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61A -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61A
KR20220045461A KR1020200128225A KR20200128225A KR20220045461A KR 20220045461 A KR20220045461 A KR 20220045461A KR 1020200128225 A KR1020200128225 A KR 1020200128225A KR 20200128225 A KR20200128225 A KR 20200128225A KR 20220045461 A KR20220045461 A KR 2022004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ging
terminal
smart contract
commerce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576B1 (ko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김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주 filed Critical 김창주
Priority to KR102020012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은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하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등록시키는 태깅 서버; 상기 스마트계약을 생성하여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 요청하고, 상기 특정 재화에 대한 전자 상거래를 실행하는 태거(tagger) 단말; 및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 중 하나에 대해 태깅을 수행하는 태기(taggee)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태기 단말에서 수행된 태깅에 의해 상기 태기 단말과 상기 태거 단말을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Blockchain based tagging system and blockchain based tag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특정 재화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타국의 재화에 대해서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재화의 특성에 따라서는 국적이나 지역적에 따라 구매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미국의 파워볼과 같은 복권의 경우에는 미국 영토 내에서 구매할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한국에 있는 사람은 파워볼을 구입하기 희망하지만 구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는 해외 부동산을 통한 수익 창출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도 지역적 한계 혹은 국적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부동산 매매가 쉽지 않은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화의 거래에 관해 온라인을 통한 대행 서비스가 존재하기도 하지만, 신뢰성을 담보하기가 쉽지 않고, 거래 사기 등을 통한 손해도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현실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29023호 (2001.04.06. 공개) - 인터넷복권의 추첨 방법
본 발명은 태깅(tagging) 기능을 통해 재화의 특성에 따른 구매자격의 제한을 극복하여 보다 자유로운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추가적으로 수익 창출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원장을 분산시켜 조작을 방지하고, 스마트계약(SC, Smart Contract)을 통해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 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하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등록시키는 태깅 서버; 상기 스마트계약을 생성하여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 요청하고, 상기 특정 재화에 대한 전자 상거래를 실행하는 태거(tagger) 단말; 및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 중 하나에 대해 태깅을 수행하는 태기(taggee)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태기 단말에서 수행된 태깅에 의해 상기 태기 단말과 상기 태거 단말을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스마트계약의 생성 및 등록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시키고, 상기 스마트계약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체계를 구축하는 블록체인 연계부와; 상기 가상화폐 거래체계에 따른 가상화폐와 실질화폐를 교환하고 화폐 거래를 관리하는 뱅크 관리부와;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전자 상거래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는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 스마트계약이 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계약의 체결 조건 및 이행 조건에 따른 계약 체결과 이행 상황을 관리하는 SC 관리부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대한 태깅 상태를 관리하는 태깅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태거 단말 및 상기 태기 단말에 대한 KYC 인증을 수행하는 유저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거 단말은,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거래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상기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상기 태깅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게 하는 상기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SC 등록부와; 상기 SC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에 대해 상기 태깅이 이루어져 유효하게 된 경우 상기 스마트계약에 따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상기 특정 재화에 대한 거래를 실행하는 상거래 실행부와; 상기 거래의 실행을 위한 가상화폐가 보관된 제1 가상화폐 지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계약에는 계약 체결 조건 및 이행 조건을 포함하는 주요 조건과, 재화 종류 및 사업 모델 정보를 포함하는 계약 조건이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상기 계약 체결 조건에는 모집을 희망하는 태기의 수량, 태깅 금액을 포함하는 태깅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태깅 단말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을 확인하는 SC 확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 중 참여 희망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계약 체결을 요청하는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태깅부와; 상기 태깅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제2 가상화폐 지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은 SNS 플랫폼과 연계하며, 상기 SNS 플랫폼의 회원들 중 1인이 상기 태거 단말을 운용하는 경우, 상기 태깅 서버에 의해 상기 스마트계약이 등록된 경우 상기 SNS 플랫폼을 통해 상기 SNS 플랫폼 상의 친구들에게 알려주고, 희망하는 친구가 상기 태기 단말로 