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392A -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392A
KR20220048392A KR1020200131487A KR20200131487A KR20220048392A KR 20220048392 A KR20220048392 A KR 20220048392A KR 1020200131487 A KR1020200131487 A KR 1020200131487A KR 20200131487 A KR20200131487 A KR 20200131487A KR 20220048392 A KR20220048392 A KR 20220048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cage
pair
unmanned submersi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693B1 (ko
Inventor
오경원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63B2027/165Deployment or recovery of underwater vehicles using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8Docking stations for unmanned underwater vess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잠수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케이지로 인해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UNMANNED SUBMARINE RECOVERY CAGE}
본 발명은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잠수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케이지로 인해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의 무인화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잠전, 기뢰 대함전, 감시, 정찰, 해양 정보 조사, 정보 작전 등 다양함 군사 작전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해양조사, 해양정찰감시, 해양사고 대응 및 다양한 작업 분야를 수행하기 위해 무인잠수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인잠수정을 해양에서 운용할 시, 무인잠수정을 모선에 탑재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무인잠수정을 진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종료 후 무인잠수정을 모선에 다시 회수하는 LARS(Launch & Recovery System)라 불리우는 진회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Davit 방식과 Stern Ramp를 이용한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며, 2천톤급 이상 함정은 Mission Bay 방식까지 고려하기도 한다.
전술한 방법은 무인잠수정을 건조 후 모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모선에서 해양으로 이동시키는 시간 또한 줄일 수 있다.
무인잠수정의 진회수 작업에 있어서, 진수보다는 회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인잠수정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회수과정에서 무인잠수정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인잠수정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면, 회수과정에서 무인잠수정의 흔들림으로 인해 무인잠수정의 파손, 회수 인력의 부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된다. 작업 환경의 특성 상 파고가 높거나, 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들이 다수 발생된다.
따라서, 무인잠수정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고, 회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965846호
본 발명은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잠수정 회수 시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케이지로 인해 회수 안정성 및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는 제1 가드부; 상기 제1 가드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꺾이되, 폭 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가드부; 상기 한 쌍의 제2 가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가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체부;를 포함하고 무인잠수정이 상기 한 쌍의 경사부를 거쳐 상기 한 쌍의 경사부, 상기 제1 가드부 및 상기 제2 가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의 상기 제1 가드부, 상기 제2 가드부 및 상기 경사부는 수상에 부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의 상기 한 쌍의 경사부 간의 폭 방향의 간격은 상기 제1 가드부를 향할수록 좁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의 상기 제1 가드부와 상기 제2 가드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는 상기 제2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 작업의 안정성의 향상, 회수 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회수 효율성 증대 등의 효과가 발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이 유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 로프부의 발사 과정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 로프부의 부착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 로프부의 부착 후의 케이지 내부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는 제1 가드부(100), 제2 가드부(200), 경사부(300), 회전체부(400), 센서부(500), 와이어부(600), 제1 로프부(700) 및 제2 로프부(8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가드부(1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케이지는 수상에서 부유하며, 최초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는 모두 회수 작업 전에는 모선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크레인 등으로 인해 회수 과정에서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드부(20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2-1 가드부(210) 및 제2-2 가드부(220)라 지칭한다. 제2-1 가드부(210)는 제1 가드부(100)의 일단에서 연결되며, 제2-2 가드부(220)는 제1 가드부(100)의 타단에서 연결된다.
제2 가드부(200)는 제1 가드부(100)에서 꺾여 연장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2-1 가드부(210) 및 제2-2 가드부(22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1 가드부(210) 및 제2-2 가드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가드부(100) 및 제2 가드부(200)는 후방이 개방된 형상의 케이지를 구축하게 되며, 후방을 통해 무인잠수정(3)이 유입된다.
경사부(300)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가드부(2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경사부(310) 및 제2 경사부(320)라 지칭한다. 제1 경사부(310)는 제2-1 가드부(210)의 후방 단부에서 형성되며, 제2 경사부(320)는 제2-2 가드부(220)의 후방 단부에서 형성된다. 이때, 제1 경사부(310) 및 제2 경사부(320)는 각각 제2-1 가드부(210) 및 제2-2 가드부(2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1 경사부(310) 및 제2 경사부(320)는 케이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기준으로, 일 예로 제1 경사부(310) 및 제2 경사부(320)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폭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사부(300)의 구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먼저, 제1 경사부(310) 및 제2 경사부(320)는 케이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3)을 유인하는 유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경사부(300), 제1 가드부(100) 및 제2 가드부(200)가 케이지 내부의 또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공간 내부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될 때 후방으로 이탈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회전체부(400)는 한 쌍의 제2 가드부(200)의 후방에 각각 결합된다. 설명의 면의상 제2-1 가드부(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회전체부를 제1 회전체부(410), 제2-2 가드부(220)의 후방에 결합되는 회전체부를 제2 회전체부(420)라 지칭한다.
