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369A -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 Google Patents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369A
KR20220048369A KR1020200131448A KR20200131448A KR20220048369A KR 20220048369 A KR20220048369 A KR 20220048369A KR 1020200131448 A KR1020200131448 A KR 1020200131448A KR 20200131448 A KR20200131448 A KR 20200131448A KR 20220048369 A KR20220048369 A KR 2022004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structure
unit
buoyancy
net install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369B1 (ko
Inventor
서경석
민병일
박기현
김지윤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한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이 접혀 내장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그물설치구조물은 해저면에 안착된 케이스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수면에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유하는 부력부 및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부력부와 함께 방출됨에 따라, 상기 부력부로부터 상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흐름저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Net Installation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해양으로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사고에 있어서 기존의 대책은 선박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예상 경로에 오염물질팬스 등의 차단부재를 이동시키고 인력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물질의 유출의 경우, 기존의 방식은 설치 시간과 효율의 관점에서 위급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대책이 될 수 없다는 평가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해수보다 밀도가 낮은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대하여 오염물질의 흐름을 차단하면 충분하였으나, 방사능 오염물질의 경우 해수의 밀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아니한 채 해수의 흐름을 따라 유출되는 것이어서 수중 전체를 통한 오염물질의 확산의 저지를 위한 대책이 요구되었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사고의 경우, 방사능 오염물질의 확산의 물리적인 차단도 중요하지만, 발전소의 냉각용 해수의 원활한 공급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선에서 방사능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조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설치 시간이 단축되고 수중 전체에 대한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해하는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는,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한 그물설치구조물 및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이 접혀 내장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은 해저면에 안착된 상기 케이스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수면과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유하는 부력부 및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부력부와 함께 방출됨에 따라 상기 부력부로부터 상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흐름저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흐름저해부는, 다공성의 그물망을 복수 개 구비하는 그물부 및 상기 복수의 그물망들의 사이에 형성된 충진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충진재는, 압축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압축 변형이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개구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부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개구부가 상기 뚜껑부에 의해 커버되게 하거나, 상기 개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탈착부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탈착부가 상기 뚜껑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 및 상기 수신기에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상기 뚜껑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게 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을 고정하도록, 일 측은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은 수면에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로부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되고, 복수의 다공성의 그물망들로 이루어진 그물부 및 상기 복수의 그물망들이 마련하는 충진 공간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충진재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발포 스티로폼의 소재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부력부는,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한 제2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부력체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각각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여 'ㄹ'자 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그루브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2 단위 부력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부력부는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한 제2 단위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부력체는 각각의 내부 공간에 북수의 부력재들이 마련되고 다공성의 재질이며 서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포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설치구조물이 케이스에 내장되어 오염물질의 확산이 예상되는 경로의 해저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가 비상시 케이스로부터 방출되어 설치되므로, 오염물질의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면으로부터 수면에 이르는 그물설치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냉각수의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아니한 채, 방사능 오염물질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이 케이스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이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이 케이스부터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흐름저해부에 그물부와 충진재가 포함되어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흐름저해부에 그물부와 충진재가 포함되어 케이스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이 고정부가 포함된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이 고정부가 포함된 케이스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는 평상시에는 해저면에 배치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동작되어 수중의 오염물질의 확산을 지연하기 위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배출되게 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 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는 그물설치구조물(110),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그물설치구조물은 부력부(111) 및 흐름저해부(112)를 포함한다.
부력부(111)는 수면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부유하면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수중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면에 나란하게 연장된다 함은, 부력부(111)가 소정의 통 형상의 외면을 이루며 수면을 따라 연장되거나, 소정의 통 형상이면서 부력을 갖는 단위 부유체가 복수로 이루어져 수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부력부(111)가 수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길이는 케이스(12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부력부(111)의 단면은 원형 또는 각형 일 수 있다. 부력부(111)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주면에 마련된 소정의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력부(111)는 케이스(120)로부터 배출되어 수면을 향해 상승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의 재질로 부력부(111)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부력부(111)의 일 측에는 마개가 구비되어 상기 마개를 통해 내부에 공기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력부(111)가 부유하게 되면, 흐름저해부(112)는 오염물질의 확산을 지연하기 위하여 수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면을 형성하며 위치될 수 있다.
흐름저해부(112)는 부력부(111)가 수면에 연장되는 일 방향을 따라 부력부(111)에 결합할 수 있다. 부력부(111)에 결합되는 흐름저해부(112)의 상단에는 소정의 링이 형성되어 부력부(111)의 고리에 체결될 수 있다.
