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777A -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777A
KR20220046777A KR1020200129828A KR20200129828A KR20220046777A KR 20220046777 A KR20220046777 A KR 20220046777A KR 1020200129828 A KR1020200129828 A KR 1020200129828A KR 20200129828 A KR20200129828 A KR 20200129828A KR 20220046777 A KR20220046777 A KR 2022004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trunk lid
closing
open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혁
김두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777A/ko
Priority to US17/152,347 priority patent/US11603696B2/en
Priority to CN202110143542.4A priority patent/CN114293874A/zh
Priority to DE102021200961.1A priority patent/DE102021200961A1/de
Publication of KR2022004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6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4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initi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6Function thereof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결합된 힌지암에 결합된 액츄에이터,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닫힘 트리거 링크,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열림 트리거 링크, 일 단부가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 및 상기 열림 트리거 링크에 결합되는 스프링 조립핀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트렁크 리드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모터에 의하지 않고 트렁크 리드를 원활하게 자동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TRUNK LID}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승용차량의 트렁크 룸은 화물을 넣어두는 차량 후방의 공간으로서 트렁크 리드가 장착되어 이를 개폐하게 된다.
트렁크 리드의 디자인 및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나, 대체로 트렁크 리드는 트렁크 룸의 상측과 후방 측을 차폐하도록 절곡된 패널 모양을 가지며, 힌지암(14)에 의해서 차체에 결합되어 힌지암이 회동함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진다.
트렁크 리드의 끝단과 차체에는 트렁크 리드가 닫혔을 때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단속하는 스트라이커(strike) 및 래치(11, latch)가 각각 장착되며, 래치(11)는 래치 액츄에이터(12)과 와이어로 연결되며, 스트라이커가 래치(11)에서 해제되었을 때, 트렁크 리드를 들어 올리도록 가스리프너(13), 토션바 등과 같은 리프터들이 추가가 된다.
파워트렁크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차체에 부설된 스위치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트렁크는 도시와 같이 일 단이 트렁크 리드와 결합되고 타 단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14)에 가스리프터(13)가 결합되어 스트라이커가 래치에서 해제됨에 따라 가스리프터(13)가 확장되어 트렁크 리드가 열리게 되고, 드라이브유닛(15)의 작동에 의해서 가스리프터(13)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트렁크 리드를 닫게 된다.
드라이브 유닛(3)은 모터와 제어유닛 및 기어장치가 결합되어 구성이 된다.
그런데, 이 같은 파워트렁크는 원가 및 중량이 과다하여 고급차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으며, 대형 모터에 의한 소음도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38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형 모터에 의하지 않고 트렁크 리드를 원활하게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는, 일 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결합된 힌지암에 결합된 액츄에이터,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닫힘 트리거 링크,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열림 트리거 링크, 일 단부가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 및 상기 열림 트리거 링크에 결합되는 스프링 조립핀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이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는,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닫힘 반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림 트리거 링크는,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열림 반력부 및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일 단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타 단부와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회동부의 일 단부 및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에는 각각 돌출핀이 체결되고, 일 단은 상기 회동부의 돌출핀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구속부의 돌출핀에 결합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된 상기 돌출핀은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 단부는 상기 링크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구속부의 회전 동작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에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열림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닫힘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는, 일 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결합된 힌지암에 결합된 액츄에이터,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닫힘 반력부를 포함하는 닫힘 트리거 링크,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열림 반력부 및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는 열림 트리거 링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열림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닫힘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상기 타 단부와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조립핀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이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의 일 단부 및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에는 각각 돌출핀이 체결되고, 일 단은 상기 회동부의 돌출핀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구속부의 돌출핀에 결합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된 상기 돌출핀은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 단부는 상기 링크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구속부의 회전 동작시 상기 회동부에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에 의하면, 소형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경량화 및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소형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고객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일 구성에 대한 측면 형상이며, 도 4a는 그 일부 구성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일 구성에 대한 측면 형상이며, 도 4a는 그 일부 구성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를 자동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과 같은 드라이브유닛이 적용되지 않고 소형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트렁크 리드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즉, 액츄에이터(110)가 작동함에 따라서, 닫힘 트리거 링크(120)와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연동하여 회전 동작함으로써 트렁크 리드가 닫히고 열리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액츄에이터(110)는 모터 하우징(114)이 힌지암(14)에 결합되고, 모터 하우징(114) 내에 모터(111)와 제1 기어(112), 제2 기어(113)가 내장된다.
모터 하우징(110)은 힌지암(14)의 차체 측에 인접하여 결합되고, 모터(111)의 동작에 의해 제1 기어(112)와 제2 기어(113)가 맞물려 동작하고, 제2 기어(113)의 회전축인 모터 회전축(115)에 결합된 닫힘 트리거 링크(120)를 회동시키게 된다.
닫힘 트리거 링크(120)는 일 단부가 모터 회전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부(121)와 닫힘 반력부(122)로 구성된다.