회전체부(400)는 동력을 제공하며, 일 예로 프로펠러일 수 있다. 회전체부(400)가 동력을 제공함으로 인해, 케이지는 수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케이지부가 수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면, 수상에서의 유체의 흐름에 대응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케이지의 전복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회전체부(410) 및 제2 회전체부(420)는 독립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체부(410)만 작동하고, 제2 회전체부(42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상 환경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체부를 가동시켜, 회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500)는 경사부(300)에 형성된다. 일 예로 한 쌍의 경사부(300) 중 어느 하나의 경사부에 결합된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제1 경사부(310)에 센서부(500)를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500)는 감지 센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센서부(500) 근방을 무인잠수정(3)이 지나가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감지된 정보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전달되고, 후술할 제1 로프부(7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센서부(500)는 경사부(300)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경사부(300)의 폭 방향의 간격이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500)가 경사부(300)의 후방에 위치되면, 무인잠수정(3)이 케이지 내부로 아직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할 제1 로프부(700)가 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부(300)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가드부(100), 제2 가드부(200) 및 경사부(300)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이, 무인잠수정(3)이 공간 내로 유입되면, 제1 로프부(700)가 작동된다.
제1 로프부(700)는 한 쌍의 경사부(300) 중 어느 하나의 경사부에서 발사되어 다른 하나의 경사부에 부착된다. 도 2에서는 일 예로 제1 경사부(310)의 일 지점에 발사되어, 제2 경사부(320)에 부착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따라서, 제1 로프부(700)는 한 쌍의 경사부(300)가 형성하는 유입 구간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지 내부로 유입된 무인잠수정(3)은 케이지 내부에 완전히 갇히게 되어 회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로프부(700)는 탈거가 용이하여 다시 케이지를 개방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로프부(700)는 제2 로프부(800)와 동일한 원리로 발사되고 부착된다.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로프부(800)를 설명하여 이를 대체한다.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제2 로프부(800)의 발사 과정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2 로프부(800)는 한 쌍의 제2 가드부(200) 중 어느 하나의 제2 가드부에서 발사되어, 다른 하나의 제2 가드부에 부착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일 예로 제2-1 가드부(210)에서 발사되어, 제2-2 가드부(220)에 부착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제2 로프부(800)의 일단은 제2-1 가드부(2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미도시 되었지만, 일 예로 제2 로프부(800)는 와인딩 롤에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적 제어에 의해 와인딩 롤이 풀리게 되고, 풀리면서 제2 로프부(800)는 제2-1 가드부 외부로 발사된다. 발사 메커니즘 및 부품은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제2 로프부(800) 및 마그넷부(801)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제2 로프부(800) 및 마그넷부(801)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제2 로프부(800)의 층(Layer)을 두텁게 하며, 무인잠수정(3)의 이동을 제한을 더욱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제2 로프부(800)의 부착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제2 로프부(800)의 부착 후의 케이지 내부에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2 로프부(800)의 단부에는 마그넷부(801)가 결합되어 있다. 마그넷부(801)는 강자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로프부(8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1 가드부(210)에는 홀(211)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로프부(800)는 제2-1 가드부(210)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마그넷부(801)는 홀(211)을 따라 제2-1 가드부(210)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발사 전 마그넷부(801)의 위치 고정성을 위해, 홀(211)의 근방에는 자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제2-2 가드부(220)의 내측면에는 수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홀(211)을 마주보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221)는 자성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로프부(800)가 발사됨에 따라, 제2 로프부(8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마그넷부(801)가 수용부(221)를 향하게 되고, 수용부(221)와 부착되는 경우 도 5와 같은 형태로 제2 로프부(800)가 망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마그넷부(801)와 수용부(221)의 부착은 기 설계된 동력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다른 형태로는 작업자가 발사로 인해 수상에 부유하고 있는 마그넷부(801)를 수동으로 수용부(221)와 부착시키는 형태도 가능하다.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되었을 때, 제2 로프부(800)는 무인잠수정(3)의 하부에서 망을 형성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로프부(800)는 제2 가드부(200)의 하면 근방에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기준으로, 제2 가드부(200)의 폭 방향의 가상의 중심선(C)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일 예로, 제1 가드부(100)와 제2 가드부(200)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가드부(100)와 제2 가드부(200)의 연결 부분에 무인잠수정(3)이 충돌하더라도 무인잠수정(3)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부(600)는 일단이 제2 가드부(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모선에 결합된다. 제1 가드부(100)에 연결되는 경우보다 케이지의 균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는, 한 쌍의 제2 가드부가 각각 힌지 결합으로 틸팅 가능한 형태이다. 제2-1 가드부는 제2-1 전방 가드부(210a) 및 제2-1 후방 가드부(210b)로 구분되며, 제2-1 전방 가드부(210a) 및 제2-1 후방 가드부(210b)는 힌지(210c)에 의해 연결되어 틸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2 가드부는 제2-2 전방 가드부(220a) 및 제2-2 후방 가드부(220b)로 구분되며, 제2-2 전방 가드부(220a) 및 제2-2 후방 가드부(220b)는 힌지(220c)에 의해 연결되어 틸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300)는 각각 제2-1 후방 가드부(210b) 및 제2-2 후방 가드부(220b)에 위치된다.