태깅에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재화는 구매자격이 제한된 재화이고, 상기 태거 단말을 운용하는 태거는 상기 구매자격을 충족하는 유저이고, 상기 태기 단말을 운용하는 태기는 상기 구매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유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태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거래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태깅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에서 상기 등록 요청에 따른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을 검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계; 태기 단말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 중 하나에 대해 계약 체결을 요청하는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의 계약 체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태깅 동작을 수행한 상기 태기 단말과 상기 태거 단말이 연계되어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 상기 태거 단말에서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가 상기 전자 상거래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가 상기 전자 상거래에 따른 상기 특정 재화의 상태 변경에 따른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른 거래 상태로부터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의 이행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 및 상기 이행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태거 단말과 상기 태기 단말에 대해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에 상응하는 사업 모델에 대응되는 배분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태깅 서버가 제공하는 가상화폐가 태깅 금액으로 요구되며, 상기 전자 상거래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화폐가 거래 금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재화가 복권인 경우, 상기 계약 체결 조건은 상기 복권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이고, 상기 이행 조건은 상기 복권의 당첨 사실이며, 상기 사업 모델은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복권의 당첨금을 태거와 태기가 배분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재화가 부동산인 경우, 상기 계약 체결 조건은 상기 부동산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이고, 상기 이행 조건은 상기 부동산의 구매 및 소유권 이전 등기의 완료이며, 상기 사업 모델은 상기 부동산에 대해 태거와 태기가 공동 소유하거나 상기 태기가 소유한 상태에서 상기 태거가 일정 기간 임대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깅 기능을 통해 재화의 특성에 따른 구매자격의 제한을 극복하여 보다 자유로운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추가적으로 수익 창출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원장을 분산시켜 조작을 방지하고, 스마트계약을 통해 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깅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제1 유저 단말, 즉 태거 단말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제2 유저 단말, 즉 태기 단말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태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깅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제1 유저 단말, 즉 태거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제2 유저 단말, 즉 태기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며, 태깅(tagging) 기능을 통해 재화의 특성에 따른 구매자격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게 하여 상거래가 보다 자유롭고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경제의 글로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태깅 시스템(100)은 태깅 서버(110)와 유저 단말(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깅 시스템(100)은 외부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 연계할 수 있다.
유저 단말(120, 130)은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가 운용하는 단말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혹은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함)이 탑재되어 있거나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 가능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운영체제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일 수 있다.
태깅 서버(110)는 유저 단말(120, 130)과 통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깅 서비스에서는 유저를 태거(tagger)와 태기(taggee)로 구분한다.
태거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을 통해 특정 재화를 구매할 수 있는 유저를 의미한다. 즉, 제한적인 구매자격을 보유한 유저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특정 재화가 미국 복권인 경우 미국 영토 내에 거주하고 있어 미국 복권을 구매할 수 있는 유저가 태거가 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재화가 해외 부동산인 경우, 지역적으로 해당 부동산을 구매할 수 있는 국적을 가지는 유저가 태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화에는 유형 상품뿐만 아니라 주식, 컨텐츠와 같은 무형 상품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을 통해 특정 재화를 구매하는 것이 불가능한 유저는 태거가 되지 못하는 대신에 태기가 될 수 있다. 즉, 제한적인 구매자격을 보유하지 못하여 희망하는 특정 재화를 구매하지 못하는 유저가 태기에 해당한다.
태거는 특정 재화에 관한 구매 계획 및 발생 수익에 대한 분배 계획과 같은 사업 모델을 포함하는 스마트계약을 태깅 서버(11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태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특정 재화에 대한 스마트계약을 확인하고, 희망하는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특정 재화에 대한 구매 지원자(즉, 계약 당사자)로 등록하는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태깅 동작을 통해 태기는 태거가 제시한 스마트계약에 대응되는 특정 재화에 대한 구매 금액 일부 혹은 전체를 가상화폐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한적인 구매자격을 보유한 유저와 보유하지 못한 유저를 서로 연계시켜 주는 과정이 태깅 기능에 해당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한적인 구매자격을 보유한 유저라 할지라도 타 유저(즉, 태거)에 대해 구매금액의 일부를 지원하는 태기로 참여할 수 있다. 즉, 태기는 제한적인 구매자격 보유 여부가 필수적인 조건이 되지는 않을 수 있다.