흐름저해부(112)는 부력부(111)로부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부력부(111)가 부유함에 따라, 흐름저해부(112)는 수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면을 마련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접힌 그물설치구조물(110)을 내장한 상태로 해저면에 설치된 후 필요에 따라 내장하고 있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을 수중에 방출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 통의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의 부피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케이스(120)의 재질은, 그물설치구조물(110)을 내재하여 해저면에 미리 설치될 수 있도록, 해수에 대하여 부식 저항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2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해저면에 위치한 케이스(120)와 케이스(120)로부터 수중으로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은 부력부(111)의 부력에 의하여 수면을 향해 떠오르게 될 수 있다.
도 2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물설치구조물(110)은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수면을 향해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부(111)가 케이스(12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될 수 있고, 흐름저해부(112)는 부력부(111)에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접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개방된 케이스(120)를 통하여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수중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은 부력부(111)의 부력에 의해 해저면으로부터 수면을 향해 상승될 수 있다.
흐름저해부(11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부(112a) 및 충진재(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부(112a) 및 충진재(112b)로 구비된 흐름저해부(112)를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부(112a) 및 충진재(112b)로 구비된 흐름저해부(112)를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이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물부(112a)는 복수 개의 그물망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그물망은 다공성의 재질일 수 있고, 각각의 구멍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물망은 다공성의 멤브레인, 필름 또는 그물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그물망들은 부력부(111)에 대하여 결합하고 해저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마주보며 배치되는 복수의 그물망들의 각각의 테두리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그물망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충진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112b)들은 충진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충진재(112b)들이 충진 공간에 머물도록, 각각의 충진재(112b)의 크기는 각각의 그물망들의 구멍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의 크기는 충진재(112b) 및 구멍의 각각의 단면적, 지름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112b)들은 흐름저해부(112)의 그물부(112a)에 내장되어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도 4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물설치구조물(110)은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됨과 동시에 용이하게 수중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부력부(111)가 케이스(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흐름저해부(112)는 충진재(112b)가 충진 공간에 내재된 상태로 부력부(111)에 결합되어 케이스(120)의 내부에 접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개방된 케이스(120)를 통하여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수중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은 부력부(111)의 부력에 의하여 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고, 그물부(112a)에 구비된 복수의 충진재(112b)들은 유체의 흐름에 교차하는 소정의 면을 형성하며 수중에 위치되어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한편, 충진 공간에 마련되는 충진재(112b)는, 압축 변형이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12b)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발포 스티로폼 또는 다공성의 스폰지 등의 소재일 수 있다.
충진재(112b)가 압축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물설치구조물(110)은, 더 많은 충진재(112b)들이 압축되어 충진 공간에 내재된 상태로 케이스(120)에 내장될 수 있다.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되면서 각각의 압축된 충진재(112b)의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부피가 팽창된 충진재(112b)들은 충진 공간의 공극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한 충진재(112b)를 흐름저해부(112)에 마련함으로써 흐름저해부(11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스(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2), 뚜껑부(121), 힌지부(123) 및 탈착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에 구비되는 본체부(122), 뚜껑부(121), 힌지부(123) 및 탈착부(124)를 도시하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체부(122)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되 일 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통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2)의 단면은 'U'자 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상측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빈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뚜껑부(121)는, 본체부(122)의 개구부가 커버되도록 본체부(122)에 결합할 수 있다. 개구부가 커버된다 함은, 본체부(122)의 빈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뚜껑부(121)는 뚜껑부(121)와 본체부(122)가 이루는 내부 공간이 외측으로부터 차단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뚜껑부(121)는 판 또는 통의 형상일 수 있다. 판의 형상의 뚜껑부(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2)의 개구부를 덮도록 본체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통의 형상의 뚜껑부(12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면서 일 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 할 수 있고, 뚜껑부(121)의 개구부가 본체부(122)의 개구부에 연접하도록 본체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뚜껑부(121) 및 본체부(122)의 결합으로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될 수 있다.
힌지부(123)는 뚜껑부(121)와 본체부(122)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다. 힌지부(123)는 본체부(122)와 뚜껑부(121)가 연접하는 본체부(122)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123)는 뚜껑부(121)와 본체부(122)에 결합하는 경첩일 수 있다.
즉, 본체부(122)와 뚜껑부(121)는 힌지부(12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22)와 뚜껑부(121)는 힌지부(123)를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차단되게 할 수 있다.
