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57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57A
KR20220045857A KR1020200129015A KR20200129015A KR20220045857A KR 20220045857 A KR20220045857 A KR 20220045857A KR 1020200129015 A KR1020200129015 A KR 1020200129015A KR 20200129015 A KR20200129015 A KR 20200129015A KR 20220045857 A KR20220045857 A KR 2022004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ssembly
lever
pipe
coupled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행
고무현
양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857A/ko
Priority to US18/029,831 priority patent/US20230404337A1/en
Priority to EP21877834.8A priority patent/EP4226828A1/en
Priority to PCT/KR2021/011069 priority patent/WO2022075580A1/ko
Priority to CN202122387136.0U priority patent/CN216602698U/zh
Publication of KR2022004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흡입노즐, 연결파이프,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툴조립체는 청소기본체의 본체흡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를 구비한다. 제2 툴조립체는 제1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를 구비한다. 파이프조립체는 연결파이프의 뒤쪽에 고정되고 제2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또는 파이프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툴(흡입구)의 사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흡입구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오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이러한 모터가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흡입노즐로 전달되고, 흡입노즐을 통하여 외부의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스틱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는, 바퀴가 달린 청소기본체가 흡입노즐과 별도로 구비되고,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호스를 통하여 연결된다.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는, 밀대에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이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핸디/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청소기본체 부분을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핸디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다.
또한, 진공청소기에는 로봇청소기가 있으며, 로봇청소기는 여러 센서를 사용하여 스스로 이동하면서 먼지 등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는, 복수 개의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흡입노즐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흡입노즐은, 통상의 바닥면의 청소에 적합하도록 좌우로 긴 흡입구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흡입노즐은 좁은 틈새의 청소에 적합하도록 폭이 좁은 흡입구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또 다른 하나의 흡입노즐은 먼지를 털수 있도록 솔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841455호(이하, '선행문헌 1')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하며,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노즐이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은 사용하지 않는 흡입노즐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거치대를 개시하며,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흡입노즐의 보관이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진공청소기와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 제3545628호(이하, '선행문헌 2')는 전기 청소기를 개시하며, 내 파이프, 노즐체, 브러시체 및 파이프커버로 구성되는 보조 흡입체를 개시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진공청소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흡입노즐(흡입구)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지만, 사용편의성 및 흡입노즐의 활용성 향상을 위하여는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경우 복수 개의 흡입노즐이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각 흡입노즐의 사용을 위해서는 청소기 본체에 개별적인 분리 및 결합이 일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선행문헌 2의 경우 연장관이 보조 흡입체에서 분리된 경우 노즐체 또는 브러시체가 사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다만, 노즐체의 즉각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고, 노즐체의 사용을 위해서는 노즐체를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연장관을 파지하여 분리한 상태에서 바로 노즐체가 사용될 수 없으며, 사용자는 연장관을 잡은 손으로 노즐체를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또한, 선행문헌 2의 경우 노즐체의 사용을 위하여 노즐체를 브러시체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브러시체가 노즐체의 주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노즐체의 사용에 브러시체가 방해가 될 수 있다. 노즐체의 경우, 비교적 좁은 틈새 등의 청소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선행문헌 2의 브러시체는 노즐체가 비교적 좁은 틈새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KR 10-1841455 B1 (등록일: 2018.03.19) 일본등록특허 JP 3545628 B2 (등록일: 2004.04.16)
본 개시는, 기본흡입구를 갖는 흡입노즐과 청소기본체가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청소기에서,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서로 다른 흡입구가 선택적이고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 및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크레바스 툴(crevice tool 또는 crevice nozzle)을 이루는 수단의 사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및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흡입구가 연결파이프에서 연장되는 관의 내부에 수용될 때, 먼지가 이동하는 통로의 축소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브러시 및 흡입구의 사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브러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브러시의 정렬 및 브러시에 묻은 먼지, 머리카락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구조 및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러시의 노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 결합될 때 브러시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 및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본체흡입구에서 상기 흡입노즐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청소기본체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본체의 제1 방향의 앞에 본체흡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청소기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본체흡입구로 전달되고, 상기 연결파이프 및 흡입노즐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본체흡입구는, 외부의 먼지, 공기 등이 청소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청소기본체의 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본체흡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흡입구의 외측면에 제1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에는 외부의 공기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기본흡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청소기본체 내부의 흡입력은 상기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기본흡입구로 전달된다. 즉,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노즐의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연결파이프에는, 입구를 이루는 제1 연결부와 출구를 이루는 제2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제2 연결부 쪽에 연결된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제1 연결부쪽에 결합된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흡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는, 외부의 먼지, 공기 등이 제1 툴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제1 툴조립체의 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구는, 외부의 먼지, 공기 등이 제2 툴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제2 툴조립체의 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제2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제1 바디, 제1 레버,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흡입구에 동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 내부로 상기 본체흡입구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에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홈은,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홈은 상기 제1 레버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바디에 피벗(pivot)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본체흡입구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1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제1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1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레버를 탄력지지한다.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는 서로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은, 제3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제1 회전스프링과 제2 회전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스프링은, 상기 제1 반관이 상기 제1 흡입구를 이루도록, 상기 제1 회전체를 탄력지지한다.
상기 제2 회전스프링은, 상기 제2 반관이 상기 제1 흡입구를 이루도록, 상기 제2 회전체를 탄력지지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회전체는 제1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동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반관과 상기 제2 반관이 서로 벌어지도록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2 누름부를 누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의 제1 방향의 뒤쪽 내부로 상기 제1 바디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에는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은,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전후로 이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제2 레버 및 브러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커버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바디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2 방향의 제2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는 제2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돌출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제2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2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탄력지지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브러시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제2 바디와 함께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커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브러시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러시커버는, 내측관, 외측관 및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관은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관과 이격되게 상기 내측관을 둘러싼다. 상기 격벽은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사이에서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을 연결한다. 각각의 상기 격벽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브러시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된다. 상기 내측관, 상기 외측관, 및 2개의 상기 격벽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이 상기 브러시수용공간이 된다.
상기 커버레버는 상기 브러시커버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레버는 상기 브러시커버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레버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홈 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는, 각각의 상기 브러시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브러시커버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브러시커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레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홈은, 상기 제2 레버가 노출되도록 내외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 모서리에서 앞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커버의 외측면에 제3 걸림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홈은, 상기 제2 레버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브러시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제3 바디 및 제3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바디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툴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의 뒤쪽 내부로 상기 제1 툴조립체 및 상기 제2 툴조립체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방향의 제3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레버는 제3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돌출부는, 상기 제3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체는, 상기 제3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3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3 레버를 탄력지한다.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브러시를 차폐하도록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3 걸림홈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걸림돌출부는 상기 제3 걸림홈의 앞에서 상기 브러시커버의 외측면에 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제1 툴버튼 및 제2 툴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툴버튼은 상기 제3 바디에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툴버튼은, 상기 제2 레버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툴버튼은 상기 제3 바디에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툴버튼은, 상기 제3 레버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는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흡입구를 구비하는 제1 툴조립체는 청소기본체의 본체흡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흡입구를 구비하는 제2 툴조립체는 제1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파이프조립체는 연결파이프의 뒤쪽에 고정되고 제2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또는 제2 툴조립체와 파이프조립체가 서로 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 또는 제2 흡입구가 선택적이고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청소기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파이프조립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툴조립체의 즉각적인 사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청소기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파이프조립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 툴조립체와 파이프조립체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툴조립체의 즉각적인 사용이 이루어진다. 