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266A -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 Google Patents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266A
KR20220048266A KR1020200131224A KR20200131224A KR20220048266A KR 20220048266 A KR20220048266 A KR 20220048266A KR 1020200131224 A KR1020200131224 A KR 1020200131224A KR 20200131224 A KR20200131224 A KR 20200131224A KR 20220048266 A KR20220048266 A KR 2022004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rrugated cardboard
plate
cardboard box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196B1 (ko
Inventor
김장민
Original Assignee
듀팩장원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팩장원기계(주) filed Critical 듀팩장원기계(주)
Priority to KR102020013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6Mechanically by introducing opening fingers in the collaps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6Mechanically by introducing opening fingers in the collapsed blanks
    • B31B50/787Rotating fingers; Two or more fingers moving relatively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혀져서 직립된 복수의 골판지박스(1)를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이 박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이 세퍼레이터(1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조우(60)를 포함하는 제함기에서, 상기 조우(60)는, 상기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분리된 골판지박스(1)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71)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70); 일측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70)의 일측단에 수직회전축(81)을 중심으로 일면이 지지플레이트(70)와 마주보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플레이트(80); 및 일면이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92)이 구비된 가변플레이트(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이다.

Description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Box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box thickness }
본 발명은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판지박스의 두께에 따라 장치가 가변되어 골판지박스를 보다 정밀하게 펼칠 수 있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박스와 같은 포장용 박스는 컨베이어를 따라 직립 상태로 이송되는 납작하게 접혀진 골판지박스를 펼친 후 하단에 구비된 날개를 서로 포개지도록 접어서 접착테이프로 봉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제함기가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제함기를 도시한 것으로, 납작하게 접혀진 골판지박스(1)가 직립 상태로 전후로 밀착되어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2)와, 이 이송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3)와, 분리된 블랭크 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조우(4)와, 펼쳐진 박스(1) 하단의 플랩(1a)을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 플랩접이수단(8)과, 이 플랩접이수단(8)로부터 전달되는 박스(1)를 이송시키면서 접혀진 하단부의 플랩(1a)을 테이핑하여 고정하는 테이핑수단(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종래의 조우(4)는 이송컨베이어(2)의 일측에서 직립된 수직프레임(2a)에 수평연장된 지지판(5)과, 이 지지판(5)의 일측 수직회전축(5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판(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5) 및 회동판(6)의 일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도시안된 골에 삽입되는 결합핀(7)이 구비된다.
그런데 도 3과 같이 종래의 조우(4)의 회동판(6)이 지지판(5)에 절첩되도록 회동될 때, 수직회전축(5a) 및 결합핀(7)의 두께 등으로 지지판(5) 및 회동판(6) 사이에 유격(T1)이 발생되는데, 상기 지지판(5) 및 회동판(6) 사이의 유격(T1)보다 두께(T2)가 얇은 골판지박스(1)는 지지판(5) 및 회동판(6) 사이에서 위치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므로, 지지판(5) 및 회동판(6)의 결합핀(7)이 골판지박스(1)의 골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여 골판지박스(1)를 제대로 펼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공정이 논스톱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가동이 중단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6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판지박스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골판지박스가 조우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골판지박스의 골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골판지박스를 효과적으로 사각통 형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골판지박스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로 골판지박스를 하나씩 용이하게 분리하여 조우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골판지박스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가 줄고 작동 중단 없이 제함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납작하게 접혀져서 직립된 복수의 골판지박스(1)를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이 박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이 세퍼레이터(1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조우(60)를 포함하는 제함기에서, 상기 조우(60)는, 상기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분리된 골판지박스(1)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71)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70); 일측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70)의 일측단에 수직회전축(81)을 중심으로 일면이 지지플레이트(70)와 마주보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플레이트(80); 