태깅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유저 단말(120, 130)은 태거(tagger)로서 기능하는 제1 유저 단말(120)(태거 단말)과, 태기(taggee)로서 기능하는 제2 유저 단말(130)(태기 단말)로 구분될 수 있다.
태깅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유저는 전술한 것과 같이 재화의 특성에 따라 태거 혹은 태기로서 활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태깅 서버(1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태깅 서버(110)는 블록체인 연계부(111), 뱅크 관리부(112), 시스템 연계부(113), 유저 인증부(114), SC 관리부(115), 태깅 관리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연계부(111)는 태깅 서버(110)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시킨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해시(hash) 함수를 통해 거래 내역(transaction)이 담긴 블록(block)을 암호화하고 체인 형식으로 연결시킨 레코드 리스트이다. 블록체인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특성으로 인해 이미 발생된 거래 내역의 수정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온라인 시장에서의 거래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보안이 강화된 전자 상거래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바, 블록체인의 특성인 데이터 불변성을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적용시켜 장부(ledger) 조작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SC)은 프로그래밍된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을 이행하는 자동화 계약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계약이 체결되고 이행되기까지 수많은 문서가 필요했다면, 스마트계약은 계약 조건을 컴퓨터 코드로 지정해두고 조건이 맞으면 계약을 이행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연계부(11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에서도 스마트계약에 특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에 연계될 수 있다.
블록체인 연계부(111)는 이더리움 플랫폼에 따라 스마트계약의 생성 및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태깅 서버(110)를 통해 태거 단말(120)이 특정 재화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등록시킬 수 있게 하고, 태기 단말(130)이 여러 스마트계약을 확인하고 계약 체결을 희망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연계부(111)는 스마트계약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화폐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태깅 시스템(100)에 의해 채굴되거나 거래되는 별도의 가상화폐인 TMC(Tagging Me Coin)일 수도 있다.
뱅크 관리부(112)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성사되도록 실질화폐와 가상화폐의 교환소(exchange) 역할을 수행한다. 태거 단말(120) 및/또는 태기 단말(130)에서 태깅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상화폐 구입을 희망할 경우, 실질화폐가 입금되면 그에 상응하는 금액의 가상화폐를 가상화폐 지갑에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계약의 체결을 위한 태거 단말(120)과 태기 단말(130) 간의 가상화폐 거래, 스마트계약의 이행에 대응되는 태거 단말(120)과 태기 단말(130) 간에 가상화폐 거래, 전자 상거래에 대응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의 실질화폐 거래 혹은 가상화폐 거래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연계부(113)는 외부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 연동하며, 태거 단말(120)에 의해 등록된 스마트계약에 상응하는 재화에 관한 거래 정보를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재화 거래 정보에는 재화 종류, 재화 거래 사실 여부, 구매 혹은 판매 금액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저 인증부(114)는 유저 단말(120, 130)을 운용하는 유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 유저의 신원인증 중 하나인 KYC 인증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유저 인증부(114)는 KYC 인증이 이루어진 유저 단말(120, 130)에 한해 태거 단말(120) 혹은 태기 단말(130)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SC 관리부(115)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스마트계약을 관리한다. 등록된 스마트계약은 일반적인 검색 알고리즘에 의해 검색 가능하고, 그 검색 결과는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등록된 스마트계약은 태거 기준 혹은 태기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계약에 포함된 키워드 혹은 태깅 금액 등의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SC 관리부(115)는 태거 단말(120)과 태기 단말(130) 간의 스마트계약에 관한 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SC 관리부(115)는 태거 단말(120)이 등록 요청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미리 지정된 등록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등록을 허가할 수 있다. 등록 조건으로는 일반 상식으로 합리적인 거래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서 제공되는 스마트계약에 관한 재화 거래 정보를 분석하고, 태깅 동작을 통해 태거와 태기가 매칭된 스마트계약의 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의 이행에 따라 사업 모델에 따른 배분 기준에 의해 가상화폐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뱅크 관리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태깅 관리부(116)는 SC 관리부(115)에서 관리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태거 단말(120)에 의해 임의의 스마트계약이 등록되지만, 모든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기 단말(130)에 의한 태깅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등록된 스마트계약에 상응하는 태거 정보, 해당 스마트계약에 태깅한 태기 정보를 포함하는 태기 상태가 태깅 관리부(116)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태깅 관리부(116)는 등록된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거와 태기를 매칭시킬 수 있다. 태기 단말(130)에서 희망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미리 지정된 태깅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태기 단말(130)을 스마트계약에 태깅시키고, 해당 스마트계약을 등록한 태거 단말(120)과 상호 매칭시킬 수 있다.
