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15U -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15U
KR20170002015U KR2020160005100U KR20160005100U KR20170002015U KR 20170002015 U KR20170002015 U KR 20170002015U KR 2020160005100 U KR2020160005100 U KR 2020160005100U KR 20160005100 U KR20160005100 U KR 20160005100U KR 20170002015 U KR20170002015 U KR 201700020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eet
wave
rop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호
서승남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20160005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15U/ko
Publication of KR20170002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면과 수중에서 파랑과 유수를 차단하거나 방향을 전환시키면서 파랑과 유수의 수중흐름을 저감시키는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로서,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져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며, 수중에서 유수의 흐름과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수를 가로막는 물막이 시트; 상기 물막이 시트의 하단부와 복수의 하단로프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어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시트고정체; 부력재로 이루어져 수면에 뜬 상태로 상기 물막이 시트의 상단부와 복수의 상단로프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고정체와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로프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공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부력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WAVE AND WATER FLOW REDUCTION EQUIPMENT USING A HIGH-STRENGTH COMPOSITE MATERIALS}
본 고안은 파랑 및 수중흐름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랑 및 강한 흐름(current)이 발생하는 해상 환경에서 군사작전 또는 해난사고 대응을 위한 수색 및 구조 활동이 이루어는 경우 인적 활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해상에서의 각종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중에서 예를 들어 부유식 발전소(BMPP)는 복합화력발전소를 바지선 위에 제작하는 신개념 플랜트이다.
상기 부유식 발전소(BMPP)는 생산과 건설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조선소에서 플랜트 제작을 끝낸 후, 이를 발전소 부지로 해상 운송해 설치하고, 현장에서 시운전을 하게 된다.
상기 부유식 발전소(BMPP)는 건설기자재와 고급 현장 건설인력 수급이 어려운 해외 육상발전소 건설에 비해 품질과 납기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랜트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운송되기 때문에 전력망 연결이 어려운 동남아 등과 같은 도서지역에서의 탄력적 운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존 발전소를 폐기하고 신규 플랜트를 건설할 때 발생하는 단기적 전력 공백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대와 테러 위험 등으로부터 자유롭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중간 수심의 경우 재킷 또는 파일을 통한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낮은 수심의 경우 케이슨 형식을 도입한 착저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부유식 해상 구조물 주변의 해수면은 조수, 파도, 바람 등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해수면의 상하운동에 따른 파랑 하중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안정적인 운용 및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록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계류로프나 파일 등을 통해 위치 고정되지만 상기 계류로프나 파일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뿐이고 파랑 하중을 저감하지는 못한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파랑 하중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먼바다 쪽에 방파제나 방파시설을 마련하는 것이 좋지만 방파제나 방파시설을 건설하는 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게 된다.
이에 적은 비용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파랑 하중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74776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파랑 하중 감소 장치`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파랑 하중 감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면 위로 부상하여 파랑 하중을 감쇄하는 다수의 부구; 상기 각 부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 상기 각 부구 및 연결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수의 정착추;를 포함하고,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먼바다 쪽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거나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부구가 무게가 다른 적어도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랑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석 등의 영향으로 강한 흐름(current)이 발생하는 해상 환경에서 군사작전 또는 해난사고 대응을 위한 수색 및 구조 활동이 이루어는 경우 인적 활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해상에서의 각종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흐름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상황을 대비한 장치들이나 방법들은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즉각적인 활용이 쉽지 않아 다소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여 비용도 줄이면서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장치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01478호(고안의 명칭: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파랑 하중 감소 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상에서 파랑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과 유수 흐름의 차폐가 가능하도록 고강도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시트(sheet)를 로프(rope)로 수중에 고정하는 기능이 구비된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수의 응력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시트를 보강하는 기능이 구비된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파랑을 저감시키는 시설물과 시트의 평면 형상은 특정 지역의 환경에 따라서 모양이 변형 설치가 가능한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는, 수면과 수중에서 파랑과 유수를 차단하거나 방향을 전환시키면서 파랑과 유수의 수중흐름을 