즉, 회동부(121)의 일 단부가 모터 회전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11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회동부(121)의 타 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닫힘 반력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닫힘 트리거 링크(120)의 회동부(121)의 타 단부에 열림 트리거 링크(130)의 열림 반력부(131)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열림 반력부(131)의 타 단부는 차체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열림 반력부(131)의 일 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구속부(132)가 형성된다.
그래서, 닫힘 트리거 링크(120)의 회동부(121)의 타 단부와 열림 트리거 링크(130)의 열림 반력부(131)의 일 단부가 링크(link)되어 닫힘 트리거 링크(120) 회동시 열림 트리거 링크(1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스프링 조립핀(140)이 회동부(121)의 타 단부와 열림 반력부(131)의 일 단부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열림 반력부(131)가 스프링 조립핀(140)을 축으로 하여 회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조립핀(140)에는 부시(151)를 매개로 스프링(150)의 일 단이 결합되고, 스프링(150)의 타 단은 트렁크 리드에 결합됨으로써, 트렁크 리드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이와 같이 소형 액츄에이터로 스프링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트렁크 리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로 강건한 개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트리거 매커니즘 구조이며, 트렁크 리드가 열림 시 스프링력에 의해서 트렁크가 오픈되고, 닫힘 시 트렁크 자중에 의해 자력으로 닫히게 한다.
즉, 스프링에 따른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Ms라 하고 트렁크 중량에 따른 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Mt라 할 때, 트렁크 열림 시에는 Ms>Mt가 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트렁크가 열리게 되고, 트렁크 닫힘 시에는 Ms<Mt가 되어 트렁크 자중에 의해 자력으로 닫히게 된다.
아울러, 트렁크 열림 및 닫힘 동작시 보다 원활한 동작 및 힘의 전달을 위해 차체에 추가적인 패널(panel)이 형성되고, 닫힘 트리거 링크 및 열림 트리거 링크가 패널을 밀어내어 반력에 의한 추가적인 회전력이 발생하게 한다.
한편, 닫힘 트리거 링크(120)의 회동부(121)의 일 단부에는 돌출핀(171)이 체결되고, 열림 트리거 링크(130)의 구속부(132)의 끝단부에도 돌출핀(172)이 체결된다.
그래서, 회동부(121)에 결합된 돌출핀(171)과 구속부(132)에 결합된 돌출핀(172)에 양 단이 결합되는 링크 스프링(160)이 결합되며, 도 5와 같이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스프링 조립핀(140)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링크 스프링(160)에 의한 복원력이 열림 트리거 링크(130)에 작용되게 한다.
그리고, 열림 트리거 링크(13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구속부(132)에 결합되는 돌출핀(172)은 구속부(132)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일 단부는 링크 스프링(160)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타 단부는 시계 방향 회전시 닫힘 트리거 링크(120)에 접촉됨으로써 시계 방향 회전이 불가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Mt>Ms인 상태의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열림 명령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모터 회전축(11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과 같이 모터 회전축(115)에 결합된 닫힘 트리거 링크(120)가 회전하고, 닫힘 트리거 링크(120)와 결합된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는 Mt<Ms의 상태가 된다.
이제 회전된 열림 트리거 링크(130)의 열림 반력부(131)는 차체에 장착된 전측 패널(P1)에 접촉하게 되고, 도 8과 같이 이를 밀어 내며 반력(F)이 발생하여 Mt<Ms+F 의 상태가 되어 열림 강건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면, 도 9와 같이 액츄에이터(110) 및 닫힘 트리거 링크(120)와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완전히 회전되어 힌지암(14)이 회전하여 트렁크 리드가 완전히 열리는 상태가 된다. 이때 링크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도 9의 원복 상태로 보다 원활하게 동작되게 한다.
이와 같이 열려진 도 10의 상태에서는 압축된 스프링(150)에 의해 Mt<Ms의 상태가 되고, 닫힘 명령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모터 회전축(11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1과 같이 모터 회전축(115)에 결합된 닫힘 트리거 링크(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닫힘 트리거 링크(120)와 결합된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는 Mt>Ms의 상태가 된다.