태깅 관리부(116)는 태기 단말(130)에 의한 태깅이 발생할 경우, 태깅에 따라 미리 지정된 금액을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100)에 대한 운영 수수료를 수수할 수 있다. 운영 수수료는 전술한 가상화폐로 수수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상황에 따라 실질화폐로 수수할 수도 있다.
또한, 태깅 관리부(116)는 태거 단말(120)을 통한 스마트계약의 등록 요청에 대해서도 미리 지정된 수수료를 책정하여 수수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제1 유저 단말(태거 단말(1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태거 단말(120)은 SC 등록부(121), 상거래 실행부(122), 제1 가상화폐 지갑(123)을 포함할 수 있다.
SC 등록부(121)는 태거 단말(120)이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을 통해 거래하고자 하는 재화의 거래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태깅 서버(11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도록 하는 등록 요청을 태깅 서버(110)로 전송한다.
SC 등록부(121)에서 태깅 서버(110)로 등록 요청된 스마트계약에는 주요 조건(계약 체결 조건, 이행 조건), 재화와 관련된 사업 모델 정보(재화 종류, 수익 분배 또는 공동소유 또는 개인 구매 및 소유 등) 등을 포함하는 계약 조건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을 수 있다.
계약 체결 조건에는 모집을 희망하는 태기에 관한 조건(태깅 조건), 예컨대 태기(혹은 태깅)의 수량, 1회 태깅에 대한 태깅 금액이 포함될 수 있다.
이행 조건에는 재화 구매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권의 경우 복권을 구입하는 행위가 이행 조건이 될 수 있다.
사업 모델 정보에는 해당 스마트계약을 통해 태깅 동작을 통해 매칭된 태거와 태기 간에 특정 재화에 대해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복권의 경우에는 복권 당첨 시 당첨금액에 대한 배분비율이 사업 모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부동산의 경우에는 부동산 구매에 따른 소유권 이전 시 공동 소유 여부, 공동 소유에 따른 소유권 이전 등기 여부 등이 사업 모델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거래 실행부(122)는 SC 등록부(121)에 의해 등록된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기 단말(130)에 의한 태깅이 이루어져 스마트계약이 유효하게 된 경우, 해당 스마트계약에 따라 외부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을 통해 스마트계약과 관련된 재화 거래가 실행되게 한다. 예를 들어, 복권의 경우에는 복권 구입, 부동산의 경우에는 부동산 구매 등이 될 수 있다.
상거래 실행부(122)에 의해 실행되는 상거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일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의 경우에는 상거래 실행 여부에 관한 확인이 쉽지 않은 바, 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를 대상으로 한다.
제1 가상화폐 지갑(123)은 스마트계약의 등록, 거래 실행을 위해 필요한 가상화폐를 보관한다.
