 Torr가 될 수 있다. 대기압보다 낮은 제1 진공압력까지 압력을 낮추는 동안, 제2 진공챔버(102)에 저장된 방울토마토 내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와 첨가물이 방울토마토 내로 쉽게 주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진공챔버(101, 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연결밸브(121)를 폐쇄하여 제1 진공챔버(101)와 제2 진공챔버(102) 사이를 차단하고, 제2 진공펌프(130)를 이용하여 제2 진공챔버(102) 내부를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한다. 제2 진공압력은 진공게이지압으로 100 Torr가 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 내의 압력이 40~100 Torr 사이에 있도록 제2 밸브(132)와 제2 진공펌프(130)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과 제2 진공압력 사이, 여기서는 40~100 Torr 사이에 있을 때 제2 진공챔버(102) 내부로 첨가물을 소정시간 동안 공급한다. 소정시간은 예를 들어, 10분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입밸브(145)가 개방되고, 공급노즐(150)을 통해 첨가물이 제2 진공챔버(102) 내로 공급된다.
이때, 제4 밸브(135)가 개방되어, 제2 공기저장탱크(131)에 저장되는 공기압이 유로(136)를 통해 첨가물 저장탱크(140)로 전달되어, 첨가물 저장탱크(140) 내의 첨가물을 제2 진공챔버(102)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40~100 Torr 사이에 있을 때, 제4 밸브(135) 및 주입밸브(145)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공기주입밸브(160) 또는 압력펌프(170)를 이용하여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한다. 여기서는,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40 Torr가 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한다.
다음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40 Torr에 도달하면, 연결밸브(121)를 개방하고 제1 및 제2 진공챔버(101, 102)가 대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을 해제한다.
다음에, 커버(103)를 개방하여 제2 진공챔버(102)에서 식품을 꺼낸다.
다음에,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밸브(183)를 개방하고, 제3 펌프(180)에 의해 제2 진공챔버(102) 내부를 흡입하여 제2 진공챔버(102)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제조 방법에서는 제2 진공챔버(102) 내부가 제1 진공압력과 제2 진공압력 사이, 즉 40~100 Torr 사이에 있을 때, 첨가물 저장탱크(140)로부터 첨가물이 제2 진공챔버(102)로 공급되어 식품으로 주입될 수 있게 한다. 첨가물은 안개 형태로 제2 진공챔버(102) 내로 분무되고,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 상태에서 첨가물은 더욱 쉽게 방울토마토 내로 주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과일이 대기압 및 여름철과 같은 고온에서도 첨가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과일의 표면이 갈라지는 등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1 : 제1 진공챔버
102 : 제2 진공챔버
103 : 커버
105 : 저장망
110 : 제1 진공펌프
111 : 제1 공기저장탱크
112 : 제1 밸브
113 : 유로
120 : 제3 공기저장탱크
121 : 연결밸브
122 : 드레인 밸브
123 : 유로
130 : 제2 진공펌프
131 : 제2 공기저장탱크
132 : 제2 밸브
133 : 드레인 밸브
134 : 유로
135 : 제4 밸브
136 : 유로
140 : 첨가물 저장탱크
145 : 주입밸브
150 : 공급노즐
160 : 공기주입밸브
170 : 압력펌프
180 : 제3 펌프
181 : 제4 저장탱크
182 : 드레인 밸브
183 : 제3 밸브
185 : 유로

Claims (2)

  1.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1 진공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제2 진공챔버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에 식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2 진공챔버를 폐쇄하는 단계;
    제1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진공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상기 제2 진공챔버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를 상기 제1 진공압력보다 낮은 제2 진공압력이 될 때까지 흡입하는 단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가 상기 제1 진공압력과 상기 제2 진공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첨가물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여 식품에 첨가물 성분이 주입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2 진공챔버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진공챔버를 개방하여 식품을 꺼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제조 방법.
KR1020210023107A 2020-10-13 2021-02-22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220048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107A KR20220048908A (ko) 2020-10-13 2021-02-22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74A KR102245079B1 (ko) 2020-10-13 2020-10-13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210023107A KR20220048908A (ko) 2020-10-13 2021-02-22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74A Division KR102245079B1 (ko) 2020-10-13 2020-10-13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908A true KR20220048908A (ko) 2022-04-20