즉, 단 1회의 조작에 의하여 제1 툴조립체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고, 또한 단 1회의 조작에 의하여 제2 툴조립의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툴조립체는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 제1 회전스프링, 및 제2 회전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회전체는 제1 반관을 포함하고 제2 회전체는 제2 반관을 포함한다. 제2 툴조립체가 파이프조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툴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면, 제1 반관과 제2 반관이 서로 가까워지는 쪽으로 회전하면서 제1 흡입구를 이룬다.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는 크레바스 툴(crevice tool 또는 crevice nozzle)을 이를 수 있으며, 비교적 좁은 틈의 청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회전체는 제1 누름부를 포함하고 제2 회전체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한다. 제2 바디가 제1 툴조립체에 결합될 때 제2 바디는 그 내측면으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를 누르며, 제1 반관과 제2 반관이 서로 벌어지도록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반관과 제2 반관을 서로 벌리는 수단이 제1 반관과 제2 반관의 내측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반관과 제2 반관이 효과적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툴조립체 내부에 먼지가 이동하는 충분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통로가 구비될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브러시커버에는 브러시수용공간이 구비된다. 브러시수용공간은 브러시커버의 내측관, 외측관 및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하여 구비된다. 브러시수용공간은 브러시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된다. 브러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브러시커버는 제2 바디를 상대로 앞쪽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브러시의 각 가닥들은 각각의 브러시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를 이루는 각각의 가닥들은 제1 방향을 따라 곧게 정렬될 수 있으며, 브러시의 전체적인 휨,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가 브러시수용공간에 수용될 때, 브러시에 묻은 먼지, 머리카락 등은 브러시수용공간을 이루는 브러시커버의 내측관, 외측관 및 격벽에 걸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브러시커버가 브러시를 차폐하도록 브러시커버가 제2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걸림돌출부가 제3 걸림홈에 걸린다. 그리고, 브러시커버가 브러시를 노출시키도록 브러시커버가 제2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걸림돌출부는 제3 걸림홈의 앞에서 브러시커버의 외측면에 닿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브러시커버가 제2 바디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 툴조립체와 파이프조립체의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가 청소기본체에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브러시의 노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브러시에 묻거나 붙은 먼지, 머리카락 등이 사용자의 손 등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제1 툴조립체의 제1 흡입구와, 제2 툴조립체의 제2 흡입구는 각각 흡입노즐의 기본흡입구 이외의 다른 흡입구를 이룬다. 즉,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는 흡입노즐과 다른 노즐을 이룰 수 있고,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툴조립체의 제1 바디는 제2 툴조립체의 제2 바디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는 제3 바디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조립체에 결합된다. 흡입노즐, 연결파이프, 파이프조립체, 제2 툴조립체, 제1 툴조립체 및 청소기본체가 서로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노즐 이외의 다른 노즐(악세서리)을 이루는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파이프조립체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므로,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의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제1 툴조립체 또는 제2 툴조립체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 및 도 2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청소기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가 각각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본체만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1 툴조립체, 제2 툴조립체, 및 파이프조립체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9는 도 5의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본체 및 제1 툴조립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청소기본체와 제1 툴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툴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1 툴조립체에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서로 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제1 툴조립체에서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서로 벌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서 브러시커버가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툴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a는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b는 제2 레버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a에서 제2 툴조립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는 청소기본체, 제1 툴조립체 및 제2 툴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에서 브러시커버가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툴조립체의 제2 바디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제2 툴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a에서 브러시커버가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파이프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a는 제3 레버가 회전하도록 제2 툴버튼이 눌린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3b는 제2 툴조립체와 파이프조립체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a는 제2 레버가 회전하도록 제1 툴버튼이 눌린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4b는 파이프조립체에 고정된 제2 툴조립체와 제1 툴조립체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a는 제2 툴조립체와 파이프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5b는 도 25에서 브러시커버가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했을때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제2 툴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6c 및 도 26d는 도 26a의 제1 툴조립체와 제2 툴조립체가 결합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상대이동 없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 및 도 2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청소기본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공청소기(1)는, 외부의 공기, 및/또는 먼지,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100), 연결파이프(200) 및 흡입노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의 공기 등은 흡입노즐(300)을 통하여 먼저 유입된 후, 연결파이프(200)를 거쳐 청소기본체(100)로 이동한다.
청소기본체(1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본체(100)는 모터(제1 모터(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11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터들은 각각, 직류모터, 교류모터, 유니버셜모터, BLDC모터 또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의 제1 모터(110)의 회전축(111)에는 팬(fan) 또는 임펠러(impeller) 등이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터(110)의 회전시 공기의 유동을 발생된다.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제1 모터(110), 및 제1 모터(110)에 결합되는 팬 또는 임펠러가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청소기본체(100)의 내부와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기본체(100)에서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는 본체흡입구(140)를 구비한다.
본체흡입구(140)는 청소기본체(100)의 입구이며, 본체흡입구(140)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 등이 청소기본체(100)의 내부로 수용된다.
흡입노즐(300)은, 공기 및/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구멍인 기본흡입구(311)를 구비한다. (도 4 참조)
연결파이프(200)는 청소기본체(100)와 흡입노즐(300)을 연결한다. 연결파이프(200)는 관(pipe or tube) 형태로 이루어지고, 기본흡입구(311)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 등이 청소기본체(100)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연결파이프(200)는, 의도하지 않게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0)는 외부의 공기가 연결파이프(200)로 유입되는 연결파이프(200)의 입구를 이룰 수 있고,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 내부의 공기가 청소기본체(100) 쪽으로 빠져나가는 연결파이프(20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의 양쪽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100)가 고정된 형태를 이루면서, 청소기본체(100)가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 쪽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청소기본체(100)와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따로 움직이지 않고 서로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공청소기(1)는 '스틱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가 그 형태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지고, 청소기본체의 일부가 연결파이프(200)와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100)는 본체부(101), 본체흡입구(140) 및 호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에서 본체흡입구(14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등은 본체부(10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의 본체흡입구(140)와 본체부(101)의 사이에 유연하게 휘어지는 호스(10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100)의 본체부(101)와 연결파이프(200)가 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손잡이(103)가 본체흡입구(1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b 참조)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흡입구(140)가 청소기본체(100)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또한 청소기본체(100)가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 쪽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100)는 손잡이(120), 먼지통(130), 본체흡입구(140) 및 배터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20)는 청소기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그 형태가 이루어진다. 손잡이(120)는 본체흡입구(140)와 대향되는 쪽(본체흡입구(140)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가 청소기본체(100)의 앞쪽에 형성된다면, 손잡이(120)는 청소기본체(10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에는, 손잡이(120)와 인접한 위치에서, 진공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160)이 마련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이루어진 용기이다. 여기서, 청소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사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별도의 배출구(170)를 통하여 청소기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청소기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그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50)는, 진공청소기(1)를 이루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150)는 청소기본체(100)의 제1 모터(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는, 공기, 먼지 등이 청소기본체(100)로 유입되는 청소기본체(100)의 입구를 이룬다. 본체흡입구(140)는 청소기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는 본체흡입구(140)쪽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는 본체흡입구(14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파이프와 본체흡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를(600) 매개로 고정되게 연결된다.
도 4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흡입노즐(300) 내부에 구비되는 통로(공기,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 301a)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향인 X1, Y1 및 Z1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X1은 진공청소기(1)의 앞쪽방향일 수 있고, Y1은 진공청소기(1)의 좌측방향일 수 있고, Z1은 진공청소기(1)의 상측방향일 수 있다. X1 및 Y1은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Z1은 바닥면(B)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U)는, 청소기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파이프(200)는 사용자(U)의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놓이고, 흡입노즐(300)은 사용자(U)의 앞쪽의 바닥면(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진공청소기(1)의 자연스러운 사용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은 사용자(U)의 앞쪽 바닥면(B)에 놓인 상태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흡입노즐(300)은 그 자체로 전후방향이 서로 구분되고, 또한 상하방향이 서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300)이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바닥면(B)에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흡입노즐(300)의 앞쪽 방향(X1)과 좌측 방향(Y1)은 각각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흡입노즐(300)의 상측방향(Z1)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흡입노즐(30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300)은 기본흡입구(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흡입구(311)는, 공기 및 이물질이 진공청소기(1) 내부로 유입되는 최초의 입구일 수 있으며, 흡입노즐(300)은 이러한 기본흡입구(311)를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300)의 내부에는 공기, 이물질 등이 이동하는 통로(흡입노즐통로, 301a)가 형성되고, 기본흡입구(311)는 상기 통로(301a)의 입구를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은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로(301a)는 노즐하우징(301) 및 연결네크(302)를 거처 연결파이프(200) 내부와 연통된다.
노즐하우징(301)은 바닥에 놓여 바닥면(B)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본흡입구(311)는 노즐하우징(30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에 놓인 노즐하우징(30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노즐하우징(301)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바퀴(캐스터(30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301)은 노즐헤드부(310)와 노즐네크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헤드부(310)는 노즐하우징(301)에서 앞쪽 부분을 이루고, 노즐네크부(320)는 노즐헤드부(310)에서 뒤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기본흡입구(311)는 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네크부(32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노즐헤드부(310)의 뒤쪽에서 뒤쪽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하우징(301)에서 노즐네크부(320)는 연결네크(302)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노즐네크부(320)는 연결네크(302)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네크(302)는, 흡입노즐(300)에서 연결파이프(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연결네크(302)는 제1 연결부(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시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는 서로 고정된다. 연결네크(302)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가 기본흡입구(311)와 연통되고, 또한 연결파이프(200)의 내부와 연통된다.