탈착부(124)는 뚜껑부(121)와 본체부(122)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다. 탈착부(124)는, 뚜껑부(121)와 본체부(122)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할 수 있고, 뚜껑부(121) 또는 본체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124)가 뚜껑부(121)와 본체부(122)에 대하여 결합되면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면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에 내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124)의 뚜껑부(121) 또는 본체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면, 부력부(111)의 상승으로 인하여 뚜껑부(121)가 본체부(12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어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탈착부(1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24b), 결합부(124c) 및 구동기(1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케이스(120) 및 케이스(120)의 탈착부(124)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수신기(124b)는 외부 리모컨(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작동 신호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수신기(124b)와 외부 리모컨의 전기적 연결은 유선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결합부(124c)가 뚜껑부(121) 및 본체부(122)에 결합되되, 뚜껑부(121) 및 본체부(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할 수 있다. 결합부(124c)의 뚜껑부(121) 또는 본체부(122)에 대한 결합은 볼트/너트, 나사, 못 또는 소정의 기계적 구조 등을 이용한 결합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외력을 가하여 결합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압 상태의 결합일 수도 있다.
구동기(124a)는 결합부(124c)의 본체부(122) 또는 뚜껑부(121)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124a)는 탈착부(124)의 내부에 소정의 모터로 마련되어, 결합부(124c)의 일부가 뚜껑부(121)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외부 리모컨을 이용하여 수신기(124b)에 작동 신호가 보내지면, 수신기(124b)는 작동 신호를 받아 내장된 전원(미도시)을 이용하여 구동기(124a)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124a)는 내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결합부(124c)의 본체부(122) 또는 뚜껑부(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체부(122)와 뚜껑부(121)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부력부(111)의 상승에 의해 뚜껑부(121)가 본체로부터 회전되며,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그물설치구조물(110)이 고정부(125)가 구비된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그물설치구조물(110)이 고정부(125)가 구비된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고정부(125)는 끈의 형상으로서, 양 측은 그물설치구조물(110)의 하단과 케이스(120)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내면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25)는 유연한 소재를 갖는 합성 수지의 재질이거나 사슬의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25)는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방출된 자리에 고정되게 하고, 흐름저해부(112)가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게 할 수 있다.
도 7는 케이스(120)에 내장된 그물설치구조물(110)과 그에 결합되는 고정부(125)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125)는 그물설치구조물(110)에 결합되어 케이스(120)의 내부에 접혀 구비될 수 있다.
도 8는 케이스(120)로부터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과 그에 결합되는 고정부(125)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125)는 그물설치구조물(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20)와 그물설치구조물(110)의 결합을 유지한다. 이로써, 고정부(125)는 방출된 그물설치구조물(110)이 방출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고, 방출된 충진재(112b)들이 이루는 소정의 면이 오염물질이 흐르는 방향에 교차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작동 과정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110)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가 해저면에 배치된다. 이후, 오염물질의 유출이라는 비상시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리모컨을 이용하여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기(124b)는 외부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기(124a)를 작동시킨다. 구동기(124a)는 본체부(122) 및 뚜껑부(121)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124c)가 본체부(122) 및 뚜껑부(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로써, 뚜껑부(121)는 본체부(122)로부터 해제되고, 부력부(111)는 부력을 통해 수면을 향해 상승한다. 부력부(111)의 상승에 따라 뚜껑부(121)는 본체부(122)로부터 회전되어 본체부(122)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부력부(111)는 뚜껑부(121)를 회전하게 한 후 수면을 향해 상승하고, 흐름저해부(112)도 부력부(111)를 따라 수면을 향해 상승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저해부(112)의 하단은 고정부(125)를 통하여 케이스(120)부에 고정됨에 따라, 충진재(112b)들이 이루는 소정의 면은 수면을 교차하게 마련되어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그물설치구조물(110)은 방출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는 평상시에는 해저면에 설치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신속히 그물설치구조물을 방출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210)을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선,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210)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210)은 케이스(120)가 없다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와 기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그물설치구조물(210)은 부력부(211), 그물부(213a) 및 충진재(21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력부(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부력체와 제2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부력체(212)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위 부력체(212)는 중심부 및 중심부로부터 각각 제1 그루브(212a)와 제2 그루브(212b)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212c) 및 제2 걸림부(212d)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부력체(212)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은 90도 회전된 'ㄹ'자 형의 형상일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본 단위 부력체의 걸림부들의 두께는 삽입되는 그루브들의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그루브에 삽입되는 걸림부는, 당해 그루브를 형성하는 타 걸림부를 가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걸림부(212d)는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그루브(212a)에 삽입되고,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걸림부(212c)는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그루브(212b)에 삽입됨으로써, 제1 단위 부력체와 제2 단위 부력체가 반복되며 결합되어 부력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부력부는 제1 단위부력체와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위 부력체는 내부 공간에 복수의 부력재들이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포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위 부력체가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함은, 제2 단위부력체와 제1 단위 부력체가 서로 엮이는 구조를 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부력체는 복수의 포켓들이 서로 연결되어 마련되고, 제1 단위 부력체와 제2 단위 부력체는 서로 얽힘으로써 부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위 부력체의 복수의 포켓들은 각각 부력재들이 마련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포켓들은 다공성의 재질이거나 그물망의 형태를 가진 주머니일 수 있다.
