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779A -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779A
KR20220048779A KR1020200132061A KR20200132061A KR20220048779A KR 20220048779 A KR20220048779 A KR 20220048779A KR 1020200132061 A KR1020200132061 A KR 1020200132061A KR 20200132061 A KR20200132061 A KR 20200132061A KR 20220048779 A KR20220048779 A KR 2022004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box
safe deposit
saf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101B1 (ko
Inventor
하균표
Original Assignee
하균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균표 filed Critical 하균표
Priority to KR102020013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6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 E05G1/08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secured individu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보관물이 수납되도록 하는 각각의 대여금고에 대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식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도어 및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 마다 각각 입력 정보가 요청되며, 사용자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는 제1락킹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배치된 보조 도어에 구비되는 제2락킹부, 상기 대여금고의 상태 정보 및 상기 대여금고에 수납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각각의 도어에 대한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며,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에 대한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락킹부를 통한 상기 보조 도어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본 발명은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여 금고 이용 후,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또는 보관물이 금고에서 인출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퇴실 이전에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여금고는 도난이나, 화재 등의 사고로부터 서류, 귀중품 등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대여금고는 도난, 화재 등의 사고 시 서류, 귀중품 등이 분실 내지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통상 대여금고는 외부인 등 관계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열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 및 화재 시 높은 온도에서 일정 시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갖추어 서류, 귀중품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대여금고의 보관물 또는 대여금고 자체의 도난 사고를 예방하거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도로써, 대여금고 및 그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CCTV 카메라 또는 다양한 종류의 보안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기기 및 IT 관련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이를 이용 및 적용하는 지능형 대여금고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대여금고에 대해 이하 "스마트 대여금고"라는 용어를 사용키로 한다.
스마트 대여금고의 통상적인 예를 설명하면, 스마트 대여금고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도어 개방 등의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에 대한 신호 내지 정보를 외부의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알리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 스마트 대여금고는 도어의 개방 여부 감지, 근접하는 사람의 존재 여부 감지, 충격 전달 여부 감지 등 도난 방지를 위한 비교적 원초적이고 단순한 기능만을 가질 뿐이었고, 이에 따라 스마트 대여금고의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그 사실 정보가 해당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스마트 대여금고에 대해 사전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는 사람 내지 물체가 존재할 때마다 그 정보가 해당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오히려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금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또는 대여 금고 및 열람대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열람대로 인출된 보관물이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다시 대여 금고로 수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퇴실 이전에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여 금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은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보관물이 수납되도록 하는 각각의 대여금고에 대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식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도어 및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 마다 각각 입력 정보가 요청되며, 사용자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는 제1락킹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배치된 보조 도어에 구비되는 제2락킹부, 상기 대여금고의 상태 정보 및 상기 대여금고에 수납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각각의 도어에 대한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며,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에 대한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락킹부를 통한 상기 보조 도어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대여 금고실 내부에 마련된 열람대에 설치되며,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는 중량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대여금고 및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상기 대여금고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대여금고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인출된 후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인증부는 지문 인식에 따른 접촉식 인식 정보와, 안면 인식, 생체 인식에 따른 비접촉식 인식 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접촉식 인식 정보가 일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인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입력 정보와 일치되면,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상기 접촉식 인식 정보 및 상기 비접촉식 인식 정보와 다르게 입력되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 해제 시 함께 잠금 해제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 잠금되며,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서만 상기 보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게 한다.
본 발명은,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금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또는 대여 금고 및 열람대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열람대로 인출된 보관물이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다시 대여 금고로 수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퇴실 이전에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여 금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여 금고의 이용을 위하여 금고실 입구 및 대여 금고의 도어 각각에서 지문, 정맥 등을 이용한 생체 인식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여 금고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금고실 입구에서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입장하게 되면, 금고실 내부의 복수의 대여 금고 중 해당 사용자 대여 금고에서 점등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여 금고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보조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보조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은 대여 금고실(1)의 내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도어(D1) 및 보조 도어(D3)를 통과하며 대여 금고실(1)로 출입한 사용자로 하여금, 대여금고(2) 도어(D2)를 개방하여 프라이빗 하게 개인 보관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여금고(2)에 대한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보관물에 대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부(100), 제1락킹부(200), 제2락킹부(300), 감지부(400), 알림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인증부(100)는 대여금고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별 인식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증부(100)는 수많은 인식 정보의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락킹부(200)는 대여 금고실(1) 및 대여금고(2)의 도어(D1, D2)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인증부(10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인증 과정을 마치게 되면, 제어부(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잠금 상태인 대여 금고실(1) 및 대여금고(2) 도어(D1, D2)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게 한다.
