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71B1 - 식향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식향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71B1
KR102100171B1 KR1020180128979A KR20180128979A KR102100171B1 KR 102100171 B1 KR102100171 B1 KR 102100171B1 KR 1020180128979 A KR1020180128979 A KR 1020180128979A KR 20180128979 A KR20180128979 A KR 20180128979A KR 102100171 B1 KR102100171 B1 KR 10210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pe
valve
air discharge
flavou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문
Original Assignee
최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문 filed Critical 최영문
Priority to KR102018012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향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재가 수납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 수납된 식재에 식향을 가미하기 위한 식향재를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식향재를 상기 저장조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식향재 공급부; 및 상기 식향재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향 주입 장치{FLAVOUR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향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된 식재에 식향을 제공할 수 있는 식향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감자 튀김, 통닭, 양파링 등의 식재를 조리하기 위해 지방유 튀김 조리기를 널리 사용한다. 종래의 지방유 튀김 조리기는 단순히 기름을 가열하여 끓여 식재를 튀겨 조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방유를 사용한 튀김 조리 방식은 지방유 튀김 과정과 관련된 맛, 씹는 맛이나 입에 좋은 느낌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생활수준이 점차 향상됨에 따라 음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에 대한 수요자의 기대는 점점 커지게 되었다. 예컨대, 외식업체의 입장에서는 타 외식업체와의 차별화를 시도하기 위해 새로운 조리법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외식업체의 음식이 수요자의 입소문을 타서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3491호
본 발명은, 조리된 식재에 다양한 식향을 제공하여, 식재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음식물 섭취시 다양한 식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식향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향을 가미할 식재가 들어가는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 수납된 식재에 식향을 가미하기 위한 식향재를 수용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식향재를 상기 저장조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식향재 공급부; 및 상기 식향재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향 주입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향재 공급부는,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식향재가 인출되는 인출관; 및 상기 인출관을 통해 인출된 식향재를 상기 챔버로 이송하는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관에 마련되어, 상기 인출관을 개폐하는 인출관용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을 개폐하는 이송관용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챔버가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갖도록 상기 챔버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발생부는, 상기 챔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 상기 공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공기 배출관용 밸브; 및 상기 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배출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식재에 다양한 식향을 제공하여, 식재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다양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1)는 본체(10), 저장조(30a,30b,30c), 식향재 공급부,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식재(100)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방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의 하우징(10a)과, 하우징(10a)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10b)으로 이루어진다. 뚜껑(10b)이 하우징(10a)의 개구를 폐쇄할 때, 뚜껑(10b)은 도시하지 않은 실링부재에 의해 하우징(10a)에 기밀을 유지하며 장착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예컨대, 하우징(10a)의 내부에는 조리된 식재(100)가 수납되는 챔버(11)가 형성되어 있다. 챔버(11)에는 사전에 조리된 식재(100)를 수납하는 바스켓(15)이 수용된다. 여기서, 조리된 식재(100)는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스켓(15)은 구동 모터(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바스켓(15)에 식재(100)를 넣고 본체(10)의 챔버(11)를 후술할 진공 발생부(61)에 의해 진공에 가까운 압력 상태로 조성한 후,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9)를 회전시키면, 바스켓(15)에 수용된 식재(100)에 함유된 유분이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어, 바삭한 식감을 갖는 식재(1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저장조(30a,30b,30c)는 속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가진다. 각 저장조(30a,30b,30c)는 챔버(11)에 수납된 조리된 식재(100)에 식향을 가미하기 위한 식향재를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조로서 3개의 저장조(30a,30b,30c)가 마련되어 있지만, 저장조(30a,30b,30c)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본체(1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저장조부터 제1저장조(30a)라 하고, 순차적으로 제2저장조(30b), 제3저장조(30c)라고 한다. 일 예로, 제1저장조(30a)와 제2저장조(30b)와 제3저장조(30c)에는 상이한 식향을 갖는 식향재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식향재는 대기압 상태에서 각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각 저장조(30a,30b,30c)에는 식향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33a,33b,33c)이 외기와 연통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각 공급관의 일단부(33a,33b,33c)는 각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식향재에 침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식향재로서 매운 맛, 신 맛, 훈제한 맛, 달콤한 맛, 양파 맛, 마늘 맛 등 다양한 맛을 제공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식향재는 액상 등 여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저장조(30a,30b,30c)가 도시되어 있지만, 저장조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식향재 공급부는 인출관(41a,41b,41c)과 이송관(51)을 포함하며,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식향재를 선택적으로 저장조(30a,30b,30c)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챔버(11)로 공급한다.
인출관(41a,41b,41c)은 저장조(30a,30b,30c)에 기립 설치되어, 저장조(30a,30b,30c)에 수용된 식향재가 인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저장조(30a,30b,30c) 내부에 배치되는 인출관(41a,41b,41c)의 일단부는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식향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여, 기체 상태의 식향재가 인출관(41a,41b,41c)을 통하여 챔버(11)속으로 유입되게한다.