흡입노즐(300)에서 기본흡입구(311)로 유입된 이물질은 노즐네크부(320)의 내부와 연결네크(302)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파이프(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301)(특히, 노즐네크부(320)) 및 연결네크(302) 내부에는 별도의 주름관(304)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관(304)이 구비되는 경우, 기본흡입구(311)로 유입된 이물질(먼지 등)은 주름관(304)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파이프(200) 쪽으로 이동한다.
연결네크(302)는, 흡입노즐(300)의 뒤쪽 부분을 이루며, 노즐하우징(301)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301)(노즐네크부(320))과 연결네크(302)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하우징(301)(노즐네크부(320))과 연결네크(302)는 노즐회전축(S1)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회전축(S1)은 바닥면(B)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에는 회전클리너(305)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는, 대체로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축(305a)을 기준으로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클리너(305)는 기본흡입구(311)보다 앞쪽에서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회전클리너(305)는, 진공청소기의 아지테이터(agitator)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노즐(300)의 내부에는 모터(제2 모터(30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305)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및/또는 융(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주면층(305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의 외주면층(305b)은 바닥면(B)과 접촉하거나 바닥면(B)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클리너(305)가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 등을 기본흡입구(311) 쪽으로 쓸거나 흡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에는 걸레(307)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걸레(307)는 납작하게 이루어져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결합되되, 바닥면(B)에 수직하거나 바닥면(B)에 대체로 수직한 회전축(307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레(307)는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걸레(307)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걸레(307)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노즐(300)의 내부에는 모터(제3 모터(308))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200)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0)에서 제2 연결부(220)를 향하는 방향이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일 수 있고, 또한 제2 연결부(220)에서 제1 연결부(210)를 향하는 방향이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축방향(axial direction))이 제1 방향(X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흡입구(140)에서 흡입노즐(300)을 향하는 방향이 제1 방향(X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에서 본체흡입구(140)가 돌출형성되는 방향이 제1 방향(X2)으로 정의될 수 있고, 한편, 청소기본체(100)를 상대로 연결파이프가 위치하는 방향이 제1 방향(X2)일 수 있다.
본체흡입구는 청소기본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된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220)에서 제1 연결부(210)를 향하는 방향이 제1 방향(X2)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Y2)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이 바닥면(B)과 평행하도록 연결파이프(200)가 놓인 상태에서 제2 방향(Y2)은 바닥면(B)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2)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2)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X2) 및 제2 방향(Y2)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Z2)으로 정한다. 특히, 연결파이프(200)가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바닥과 평행하게 눕혀질 때 제3 방향(Z2)은 연직방향일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제3 방향(Z2)은 앞쪽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는 그 길이방향이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200)는 그 길이방향이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파이프(200)는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의 중심축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연결부(210)는 연결파이프(200)의 앞쪽의 일부분을 이루고,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의 뒤쪽의 일부분을 이룬다.
연결파이프(200)는, 그 길이방향(제1 방향(X2))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가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다각형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300)의 연결네크(302)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 결합되고, 또한 분리된다.
흡입노즐(300)이 연결파이프(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는 흡입노즐(300) 이외의 다른 노즐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각각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만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9는 도 5의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 및 제1 툴조립체(4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청소기본체(100)와 제1 툴조립체(400)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0은 도 5의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진공청소기(1)는,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는 각각, 그 내부가 먼지 등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는, 각각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는 각각,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그 축방향(axial direction)이 제1 방향(X2)과 평행할 수 있고, 그 축방향(axial direction)이 제1 방향(X2)과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파이프는 속이 빈 관(pipe)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파이프는 제1 방향(X2)의 통로를 이루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파이프는, 제1 방향(X2)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외경 또는 내경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1 방향(X2)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외경 또는 내경이 변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파이프는, 횡단면의 모양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에서,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각각 서로 분리될 수 있다.(도 6 참조)
진공청소기(1)에서, 서로 결합된 제1 툴조립체(400),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청소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때, 청소기본체(100)에는 다른 노즐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제2 툴조립체(500) 및 파이프조립체(600)가 제1 툴조립체(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본체(100)와 제1 툴조립체(400)는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도 9 참조) 이때, 제1 툴조립체(400)는 그 자체로 하나의 노즐을 형성하며, 제1 툴조립체(400)의 제1 흡입구(405)를 통하여 먼지 등이 흡입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파이프조립체(600)가 제2 툴조립체(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는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도 10 참조) 이때, 제2 툴조립체(500)는 그 자체로 하나의 노즐을 형성하며, 제2 툴조립체(500)의 제2 흡입구(505)를 통하여 먼지 등이 흡입될 수 있다.
도 11은 청소기본체(100)와 제1 툴조립체(4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청소기본체(100)를 작동시켜 제1 툴조립체(400)를 먼지 등을 흡입하는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툴조립체(4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1 툴조립체(400)는 본체흡입구(140)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405)를 구비한다. 제1 툴조립체(400)는 본체흡입구(1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툴조립체(400)는, 제1 바디(410), 제1 레버(420),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 툴조립체(400)는, 제1 탄성체(430), 제1 버튼커버(440), 제1 회전스프링(470) 및 제2 회전스프링(4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흡입구(140)는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의 외측면에 제1 걸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홈(141)은 본체흡입구(14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걸림홈(141)은, 본체흡입구(14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흡입구(140)가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제1 걸림홈(141)은 본체흡입구(140)의 상측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본체흡입구(140)가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제1 걸림홈(141)은 본체흡입구(140)의 앞쪽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바디(410)는 본체흡입구(140)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바디(410)는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410)는 그 중심축 방향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410)는 제1 후방부(410a)와 제1 전방부(41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방향(X2)에서, 제1 후방부(410a)는 제1 바디(410)의 뒤쪽 부분을 이루고, 제1 전방부(410b)는 제1 바디(410)의 앞쪽 부분을 이룬다.
제1 전방부(410b)는 그 외경이, 제1 후방부(410a)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41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1 개구(4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구(411)는 제1 후방부(4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411)는 제1 바디(4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1 개구(411)는 제1 레버(42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1 레버(420)의 제1 걸림돌출부(421)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410) 내부로 본체흡입구(140)가 삽입되면서(끼워지면서) 제1 바디(410)와 본체흡입구(14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흡입구(140)가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바디(410) 내부로 삽입되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410)와 본체흡입구(140)는 서로 꼭 맞게 결합된다. 즉, 제1 바디(410)와 본체흡입구(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바디(410)와 본체흡입구(140) 간에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버튼커버(440)는 제1 개구(411)를 차폐하며 제1 레버(420)의 외측에서 제1 바디(410)에 고정결합된다.
제1 레버(420)는 제1 걸림돌출부(421)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레버(420)는 제1 회전중심부(422) 및 제1 버튼부(423)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걸림돌출부(421), 제1 회전중심부(422) 및 제1 버튼부(423)는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레버(420)는 제1 바디(410)에 제1 레버축(S2)을 기준으로 회전(피벗(pivot))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레버(420)는, 제3 방향(Z2)의 앞쪽에서 제1 바디(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레버(420)의 제1 레버축(S2)은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중심부(422)는 제1 레버(420)의 회전축(제1 레버축(S2))을 이룬다. 제1 회전중심부(422)는 제1 걸림돌출부(421)보다 청소기본체(100)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제1 회전중심부(422)는 제1 바디(4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1 바디(4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3 방향(Z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1 개구(411)를 통하여 제1 바디(410)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바디(410)를 상대로 한 제1 레버(420)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1 바디(4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1 바디(410)의 내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바디(4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1 걸림돌출부(421)는 제1 걸림홈(14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1 버튼부(423)는, 제1 회전중심부(422)를 중심으로 제1 걸림돌출부(421)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튼부(423)는 제1 회전중심부(422)에서 연장되어 제1 버튼커버(44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제1 버튼부(423)는 제1 바디(410) 외측에서 제1 바디(410) 외측면과 이격되며, 사용자는 제1 버튼부(423)를 눌러 제1 회전중심부(4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레버(420)를 회전(피벗)시킬 수 있다.
제1 탄성체(430)는,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체(430)는,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바디(4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 레버(420)를 탄력지지한다. 제1 탄성체(430)는,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걸림홈(141)에 삽입되도록 제1 레버(420)를 탄력지지한다.
제1 레버(420)에는 제1 탄성체결합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결합부(424)는 제1 레버(42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체결합부(424)는 제1 버튼커버(440)와의 사이에서 제1 탄성체(430)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룬다.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바디(41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일 때, 제1 탄성체결합부(424)는 제1 바디(41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가 제1 바디(4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1 버튼부(423)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 탄성체(430)에 의하여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걸림홈(14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청소기본체(100)(본체흡입구(140))와 제1 툴조립체(400)(제1 바디(410))의 고정된 결합(체결)이 유지된다.