저감시키는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로서,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져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며, 수중에서 유수의 흐름과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수를 가로막는 물막이 시트; 상기 물막이 시트의 하단부와 복수의 하단로프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어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시트고정체; 및 부력재로 이루어져 수면에 뜬 상태로 상기 물막이 시트의 상단부와 복수의 상단로프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고정체와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로프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공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부력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굴절 형성시키고 모양에 변형을 가하여 적어도 일방향 이상에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 시트 및 로프는,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또는 기타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물막이 시트의 전, 후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단로프 및 상기 상단로프에 고정되고, 상기 물막이 시트와 함께 유수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물막이 시트에 가해지는 유수의 응력을 보강하는 보강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 시트와 상기 시트고정체, 상기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고정부재는 상기 상단로프, 상기 하단로프 및 상기 부력체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한 조를 이루면서 하나의 물막이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복합저감장치는, 상기 물막이 모듈과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추가되는 또 다른 물막이 모듈; 및 상기 물막이 모듈과 상기 또 다른 물막이 모듈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서 유수의 차폐범위를 확장시키는 모듈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조인트는, 양단의 일부분이 겹쳐진 상기 물막이 시트들을 각각 관통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물막이 시트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 모듈들은, 상기 모듈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면서 V 형태로 배치되거나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유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 시트는, 일부분에 유수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 시트의 크기나 상기 하단로프 또는 상기 상단로프의 길이의 가변을 통해서 상기 물막이 시트에 의한 유수의 차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는, 물막이 시트를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제작하여 조석환경에서 발생하는 흐름(tidal current) 또는 해류(ocean current) 등을 저감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비교적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물막이 시트를 부력체에 연결하여 해수의 유동과 파랑을 동시에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마모, 마멸, 충격 등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첨단소재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수지로 유수에 저항할 수 있는 물막이 시트를 제작하여 강한 흐름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물막이 시트는 수중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위 아래 양 끝은 그물(net) 형식의 여러 가닥 로프로 연결되어 해저 바닥의 앵커 및 수면에 위치한 부력체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물막이 시트를 유공(porous)의 구조로 제작하여 유수 흐름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대신 물막이 시트 및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력체와 물막이 시트의 평면 형상을 특정 지역의 완전한 차폐가 가능한 원형 형식 또는 일부 구역을 열어두는 개구부가 존재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어,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군사작전 또는 각종 수색 및 구조 활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복합저감장치의 설정 길이와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a), (b), (c)).
도 3은 상기 복합저감장치의 부력체가 절곡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복합저감장치의 설정 길이와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a), (b), (c))이며, 도 3은 상기 복합저감장치의 부력체가 절곡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과 수중에서 파랑과 유수를 차단하거나 방향을 전환시키면서 파랑과 유수의 수중흐름을 저감시키는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로서, 본 고안은 물막이 시트(100), 시트고정체(200), 부력체(300) 및 부력체고정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랑(wave, 波浪)이란, 심해파에 대해 표면파로 구분되는 것으로, 바람에 의해 생긴 수면상의 풍랑(風浪)과 풍랑이 다른 해역까지 진행하면서 감쇠하여 생긴 너울을 말한다.
풍랑은 마루가 뾰족하고 파도 사이의 간격이 짧은 반면에 너울은 마루가 둥글고 간격이 길다. 풍랑이 수심이 얕은 연안에 오면, 밑바닥의 영향으로 연안쇄파(沿岸碎波)가 된다.
상기 물막이 시트(100)는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져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며, 수중에서 유수의 흐름과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수를 가로막을 수 있다.
상기 시트고정체(200)는 물막이 시트(100)의 하단부와 복수의 하단로프(30)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어하면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300)는 부력재로 이루어져 수면에 뜬 상태로 물막이 시트(100)의 상단부와 복수의 상단로프(30)로 연결되어 시트고정체(200)와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부력체(300)는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굴절 형성시키고 모양에 변형을 가하여 적어도 일방향 이상에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부력체고정부재(400)는 부력체(300)의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로프(30)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공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부력체(300)의 이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구조일 수 있다.
물막이 시트(100) 및 각각의 로프(30)들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수지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선,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은 선형 폴리에틸렌으로 매우 분자량이 큰 재료로, 평균 분자량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자량의 10배 정도이다.