및 일면이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92)이 구비된 가변플레이트(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일측에는 끼움공(82)이 관통되고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83)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플레이트(90)에는 회동플레이트(80)의 끼움공(82)에 끼워져서 그 둘레부에 걸려지는 단면 기역자 형상의 끼움돌기(92)와,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오목홈(83)에 측방으로 끼워지며 오목홈(83)의 둘레에 걸려지는 헤드(94)를 갖는 볼트축(93)이 결합되는 볼트공(9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퍼레이터(70)는 박스공급부(10)의 전단부에서 직립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상판(31)과, 이 상판(31)의 전단에서 하향연장되며 하단이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서 다른 골판지박스(1)와 분리시키는 가압판(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판(32)에 결합공(33)이 형성된 앵글(30); 상기 앵글(30)의 가압판(32)의 전면 하단에서 하향돌출되어 직립된 최전방 골판지박스(1)의 전면을 지지하는 스토퍼(40); 및 상기 앵글(30)의 가압판(32)의 배면에 결합수단(5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하단이 앵글(30)의 가압판(32)과 함께 상기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주는 보조앵글(50);을 포함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소정 두께(t3,t4)를 갖는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 장착함으로써,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가 달라지더라도 지지플레이트(70) 및 가변플레이트(90)의 제1 및 제2결합핀(71,91)이 골판지박스(1)의 골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사각통 형태로 용이하게 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중단이 없이 논스톱으로 골판지박스(1)를 제함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가 절감되므로 생산단가를 낮춰 저가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 체결하는 등의 복잡한 방식이 아니라 가변플레이트(90)의 단면 기역자 형상의 끼움돌기(92) 및 볼트축(93)을 회동플레이트(80)의 끼움공(82) 및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83)에 삽입하고 너트체(94)를 볼트축(93)에 조여주는 간단한 방식으로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세퍼레이터(20)의 앵글(30)에 소정 두께를 갖는 보조앵글(50)을 착탈시킴으로써,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가 달라지더라도 세퍼레이터(20)가 골판지박스(1)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분리시켜 조우(60)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골판지박스(1)의 훼손없이 논스톱으로 제함할 수 있어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제함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제함기의 조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제함기의 조우가 골판지박스를 클램핑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조우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조우의 가변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조우의 서로 다른 두께의 가변플레이트의 결합을 보인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세퍼레이터를 보인 도면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세퍼레이터 및 인젝터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10은 상기 실시예의 인젝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의 인젝터의 가변상태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는 납작하게 접혀져서 직립된 다수의 골판지박스(1)를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이 박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이 세퍼레이터(2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조우(60)를 포함한다. 아울러, 주지된 바와 같이 조우(60)에서 펼쳐진 박스(1)의 플랩(1a)을 접고 테이핑하는 플랩접이부(100) 및 테이핑부(110)를 통해 박스(1)가 완성된다.
상기 박스공급부(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골판지박스(1)를 직립되어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공급한다. 도 4와 같이,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는 포스트(11)가 직립된다.
상기 세퍼레이터(2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한다.
상기 조우(60)는 세퍼레이터(2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70), 회동플레이트(80) 및 가변플레이트(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70)는 일측단이 상기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 구비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지지플레이트(70)는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분리된 골판지박스(1)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박스공급부(10)의 공급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70)의 전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도시안된 골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71)이 구비된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80)는 일측단이 지지플레이트(70)의 일측단에 수직회전축(81)을 중심으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80)는 회동실린더(6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회동플레이트(80)의 일측에는 끼움공(82)이 관통되고,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83)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변플레이트(90)는 회동플레이트(80)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91)이 구비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변플레이트(90)의 일면에는 회동플레이트(80)의 끼움공(82)에 끼워져서 그 둘레부에 걸려지도록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끼움돌기(92)와, 회동플레이트(80)의 오목홈(83)에 측방으로 끼워지는 볼트축(93)이 결합되는 볼트공(95)이 구비된다. 이때, 볼트축(93)에는 회동플레이트(80)의 오목홈(83)의 둘레에 걸려지는 헤드(94)가 구비된다. 