또한, 인출관(41a,41b,41c)에는 인출관용 밸브(43a,43b,43c)가 마련된다.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는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인출관(41a,41b,41c)을 개폐한다. 여기서,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는 수동 조작에 의해 인출관(41a,41b,41c)을 개폐할 수도 있다.
이송관(51)은 챔버(11)와 연통하도록 본체(10)에 연결된다. 이송관(51)은 각 저장조(30a,30b,30c)에 대응하는 각 인출관(41a,41b,41c)를 일렬로 연결하며, 인출관(41a,41b,41c)을 통해 인출된 기체 상태의 식향재를 챔버(11)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송관(51)은 인출관(41a,41b,41c)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관(51)에는 이송관용 밸브(53)가 마련된다. 이송관용 밸브(53)는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이송관(51)을 개폐한다. 또한, 이송관용 밸브(53)는 수동 조작에 의해 이송관(51)을 개폐할 수도 있다.
외부의 공기는 이송관(51)을 통해 본체(10)의 챔버(11)로 유입된다. 즉, 본체(10)를 개방하기 전에 이송관(5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챔버(11)로 유입되어, 본체(10)의 챔버(11)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는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1)는 진공 발생부(61)를 포함한다.
진공 발생부(61)는 챔버(11)가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갖도록 예컨대, 저장조(30a,30b,30c)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 상태를 갖도록, 챔버(11)의 공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진공 발생부(61)는 공기 배출관(63), 공기 배출관용 밸브(65), 공기 배출 수단(67)을 포함한다.
공기 배출관(63)은 챔버(11)와 연통하도록 본체(10)에 연결된다. 공기 배출관(63)은 이송관(51)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챔버(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공기 배출관용 밸브(65)는 공기 배출관(63)에 마련되어, 공기 배출관(63)을 개폐한다. 공기 배출관용 밸브(65)는 챔버(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챔버(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배출관용 밸브(65)는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공기 배출관(63)을 개폐한다. 여기서, 공기 배출관용 밸브(65)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관용 밸브(65)는 수동 조작에 의해 공기 배출관(63)을 개폐할 수도 있다.
공기 배출 수단(67)은 챔버(11)의 공기를 공기 배출관(63)을 통해 배출시켜, 챔버(11)를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조성한다. 공기 배출 수단(67)으로서 통상의 진공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지며, 식향재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70)는 이송관용 밸브(53)와 인출관용 밸브(43a,43b,43c)의 개폐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공기 배출 수단(67)과 공기 배출관용 밸브(65)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1)를 이용하여 식재(100)에 식향을 가미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스켓(15)에 조리된 식재(100)를 수납한 후, 바스켓(15)을 본체(10)의 챔버(11)에 수용시킨다. 챔버(11) 내에서 식재(100)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조리된 식재(100)가 챔버(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이송관(51)과 인출관(41a,41b,41c)을 폐쇄하도록, 제어부(70)는 이송관용 밸브(53)와 인출관용 밸브(43a,43b,43c)에 각각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어서, 제어부(70)는 공기 배출 수단(67)을 작동시켜, 본체(10)의 챔버(11)를 진공 발생부(61)에 의해 진공에 가까운 압력 상태로 조성하고, 구동 모터(19)를 회전시켜 바스켓(15)에 수용되는 조리된 식재(100)에 함유된 유분을 제거한다.
바스켓(15)이 일정 시간 회전하여 바스켓(15)에 수용된 식재(100)에 함유된 유분이 제거되면, 각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식향재로부터 기화한 기체 상태의 식향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송관(51)으로 유입되도록 해당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를 개방시킨다. 이 때, 챔버(11)는 각 저장조(30a,30b,30c)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 상태를 가진다.
해당 인출관용 밸브(43a,43b,43c)가 개방됨에 따라, 해당 인출관용 밸브(43a,43b,43c)가 개방된 해당 저장조(30a,30b,30c)와 챔버(11)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외부의 공기가 해당 공급관(33a,33b,33c)을 통해 해당 저장조(30a,30b,30c)로 유입되어, 해당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액상의 식향재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기포 발생에 의해 식향재의 일부는 기체 상태로 되어, 해당 인출관(41a,41b,41c)을 거쳐 이송관(51)을 통해 본체(10)의 챔버(11)로 유입된다.
일 예로서, 식향재가 저장된 제1저장조(30a)에 해당하는 인출관용 밸브(43a)을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해당 공급관(33a)을 통해 제1저장조(30a)로 유입되어 액상의 식향재에 기포를 발생시켜, 제1저장조(30a)에 저장된 식향재의 일부가 기체 상태로 되어,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인출관(41a)을 따라 유동하여 이송관(51)을 거쳐 본체(10)의 챔버(11)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기체 상태의 식향재는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유지하는 챔버(11)에 유입되어, 바스켓(15)에 수용된 식재(100)에 원활하게 스며들게 되어, 식재(100)에 식향을 가미하게 된다.