이때, 제2-1 후방 가드부(210b) 및 제2-2 후방 가드부(220b)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확장하게 되어 케이지 내부로 무인잠수정(3)이 유입될 수 있는 확률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회수 작업 속도가 빨라지며, 회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가드부(100) 및 제2 가드부(200)에는 부식 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통틀어 가드부라 지칭한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가드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가드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가드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드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가드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가드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가드부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가드부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가드부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 가드부,
200 : 제2 가드부,
300 : 경사부,
400 : 회전체부,
500 : 센서부,
600 : 와이어부,
700 : 제1 로프부,
800 : 제2 로프부.

Claims (5)

  1. 제1 가드부;
    상기 제1 가드부의 양 단부에서 각각 꺾이되, 폭 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가드부;
    상기 한 쌍의 제2 가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가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체부;를 포함하고
    무인잠수정이 상기 한 쌍의 경사부를 거쳐 상기 한 쌍의 경사부, 상기 제1 가드부 및 상기 제2 가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부, 상기 제2 가드부 및 상기 경사부는 수상에 부유 가능한 것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사부 간의 폭 방향의 간격은 상기 제1 가드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것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부와 상기 제2 가드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진 것인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모선에 결합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KR1020200131487A 2020-10-12 2020-10-12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KR10239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87A KR102398693B1 (ko) 2020-10-12 2020-10-12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87A KR102398693B1 (ko) 2020-10-12 2020-10-12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92A true KR20220048392A (ko) 2022-04-19
KR102398693B1 KR102398693B1 (ko) 2022-05-13

Family

ID=8139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487A KR102398693B1 (ko) 2020-10-12 2020-10-12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05B1 (ko) *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입구 확장형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110A (ko) 2022-07-20 2024-01-29 국방과학연구소 무인잠수정 진수 및 회수 장치와, 그것의 통제 장치, 무인잠수정 진수 방법 및 회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032U (ja) * 1992-04-20 1993-11-09 日立造船株式会社 浮遊物の回収装置
JP2003026090A (ja) * 2001-07-10 2003-01-2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律型無人航走体を用いた海底探査方式及びその装置
JP2009208511A (ja) * 2008-02-29 2009-09-17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航走体の発射回収システムおよびこの発射回収システムを備える船舶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032U (ja) * 1992-04-20 1993-11-09 日立造船株式会社 浮遊物の回収装置
JP2003026090A (ja) * 2001-07-10 2003-01-2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律型無人航走体を用いた海底探査方式及びその装置
JP2009208511A (ja) * 2008-02-29 2009-09-17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航走体の発射回収システムおよびこの発射回収システムを備える船舶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05B1 (ko) *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입구 확장형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93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693B1 (ko) 무인잠수정 회수용 케이지
CN111301639A (zh) 一种潜航器回收装置及回收方法
US7337741B1 (en)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for small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10112686B2 (en) System for the deployment of marine payloads
WO2008054336A2 (en) Waterborne munitions system
EP2892800B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launcher
US5100353A (en) Electromagnetic marker float release
KR102282440B1 (ko) 플립 타입의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82439B1 (ko)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KR102246112B1 (ko) 이동 제한성능이 향상된 무인수상정 회수용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회수 시스템
US5448941A (en) Underwater delivery system
KR102398691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2342960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KR102342959B1 (ko) 모선과 무인수상정 결합 장치
US8075223B2 (en) Deployment system for fiber-optic line sensors
KR20220048390A (ko) 연료 공급 장치
KR200484386Y1 (ko) 잠수함용 구명부이 장치
US6868768B1 (en) Surf zone mine clearance and assault system
KR102398692B1 (ko) 수중탐사정 케이지
GB1570842A (en) Marking device
RU2229096C1 (ru) Буксируемая катушка
Hosty et al. Death by a thousand cuts: The sad fate of HMAS Perth
CN116834935A (zh) 一种基于海底多视角融合监测无人潜航器
EP2915737B1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an object
Konstam Tirpitz in Norway: X-craft midget submarines raid the fjords, Operation Source 194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