복수의 포켓들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부력재들은 단위 부력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재들은 발포 스티로폼의 재질일 수 있다.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재들이 각각의 복수의 포켓들에 마련되고, 복수의 포켓들을 구비하는 제1 단위 부력체와 제2 단위 부력체가 서로 얽힌 상태에서, 부력부는 수면에 부유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110: 그물설치구조물
111: 부력부
112: 흐름저해부 112a: 그물부 112b: 충진재
120: 케이스
121: 뚜껑부
122: 본체부
123: 힌지부
124: 탈착부 124a: 구동기 124b: 수신기 124c: 결합부
125: 고정부
210: 그물설치구조물
211: 부력부
212: 단위 부력체
212a: 제1 그루브 212b: 제2 그루브
212c: 제1 걸림부 212d: 제1 걸림부
213: 흐름저해부 212a: 그물부 212b: 충진재

Claims (10)

  1.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한 그물설치구조물; 및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이 접혀 내장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은,
    해저면에 안착된 상기 케이스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수면과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유하는 부력부; 및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부력부와 함께 방출됨에 따라, 상기 부력부로부터 상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흐름저해부를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흐름저해부는,
    다공성의 그물망을 복수 개 구비하는 그물부; 및
    상기 복수의 그물망들의 사이에 형성된 충진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충진재를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압축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압축 변형이 가능한,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개구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뚜껑부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개구부가 상기 뚜껑부에 의해 커버되게 하거나, 상기 개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탈착부가 상기 뚜껑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 및
    상기 수신기에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상기 뚜껑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게 하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을 고정하도록, 일 측은 상기 그물설치구조물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7. 수면에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로부터 해저면을 향해 연장되고, 복수의 다공성의 그물망들로 이루어진 그물부; 및
    상기 복수의 그물망들이 마련하는 충진 공간에 배치되어 오염물질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발포 스티로폼의 소재인, 그물설치구조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한 제2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부력체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각각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여 'ㄹ'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단위 부력체의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의 제2 그루브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2 단위 부력체가 서로 결합되는, 그물설치구조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제1 단위 부력체와 상기 제1 단위 부력체에 인접한 제2 단위부력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부력체는, 각각의 내부 공간에 북수의 부력재들이 마련되고, 다공성의 재질이며, 서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포켓들을 포함하는, 그물설치구조물.
KR1020200131448A 2020-10-12 2020-10-12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KR102419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48A KR102419369B1 (ko) 2020-10-12 2020-10-12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48A KR102419369B1 (ko) 2020-10-12 2020-10-12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69A true KR20220048369A (ko) 2022-04-19
KR102419369B1 KR102419369B1 (ko) 2022-07-12

Family

ID=813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448A KR102419369B1 (ko) 2020-10-12 2020-10-12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200U (ja) * 1993-02-12 1994-09-06 玄徳 守島 ブイ式簡易汚水浄化装置
KR20170002015U (ko) * 2016-09-01 2017-06-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KR20180036054A (ko) * 2016-09-30 2018-04-09 안수진 휴대가 용이한 개인 구명물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200U (ja) * 1993-02-12 1994-09-06 玄徳 守島 ブイ式簡易汚水浄化装置
KR20170002015U (ko) * 2016-09-01 2017-06-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KR20180036054A (ko) * 2016-09-30 2018-04-09 안수진 휴대가 용이한 개인 구명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69B1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39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블록간 연결장치
US5220535A (en) Sonar baffles
CN110029965B (zh) 使用开放端共振器组件的水下噪声减小系统和部署装置
KR20120036722A (ko) 차수 장치
KR102419369B1 (ko)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CA2949255C (en) Pressure absorber for a fluid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8063008A1 (en) Turbine structure and gate structure having flexible joint and inside stuffing for tidal power plant
KR101163360B1 (ko) 부유식 방파제
JP6720223B2 (ja) 射出成形されたノイズ低減アセンブリおよび展開システム
KR0169996B1 (ko) 환경오염 폐기물 저장장치
KR101380831B1 (ko) 해상표면흐름 모사체 유출유 대용 실험장치
JP5214299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材
KR102225587B1 (ko) 흡음패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흡음판
JP4826215B2 (ja) 可撓性ブイ
JP2014037781A (ja) 波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80110264A (ko)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KR1014136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갖는 방파제 구조물
KR101072483B1 (ko) 스폰지 구조체 내장형 슬릿케이슨,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JP2021075996A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102490231B1 (ko)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KR20150064843A (ko) 오탁 방지막
JP2562422B2 (ja) マリンホース
JP6530721B2 (ja) 貯蔵タンク、及び災害対策方法
JP2005207220A5 (ko)
JP6683413B2 (ja) ガス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