다시 말해, 제1락킹부(200)는 대여 금고실(1), 대여금고(2)의 도어(D1, D2) 마다 잠금 해제를 위한 별도의 입력 패드(미도시)를 통한 입력 정보가 요청되는데,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인증부(100)에 저장된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제어부(600)를 통한 각각의 도어(D1, D2)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락킹부(200)의 잠금해제를 위한 입력 정보는 인증부(100)에 저장된 인식 정보와 동일한 비밀번호를 입력 패드(210)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지문 인식에 따른 접촉식 인식 정보 및 홍채, 정맥을 이용한 생체 인식, 안면 인식에 따른 비접촉식 인식 정보를 이용한 입력 방법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입력 패드(미도시)에 입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락킹부(300)는 대여 금고실(1)의 내부에 배치된, 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여 금고실(1) 도어(D1)와 연속적으로 배치된 보조 도어(D3)에 구비되며, 대여 금고실(1) 외부에서 제1락킹부(200)의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함께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락킹부(300)는 각각의 도어(D1, D3)를 통과하며 사용자의 출입이 완료되기 위한 최소의 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하며,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는 대여 금고실(1)의 내부에서만 조작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락킹부(300)의 잠금해제를 통해 출입이 이루어지는 보조 도어(D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동 가능한 구조 등의 도어가 설치되게 되면, 회전되는 반경 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대여 금고실(1)의 도어(D1)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여 금고실(1)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감지부(400)는 복수개의 대여금고(2)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여금고(2)의 상태 정보 및 비중 정보를 감지한다.
이러한 대여금고(2)의 상태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감지 센서(410)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대여금고(2)의 도어(D2)에 설치된 회전 축의 회전 여부를 파악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감지부(400)는 개폐 감지 센서(410)를 통한 대여금고(2)의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대여금고(2)에 수납된 보관물에 대한 중량 정보 또한 감지할 수 있다(후술될 도 5 참조).
즉, 감지부(400)는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대여금고(2)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 그 변화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중량 감지 센서(420)는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400)는 중량 감지 센서(420)에 의한 감지를 통해 보관물을 포함한 대여금고(2)의 중량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600)를 통해 보관물의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알림부(500)는 대여 금고실(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보관물의 분실 등의 판단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대여금고(2) 도어(D2)를 개방한 상태로 대여 금고실(1)을 빠져 나가게 되는 경우, 제어부(600)에 의해 해당 대여금고(1)의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알림부(500)는 경보기로 이루어져 대여 금고실(1) 내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대여금고(2)에 등록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알림부(500)의 형태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대여 금고실(1)의 구조 등에 의해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인증부(100)에 저장된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대여 금고실(1) 및 대여금고(2)의 도어(D1, D2)에 각각에 대한 제1락킹부(200)의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와, 지문 인식과 같은 접촉식 인식 정보가 일치된 상태에서, 안면 인식, 생체 인식과 같은 비접촉식 인식 정보 중 요구되는 방식의 어느 하나 이상이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여 금고실(1) 및 대여금고(2)의 도어(D1, D2)에 대한 제1락킹부(200)의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입력 정보가 설정된 횟수, 바람직하게는 5 회 이상으로 접촉식 인식 정보 및 비접촉식 인식 정보와 다르게 입력되면,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알림부(50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600)는 최종적으로 대여금고(2)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 경로를 따르며 대여 금고실(1), 대여금고(2) 각각의 도어(D1, D2)(보조 도어(D3) 포함)에 대한 총 2 단계의 본인 인증 후, 제1락킹부(200)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여 도어(D1, D2)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한편, 본인 인증 실패 시에는 알림부(50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대여금고(2)의 사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대여금고(2)의 상태 정보, 즉 개폐 감지 센서(410)를 통해 대여금고(2)의 도어(D2)에 대한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2락킹부(300)를 통한 보조 도어(D3)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람부(5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대여금고(2)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 감지 센서(410)를 통해 대여금고(2)의 도어(D2)에 대한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만일 사용자에 의해 대여 금고실(1)의 내부에서 보조 도어(D3) 개방을 위한 제2락킹부(300)의 조작이 확인되면,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대여금고(2)의 도어(D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대여 금고실(1)을 빠져 나간 것이라 판단하여 알람부(5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상황이 발생되면 별도의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D2)을 다시 폐쇄한 후 금고실(1)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는 대여금고(2)에 수납된 보관물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대여금고(2) 각각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미도시)의 구성을 통해, 제어부(6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인증부(100)에 저장된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대여 금고실(1)의 도어(D1)에 대한 제1락킹부(200)의 잠금이 해제되면, 해당 사용자가 등록된 대여금고(2)의 조명부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대여금고(2) 중 사용자 본인의 대여금고(2)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여금고(2)의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감지부(40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감지부(400)는 중량 감지 센서(420, 420')를 구비하여 대여금고(2) 및 대여 금고실(1) 내부에 마련 열람대(10)에 설치된다.