이제 회전된 닫힘 트리거 링크(120)의 닫힘 반력부(122)는 차체에 장착된 후측 패널(P2)에 접촉하게 되고, 도 12와 같이 이를 밀어 내며 반력(F)이 발생하여 Mt>Ms-F 의 상태가 되어 닫힘 강건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면, 도 13과 같이 액츄에이터(110) 및 닫힘 트리거 링크(120)와 열림 트리거 링크(130)가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어 힌지암(14)이 회전하며 트렁크 리드가 자중에 의해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제3자 사용 또는 고객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닫을 시 약 95% 닫힐 때 열림 트리거가 판넬에 닿게 되고, 완전 닫힘 시에 열림 트리거는 닫힘트리거에 장착된 축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도7과 같이 열림을 하기 위한 위치로 액츄에이터가 원귀하면서 링크 스프링(160)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에 의하면, 소형 액츄에이터를 적용하여 트렁크 리드를 원활하게 자동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명세서에서 차체로 표현된 고정부품은 차체 또는 차체에 별도로 장착된 패널, 브라켓과 같이 차체에 고정된 부품일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액츄에이터
111 : 모터
112 : 제1 기어 113 : 제2 기어
114 : 모터 하우징 115 : 모터 회전축
120 : 닫힘 트리거 링크
121 : 회동부 122 : 닫힘 반력부
171 : 돌출핀
130 : 열림 트리거 링크
131 : 열림 반력부 132 : 구속부
172 : 돌출핀
140 : 스프링 조립핀
150 : 스프링 151 : 부시
160 : 링크 스프링

Claims (14)

  1. 일 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결합된 힌지암에 결합된 액츄에이터;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닫힘 트리거 링크;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열림 트리거 링크;
    일 단부가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 및 상기 열림 트리거 링크에 결합되는 스프링 조립핀;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이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는,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닫힘 반력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림 트리거 링크는,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열림 반력부; 및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일 단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타 단부와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일 단부 및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에는 각각 돌출핀이 체결되고, 일 단은 상기 회동부의 돌출핀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구속부의 돌출핀에 결합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된 상기 돌출핀은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 단부는 상기 링크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구속부의 회전 동작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에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열림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닫힘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9. 일 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트렁크 리드에 결합된 힌지암에 결합된 액츄에이터;
    일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닫힘 반력부를 포함하는 닫힘 트리거 링크;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열림 반력부 및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는 열림 트리거 링크를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열림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닫힘 트리거 링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닫힘 반력부는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미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상기 타 단부와 상기 열림 반력부의 상기 일 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조립핀;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조립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된 패널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일 단부 및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에는 각각 돌출핀이 체결되고, 일 단은 상기 회동부의 돌출핀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구속부의 돌출핀에 결합되는 링크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된 상기 돌출핀은 상기 구속부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 단부는 상기 링크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구속부의 회전 동작시 상기 회동부에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KR1020200129828A 2020-10-08 2020-10-08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KR2022004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828A KR20220046777A (ko) 2020-10-08 2020-10-08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US17/152,347 US11603696B2 (en) 2020-10-08 2021-01-19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runk lid
CN202110143542.4A CN114293874A (zh) 2020-10-08 2021-02-02 用于自动地打开和闭合后备箱盖的装置
DE102021200961.1A DE102021200961A1 (de) 2020-10-08 2021-02-03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ÖFFNEN UND SCHLIEßEN DES KOFFERRAUMDECK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828A KR20220046777A (ko) 2020-10-08 2020-10-08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777A true KR20220046777A (ko) 2022-04-15

Family

ID=8096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828A KR20220046777A (ko) 2020-10-08 2020-10-08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3696B2 (ko)
KR (1) KR20220046777A (ko)
CN (1) CN114293874A (ko)
DE (1) DE1020212009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87B1 (ko) 2013-11-01 2018-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트렁크리드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99B1 (ko) * 2005-09-05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개폐구조
DE102006058138A1 (de) * 2006-12-09 2008-06-19 Witte-Velbert Gmbh & Co. Kg Scharnieranordnung für eine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KR101105465B1 (ko) * 2010-07-15 2012-01-17 류정식 트렁크 리드 자동개폐장치
JP6547716B2 (ja) * 2016-09-26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DE102017006125B4 (de) * 2017-06-28 2022-02-03 Audi Ag Schwenkvorrichtung für eine Zugangsklapp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11370386B2 (en) * 2018-11-01 2022-06-28 Hyundai Motor Company ADAS-linked active hood apparatus for always-on operation
KR20220043484A (ko) * 2020-09-29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트렁크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87B1 (ko) 2013-11-01 2018-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트렁크리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2759A1 (en) 2022-04-14
US11603696B2 (en) 2023-03-14
CN114293874A (zh) 2022-04-08
DE102021200961A1 (de)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4881B2 (ja) 車両用出没型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組立体
JP497280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6669247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GB2321276A (en) Latch device for a vehicle back door
US11933090B2 (en) Door handle structure of vehicle
JP4661396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JP4092770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KR20220046777A (ko)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장치
KR1003208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US11725431B2 (en) Door handle structure of vehicle
JPH116346A (ja) 扉体の施解錠装置
JP4095543B2 (ja) ドア開閉装置
JP2022118862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構造
US1161907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1927043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runk lid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4105806B2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US6338224B1 (en) Movement transmission mechanism installed in automotive door
JP3502599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4399214B2 (ja) 開閉体のクロージャ装置
CN219548666U (zh) 汽车货箱门锁系统、汽车货箱门和汽车
JP200334315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3909640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H0227508B2 (ko)
JPH0642259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