경우에 따라, 볼트축(93)이 가변플레이트(90)에 고정되고 헤드(94)와 같이 직경이 큰 너트체가 볼트축(93)에 결합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변플레이트(90)의 끼움돌기(92) 및 볼트축(93)을 회동플레이트(80)의 끼움공(82) 및 오목홈(83)에 각각 끼우고 너트체(94)를 조여주면 가변플레이트(90)가 회동플레이트(80)에 고정된다. 그리고 너트체(94)를 풀러주기만 하면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방식은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는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두께(t3,t4)가 서로 다른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지지플레이트(70)와 회동플레이트(80)가 절첩될 때 골판지박스(1)가 그 사이에서 유동되는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도 7과 같이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소정 두께(t3,t4)를 갖는 가변플레이트(90)를 회동플레이트(80)의 일면에 결합시킴으로써, 골판지박스(1)가 지지플레이트(70)와 가변플레이트(90) 사이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지플레이트(70) 및 가변플레이트(90)의 제1 및 제2결합핀(71,91)이 골판지박스(1)의 골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골판지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용이하게 펼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는 세퍼레이터(20)가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20)는 앵글(30), 스토퍼(40) 및 보조앵글(50)을 포함하여 골판지박스(1)의 두께(t1,t2)에 따라 보조앵글(5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앵글(30)은 박스공급부(10)의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상판(31)과, 이 상판(31)의 전단에서 하향연장되며 하단이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서 다른 골판지박스(1)와 분리시키는 가압판(32)으로 이루어진다. 가압판(32)에는 상기 보조앵글(50)을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공(33)이 형성된다. 도 와 같이, 결합공(33)은 수평장공 형상이며 일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삽입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40)는 앵글(30)의 가압판(32)의 전면 하단에서 하향돌출되어 직립된 최전방 골판지박스(1)의 전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보조앵글(50)은 도 9와 같이 앵글(30)의 가압판(32)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앵글(30)과 함께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준다. 이와 같은 보조앵글(50)을 앵글(30)에 결합시킴으로써, 골판지박스(1)의 두께가 앵글(30)의 가압판(32)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앵글(30)만으로 가압하게 되면 골판지박스(1)의 상단플랩(1a)이 찌그러질 수 있는 것이 방지되고 골판지박스(1)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앵글(50)은 앵글(30)의 가압판(32)의 결합공(33)에 결합수단(51)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수단(51)은 앵글(30)의 결합공(33)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도 8과 같이 선단에 헤드(52)가 구비된 볼트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결합수단(51)의 헤드(52)가 앵글(30)의 결합공(33)의 직경이 확장된 삽입부(34)를 통해 끼워져서 결합공(33)을 따라 이동되면 결합공(33)의 둘레부에 걸려진다.
그리고 한편, 보조앵글(50)에는 상단에서 수평연장된 수평연장부(53)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수평연장부(53)가 앵글(30)의 상판(31)에 보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앵글(30)의 상판(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보조오목홈(35)이 형성되고, 보조앵글(50)의 수평연장부(53)에는 앵글(30)의 보조오목홈(35)에 측방으로 삽입되는 보조볼트(54)가 결합되며, 이 보조볼트(54)의 헤드(55)가 앵글(30)의 보조오목홈(35)의 상단 둘레부에 걸려진다. 이에 따라, 보조앵글(50)에 결합된 보조볼트(54)를 앵글(30)의 상판(31)의 보조오목홈(35)에 끼우고 조여주면 헤드(55)가 보조앵글(50)이 앵글(30)의 상판(31)에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골판지박스(1)의 두께에 따라 소정 두께를 갖는 보조앵글(50)을 앵글(3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조우(60)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판지박스(1)를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논스톱으로 사각통 형태로 펼칠 수 있어 비가동시간이 줄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는 세퍼레이터(2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조우(60)로 공급하는 인젝터(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인젝터(120)는 골판지박스(1)의 하단 전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21)와 이 수직부(12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골판지박스(1)를 받쳐주는 받침부(125)로 이루어지며 인젝터실린더(126)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125)는 수직부(121)에서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체로 이루어져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11과 같이 도 10에 비해 두께가 비교적 얇은 골판지박스(1)의 경우 복수개의 골판지박스(1)가 인젝터(1)에 투입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골판지박스(1)만 인젝터(120)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인젝터(120)의 수직부(1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판(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인젝터(120)의 수직부(121)에는 세퍼레이터(20)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장공(122)이 형성되고 이 수평장공(122)의 일단에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123)가 형성된다. 또한 인젝터(120)의 수직부(12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요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판(130)에는 인젝터(120)의 복수개의 수평장공(122)의 확장부(123)와 각각 정렬되는 복수개의 걸림핀(131)이 구비되며, 이 걸림핀(131)의 선단에는 인젝터(120)의 수평장공(122)의 둘레부에 걸려지는 헤드부(132)가 구비된다. 또한 수직판(130)에는 인젝터(120)의 수직부(121)의 요홈(124)에 측방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134)가 결합되는 탭공(133)이 형성된다. 고정볼트(134)의 헤드(135)가 인젝터(120)의 요홈(124)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수직판(130)을 인젝터(120)에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골판지박스 10 : 박스공급부