기본적으로는 태거가 입금한 실질화폐에 상응하는 가치의 가상화폐가 제1 가상화폐 지갑(123)에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의 등록 시에 이행을 보증하기 위한 보증금으로 소정의 가상화폐가 태깅 서버(110)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태깅에 따른 태깅 금액에 상응하는 가상화폐가 제1 가상화폐 지갑(123)으로 입금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에 따라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 재화 거래를 실행할 때, 태깅 금액을 합산한 가상화폐가 재화에 대한 거래 금액으로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 지급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2 유저 단말(태기 단말(1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태기 단말(130)은 SC 확인부(131), 태깅부(132), 제2 가상화폐 지갑(133)을 포함할 수 있다.
SC 확인부(131)는 태기가 구매자격이 제한되어 구매할 수 없는 재화 혹은 판매금액이 상당하거나 희소성이 높아 단독 구매가 어려운 재화에 관한 스마트계약이 태깅 시스템(100)에 연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SC 확인부(131)에 의해 확인된 스마트계약들 중에서 태기가 참여하고자 하는 스마트계약이 있는 경우, 태깅부(132)는 선택된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 동작을 실행한다.
태깅 동작은 선택된 스마트계약에 대해 해당 태기 단말(130)이 계약 체결을 위해 참여를 희망한다는 계약 체결 요청을 보내는 것이다.
스마트계약이 1인의 태기를 모집하는 경우라면 계약 체결 요청에 의해 바로 계약이 체결될 수 있지만, 2인 이상의 태기를 모집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수의 태기에 의한 태깅 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약 체결이 지연되거나 모집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스마트계약이 소멸될 수도 있다.
제2 가상화폐 지갑(133)은 태깅을 위해 필요한 가상화폐를 보관한다.
태깅부(132)에 의한 태깅이 완료되기 위해서는 해당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을 완료하기 위해 지정된 금액의 가상화폐가 계약금으로 지급되어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가상화폐 지갑(133)에 보관된 가상화폐 중 해당 금액이 인출될 수 있다.
태깅에 요구되는 태깅 금액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깅 서버(110)의 운영자에게 지급하는 운영 수수료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100) 하에서 제1 유저 단말(120)과 제2 유저 단말(130)은 각각 태깅 서버(110)에 대해 유저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단계 S200, S205). 유저 등록을 위해서는 예컨대 KYC 인증과 같은 유저 신원인증이 요구된다.
유저 등록된 유저 단말에 한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유저 단말(120)이 태거 단말로서 기능하고, 제2 유저 단말(130)이 태기 단말로서 기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태깅 서버(110)는 외부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와 연계되어 있어,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태거 단말(120)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 대해 거래하고자 하는 재화에 관한 거래 스마트계약(거래 SC)을 생성하고 태깅 서버(110)에 등록 요청한다(단계 S210). 거래 스마트계약은 태깅 서버(110), 특히 블록체인 연계부(111)를 통해 연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될 수 있다.
태깅 서버(110)는 등록 요청된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해 검토하고, 이상 없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킨다(단계 S215).
태기 단말(130)은 태깅 서버(110)에서 등록시킨 여러 거래 스마트계약을 확인하고, 희망하는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해 참여 의사를 표시하는 태깅을 수행한다(단계 S220).
태깅 시 해당 거래 스마트계약에 제시된 태깅 금액(계약금)에 상응하는 가상화폐가 태기 단말(130)의 제2 가상화폐 지갑(133)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해 미리 지정된 수량의 태깅이 있을 경우, 해당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한 계약 체결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보고,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항 계약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S225).
이 경우 해당 거래 스마트계약을 등록한 태거와 해당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깅한 태기가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태기 단말에 의한 태깅 시 인출된 태깅 금액은 후술하는 전자 상거래의 성사를 위해 태기 단말(13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태깅 금액 중 일부는 운영 수수료로 태깅 서버(110)로 지급될 수 있다.