즉, 감지부(400)는 대여금고(2)에 설치된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중량 정보를 감지하여 변화되는 보관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열람대(10)에 설치된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변화되는 중량 정보를 감지, 열람대(10)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감지부(400)는 대여금고(2)와 열람대(10)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비교를 통해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보관물의 분실 여부의 확인을 위한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대여금고(2)의 무게를 감지함에 있어서, 만일 그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그 변화가 확인되면, 제어부(600)는 대여금고(2)의 내부에서 보관물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한다(S100).
이때, 제어부(600)는 열람대(10)에 설치된 중량 감지 센서(420')의 작동을 활성화시켜, 열람대(10)의 중량 변화를 감지한다(S200).
여기서, 제어부(600)는 각 중량 감지 센서(420, 420')를 통해 열람대(10)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S300).
만일, 열람대(10)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열람 등의 목적에 의해 사용자가 대여금고(2)에서 보관물을 인출한 후 열람대(10)로 이동시켜 임시로 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대여금고(2)에서 보관된 1kg 중량의 보관물에 대해 300g 의 중량이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00)는 중량 감지 센서(420')를 확인하도록 하는데, 이때 열람대(10)에 중량 정보가 300g 증가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대여금고(2)에서 보관물을 인출한 이후에 열람대(10)로 이동시켜 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제어부(600)는 열람대(10)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관물의 인출, 열람, 이동 등의 과정에서 분실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보관물의 변형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부(5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알림부(500)는 경보기로 이루어져 대여 금고실(1) 내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대여금고(2)에 등록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알림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대여금고(2) 및 열람대(10)의 중량 변화 비교를 통해 대여 금고실(1)의 사용 중에 보관물에 대한 분실 및 변형 등의 특이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여금고(2)의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은 감지부(400)를 포함하고, 이러한 감지부(400)는 중량 감지 센서(410)를 구비하여 대여금고(2)의 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400)는 대여금고(2)에 설치된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변화되는 정보를 감지하여 보관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600)는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과, 인출되기 전의 보관물의 중량 비교를 통해 보관물에 대한 분실 및 변형 등의 특이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량 감지 센서(420)를 통해 대여금고(2)의 무게를 감지함에 있어서, 만일 그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그 변화가 확인되면, 제어부(600)는 대여금고(2)의 내부에서 보관물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한다(S100).
이때, 제어부(600)는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보조 도어(D3)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즉 사용자가 대여 금고실(1) 내부에 위치하면서, 개폐 감지 센서(410)를 통해 대여금고(2)의 도어(D2)가 다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됨과 동시에, 대여금고(2)의 중량 변화가 감지되면, 인출된 보관물이 대여금고(2)의 내부에 다시 수납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0).
이 상태에서, 제어부(600)는 인출되기 이전에 감지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다시 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한다(S300).
만일, 제어부(600)는 최초에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여 금고실(1) 내에서 사용자가 보관물을 열람한 이후에, 대여금고(2)에 재수납시킨 것으로 최종 확인할 수 있다(S400).
그리고, 만일 제어부(600)는 대여금고(2)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관물의 인출, 열람, 이동 등의 과정에서 분실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변형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부(5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S310).