본체흡입구(140)가 제1 바디(4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버튼부(423)를 눌러 제1 레버(420)를 회전시키면, 제1 탄성체(430)가 압축되고 제1 걸림돌출부(421)가 제1 걸림홈(141)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본체흡입구(140)(청소기본체(100))는 제1 툴조립체(400)(제1 바디(410))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제1 툴조립체(400)로부터 본체흡입구(14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제1 바디(410)의 외측면에 제2 걸림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홈(412)은 제1 전방부(4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홈(412)은 제1 바디(41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걸림홈(412)은, 제1 바디(4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410)가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제2 걸림홈(412)은 제1 바디(410)의 상측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제1 바디(410)가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제2 걸림홈(412)은 제1 바디(410)의 앞쪽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걸림홈(141)은 제1 방향(X2)에서 제1 레버(420)의 앞쪽에 위치한다.
도 13a는 제1 툴조립체(400)에서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가 서로 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제1 툴조립체(400)에서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가 서로 벌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분리되면 제1 툴조립체(400)는 도 13a와 같은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되면 제1 툴조립체(400)는 도 13b와 같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의 전단은 제1 바디(410)의 앞에 위치하고, 제1 바디(410)를 상대로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가 회전(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제1 흡입구(40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각각 제1 바디(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제1 바디(410)의 제1 전방부(41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410)를 중심으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고,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제2 방향(Y2)과 직교하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체(450)의 회전축(제1 회전축(S3))과 제2 회전체(460)의 회전축(제2 회전축(S4))은 제3 방향(Z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바디(410)의 앞쪽부분에 결합된다.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바디(41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410)를 중심으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 각각의 전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고(도 13b 참조), 또한 각각의 전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도 13a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제2 툴조립체(500)의 제2 바디(510)가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를 가압하며 회전시키고, 제2 바디(510)에 의하여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그 전단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제2 툴조립체(500)가 제1 툴조립체(400)(제1 바디(410))에서 분리되면,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제2 바디(51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각각의 전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본체흡입구(14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405)를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가 제1 흡입구(405)를 형성할 때,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관 형태를 이룬다. 즉,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조합되어 이루는 관의 전단에 개구된 구멍인 제1 흡입구(405)가 구비되고,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조합되어 이루는 관의 뒤쪽에 제1 바디(410)가 결합된다.
제1 흡입구(405)는 공기, 먼지 등이 제1 바디(410) 및 청소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며, 이러한 범위 내에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흡입구(405)의 형성을 위하여,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각각 대체로 반관(half tub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로 대칭된 반관 형태를 이루는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서로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완성된 하나의 관을 이루게 되고,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면 반쪽짜리의 관 2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는 '가변형 노즐'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노즐(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은 흡입노즐(300) 이외의 새로운 노즐로 사용되며, 흡입노즐(300)을 제1 노즐이라고 할 때 가변형 노즐은 제2 노즐에 해당된다.
가변형 노즐(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연결파이프(200) 및/또는 청소기본체(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흡입노즐(300) 이외의 다른 노즐의 사용을 위하여 연결파이프(200)로부터 제1 툴조립체(400)가 분리되는 즉시 상기 가변형 노즐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제2 바디(5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고, 특히,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각각 반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2 바디(51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에 의한 부피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먼지가 이동하는 충분한 크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회전체(450)는, 제1 반관(451) 및 제1 누름부(4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반관(451)은, 대체로 반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한 모서리인 제1 모서리(451a) 및 제2 모서리(451b)를 포함한다.
제1 반관(451)은, 제1 모서리(451a)와 제2 모서리(451b) 사이에서 벽면을 이루는 제1 반관벽(45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누름부(452)는, 제1 회전축(S3)을 기준으로 제1 반관(451)과 다른 쪽으로 연장된다.
제1 회전축(S3)을 기준으로, 제1 반관(451)이 대체로 앞쪽 부분을 이룰 때, 제1 누름부(452)는 뒤쪽부분을 이룰 수 있다. 제1 반관(451)에 비하여 제1 누름부(452)는 매우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450)는 제1 회전축(S3)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바디(410)에 결합된다. 이때, 제1 반관(451)은 제1 바디(410)에서 제1 방향(X2)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제1 누름부(452)는 제1 바디(410)에서 제2 방향(Y2)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바디(410)에는 제1 누름홀(415)이 형성된다. 제1 누름홀(415)은 제1 바디(41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1 누름홀(415)은 대체로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제1 바디(410)를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제1 누름홀(415)은 제1 전방부(4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체(450)가 제1 바디(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누름부(452)는 제1 누름홀(415)을 통하여 제1 바디(4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흡입구(405)를 이루도록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최대한 가깝게 내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1 누름홀(415)을 통한 제1 누름부(452)의 돌출정도가 가장 크게 이루어지고,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에서 제1 누름홀(415)을 통한 제1 누름부(452)의 돌출정도가 가장 작게 이루어진다.
제2 회전체(460)는, 제2 반관(461) 및 제2 누름부(4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반관(461)은 대체로 반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한 모서리인 상기 제3 모서리(461a) 및 상기 제4 모서리(461b)를 포함한다. 제2 반관(461)은 상기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제1 반관(451)과 대칭을 이룬다.
제2 반관(461)은, 제3 모서리(461a)와 제4 모서리(461b) 사이에서 벽면을 이루는 제2 반관벽(46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제1 흡입구(405)를 이루도록 서로 가까워져 밀착될 때, 제1 반관벽(451c)과 제2 반관벽(461c)은 서로 이격된다. 제1 반관벽(451c)과 제2 반관벽(461c)은, 제1 방향(X2)의 앞쪽을 향할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흡입구(405)를 이루는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은 제1 방향(X2)의 앞쪽을 향할수록 그 내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누름부(462)는, 제2 회전축(S4)을 기준으로 제2 반관(461)과 다른 쪽으로 연장된다.
제2 회전축(S4)을 기준으로, 제2 반관(461)이 대체로 앞쪽 부분을 이룰 때, 제2 누름부(462)는 뒤쪽부분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제2 반관(461)에 비하여 제2 누름부(462)는 매우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체(460)는 제2 회전축(S4)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바디(410)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반관(461)은 제1 바디(410)에서 제1 방향(X2)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제2 누름부(462)는 제1 바디(410)에서 제2 방향(Y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바디(410)에는 제2 누름홀(416)이 형성된다. 제2 누름홀(416)은 제1 바디(41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2 누름홀(416)은 대체로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제1 바디(410)를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제2 누름홀(416)은 제1 전방부(4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410)에서 제1 누름홀(415)과 제2 누름홀(416)은 서로 대향하는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누름홀(415)이 제1 바디(410)의 왼쪽에 형성될 때 제2 누름홀(416)은 제1 바디(410)의 오른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체(460)가 제1 바디(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누름부(462)는 제2 누름홀(416)을 통하여 제1 바디(4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흡입구(405)를 이루도록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최대한 가깝게 내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2 누름홀(416)을 통한 제2 누름부(462)의 돌출정도가 가장 크게 이루어지고,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에서 제2 누름홀(416)을 통한 제2 누름부(462)의 돌출정도가 가장 작게 이루어진다.
제2 누름부(462)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제1 누름부(452)와 대칭을 이룬다.
진공청소기(1)는 제1 회전스프링(470)과 제2 회전스프링(4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470)과 제2 회전스프링(480)은 각각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470)과 제2 회전스프링(480)은 각각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470)과 제2 회전스프링(480)은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470)은 그 일부가 제1 회전체(450)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제1 바디(410)에 고정되고, 제1 회전체(450)의 전단(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한 전단)이 제2 회전체(460) 쪽으로 회전하도록 제1 회전체(450)를 탄력지지한다.
제2 회전스프링(480)은 그 일부가 제2 회전체(460)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가 제1 바디(410)에 고정되고, 제2 회전체(460)의 전단(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한 전단)이 제1 회전체(450) 쪽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460)를 탄력지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510)는 대체로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될 때,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뒤에서 제1 바디(410)의 앞쪽이 삽입된다.