이후 태거 단말(120)은 거래 스마트계약에서 제시한 사업 모델에 상응하여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100)에 연계된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 대해 전자 상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S230). 전자 상거래 요청 시 태깅에 의해 모집된 태깅 금액들을 합산하여 전자 상거래를 위한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상거래를 위한 금액은 가상화폐로 지급되게 할 수 있다. 이는 태거에게 실질화폐가 지급된 경우 거래 스마트계약에 따른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지 않고 잠적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서는 태거 단말(120)에서 요청한 전자 상거래 요청에 대해 지정된 전자 상거래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부합하는 경우 전자 상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단계 S235).
태깅 서버(110)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과 연계하는 시스템 연계부(113)가 포함되어 있어,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서 이루어진 전자 상거래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240). 수신한 전자 상거래 결과는 SC 관리부(115)에 의해 관리되며, 해당 거래 스마트계약에 태깅한 태기 단말(130)로 전자 상거래 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태깅 서버(110)는 전자 상거래 결과가 앞서 계약 체결된 거래 스마트계약에 프로그래밍된 조건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결과가 거래 스마트계약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 해당 사실을 알리고, 전자 상거래가 취소 혹은 무효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대상이 되는 재화의 특성에 따라 그 상태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화가 복권인 경우에는 복권 추첨일이 도래하고 추첨에 따른 복권의 당첨 여부에 대한 상태 변경이 발생한다. 재화가 부동산인 경우에는 부동산 거래를 위한 계약이 체결되고 계약금이 지급된 이후 부동산 물건에 대한 명도와 잔금 지급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부동산 소유권에 대한 등기 여부에 대한 상태 변경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 변경이 있을 경우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은 상태 변경에 따른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태깅 서버(110)에 업데이트 사실을 전달한다(단계 S245).
태깅 서버(110)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50)에서 제공되는 현재 거래 상태로부터 거래 스마트계약의 이행 조건 충족 여부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단계 S250).
거래 스마트계약의 이행 조건이 충족된 경우, 거래 스마트계약에 프로그래밍된 사업 모델에 따른 계약 이행이 되게 할 수 있다(단계 S255).
만약 사업 모델이 거래에 따른 수익금 배분이었다면, 태거와 태기에 대해 거래 스마트계약을 통해 계약된 배분 비율에 따라 수익금을 배분하여 제1 가상화폐 지갑(123)과 제2 가상화폐 지갑(133)으로 각각 지급되게 할 수 있다(단계 S260, S265).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계 S220 이전에, 태거 단말(120)은 태깅 서버(110)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해 태기 단말(130)을 모집할 수도 있다.
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의 회원들이 태거 및 태기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특정 SNS 플랫폼의 회원인 태거가 거래 스마트계약을 등록시킨 이후 본인과 인적 네트워크가 연결된 SNS 플랫폼의 타 회원들(예컨대, Facebook의 친구)에게 거래 스마트계약의 등록 사실을 알리고, 관심있는 친구들을 태기로 모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는 SNS 플랫폼과 연계하여 SNS 플랫폼의 회원들 사이에 태깅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되는 재화가 지역적 한계를 가지는 경우에도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서 거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재화가 상당히 고가이거나 희소성을 가져 단독 소유가 어려울 경우,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을 태기로 모집하여 공동 소유하거나 해당 재화의 거래를 성사시키고 그 수익금을 배분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하는 사업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정 재화가 복권인 경우, 계약 체결 조건은 복권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일 수 있다. 이행 조건은 복권의 당첨 사실이 되고, 사업 모델은 소정 조건에 따라 복권의 당첨금을 태거와 태기가 배분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재화가 부동산인 경우, 계약 체결 조건은 부동산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일 수 있다. 이행 조건은 부동산의 구매(계약금 및 잔금 지급 완료) 및 소유권 이전 등기의 완료일 수 있다. 그리고 사업 모델은 해당 부동산에 대해 태거와 태기가 공동 소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태기가 소유한 상태에서 태거가 일정 기간 임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태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 각각에는 재화가 복권인 경우의 태거 단말 화면과 태기 단말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태거 단말에서 실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의해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다(SMC 아이콘 참조). 이 경우 스마트계약의 등록을 위해서는 주요 조건, 사업 모델 등의 프로그래밍될 필요가 있다.