여기서, 알림부(500)는 경보기로 이루어져 대여 금고실(1) 내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대여금고(2)에 등록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알림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대여금고(2)에서 인출되기 전 보관물의 중량과, 이후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의 비교를 통해 대여 금고실(1) 사용 중에 보관물에 대한 분실 및 변형 등의 특이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여금고(2)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금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거나, 또는 대여 금고 및 열람대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열람대로 인출된 보관물이 대여 금고의 이용 후에도 다시 대여 금고로 수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퇴실 이전에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여 금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관물에 대한 확실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여 금고의 이용을 위하여 금고실 입구 및 대여 금고의 도어 각각에서 지문, 정맥 등을 이용한 생체 인식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여 금고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금고실 입구에서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입장하게 되면, 금고실 내부의 복수의 대여 금고 중 해당 사용자 대여 금고에서 점등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여 금고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대여 금고실 2 : 대여금고
10 : 열람대 100 : 인증부
200 : 제1락킹부 300 : 제2락킹부
400 : 감지부 410 : 개폐 감지 센서
420, 420' : 중량 감지 센서 500 : 알림부
600 : 제어부 D1, D2 : 도어
D3 : 보조 도어

Claims (8)

  1.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보관물이 수납되도록 하는 각각의 대여금고에 대한 보안이 이루어지게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식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인증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도어 및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 마다 각각 입력 정보가 요청되며, 사용자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하는 제1락킹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배치된 보조 도어에 구비되는 제2락킹부;
    상기 대여금고의 상태 정보 및 상기 대여금고에 수납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가 일치됨에 따라 각각의 도어에 대한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며, 상기 대여금고의 도어에 대한 개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락킹부를 통한 상기 보조 도어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대여 금고실 내부에 마련된 열람대에 설치되며,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중량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대여금고 및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열람대에 거치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상기 대여금고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대여금고에서 인출된 보관물의 중량 정보와, 인출된 후 재수납되는 보관물의 중량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지문 인식에 따른 접촉식 인식 정보와, 안면 인식, 생체 인식에 따른 비접촉식 인식 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접촉식 인식 정보가 일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인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입력 정보와 일치되면,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상기 접촉식 인식 정보 및 상기 비접촉식 인식 정보와 다르게 입력되면,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제1락킹부의 잠금 해제 시 함께 잠금 해제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 잠금되며,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대여 금고실의 내부에서만 상기 보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KR1020200132061A 2020-10-13 2020-10-13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KR10251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61A KR102514101B1 (ko) 2020-10-13 2020-10-13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61A KR102514101B1 (ko) 2020-10-13 2020-10-13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79A true KR20220048779A (ko) 2022-04-20
KR102514101B1 KR102514101B1 (ko) 2023-03-23

Family

ID=8139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061A KR102514101B1 (ko) 2020-10-13 2020-10-13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489B1 (ko) * 2005-11-23 2006-11-14 주식회사 신진금고 전자식 금고비
JP2010159570A (ja) * 2009-01-07 2010-07-22 Secom Co Ltd 貸金庫システム及び貸金庫管理用プログラム
KR2011001809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신진금고 대여금고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80137745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다드림 스마트 납골당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489B1 (ko) * 2005-11-23 2006-11-14 주식회사 신진금고 전자식 금고비
JP2010159570A (ja) * 2009-01-07 2010-07-22 Secom Co Ltd 貸金庫システム及び貸金庫管理用プログラム
KR2011001809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신진금고 대여금고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80137745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다드림 스마트 납골당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101B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126B2 (en) Identification with RFID asset locator for entry authorization
US20070256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access to safe deposit boxes
JP5064663B2 (ja) 書類管理システム
EP1776671A1 (en) Identification with rfid asset locator for entry authorization
AU2012257871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20030023855A1 (en) High security storage unit and biometric entry system
JP2000315271A (ja) 建物内の在室者数管理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防犯システムセットし忘れ防止システム
JP200421153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514101B1 (ko) 대여금고 보안 시스템
JP2000145219A (ja) 錠前管理システム
US20060088192A1 (en) Identification system
JP5055601B2 (ja) 銃火器管理システム及び銃火器管理プログラム
CN214532499U (zh) 留滞业务库安全间
JP2000315291A (ja) 建物の複合式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877613B2 (ja) 金庫管理方法、金庫及び金庫管理装置
KR102516726B1 (ko) 대여금고 시스템
Hossain et al. A prototype of automated vault locker solu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
JP2012211503A (ja) 銃火器管理システム及び銃火器管理プログラム
JP2006144384A (ja) セキュリティ強化入室管理システム
JP200515092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1342760A (ja) 指紋を用いた電子保安システム
KR102606466B1 (ko) 스마트 대여금고 시스템
JP4154013B2 (ja) 管理システム
JP3916863B2 (ja) データセンタの警備装置
JP3742424B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