제2 바디(510)는 제1 방향(X2)의 뒤쪽 내주면을 이루는 누름면(515)을 포함한다. 누름면(515)은 제2 후방부(510a)의 내주면을 이룰 수 있다. 누름면(515)은, 제1 방향(X2)의 뒤쪽을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면(515)은,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510)가 결합될 때, 제1 바디(410)의 제1 방향(X2)의 앞쪽이 제2 바디(510)의 뒤쪽으로 삽입될 때, 제1 누름부(452) 및 제2 누름부(462)를 가압하며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를 회전시킨다.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510)가 서로 결합될 때, 누름면(515)에 의해 제1 누름부(452)가 가압되어 제1 반관(451)이 바깥쪽으로 회전하고, 누름면(515)에 의해 제2 누름부(462)가 가압되어 제2 반관(461)이 바깥으로 회전하며,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510)가 서로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반관(451) 및 제2 반관(461)은 서로 벌어져 제2 바디(5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510)가 서로 분리되면, 제1 회전스프링(470)에 의하여 제1 회전체(450)가 회전하고, 또한 제2 회전스프링(480)에 의하여 제2 회전체(460)가 회전하며,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제1 흡입구(405)를 형성한다.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제1 흡입구(405)를 이룰 때, 제1 모서리(451a)는 제3 모서리(461a)와 밀착되고, 제2 모서리(451b)는 제4 모서리(461b)와 밀착된다.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제1 흡입구(405)를 이룰 때,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제1 방향(X2)의 앞쪽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흡입구(405)는 비교적 좁은 간격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흡입구(405)의 폭은 제1 바디(410)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제1 흡입구(405)를 형성할 때, 조합된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는 하나의 크레바스 툴(crevice tool 또는 crevice nozzle)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5a는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청소기본체(100)를 작동시켜 제2 툴조립체(500)를 먼지 등을 흡입하는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에서 브러시커버(550)가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청소기본체(100)를 작동시켜 제2 툴조립체(500)를 먼지 등을 흡입하는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제2 툴조립체(5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a는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b는 제2 레버(520)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a에서 제2 툴조립체(5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툴조립체(500)는 제1 바디(410)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505)를 구비한다. 제2 툴조립체(500)는 제1 툴조립체(4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툴조립체(500)는, 제2 바디(510), 제2 레버(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 툴조립체(500)는 제2 탄성체(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바디(510)는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앞쪽 테두리가 제2 흡입구(505)를 이룰 수 있다.
제2 바디(510)는 그 중심축 방향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앞쪽 테두리는, 제3 방향의 앞쪽 부분이 제3 방향의 뒤쪽 부분보다 제1 방향(X2)의 앞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툴조립체(500)의 제2 흡입구(505)를 이루는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앞쪽 테두리가 측면에서 볼 때, 사선 형태를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는 제1 바디(410)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뒤쪽 내부로 제1 바디(410)가 끼워진다. 제2 바디(510)는, 제1 회전체(450) 및 제2 회전체(460)를 수용하도록 제1 바디(410)에 동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10)는 제2 후방부(510a)와 제2 전방부(51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방향(X2)에서, 제2 후방부(510a)는 제2 바디(510)의 뒤쪽 부분을 이루고, 제2 전방부(510b)는 제2 바디(510)의 앞쪽 부분을 이룬다.
제2 전방부(510b)는 그 외경이, 제2 후방부(510a)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가 결합될 때, 제1 바디(410)의 제1 전방부(410b)가 제2 바디(510)의 제2 후방부(510a) 내부로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의 제2 후방부(510a)의 외주면은, 제1 바디(410)의 제1 후방부(410a)의 외주면과 대체로 일치하거나 완전히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바디(410)와 제2 바디(5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후방부(410a)의 외주면과 제2 후방부(510a)의 외주면 간의 단차가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의 외측면에는 제1 고정홈(517) 및 제2 고정홈(518)이 형성될 수 있다.(도 20 참조) 제1 고정홈(517) 및 제2 고정홈(518)은, 제2 바디(510)의 외측면에서 제1 방향(X2)의 전후로 이격된다. 제1 고정홈(517)이 제1 방향(X2)에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된 홈일 때, 제2 고정홈(518)은 제1 방향(X2)에서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된 홈이다.
제1 고정홈(517) 및 제2 고정홈(518)은 제2 전방부(5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51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2 개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구(511)는 제2 후방부(5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511)는 제2 바디(5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2 개구(511)는 제2 레버(52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2 레버(520)의 제2 걸림돌출부(521)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511)는 제2 바디(510)에서 제1 방향(X2)의 뒤쪽에 형성된다. 제2 개구(511)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2 바디(51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디(510) 내부로 제1 바디(410)가 삽입되면서(끼워지면서)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410)가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면서 제2 바디(510) 내부로 삽입되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는 서로 꼭 맞게 결합된다. 즉,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 간에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레버(520)는 제2 걸림돌출부(521)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레버(520)는 제2 회전중심부(522) 및 제2 버튼부(523)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걸림돌출부(521), 제2 회전중심부(522) 및 제2 버튼부(523)는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레버(520)는 제2 바디(510)에 제2 레버축(S5)을 기준으로 회전(피벗(pivot))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레버(520)는, 제3 방향(Z2)의 앞쪽에서 제2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버(520)의 제2 레버축(S5)은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중심부(522)는 제2 레버(520)의 회전축(제2 레버축(S5))을 이룬다. 제2 회전중심부(522)는 제2 걸림돌출부(521)보다 청소기본체(100)에 먼쪽에 위치에 위치한다. 제2 회전중심부(522)는 제2 바디(5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2 바디(5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3 방향(Z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2 개구(511)를 통하여 제2 바디(510)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바디(510)를 상대로 한 제2 레버(520)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2 바디(5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2 바디(510)의 내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바디(5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레버(5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제2 걸림돌출부(521)는 제2 걸림홈(41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2 버튼부(523)는, 제2 회전중심부(522)를 중심으로 제2 걸림돌출부(521)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튼부(523)는 제2 바디(510) 외측에서 제2 바디(510) 외측면과 이격되며, 사용자는 제2 버튼부(523)를 눌러 제2 회전중심부(5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레버(520)를 회전(피벗)시킬 수 있다.
제2 탄성체(530)는,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체(530)는,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바디(5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 레버(520)를 탄력지지한다. 제2 탄성체(530)는,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걸림홈(412)에 삽입되도록 제2 레버(520)를 탄력지지한다.
제2 레버(520)에는 제2 탄성체결합부(5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결합부(524)는 제2 레버(52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체결합부(524)는 제2 버튼부(523)의 내측면일 수 있다.
제1 바디(410)가 제2 바디(5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2 버튼부(523)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탄성체(530)에 의하여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걸림홈(41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1 툴조립체(400)(제1 바디(410))와 제2 툴조립체(500)(제2 바디(510))의 고정된 결합(체결)이 유지된다.
제1 바디(410)가 제2 바디(5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버튼부(523)를 눌러 제2 레버(520)를 회전시키면, 제2 탄성체(530)가 탄성변형되고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걸림홈(412)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제1 바디(410)(제1 툴조립체(400))는 제2 툴조립체(500)(제2 바디(510))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제2 툴조립체(500)로부터 제1 바디(41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도 19a는 청소기본체(100),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에서 브러시커버(550)가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툴조립체(500)의 제2 바디(510)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제2 툴조립체(5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a에서 브러시커버(550)가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툴조립체(500)는 브러시(540) 및 브러시커버(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툴조립체(500)는 커버레버(5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540)는 복수 개의 가닥(5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브러시(540)를 이루는 가닥(541)은, 섬유, 털, 플라스틱, 또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가닥(541)은 대체로 제1 방향(X2)을 따라 형성된다.(가닥의 길이방향이 제1 방향(X2)과 평행함)
브러시(540)는 제2 바디(510)보다 제1 방향(X2)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제2 바디(510)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540)는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앞쪽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540)는 제2 바디(510)의 제1 방향(X2)의 앞쪽 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거나,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와 함께 제2 흡입구(505)를 이룰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에 제1 방향(X2) 또는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앞으로 이동했을 때, 브러시커버(550)의 제1 방향(X2)의 전단은 제2 바디(510)의 전단보다 더 앞으로 돌출된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앞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브러시커버(550)의 제1 방향(X2)의 전단은 브러시(540)의 전단과 같거나 더 앞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에 고정된 브러시(540)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에 고정된 브러시(540)의 제1 방향(X2)의 앞쪽을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뒤로 이동했을 때 브러시(540)가 노출된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뒤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브러시(540)가 최대한 노출된다.
이하,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앞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브러시(540)가 브러시커버(5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을 때 브러시커버(550)의 위치를 제1 위치라 하고(도 15a 및 도 19a 참조),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뒤로 최대한 이동하여 브러시(540)가 브러시커버(550)의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을 때 브러시커버(550)의 위치를 제2 위치라 한다(도 15b 및 도 19b 참조).
제2 흡입구(505)를 이루는 제2 툴조립체(500)는 흡입노즐(300) 이외의 새로운 노즐로 사용되며, 제2 툴조립체(500)는 제3 노즐에 해당될 수 있다.