20 : 세퍼레이터 30 : 앵글
40 : 스토퍼 50 : 보조앵글
60 : 조우 70 : 지지플레이트
80 : 회동플레이트 90 : 가변플레이트
100 : 플랩접이부 110 : 테이핑부
120 : 인젝터 130 : 수직판

Claims (3)

  1. 납작하게 접혀져서 직립된 복수의 골판지박스(1)를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이 박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골판지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이 세퍼레이터(10)에서 분리된 골판지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조우(60)를 포함하는 제함기에서,
    상기 조우(60)는,
    상기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분리된 골판지박스(1)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박스공급부(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71)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70);
    일측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70)의 일측단에 수직회전축(81)을 중심으로 일면이 지지플레이트(70)와 마주보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플레이트(80); 및
    일면이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는 골판지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92)이 구비된 가변플레이트(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일측에는 끼움공(82)이 관통되고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83)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플레이트(90)에는 회동플레이트(80)의 끼움공(82)에 끼워져서 그 둘레부에 걸려지는 단면 기역자 형상의 끼움돌기(92)와, 상기 회동플레이트(80)의 오목홈(83)에 측방으로 끼워지며 오목홈(83)의 둘레에 걸려지는 헤드(94)를 갖는 볼트축(93)이 결합되는 볼트공(9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70)는 박스공급부(10)의 전단부에서 직립된 포스트(1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상판(31)과, 이 상판(31)의 전단에서 하향연장되며 하단이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서 다른 골판지박스(1)와 분리시키는 가압판(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판(32)에 결합공(33)이 형성된 앵글(30);
    상기 앵글(30)의 가압판(32)의 전면 하단에서 하향돌출되어 직립된 최전방 골판지박스(1)의 전면을 지지하는 스토퍼(40); 및
    상기 앵글(30)의 가압판(32)의 배면에 결합수단(5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하단이 앵글(30)의 가압판(32)과 함께 상기 최전방에 위치된 골판지박스(1)의 상단을 눌러주는 보조앵글(50);을 포함하는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KR1020200131224A 2020-10-12 2020-10-12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KR10242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24A KR102427196B1 (ko) 2020-10-12 2020-10-12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24A KR102427196B1 (ko) 2020-10-12 2020-10-12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266A true KR20220048266A (ko) 2022-04-19
KR102427196B1 KR102427196B1 (ko) 2022-07-29

Family

ID=813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24A KR102427196B1 (ko) 2020-10-12 2020-10-12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1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10Y1 (ko) 2005-07-15 2005-10-13 장현규 제함기
US7131941B2 (en) * 2004-11-05 2006-11-07 Wexxar Packaging Inc. Thickness adjustment and stabilizer bar system for a case erector
KR20140004479A (ko) * 2012-07-03 2014-01-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101463862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JP2018030249A (ja) * 2016-08-22 2018-03-01 株式会社共和 製函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1941B2 (en) * 2004-11-05 2006-11-07 Wexxar Packaging Inc. Thickness adjustment and stabilizer bar system for a case erector
KR200398610Y1 (ko) 2005-07-15 2005-10-13 장현규 제함기
KR20140004479A (ko) * 2012-07-03 2014-01-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101463862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JP2018030249A (ja) * 2016-08-22 2018-03-01 株式会社共和 製函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196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88635U (zh) 航空叶片夹具
KR20150136306A (ko) 자동 박스 제함기
KR20140004479A (ko) 제함기
KR20220048266A (ko)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DE10201720627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Kartons
CN213564615U (zh) 一种全自动糊盒机的送纸装置
CN214324341U (zh) 一种糊盒机送纸机构
WO2009113337A1 (ja) 縫い目形成装置及びミシン
CN210191984U (zh) 包装袋夹送装置
CN108796923A (zh) 一种拉幅定型机
US8056457B2 (en) Arrangement for covering a flat lying blank with a cover
CN209580649U (zh) 一种刮边装置
CN210477945U (zh) 一种全自动粘箱机纠偏装置
US7766808B2 (en) Carton flap gripping system
CN110509605B (zh) 一种瓦楞纸箱缝边生产线
CN206244365U (zh) 一种泵头自动定位锁盖机
KR20160109063A (ko) 탭핑 장치
CN213624645U (zh) 一种缝纫用展开装置
KR102385896B1 (ko) 제함기용 박스피딩 제어장치
KR20130052842A (ko)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CN113183527A (zh) 一种纸质立体袋的成型机
CN218577092U (zh) 一种分纸机的进料机构
CN213108449U (zh) 一种手袋生产用折边装置
CN215972544U (zh) 一种封箱机的侧贴标机构
CN212895334U (zh) 一种胶条缝纫机用胶条输送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