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875A -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875A
KR20220046875A KR1020200130091A KR20200130091A KR20220046875A KR 20220046875 A KR20220046875 A KR 20220046875A KR 1020200130091 A KR1020200130091 A KR 1020200130091A KR 20200130091 A KR20200130091 A KR 20200130091A KR 20220046875 A KR20220046875 A KR 2022004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ixture
manufacturing
plywood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김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훈 filed Critical 김기훈
Priority to KR102020013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875A/ko
Publication of KR2022004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6Making particle boards or fibreboards, with preformed covering layers, the particles or fibres being compressed with the layers to a board in one single press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폐 가구의 표면부와 자투리부분은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다음 접착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표면부를 벗겨낸 안쪽부의 합판은 가공목재의 성형시에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가열의 과정 없이 가압만으로 가공목재를 제조하며, 멜라민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성형기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ed wood using waste furniture}
본 발명은 폐 가구를 이용하여 가공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각장에서 소각되는 폐 가구를 재활용하여 가공목재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목재로는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y Fiberboard), 로우디에프(LDF: Low Density Fiberboard), 피비(PB: Particle Board) 등이 주종을 이룬다.
종래 가공목재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은데, (a)는 국내특허출원 10-2001-0010218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폐기되는 목재(박달나무나 대추나무)를 수거한 다음 건조하고 분쇄하여 톱밥인 분쇄물(2)을 얻고 상기 분쇄물(2)에 접착제(4)를 투입혼합하여 혼합물(6)을 얻고 상기 혼합물(6)을 압축기의 성형틀(8)에 넣고 가압-가열하여 압축목(10)을 제조하며 접착제(4)에 색소나 기능성소재를 함께 투입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압축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는 국내특허출원 10-1999-0021649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가>는 봉체형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나>는 동상 관체형의 예시도이며 <다>는 동상 절공체의 외형 사시도로써 목재분말을 주제로 하는 제1공정의 원자재에 부재 및 첨가재를 혼입한 상태에서 가열-가압하여 성형하는 제조방법과 제1공정의 성형품을 압축기의 투입구를 별도로 설치하고 압출물을 열 조정하여 표면과 내부에 나이테 등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c)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4-55204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목재박편을 염료와 난연화처리제 등으로 처리한 후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축기에서 압축성형하여 목질화 장단편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폐목이나 원목 등을 분쇄하여 목재분말 또는 목재박편 등의 분쇄물으로 만들어서 분쇄물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부재료인 접착제나 염료 등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들며, 혼합물을 압축기 또는 성형틀 등의 성형기에 넣어 가열-가압하여 가공목재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가압-가열의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가열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가열시간만큼 제작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톱밥을 주재료로 하므로 폐목이나 원목은 전체를 분쇄시켜야하고, 폐가구는 표면의 멜라민수지층을 벗겨낸 다음 내측 합판만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들어야 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압축목을 만든 다음에는 표면인 멜라민수지를 별도로 도포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목재 전체를 톱밥으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폐 가구의 표면부와 자투리부분은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다음 접착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지만, 표면부를 벗겨낸 안쪽부의 합판은 가공목재의 성형시에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가열의 과정 없이 가압만으로 가공목재를 제조하며, 멜라민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성형기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은 폐기처분(소각)되는 폐 가구를 재활용하므로 자원을 재활용한 효과가 있으며, 소각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고, 가압하는 성형기에서 멜라민수지까지 도포된 가공목재를 제조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해지며, 제작소요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폐 가구에서 표면부를 분리하는 과정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재생합판부의 절단과정
도 5는 본 발명 가공목재의 성형과정
도 6은 본 발명 가공목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소각장에서 폐기처분(소각)되는 폐 가구를 재활용해서 건축자재나 인테리어자재 또는 가구재료로 사용되는 엠디에프(M.D.F) 등의 가공목재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 가구에서 표면부를 분리하는 과정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재생합판부의 절단과정이고, 도 5는 본 발명 가공목재의 성형과정이며, 도 6은 본 발명 가공목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 가구(21)는 제1합판부(25-1)를 멜라민수지 등의 표면부(22)가 감싼 형태이며, 폐 가구(21)의 표면부(22)는 닳고 거칠며 가구마다 무늬나 색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고, 소각시에 다이옥신등의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는 환경문제로 인하여 소각장에서 모두 폐기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대패기나 제단기를 이용하여 폐 가구(21)에서 표면부(22)만 벗겨내면 제1표면부(23)와 제2표면부(24) 및 제2합판부(25-2)로 분리된다.