제3 툴조립체(500)는 연결파이프(200) 및/또는 청소기본체(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흡입노즐(300) 이외의 다른 노즐의 사용을 위하여 연결파이프(200)로부터 제2 툴조립체(500)가 분리되는 즉시 제3 노즐을 이루는 제2 툴조립체(500)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시커버(550)를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시켜 브러시(540)를 노출시키는 경우, 또 다른 형태의 노즐을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2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러시커버(550)의 외경은 제2 바디(510)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와 제2 바디(510)는 서로 꼭 맞게 결합된다. 즉, 브러시커버(550)와 제2 바디(5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러시커버(550)와 제2 바디(510) 간에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510)와 제1 바디(410)가 결합될 때, 제1 바디(410)의 제1 전방부(410b)가 제2 바디(510)의 제2 후방부(510a) 내부로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의 제2 전방부(510b)에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 또는 제2 방향(Y2)으로 이동할 때, 제2 후방부(510a)는 항상 노출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의 외주면은, 제2 바디(510)의 제2 후방부(510a)의 외주면과 대체로 일치하거나 완전히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브러시커버(550)와 제2 바디(510)가 결합되고 브러시커버(550)가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브러시커버(550)의 외측면과 제2 후방부(510a)의 외측면 간의 단차가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브러시수용공간(550a)이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수용공간(550a)은 브러시커버(550)의 제1 방향(X2)의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내측관(551), 외측관(552) 및 복수 개의 격벽(5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관(551)과 외측관(552)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바디(510)와 브러시커버(5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관(551)은 제2 바디(5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관(552)은 제2 바디(5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내측관(551)은 제2 바디(510)의 내측면에 닿고, 외측관(552)은 제2 바디(510)의 외측면에 닿을 수 있다.
내측관(551)과 외측관(552)은, 제1 방향(X2)의 앞쪽 단부가 서로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관(552)은 내측관(551)의 외측에서 내측관(551)과 이격되게 내측관(551)을 둘러싼다.
격벽(553)은 내측관(551)과 외측관(552)의 사이에서 내측관(551)과 외측관(552)을 연결한다. 격벽(553)은 브러시커버(55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형성된다. 각각의 격벽(553)은 서로 이격된다.
격벽(553)은, 내측관(551)과 외측관(552)의 제1 방향(X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내측관(551), 외측관(552), 및 2개의 격벽(553)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이 브러시수용공간(550a)이 된다.
각 브러시수용공간(550a)의 단면적, 용적, 모양 등은, 브러시커버(5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이루어지거나 대체로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에 구비되는 각 브러시수용공간(550a)에 일부의 브러시(540)가 각각 수용된다.
커버레버(554)는 브러시커버(550)에 회전(피벗)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레버(554)는 브러시커버(550)의 외측관(5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에 결합된 커버레버(554)에 외력이 작용하면 브러시커버(550)를 상대로 커버레버(554)가 회전하고, 작용된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레버(554)가 원래의 위치로 역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툴조립체(500)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브러시커버(550)와 커버레버(554)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버레버(554)에 외력이 작용하여 브러시커버(550)를 상대로 커버레버(554)가 회전할 때 상기 탄성수단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고, 작용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수단이 탄성회복하면서 커버레버(554)가 원래의 위치로 역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레버(554)는 브러시커버(550)와 별도로 이루어진 후 브러시커버(55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커버(550)와 커버레버(554)를 연결하는 별도의 상기 탄성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레버(554)는 브러시커버(55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커버레버(554)와 브러시커버(550)는 한 쌍의 연결브릿지(554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커버레버(554), 브러시커버(550)는 및 연결브릿지(554c)는, 탄성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브릿지(554c)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연결브릿지(554c)는 상기 탄성수단을 이룬다. 연결브릿지(554c)는 커버레버(554)의 회전축을 이룬다. 한 쌍의 연결브릿지(554c)는 커버레버(554)의 대향된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브러시커버(550)에 연결된다.
커버레버(554)는 고정버튼(554a) 및 고정돌출부(55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버튼(554a)과 고정돌출부(554b)는 커버레버(554)의 회전축(예컨대, 연결브릿지(554c))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양쪽에 형성된다.
고정돌출부(554b)는 커버레버(554)의 내측 및 브러시커버(55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고정돌출부(554b)는,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 또는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고정홈(517) 또는 제2 고정홈(518)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브러시커버(5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돌출부(554b)는 제1 고정홈(517)에 삽입되어 걸리고, 이때, 커버레버(554)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브러시커버(550)는 제1 위치에 고정된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고정돌출부(554b)는 제2 고정홈(518)에 삽입되어 걸리고, 이때, 커버레버(554)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브러시커버(550)는 제2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고정버튼(554a)을 눌러 커버레버(554)를 회전시키면 고정돌출부(554b)는 제1 고정홈(517) 또는 제2 고정홈(518)에서 이탈하여 걸림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때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 또는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커버(55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고정버튼(554a)을 눌러 고정돌출부(554b)가 제1 고정홈(517) 또는 제2 고정홈(518)에서 이탈하여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2 바디(510)를 상대로 브러시커버(550)를 제1 방향(X2)의 앞으로 이동시키면 브러시커버(550)는 제2 바디(51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용이한 제2 툴조립체(500)를 형성할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레버홈(5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홈(555)은, 제2 레버(520)가 노출되도록 내외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제1 방향(X2)의 뒤쪽 모서리에서 앞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버홈(555)은 외측관(552)을 내외로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커버(550)는 제3 걸림홈(5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걸림홈(556)은 브러시커버(55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제3 걸림홈(556)은, 브러시커버(55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브러시커버(550)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걸림홈(556)은, 제2 툴조립체(500)(브러시커버(55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커버(550)의 중심축이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제3 걸림홈(556)은 제2 툴조립체(500)의 상측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브러시커버(550)의 중심축이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제3 걸림홈(556)은 제2 툴조립체(500)의 앞쪽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3 걸림홈(556)은 브러시커버(550)의 외측관(552)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걸림홈(556)과 레버홈(555)은 서로 이어질 수 있다.
제3 걸림홈(556)은, 제2 레버(520)보다 제1 방향(X2)의 앞쪽에서 브러시커버(55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파이프조립체(6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a는 제3 레버(620)가 회전하도록 제2 툴버튼(670)이 눌린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3b는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a는 제2 레버(520)가 회전하도록 제1 툴버튼(660)이 눌린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4b는 파이프조립체(600)에 고정된 제2 툴조립체(500)와 제1 툴조립체(400)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방향(X2)의 뒤쪽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제2 툴조립체(5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청소기본체(10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본체(100)에는 제1 바디결합부(180)가 형성되고 파이프조립체(600)는 제2 바디결합부(6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결합부(180)는 본체흡입구(140)의 바로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바디결합부(680)는 파이프조립체(600)의 제1 방향(X2)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결합부(180)와 제2 바디결합부(680) 중, 어느 하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하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결합부(180)가 홈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바디결합부(680)가 제1 바디결합부(180) 내부에 꼭 맞게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결합부(180) 및 제2 바디결합부(680)가 형성됨으로써, 진공청소기는 전체적으로 더욱 안정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청소기본체(100)와 흡입노즐(3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청소기본체(100)와 흡입노즐(300)의 전기적연결은 제1 바디결합부(180)와 제2 바디결합부(68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결합부(180)에 제1 단자가 형성되고 제2 바디결합부(680)에 제2 단자가 형성되며, 제1 바디결합부(180)와 제2 바디결합부(680)가 서로 결합될 때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서로 접촉하면서, 청소기본체(100)와 흡입노즐(300) 간의 전기적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제3 바디(610) 및 제3 레버(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파이프조립체(600)는, 제2 버튼커버(650), 제1 툴버튼(660) 및 제2 툴버튼(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 바디(610)는 제2 툴조립체(500)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제3 바디(610)는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바디(610)는 그 중심축 방향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바디(610)의 제1 방향(X2)의 뒤쪽 내부로 제1 툴조립체(400) 및 제2 툴조립체(500)가 끼워질 수 있다.
제3 바디(61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3 개구(6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개구(611)는 제3 바디(6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3 개구(611)는 제3 레버(62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3 레버(620)의 제3 걸림돌출부(621)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61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4 개구(6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4 개구(612)는 제3 바디(6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4 개구(612)는,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가 결합되었을 때, 제2 레버(52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제2 레버(520)의 제2 버튼부(523)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X2)에서 제4 개구(612)는 제3 개구(611)의 바로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바디(610) 내부로 제2 툴조립체(500)가 삽입되면서(끼워지면서) 제3 바디(61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툴조립체(500)가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면서 제3 바디(610) 내부로 삽입되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조립체(600)의 제3 바디(610) 내부에 제2 툴조립체(5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조립체(600)의 제3 바디(610)는 그 내부에 제1 툴조립체(400)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방향(X2)에서 제3 바디(610)의 길이는 제1 바디(410)의 길이 및 제2 바디(510)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바디(610)와 제2 툴조립체(500)는 서로 꼭 맞게 결합된다. 즉, 제3 바디(610)와 제2 툴조립체(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바디(610)와 제2 툴조립체(500) 간에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버튼커버(650)는 제3 레버(620)의 외측에서 제3 바디(610)에 고정결합된다.
