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03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033A
KR20220047033A KR1020200130456A KR20200130456A KR20220047033A KR 20220047033 A KR20220047033 A KR 20220047033A KR 1020200130456 A KR1020200130456 A KR 1020200130456A KR 20200130456 A KR20200130456 A KR 20200130456A KR 20220047033 A KR20220047033 A KR 2022004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or
power grid
generators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
손문호
정진기
하대승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7033A/ko
Publication of KR2022004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2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ship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된 전력망과,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고,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와,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발전기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발전기 및 배터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 중 소비되지 않은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부하에 의한 부족 전력을 보충하는 장치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이라 한다. 잉여 전력 저장 및 부족 전력 보충을 위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송수신 수단 및 에너지 저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부하의 이용 현황에 따라 전력을 저장하거나 방출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4332호 (2017.1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전기 및 배터리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된 전력망과,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고,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와,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발전기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중단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 또는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에 대응하는 전력이 상기 전력망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한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중단하는 발전기의 발전량과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발전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력이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발전기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의 교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의 부족 전력을 에너지 저장부가 보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20)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30)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30)은 전력망(100), 발전기(210~240), 선내 부하(300), 에너지 저장부(400), 전력 관리부(500) 및 에너지 관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30)은 선박(10)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어 전력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망(100)은 선체(20)에 구비되고, 선내에 구비된 각종 전력 설비에 연결되어 전력 설비간 전력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망(100)은 교류 전력망일 수 있다. 이에, 발전기(210~240)에서 생산된 전력은 직접적으로 전력망(100)으로 공급되고, 전력망(100)의 교류 전력은 AC/DC 컨버터 및 DC/AC 인버터와 같은 전력 변환기(700)에 의해 변환되어 전력 설비로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력망(100)은 교류 전력망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력망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 변환기(700)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력망(100)이 교류 전력망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전기(210~240)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210~240)는 2000kW 이상의 대용량 전력을 생산하는 디젤 발전기일 수 있다. 복수의 발전기(210~240)가 전력망(100)에 병렬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을 전력망(100)에 공급할 수 있다.
선내 부하(300)는 전력망(10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내 부하(300)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 크레인, 화물 탱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증발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또는 압축된 증발 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일 수 있다. 또는, 연료공급용 펌프, 블로워, 비상용 제어 장비, 비상용 전등, 배수설비용 펌프, GPS 수신기, 레이더 장치, 무선설비, 선박 위치발신장치 등이 선내 부하(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전력 관리부(500) 및 에너지 관리부(600)가 선내 부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에너지 저장부(400)는 전력망(100)에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하거나 전력망(10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부(400)는 발전기(210~24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전력망(100)을 통해 저장된 전력을 선내 부하(300)에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부(400)는 배터리(410) 및 컨버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10)는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고, 컨버터(420)는 배터리(410)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배터리(410)는 직류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할 수 있다. 컨버터(420)는 전력망(100)으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410)로 전달하거나, 배터리(410)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망(1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부(4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관리부(500)는 전력망(100)에 연결된 선내 부하(300) 및 발전기(210~24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발전기(210~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부(500)는 선내 부하(300)의 전력 소비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전기(210~240)로 하여금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거나 전력 생산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전력망(100)에는 복수의 발전기(210~240)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관리부(500)는 일부 발전기만이 동작하도록 하고 나머지 발전기는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부(500)는 발전기(210~240)별로 부하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부(500)는 특정 발전기로 하여금 20%의 부하율로 발전하도록 하고, 다른 발전기로 하여금 80%의 부하율로 발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율은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 중 현재 생산되고 있는 발전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력 관리부(500)는 각 발전기(210~240)의 발전량을 제어함에 있어서 다른 발전기의 발전량을 참조할 수도 있다.
에너지 관리부(600)는 전력 관리부(500) 및 에너지 저장부(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관리부(600)는 전력망(100)의 전력 공급 상태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저장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에너지 관리부(600)는 복수의 발전기(210~240)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부(400)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발전기(210~240)가 교대 운전하는 경우 부족 전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에너지 관리부(600)는 부족 전력량을 에너지 저장부(400)가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발전기(210~240)의 교대 운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발전기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의 교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의 부족 전력을 에너지 저장부가 보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전기(210~240) 중 일부는 교대 운전할 수 있다.
발전기(210~240)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복수의 발전기(210~240)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할 수 있다. 교대 운전에 의해 동작 중인 발전기는 동작을 중단하고, 중단 중인 발전기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발전기 1(210) 및 발전기 2(220)가 운전 중인 것을 도시하고 있고, (b)는 발전기 2(220)와 발전기 3(230)이 교대 운전하여 발전기 1(210) 및 발전기 3(230)이 운전 중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c)는 발전기 1(210)과 발전기 4(240)가 교대 운전하여 발전기 3(230) 및 발전기 4(240)가 운전 중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발전기가 교대 운전하는 도중에 교대 운전 중인 발전기가 낮은 부하율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전기 2(220)에서 발전기 3(230)으로 교대 운전되는 상황에서 발전기 2(220) 및 발전기 3(230)은 교대 운전 중에 낮은 부하율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롭게 동작을 개시하는 발전기 3(230)가 목표 발전량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전기 3(230)의 발전량이 목표 발전량(TP3)에 도달할 때까지 발전기 2(220)의 동작이 지속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 때 발전기 2(220) 및 발전기 3(230)이 낮은 부하율로 발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발전기(210~240)가 목표 발전량에 대응하는 목표 부하율보다 낮은 부하율로 발전하는 경우 발전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발전기(210~240)는 연료를 연소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인데, 부하율이 낮은 경우 소비된 연료에 비하여 생산된 전력량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전기(210~240)가 낮은 부하율로 동작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부(600)는 발전기(210~240)가 낮은 부하율로 발전을 수행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 관리부(600)는 에너지 저장부(400)에 저장된 전력이 전력망(10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관리부(600)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중단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 또는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에 대응하는 전력이 전력망(100)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에너지 저장부(400)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부(400)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의 부족 전력을 보충할 수 있다.
발전기 2(220)에서 발전기 3(230)으로 교대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발전기 2(220)는 동작을 중단하고, 발전기 3(230)은 목표 발전량(TP3)에 도달할 때까지 발전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발전기 2(220)가 동작을 중단함에 따라 발전기 2(220)의 발전량이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즉, t1 시점에서 발전기 2(220)가 동작을 중단한 경우 ts 시점에 발전기 2(220)의 발전량은 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 2(220)의 동작 중단이 개시되고, 발전기 3(230)의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인 t1부터 발전기 3(230)의 발전량이 목표 발전량(TP3)에 도달하는 t2 시점까지 전력망(100)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부(600)는 해당 부족 전력을 에너지 저장부(400)가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부(400)는 에너지 관리부(600)의 제어에 따라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부(600)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중단하는 발전기의 발전량과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발전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력이 전력망(100)으로 공급되도록 에너지 저장부(400)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에너지 저장부(400)는 t1 시점부터 ts 시점까지 방전량을 증가시키고, ts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방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족 전력량은 동작 중단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 또는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전기 2(220)의 목표 발전량(TP2)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부족 전력량은 발전기 2(220)의 목표 발전량(TP2)에서 발전기 3(230)의 발전량을 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발전기 3(230)의 목표 발전량(TP3)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부족 전력량은 발전기 3(230)의 목표 발전량(TP3)에서 발전기 2(220)의 발전량을 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을 기준으로 부족 전력량이 산출되는 경우 t1 시점 및 t2 시점에서 에너지 저장부(400)의 방전량은 0 이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발전기 2(220)의 동작이 중단되는 시점부터 발전량이 0이 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2(220)의 동작이 중단되는 즉시 발전량이 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너지 저장부(400)는 t1 시점에 발전기 2(220)의 목표 발전량(TP2) 또는 발전기 3(230)의 목표 발전량(TP3)의 전력을 방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기 2(220)에 의한 전력 공급이 즉시 중단되더라도 전력망(100)에는 균일한 양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20: 선체
30: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0: 전력망
210~240: 발전기 300: 선내 부하
400: 에너지 저장부 500: 전력 관리부
600: 에너지 관리부 700: 전력 변환기