여기서 제2합판부(25-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가능한 크기만큼 절단한 재생합판부(26)가 재생되고 자르고 난 후에는 자투리부가 남는다.
또한 제1표면부(23)와 제2표면부(24)를 상기의 자투리부와 함께 분쇄하여 톱밥(28)을 생성하고, 톱밥(28)에 접착제(29)를 혼합하면 유동성이 있는 혼합물(30)이 된다.
상기의 재생합판부(26)와 혼합물(3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목재로 재활용되는데, 하부성형기(27-2)에 멜라민수지(31)를 놓고 그 위에 혼합물(30)을 도포하며, 혼합물(30)의 상부에는 재생합판부(26)를 성형기의 크기에 맞게 하나 또는 다수개를 배치시키고, 재생합판부(26)의 상부에는 다시 혼합물(30)을 도포하고, 그 위에 마지막으로 멜라민수지(31)를 도포한 다음 상부성형기(27-1)를 하강시켜 가압하면, 재생합판부(26)의 상-하부에 위치한 혼합물(30)과 멜라민수지(31)가 압착됨과 동시에 혼합물(30)의 접착제(29)가 굳어지면서 서로 압착고정되어 가공목재(32)가 제조된다.
상기에서 재생합판부(26)가 성형기(27)의 내에서 다수개가 배치되며, 재생합판부(26)와 재생합판부(26)의 사이나 재생합판부(26)의 상-하부에 유동성이 있는 혼합물(30)이 구석구석에 유입되어 성형기(27)를 가압하여 가공목재(32)를 제작하면 재생목재(32)의 강도는 강해지고, 별도의 수평 맞춤이 없더라도 성형기 내에서 저절로 수평이 맞춰지며, 표면인 멜라민수지(31) 층은 편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성형기의 형태에 따라서 여러가지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정단계가 없이 가압만으로 재생목재(32)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1차가공목재에 최종적으로 멜라민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성형기(27)에서 모든 작업과정이 완료되므로 제작과정이 단순해지고, 제작소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각되는 폐 가구를 재활용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효과도 있으며 소각비용이 절감되고, 환경문제도 해결한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 가공목재(32)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인데, 폐 가구(21)를 수집하는 단계(100)와, 수집된 폐 가구(21)를 표면부(22)와 제2합판부(25-2)로 분리하는 단계(110)와, 제2합판부(25-2)를 절단하여 재생합판부(26)로 만드는 단계(120) 및 분리된 제1표면부(23)와 제2표면부(24) 및 자투리부를 함께 분쇄시켜 톱밥(28)으로 만든 다음 접착제(29)를 혼합하여 혼합물(30)을 만드는 단계(130)를 거치고, 하부성형기(27-2)에 멜라민수지(31)를 놓고, 멜라민수지(31)의 상부에 혼합물(30)을 도포하고, 혼합물(30)의 상부에는 재생합판부(26)을 하나 또는 다수개 배치시키고, 재생합판부(26)의 상부에는 다시 혼합물(30)을 도포하고, 그 위에는 마지막으로 멜라민수지(31)를 도포한 다음, 상부성형기(27-1)를 하강시켜 가압하면 압착됨과 동시에 혼합물의 접착제가 굳어지면서 가공목재(32)의 제작이 완료된다.