제2 버튼커버(650)에는 제1 버튼홀(651) 및 제2 버튼홀(652)이 형성된다.
제1 버튼홀(651) 및 제2 버튼홀(652)은 각각 제2 버턴커버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제1 방향(X2)에서 서로 이격된다. 제1 버튼홀(651)이 제1 방향(X2)의 상대적으로 뒤쪽에 형성되고 제2 버튼홀(652)이 제1 방향(X2)의 상대적으로 앞쪽에 형성된다.
제1 툴버튼(660)은 제1 버튼홀(651)에 삽입되고, 제3 방향 또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툴버튼(670)은 제2 버튼홀(652)에 삽입되고, 제3 방향 또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3 레버(620)는 제3 걸림돌출부(621)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레버(620)는 제3 회전중심부(622) 및 제3 버튼부(623)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 걸림돌출부(621), 제3 회전중심부(622) 및 제3 버튼부(623)는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레버(620)는 제3 바디(610)에 제3 레버축(S6)을 기준으로 회전(피벗(pivot))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레버(620)는, 제3 방향(Z2)의 앞쪽에서 제3 바디(6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레버(620)의 제3 레버축(S6)은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회전중심부(622)는 제3 레버(620)의 회전축(제3 레버축(S6))을 이룬다. 제3 회전중심부(622)는 제3 걸림돌출부(621)보다 청소기본체(100)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제3 회전중심부(622)는 제3 바디(6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바디(6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방향(Z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개구(611)를 통하여 제3 바디(610)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바디(610)를 상대로 한 제3 레버(620)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바디(6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바디(610)의 내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바디(6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걸림홈(556)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3 버튼부(623)는, 제3 회전중심부(622)를 중심으로 제3 걸림돌출부(621)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버튼부(623)는 제3 회전중심부(622)에서 연장되어 제3 바디(61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제3 버튼부(623)는 제3 바디(610) 외측에서 제3 바디(610) 외측면과 이격된다.
제2 버튼커버(650) 및 제2 툴버튼(670)이 제3 바디(6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개구(611) 및 제3 레버(620)는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제2 툴버튼(670)의 바로 내측에 제3 버튼부(623)가 위치하며, 제2 툴버튼(670)의 내측은 제3 버튼부(623)의 외측에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툴버튼(670)을 내측으로 눌러 제3 버튼부(623)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회전중심부(6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3 레버(620)를 회전(피벗)시킬 수 있다.
제3 탄성체(630)는,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탄성체(630)는,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바디(6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3 레버(620)를 탄력지지한다. 제3 탄성체(630)는,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걸림홈(556)에 삽입되도록 제3 레버(620)를 탄력지지한다.
제3 레버(620)에는 제3 탄성체결합부(6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탄성체결합부(624)는 제3 레버(62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탄성체결합부(624)는 제2 툴버튼(670)과의 사이에서 제3 탄성체(630)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룬다. 제3 탄성체결합부(624)는 제3 걸림돌출부(621)의 반대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바디(610)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일 때, 제3 탄성체결합부(624)는 제3 바디(610)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툴조립체(500)의 브러시커버(550)가 제3 바디(6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3 버튼부(623)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3 탄성체(630)에 의하여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걸림홈(556)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브러시커버(550)(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제3 바디(610))의 결합(체결)이 유지된다.
제2 툴조립체(500)가 제3 바디(6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툴버튼(670)을 눌러 제3 버튼부(623)를 가압하여 제3 레버(620)를 회전시키면, 제3 탄성체(630)가 압축되고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걸림홈(556)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제2 툴조립체(500)(브러시커버(550))는 파이프조립체(600)(제3 바디(610))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파이프조립체(600)로부터 제2 툴조립체(5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제2 버튼커버(650) 및 제1 툴버튼(660)이 제3 바디(6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4 개구(612)는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툴버튼(660)의 바로 내측에 제2 버튼부(523)가 위치하며, 제1 툴버튼(660)의 내측은 제2 버튼부(523)의 외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툴버튼(660)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6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툴버튼(660)의 가압돌기(662)는 제4 개구(612)에 삽입되어 제3 바디(610)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툴버튼(660)을 내측 방향으로 눌러 제2 버튼부(523)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돌기(662)가 제2 버튼부(523)를 가압하고, 제2 회전중심부(5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레버(520)를 회전(피벗)시킬 수 있다.
파이프조립체(600)는 제4 탄성체(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탄성체(640)는,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탄성체(640)는, 제1 툴버튼(660)을 제3 바디(610)의 외측으로 가압한다. 제4 탄성체(640)는 제1 툴버튼(660)과 제3 바디(6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툴버튼(660)을 눌러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간의 체결(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2 툴조립체(500)가 제3 바디(6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툴버튼(660)을 눌러 제2 버튼부(523)를 가압하여 제2 레버(520)를 회전시키면, 제2 탄성체(530)가 압축되고 제2 걸림돌출부(521)가 제2 걸림홈(412)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제1 툴조립체(400)(제1 바디(410))는 제2 툴조립체(500)(제2 바디(510)) 및 파이프조립체(600)(제3 바디(610))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서로 결합된 파이프조립체(600) 및 제2 툴조립체(500)로부터 제1 툴조립체(4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제1 툴버튼(660)의 외측면에는 제1 표시(66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툴버튼(670)의 외측면에는 제2 표시(6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661)는 제1 툴버튼(660)의 외측면에 인쇄되거나 각인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표시(671)는 제2 툴버튼(670)의 외측면에 인쇄되거나 각인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표시(661)는, 제1 흡입구(405)를 직관적으로 연상할 수 있도록, 제1 흡입구(405)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모양,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표시(671)는, 제2 흡입구(505)를 직관적으로 연상할 수 있도록, 제2 흡입구(505)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모양,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a는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5b는 도 25에서 브러시커버(550)가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했을때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러시커버(550)가 브러시(540)를 차폐하도록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걸림홈(556)에 걸릴 수 있다. 제3 바디(610) 내부로 제2 툴조립체(500)가 삽입되고, 브러시커버(5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3 레버(620)의 제3 걸림돌출부(621)가 제3 걸림홈(556)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즉, 파이프조립체(600)와 제2 툴조립체(50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브러시커버(550)가 브러시(540)를 노출시키도록 브러시커버(550)가 제2 바디(510)를 상대로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걸림홈(556)의 앞에서 브러시커버(550)의 외측면에 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바디(610) 내부로 제2 툴조립체(500)가 삽입되고, 브러시커버(5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3 레버(620)의 제3 걸림돌출부(621)는 제3 걸림홈(556)에 걸리지 않고, 제3 걸림홈(556)의 제1 방향(X2)의 앞에 위치한다. 즉, 파이프조립체(600)와 제2 툴조립체(500)의 체결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조립체(600)를 상대로 제2 툴조립체(500)를 제1 방향(X2)의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파이프조립체(6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서로 분리된다.
브러시커버(5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3 바디(610) 내부로 제2 툴조립체(500)를 삽입하면, 제2 툴조립체(500)의 브러시(540)가 제3 바디(610) 내주면에 닿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를 결합시키면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브러시(540)의 휨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브러시커버(5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툴조립체(500)와 파이프조립체(600) 간의 결합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제2 툴조립체(5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6c 및 도 26d는 도 26a의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결합된 모습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는, 제1 회전체(450)와 제2 회전체(460)가 서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513)와 제2 가이드(51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는 제2 툴조립체(500)의 제2 바디(5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러시커버(550)가 구비될 때, 제1 가이드(513) 및 제2 가이드(514)는 브러시커버(55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13)와 제2 가이드(514)는,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서 대향하는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서, 제1 가이드(513)가 상측에 형성될 때, 제2 가이드(514)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서, 제1 가이드(513)가 제3 방향(Z2)의 상대적인 앞쪽에 형성될 때, 제2 가이드(514)는 제3 방향(Z2)의 상대적인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513)와 제2 가이드(514)는 각각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513)와 제2 가이드(514)는 각각,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뾰족한 쐐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툴조립체(400)와 제2 툴조립체(500)가 결합될 때, 제1 가이드(513)는 제1 모서리(451a)와 제3 모서리(461a)의 사이로 진입하면서 제1 모서리(451a)와 제3 모서리(461a)가 서로 벌어지도록 하며, 제2 가이드(514)는 제2 모서리(451b)와 제4 모서리(461b)의 사이로 진입하면서 제2 모서리(451b)와 제4 모서리(461b)가 서로 벌어지도록 한다.