Family

ID=75733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74A KR102245079B1 (ko) 2020-10-13 2020-10-13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210023107A KR20220048908A (ko) 2020-10-13 2021-02-22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74A KR102245079B1 (ko) 2020-10-13 2020-10-13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45079B1 (ko)
WO (1) WO2022080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66B1 (ko) 2022-10-27 2023-03-22 주식회사 다름달음 초음파를 이용한 첨가물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079B1 (ko) * 2020-10-13 2021-04-26 오영화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36028B1 (ko) 2021-06-23 2021-12-07 고태훈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천연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식품 제조 방법
KR102468893B1 (ko) * 2021-08-18 2022-11-18 강철순 초음파를 이용한 혼합액 순환 장치 및 방법
KR102358060B1 (ko) * 2021-10-19 2022-02-08 (주)에스엔피시스템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9736B1 (ko) * 2021-11-05 2022-01-13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KR20230104478A (ko) * 2022-01-01 2023-07-10 최원석 과일 또는 야채의 내부에 단맛성분 또는 인체 유용성분을 침투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KR102506082B1 (ko) * 2022-01-11 2023-03-06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농산물침투물질투입방법 및 그의 장치
KR102626900B1 (ko) * 2023-01-25 2024-01-17 김명연 농산물 살균 및 가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889B1 (ko) 2011-07-29 2015-02-12 배성원 압력차이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과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5912A (ja) * 2015-11-04 2017-05-25 学校法人東洋食品工業短期大学 加工果物の製造方法及び加工リンゴ
KR102100171B1 (ko) * 2018-10-26 2020-04-13 최영문 식향 주입 장치
KR20200069855A (ko) * 2018-12-07 2020-06-17 배성원 복숭아향이 나는 토마토 제조방법
KR102188356B1 (ko) * 2019-03-21 2020-12-08 농업회사법인 우듬지팜 주식회사 과일 또는 야채의 단맛 강화 방법 및 이에 의해 단맛이 강화된 과일 또는 야채
KR102203382B1 (ko) * 2019-04-01 2021-01-14 김언정 커피 콩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2245079B1 (ko) * 2020-10-13 2021-04-26 오영화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889B1 (ko) 2011-07-29 2015-02-12 배성원 압력차이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과일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66B1 (ko) 2022-10-27 2023-03-22 주식회사 다름달음 초음파를 이용한 첨가물 주입장치
KR102555455B1 (ko) 2022-10-27 2023-07-13 주식회사 다름달음 식품 첨가물 주입 믹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079B1 (ko) 2021-04-26
WO2022080796A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079B1 (ko)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53854B1 (ko)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US11432558B2 (en) Integrated heating and cooling food processing system
KR20130013897A (ko) 역삼투압 방식으로 가공된 사과를 포함한 기능성 과일 및 제조방법
KR20200069855A (ko) 복숭아향이 나는 토마토 제조방법
US20220361514A1 (en) Integrated heating and cooling food processing system
CA2964759A1 (en) Preserved cut fresh produce with true-to-nature flavor
JP7397518B2 (ja) 食品に添加物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食品に添加物を注入する方法
KR20160031244A (ko) 사과를 포함한 과일 내부에 투입 물질을 투입시키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33602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천연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식품 제조 방법
CN105076637A (zh) 一种猕猴桃果脯的加工方法
KR20190030384A (ko) 농산물 저장성 향상을 위한 농산물 부패방지 장치
Ketsa et al. The effect of humidity on ripening of durians
CN107897342A (zh) 一种葡萄二氧化硫气调保鲜方法
CN106259854A (zh) 火龙果干的制作方法
KR20070103239A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어류와 육류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CN106235111A (zh) 猕猴桃干的制作方法
Farina et al. Effects of rapid refrigeration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fruit quality traits
KR102398109B1 (ko) 과일 또는 야채의 내부에 단맛성분 또는 인체 유용성분을 침투시키는 방법
KR102448615B1 (ko) 과일 또는 야채의 내부에 단맛성분 또는 인체 유용성분을 침투시키는 방법
US20230107926A1 (en) A method for treating a biological object
CN107668167A (zh) 竹笋生物保鲜方法
KR20200069859A (ko) 초코딸기 제조방법
US202100453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shelf life of a food product comprising water and soft tissue
Thompson et al. Hypobaric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