Claims (3)

  1. 선체;
    상기 선체에 구비된 전력망;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고,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발전기;
    상기 전력망에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발전기 중 일부가 교대 운전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목표 발전량에 대응하는 전력이 상기 전력망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관리부는 교대 운전하는 발전기 중 동작 중단하는 발전기의 발전량과 동작 개시하는 발전기의 발전량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력이 상기 전력망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선박.
KR1020200130456A 2020-10-08 2020-10-08 선박 KR20220047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56A KR20220047033A (ko) 2020-10-08 2020-10-08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56A KR20220047033A (ko) 2020-10-08 2020-10-08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033A true KR20220047033A (ko) 2022-04-15

Family

ID=8121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56A KR20220047033A (ko) 2020-10-08 2020-10-08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70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32A (ko) 2016-04-04 2017-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32A (ko) 2016-04-04 2017-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 발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067B2 (en) Power system of ship
US6787259B2 (en) Secondary power source for use in a back-up power system
US20050225090A1 (en) Island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n island network
CN112208737B (zh) 一种混合电力推进系统
CN112224372B (zh) 一种混合电力推进系统及其启动方法
CN112249291B (zh) 一种船用燃料电池单元的控制方法及混合电力推进系统
CN112224373B (zh) 一种船用燃料电池单元的控制方法及混合电力推进系统
KR101711467B1 (ko) 발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47033A (ko) 선박
KR102629126B1 (ko) 선박
KR102605386B1 (ko) 선박
WO2022057371A1 (zh) 混合电力推进系统、启动方法及控制方法
KR102629109B1 (ko) 선박 및 상기 선박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680321B1 (ko) Ess 제어 장치
KR102629114B1 (ko) 선박 및 상기 선박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220047036A (ko) 선박
KR102629129B1 (ko) 선박
KR20220047038A (ko) 선박
KR20220055596A (ko) 선박
KR20220055592A (ko) 선박
KR20220055607A (ko) 선박
KR102629121B1 (ko) 선박
KR20220055172A (ko) 선박
KR20220055595A (ko) 선박
CN112238790B (zh) 一种船用蓄电池单元的控制方法及混合电力推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