특성으로는, 내충격성,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매우 높은 충격 저항성이 있고, 마모 및 마멸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지니며, 자체 윤활 및 비접착 표면과 매우 우수한 화학적 저항성, 탁월한 저온성, 우수한 소리 차단성 및 에너지 흡수성,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지닌다.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합성된다.
폴리우레탄은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선택범위가 넓어 연질에서 경질까지, 엘라스토머에서 폼까지 다양한 제품설계가 가능하고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다.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합중합체로 "거밀줄보다 가늘고 실크보다 아름답고 강철보다 강한섬유"로 유명하며 섬유나 밧줄 그물 전선절연재로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합중합체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합성섬유로,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의류의 소재, 필름 녹음테이프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페놀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수지, 우레아/메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복합저감장치(10)는 보강메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메쉬(500)는 그물망형태로 제작되어 물막이 시트(100)의 전, 후면을 감싸면서 하단로프(30) 및 상단로프(30)에 고정되고, 물막이 시트(100)와 함께 유수를 가로막으면서 물막이 시트(100)에 가해지는 유수의 응력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메쉬(500)로 보강하여 조류가 거친 해역에서 물막이 공사나 작업을 할 경우에 물막이 시트(100)를 감싸면서 유수에 대한 응력을 보강하여 보다 큰 내인장력을 부과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보강메쉬(500)를 물막이 시트(100)에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물막이 시트(100)의 표면에 꿰매는 방식 등으로 보강이 가능하다.
물막이 시트(100)와 시트고정체(200), 부력체(300) 및 부력체고정부재(400)는 상단로프(30), 하단로프(30) 및 부력체로프(30)에 의해 연결되어 한 조를 이루면서 하나의 물막이 모듈(600)을 구성하고, 또 다른 물막이 모듈(600)과 모듈조인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물막이 모듈(600)은 물막이 모듈(600)과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모듈조인트(700)는 물막이 모듈(600)과 또 다른 물막이 모듈(600)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서 유수의 차폐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모듈조인트(700)는 연결볼트(710) 및 연결너트(72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연결볼트(710)는 양단의 일부분이 겹쳐진 물막이 시트(100)들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너트(720)는 연결볼트(710)와 결합되어 물막이 시트(100)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조인트(700)는 고강도 로프(30)를 이용하여 겹쳐진 물막이 시트(100)를 꿰매거나 수중용 특수 접착재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물막이 모듈(600)들은 모듈조인트(700)에 의해 연결되면서 V 형태로 배치되거나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유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물막이 시트(100)는 일부분에 유수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 (b), (c)에 보인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복합저감장치(10)는 수중에서의 작업상황이나 수류의 영향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한데,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물막이 시트(100)의 크기나 하단로프(30) 또는 상단로프(30)의 길이의 가변을 통해서 물막이 시트(100)에 의한 유수의 차단 높이를 조절하거나 위치를 위나 아래로 이동 설치하여 효과적인 수류의 차단이 가능하다.
본 고안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의 운용방법은, 작업자는 물막이 시트(100)의 상부를 복수의 상단로프(30)를 이용하여 수면에 떠 있는 부력체(300)에 연결하고, 하부는 하단로프(30)를 이용하여 시트고정체(200)에 연결하며 부력체(300)는 부력체로프(30)를 이용하여 부력체고정부재(400)에 연결하면서 해상작업이 필요한 곳에 복합저감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부력체(300)의 길이 방향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물막이 모듈(500)의 모양을 변형시켜가면서 여러 방향에서 작용하는 파랑 및 해류의 차단 및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복합저감장치
30 : 로프
100 : 물막이 시트
200 : 시트고정체
300 : 부력체
400 : 부력체고정부재
500 : 보강메쉬
600 : 물막이 모듈
700 : 모듈조인트
710 : 연결볼트
720 : 연결너트

Claims (1)

  1. 수면과 수중에서 파랑과 유수를 차단하거나 방향을 전환시키면서 파랑과 유수의 수중흐름을 저감시키는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로서,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져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며, 수중에서 유수의 흐름과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수를 가로막는 물막이 시트;
    상기 물막이 시트의 하단부와 복수의 하단로프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어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시트고정체; 및
    부력재로 이루어져 수면에 뜬 상태로 상기 물막이 시트의 상단부와 복수의 상단로프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고정체와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제작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로프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중량을 제공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부력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부력체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막이 시트 및 로프는,