이로써, 챔버(11)에 수납되어 있는 식재(100)에 원하는 식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식재(100)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다양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스켓(15)의 식재(100)에 식향의 가미가 완료되면, 제어부(70)는 제1저장조(30a)에 해당하는 인출관용 밸브(43a)가 폐쇄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내고, 또한 이송관용 밸브(53)가 개방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송관용 밸브(53)가 개방되면, 챔버(11) 내의 기압과 대기압의 차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이송관(51)을 통해 본체(10)의 챔버(11)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챔버(11)와 본체(10) 외부와의 사이에 압력차가 해소되어, 뚜껑(10b)을 하우징(10a)으로부터 무리 없이 개방하여 챔버(11)의 바스켓(15)에 수용된 식재(100)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향 주입 장치(1)는 수납되는 식재에 다양한 식향을 제공하여, 식재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다양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식재에 식향을 가미할 때, 이송관용 밸브(53)가 폐쇄되고, 챔버(11)가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당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해당 공급관(33a,33b,33c)을 통해 해당 저장조(30a,30b,30c)로 유입되어, 해당 저장조(30a,30b,30c)에 저장된 액상의 식향재가 외부의 공기에 의해 기체화되어 해당 인출관(41a,41b,41c)을 거쳐 이송관(51)을 통해 챔버(11)로 유입하여 식재에 식향재를 가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11)가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송관용 밸브(53)를 개방하고, 해당 인출관용 밸브(43a,43b,43c)를 개방하고 나서, 해당 저장조(30a,30b,30c)로부터 배출되는 기체 상태의 식향재는 이송관(51)을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챔버(11)로 유입되어, 식재에 식향재를 가미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식향 주입 장치
10: 본체
11: 챔버
30a,30b,30c: 저장조
41a,41b,41c: 인출관
51: 이송관
61: 진공 발생부
70: 제어부

Claims (5)

  1. 식재가 수납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 수납된 식재에 식향을 가미하기 위한 액체 상태의 식향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저장조;
    복수의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식향재로부터 기화한 기체 상태의 식향재를 복수의 상기 저장조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식향재 공급부; 및
    상기 식향재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향재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저장조에서 저장된 액체 상태의 식향재로부터 기화한 기체 상태의 식향재가 각각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관; 및
    복수의 상기 인출관을 통해 인출된 기체 상태의 식향재를 상기 챔버로 이송하는 이송관을 포함하고,
    일단부가 복수의 상기 저장조의 액상의 식향재에 침지하며 외기와 연통하도록 복수의 상기 저장조에 각각 장착되어, 해당 상기 저장조와 상기 챔버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해당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액상의 식향재에 기포를 발생하여 액상의 식향재를 기화시키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식향 주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출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인출관을 개폐하는 인출관용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식향 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관을 개폐하는 이송관용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식향 주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가 진공에 가까운 압력을 갖도록 상기 챔버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발생부는,
    상기 챔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
    상기 공기 배출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공기 배출관용 밸브; 및
    상기 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배출관용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식향 주입 장치.
KR1020180128979A 2018-10-26 2018-10-26 식향 주입 장치 KR10210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79A KR102100171B1 (ko) 2018-10-26 2018-10-26 식향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979A KR102100171B1 (ko) 2018-10-26 2018-10-26 식향 주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171B1 true KR102100171B1 (ko) 2020-04-13

Family

ID=7022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979A KR102100171B1 (ko) 2018-10-26 2018-10-26 식향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796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애드스윗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102A (ja) * 1997-12-17 1999-06-29 Nikko Yushi Kk 燻煙の香味を付加した液体の飲食物またはその材料及 びその装置
KR200230420Y1 (ko) * 2000-11-21 2001-07-03 이상국 육가공 훈제제품의 훈제장치
KR20170073491A (ko)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에스시케이 에어 프라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102A (ja) * 1997-12-17 1999-06-29 Nikko Yushi Kk 燻煙の香味を付加した液体の飲食物またはその材料及 びその装置
KR200230420Y1 (ko) * 2000-11-21 2001-07-03 이상국 육가공 훈제제품의 훈제장치
KR20170073491A (ko)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에스시케이 에어 프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796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애드스윗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에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8644B1 (en) Beer production apparatus
JP5868493B2 (ja) 飲料/食料品調製システム
CN110547660B (zh) 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000349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a Hot Beverage
US8502116B2 (en) Cooking, smoking, and aromatization device
KR102100171B1 (ko) 식향 주입 장치
US10638768B2 (en) Smoke generation pod
CN107811499A (zh) 烹饪装置
KR20090006061A (ko) 향이 있는 음료의 차를 우려내는 장치
US20190047782A1 (en) Multi-Chamber Capsule System For Producing A Beverage
JP2008178719A (ja) 炊飯器
JP3030698B2 (ja) 液体の飲食物またはその材料に燻煙の香味を付加する装置
US2652765A (en) Flavoring device
JP4203995B2 (ja) 炊飯器
KR102415809B1 (ko) 소형 가정용 콜드브루 추출기
US110833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aming a beverage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JP6826569B2 (ja) 燻製調理器及び燻製の製造方法
KR200287840Y1 (ko) 조리 기구
JP2023507883A (ja) 調理器具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210077369U (zh) 一种电饭煲
JP7018666B2 (ja) アイスコーヒー抽出装置
KR102312229B1 (ko) 발효장치
JP2009201662A (ja) コーヒーポット
JP6825980B2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