제1 가이드(513)와 제2 가이드(514)는, 제1 반관(451)과 제2 반관(461)이 서로 벌어져 제2 툴조립체(50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진공청소기 100 : 청소기본체
140 : 본체흡입구 141 : 제1 걸림홈
200 : 연결파이프 300 : 흡입노즐
400 : 제1 툴조립체 405 : 제1 흡입구
410 : 제1 바디 410a : 제1 후방부
410b : 제1 전방부 411 : 제1 개구
412 : 제2 걸림홈 420 : 제1 레버
421 : 제1 걸림돌출부 422 : 제1 회전중심부
423 : 제1 버튼부 424 : 제1 탄성체결합부
430 : 제1 탄성체 440 : 제1 버튼커버
450 : 제1 회전체 451 : 제1 반관
452 : 제1 누름부 460 : 제2 회전체
461 : 제2 반관 462 : 제2 누름부
470 : 제1 회전스프링 480 : 제2 회전스프링
500 : 제2 툴조립체 505 : 제2 흡입구
510 : 제2 바디 510a : 제2 후방부
510b : 제2 전방부 511 : 제2 개구
517 : 제1 고정홈 518 : 제2 고정홈
520 : 제2 레버 521 : 제2 걸림돌출부
522 : 제2 회전중심부 523 : 제2 버튼부
524 : 제2 탄성체결합부 530 : 제2 탄성체
540 : 브러시 550 : 브러시커버
550a : 브러시수용공간
551 : 내측관 552 : 외측관
553 : 격벽 554 : 커버레버
554a : 고정버튼 554b : 고정돌출부
554c : 연결브릿지 555 : 레버홈
556 : 제3 걸림홈 600 : 파이프조립체
610 : 제3 바디 611 : 제3 개구
612 : 제4 개구 620 : 제3 레버
621 : 제3 걸림돌출부 622 : 제3 회전중심부
623 : 제3 버튼부 624 : 제3 탄성체결합부
630 : 제3 탄성체 640 : 제4 탄성체
650 : 제2 버튼커버 651 : 제1 버튼홀
652 : 제2 버튼홀 660 : 제1 툴버튼
662 : 가압돌기 670 : 제2 툴버튼

Claims (20)

  1. 본체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기본체, 먼지가 유입되도록 기본흡입구가 구비된 흡입노즐, 및 상기 흡입력이 상기 기본흡입구로 전달되도록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노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흡입구에서 상기 흡입노즐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흡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툴조립체;
    상기 본체흡입구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툴조립체;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툴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이프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흡입구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피벗(pivot)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흡입구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레버;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반관을 포함하는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반관을 포함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반관 및 상기 제2 반관이 상기 제1 흡입구를 이루도록, 상기 제1 회전체를 탄력지지하는 제1 회전스프링과, 상기 제2 회전체를 탄력지지하는 제2 회전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며,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반관과 상기 제2 반관이 서로 벌어지도록 상기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2 누름부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에 결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브러시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 및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브러시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브러시커버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브러시커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제2 레버가 노출되도록 내외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 모서리에서 앞쪽으로 연장되는 레버홈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며,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툴조립체를 수용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 결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제3 바디에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레버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 툴버튼; 및
    상기 제3 바디에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레버가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2 툴버튼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흡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 제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뒤쪽 내부로 상기 본체흡입구가 끼워지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1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레버;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1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체;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반관을 포함하는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반관을 포함하는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흡입구에 동축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며, 뒤쪽 내부로 상기 제1 바디가 끼워지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2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2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체;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러시;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 제3 걸림홈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되며, 뒤쪽 내부로 상기 제1 툴조립체 및 상기 제2 툴조립체가 끼워지는 제3 바디;
    상기 제2 방향의 제3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3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제3 레버; 및
    상기 제3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3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3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브러시를 차폐하도록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3 걸림홈에 걸리고,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커버가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걸림돌출부는 상기 제3 걸림홈의 앞에서 상기 브러시커버의 외측면에 닿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 상기 제1 방향의 전후로 이격된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상기 제2 흡입구를 이루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툴조립체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상기 제2 바디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바디의 앞쪽 테두리에 결합되는 브러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 및
    상기 브러시커버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홈 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커버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5. 본체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기본체, 먼지가 유입되는 기본흡입구가 구비된 흡입노즐, 및 상기 본체흡입구에서 상기 흡입노즐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입력이 상기 기본흡입구로 전달되도록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노즐의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흡입구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흡입구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레버, 서로 대칭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 각각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흡입구를 이루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제1 툴조립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가 제2 흡입구를 이루며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레버,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쪽 테두리에 결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제2 툴조립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방향의 뒤쪽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바디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3 바디,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레버, 상기 제2 레버가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 툴버튼, 및 상기 제3 레버가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제3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 툴버튼을 포함하는 파이프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1 반관;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체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제1 방향의 앞부분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흡입구의 일부를 이루는 제2 반관;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반관과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반관과 상기 제2 반관이 서로 벌어지도록 상기 제1 누름부 및 상기 제2 누름부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를 노출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의 일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브러시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에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커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흡입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레버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쪽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1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툴조립체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1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2 방향의 제2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걸림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제2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2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제2 레버보다 상기 제1 방향의 앞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3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레버는, 상기 제2 방향의 제3 레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바디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바디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3 걸림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조립체는, 상기 제3 걸림돌출부가 상기 제3 바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3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외측면에 상기 제1 방향의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툴조립체는,
    상기 브러시커버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홈 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커버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0200129015A 2020-10-06 2020-10-06 진공청소기 KR2022004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15A KR20220045857A (ko) 2020-10-06 2020-10-06 진공청소기
US18/029,831 US20230404337A1 (en) 2020-10-06 2021-08-20 Vacuum cleaner
EP21877834.8A EP4226828A1 (en) 2020-10-06 2021-08-20 Vacuum cleaner
PCT/KR2021/011069 WO2022075580A1 (ko) 2020-10-06 2021-08-20 진공청소기
CN202122387136.0U CN216602698U (zh) 2020-10-06 2021-09-29 真空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15A KR20220045857A (ko) 2020-10-06 2020-10-06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57A true KR20220045857A (ko) 2022-04-13

Family

ID=8112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15A KR20220045857A (ko) 2020-10-06 2020-10-06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04337A1 (ko)
EP (1) EP4226828A1 (ko)
KR (1) KR20220045857A (ko)
CN (1) CN216602698U (ko)
WO (1) WO20220755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28A (en) 1977-06-13 1979-01-17 Data Products Corp Point matrix typing character type* typing method* typing system* and timing system
KR101841455B1 (ko) 2016-08-25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060A (en) 1975-04-03 1976-10-13 Morita Kagaku Kogyo Kk Method of fixing fluorine in borofluoride-containing waste liquid
DE10108639B4 (de) * 2001-02-22 2006-05-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Zubehör
KR20040058827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툴
JP3916609B2 (ja) * 2004-01-30 2007-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477302B (en) * 2010-01-28 2014-06-04 Dyson Technology Ltd A suction tool assembly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KR102125336B1 (ko) * 2013-05-2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28A (en) 1977-06-13 1979-01-17 Data Products Corp Point matrix typing character type* typing method* typing system* and timing system
KR101841455B1 (ko) 2016-08-25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6828A1 (en) 2023-08-16
US20230404337A1 (en) 2023-12-21
WO2022075580A1 (ko) 2022-04-14
CN216602698U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5105B1 (en) Vacuum cleaner
US20080104793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EP3610767B1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2321633B1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20060130259A (ko) 원형의 진공청소기 핸들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JP2005040246A (ja) 縦型掃除機
JP6710186B2 (ja) 電気掃除機の充電台
CN215959592U (zh) 真空吸尘器
JP2022000285A (ja) 電気掃除機および掃除機収納台
US20220022710A1 (en) Vacuum cleaner
KR20220045857A (ko) 진공청소기
TWI637714B (zh) Electric sweeper
WO2020262600A1 (ja) 電気掃除機
KR200391624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JP6750898B2 (ja) 電気掃除機
JP2012050565A (ja) ハンディタイプ電気掃除機
WO2021171661A1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2060812A (ja) 電気掃除機
JP2020014800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掃除機
JP2023033703A (ja) 除塵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118655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0189136A (ja) 電気掃除機
JP2019187581A (ja) 電気掃除機
JP2021019758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