    나일론-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축중합체,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중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부력체는,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굴절 형성시키고 모양에 변형을 가하여 적어도 일방향 이상에서 파랑을 차단하거나 파랑의 방향을 전환시키며,
    그물망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물막이 시트의 전, 후면을 감싸면서 상기 하단로프 및 상기 상단로프에 고정되고, 상기 물막이 시트와 함께 유수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물막이 시트에 가해지는 유수의 응력을 보강하는 보강메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메쉬는,
    상기 물막이 시트에 접착재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상기 물막이 시트의 표면에 꿰매지는 방식으로 보강시키며,
    상기 물막이 시트와 상기 시트고정체, 상기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고정부재는 상기 상단로프, 상기 하단로프 및 상기 부력체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한 조를 이루면서 하나의 물막이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복합저감장치는,
    상기 물막이 모듈과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추가되는 또 다른 물막이 모듈; 및
    상기 물막이 모듈과 상기 또 다른 물막이 모듈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서 유수의 차폐범위를 확장시키는 모듈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조인트는,
    양단의 일부분이 겹쳐진 상기 물막이 시트들을 각각 관통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물막이 시트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물막이 모듈들은,
    상기 모듈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면서 V 형태로 배치되거나 원통형으로 배치되어 유수를 차단시키며,
    상기 물막이 시트는,
    일부분에 유수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의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물막이 시트의 크기나 상기 하단로프 또는 상기 상단로프의 길이의 가변을 통해서 상기 물막이 시트에 의한 유수의 차단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KR2020160005100U 2016-09-01 2016-09-01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KR201700020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100U KR20170002015U (ko) 2016-09-01 2016-09-01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100U KR20170002015U (ko) 2016-09-01 2016-09-01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442 Division 2016-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15U true KR20170002015U (ko) 2017-06-08

Family

ID=5909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100U KR20170002015U (ko) 2016-09-01 2016-09-01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1891A (zh) * 2018-01-16 2018-06-29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智能拦挡式围隔
CN110565582A (zh) * 2019-09-23 2019-12-13 陆正平 一种海上新型易安装与拆除的消涌消浪装置
KR20220048369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78A (ko)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파랑 하중 감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78A (ko)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파랑 하중 감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1891A (zh) * 2018-01-16 2018-06-29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智能拦挡式围隔
CN108221891B (zh) * 2018-01-16 2023-08-18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智能拦挡式围隔
CN110565582A (zh) * 2019-09-23 2019-12-13 陆正平 一种海上新型易安装与拆除的消涌消浪装置
KR20220048369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139B2 (en) Wave attenuator and security barrier system—connector
US7044076B2 (en) Pontoon for protection barrier system
JP5695048B2 (ja) 潮汐応答バリア
JP5345727B1 (ja) 消波装置
KR20170002015U (ko)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파랑 및 수중흐름 복합저감장치
US20110002739A1 (en) Temporary floating breakwater and causeway with simulated beach and kelp
KR20140014246A (ko) 고 하중에 대해 평활한 응력―변형 응답을 갖는 계류용 밧줄 구성요소
JP2006206006A (ja) 浮体の係留方法
US20190137225A1 (en) Security and debris barrier
CA3083632A1 (en) Roof cover for fish farm
RU2328589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10130822A (ko) 외해용 양식장치 구조물
CN101273173A (zh) 人工礁和构建人工礁的方法
KR20210098666A (ko) 탄성 계류 로프
US7056059B1 (en) Boom with ramped or horizontal skirt structure for slowing the flow speed of buoyant fluids on moving water for fluid, containment, fluid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CA1065626A (en) Wave reduction device
WO2023117459A1 (en)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KR20170002014U (ko) 고강도 소재를 이용한 수중흐름 저감장치
KR20220092403A (ko) 부유식 방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US20020192036A1 (en) Erosion control mats
JPS60144408A (ja) 船舶侵入防護施設
KR200390423Y1 (ko) 부유형 방현재의 지지구조
CN109440722A (zh) 一种张力腿锚系可下潜浮式防波装置及防波堤
JPH11222838A (ja) 汚濁防止膜
Harms Data and procedures for the design of floating tire breakw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