21. 폐 가구 22. 표면부
23. 제1표면부 24. 제2표면부
25-1. 제1합판부 25-2. 제2합판부
26. 재생합판부 27. 성형기
27-1. 상부성형기 27-2. 하부성형기
28. 톱밥 29. 접착제
30. 혼합물 31. 멜라민수지
32. 가공목재

Claims (1)

  1. 폐목재나 폐 가구를 분쇄시킨 톱밥과 톱밥을 접착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기에 넣고 가압-가열하여 압축목을 만든 다음 압축목에 멜라민수지를 도포하여 엠디에프(M.D.F)를 제작하는 가공목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 가구(21)를 표면부(22)와 제2합판부(25-2)로 분리하는 단계(110);
    상기 제2합판부(25-2)를 절단하여 재생합판부(26)를 만드는 단계(120);
    상기에서 분리된 제1표면부(23)와 제2표면부(24)를 분쇄하여 톱밥(28)을 만들고 톱밥(28)과 접착제(29)를 혼합한 혼합물(30)을 만드는 단계(130);
    상기 성형기(27)의 하부성형기(27-2) 내에 멜라민수지(31)를 놓는 단계(141);
    상기 멜라민수지(31)의 상부에 혼합물(30)을 도포하는 단계(142);
    상기 혼합물(30)의 상부에 재생합판부(26)를 배치하는 단계(143);
    상기 재생합판부(26)의 상부에 혼합물(30)을 도포하는 단계(144);
    상기 혼합물(30)의 상부에 멜라민수지(31)를 도포하는 단계(145);
    상기 하부성형기(27-2)에 상부성형기(27-1)를 하강시켜 가압하는 단계(146);
    상기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 가공목재(32)의 제조가 완료되는 단계(147); 를 특징으로 하는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KR1020200130091A 2020-10-08 2020-10-08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KR20220046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091A KR20220046875A (ko) 2020-10-08 2020-10-08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091A KR20220046875A (ko) 2020-10-08 2020-10-08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75A true KR20220046875A (ko) 2022-04-15

Family

ID=8121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091A KR20220046875A (ko) 2020-10-08 2020-10-08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8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6219A (en) Wood-chip boards
US674331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solidated cellulosic panels with contoured surfaces and variable basis weight
US2005014004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oured consolidated cellulosic panels with variable basis weight
CN104588393B (zh) 利用废旧线路板及边角废料制造新型非木质环保板材的方法
KR20220046875A (ko) 폐 가구를 이용한 가공목재 제조방법
KR100721898B1 (ko) 폐 가구를 재활용한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EP120023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manufacture of lignocellulose-containing boards
CN101962882B (zh) 一种建筑废木模板及生产模板边角料压制的工业缝纫机台板
CN211074008U (zh) 一种连续平压刨花板生产系统
JP2009255401A (ja) ゴムチップ成形固化方法とゴムチップ成形固化装置
KR200202388Y1 (ko) 폐섬유 및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판 제조장치
JPS6014686B2 (ja) 凹溝を有する無機質板の製造法
CN110712264A (zh) 一种人造板的生产工艺
KR100247533B1 (ko) 폐목재를 이용한 인공목재의 제조방법
KR20220105097A (ko) 원목을 이용한 집성 판재 제조방법
AU709162B2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relief patterned sheet-like products
DE4316498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ndemittelhaltigen Holzfaserformteilen
KR20000036750A (ko) 폐섬유 및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판 제조장치
KR100518948B1 (ko) 부품용 판재 제조방법
KR20210057878A (ko) 테이블 상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테이블 상판
RU216354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олярно-мебельного щита
TW202206514A (zh) 回收並再利用酚醛類型廢料暨環保輕質電木酚醛材料的製造方法
CN114075364A (zh) 回收并再利用酚醛类型废料及环保电木酚醛材料的制造方法
KR20020069783A (ko) 목재를 이용한 고강도 압축목의 제조방법
JPS633768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