도 6에 예시된 태거(HELLO Matt!)의 경우에는 파워볼(POWERBALL), 메가 밀리언(MEGA MILLIONS), 로또 아메리카(LOTTO AMERICA), 럭키 포 라이프(LUCKY FOR LIFE) 등의 복권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등록한 상태이다.
신규로 스마트계약을 생성하는 경우는 OPEN SLOT에 해당하며, 복권의 종류를 선택하고 희망하는 태깅 수량 및/또는 태깅 금액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태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태깅 시스템에 등록된 스마트계약들을 확인하고, 태기(HELLO CJ~)가 희망하는 스마트계약을 선택하여 태깅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들을 표시할 때, 태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면서 과거 이력(도면에서는 당첨 이력)을 함께 표시하여 태기의 선택에 도움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110: 태깅 서버
111: 블록체인 연계부 112: 뱅크 관리부
113: 시스템 연계부 114: 유저 인증부
115: SC 관리부 116: 태깅 관리부
120: 제1 유저 단말(태거 단말) 121: SC 등록부
122: 상거래 실행부 123: 제1 가상화폐 지갑
130: 제2 유저 단말(태기 단말) 131: SC 확인부
132: 태깅부 133: 제2 가상화폐 지갑

Claims (12)

  1.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하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스마트계약을 등록시키는 태깅 서버;
    상기 스마트계약을 생성하여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 요청하고, 상기 특정 재화에 대한 전자 상거래를 실행하는 태거(tagger) 단말; 및
    상기 태깅 서버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 중 하나에 대해 태깅을 수행하는 태기(taggee)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태기 단말에서 수행된 태깅에 의해 상기 태기 단말과 상기 태거 단말을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스마트계약의 생성 및 등록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계시키고, 상기 스마트계약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체계를 구축하는 블록체인 연계부와;
    상기 가상화폐 거래체계에 따른 가상화폐와 실질화폐를 교환하고 화폐 거래를 관리하는 뱅크 관리부와;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동하며, 상기 전자 상거래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는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 스마트계약이 등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계약의 체결 조건 및 이행 조건에 따른 계약 체결과 이행 상황을 관리하는 SC 관리부와;
    상기 스마트계약에 대한 태깅 상태를 관리하는 태깅 관리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서버는 상기 태거 단말 및 상기 태기 단말에 대한 KYC 인증을 수행하는 유저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거 단말은,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거래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상기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상기 태깅 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게 하는 상기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SC 등록부와;
    상기 SC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에 대해 상기 태깅이 이루어져 유효하게 된 경우 상기 스마트계약에 따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상기 특정 재화에 대한 거래를 실행하는 상거래 실행부와;
    상기 거래의 실행을 위한 가상화폐가 보관된 제1 가상화폐 지갑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계약에는 계약 체결 조건 및 이행 조건을 포함하는 주요 조건과, 재화 종류 및 사업 모델 정보를 포함하는 계약 조건이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상기 계약 체결 조건에는 모집을 희망하는 태기의 수량, 태깅 금액을 포함하는 태깅 조건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단말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을 확인하는 SC 확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계약 중 참여 희망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해 계약 체결을 요청하는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태깅부와;
    상기 태깅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제2 가상화폐 지갑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은 SNS 플랫폼과 연계하며,
    상기 SNS 플랫폼의 회원들 중 1인이 상기 태거 단말을 운용하는 경우, 상기 태깅 서버에 의해 상기 스마트계약이 등록된 경우 상기 SNS 플랫폼을 통해 상기 SNS 플랫폼 상의 친구들에게 알려주고, 희망하는 친구가 상기 태기 단말로 태깅에 참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화는 구매자격이 제한된 재화이고,
    상기 태거 단말을 운용하는 태거는 상기 구매자격을 충족하는 유저이고,
    상기 태기 단말을 운용하는 태기는 상기 구매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유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9.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연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태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거래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태깅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에서 상기 등록 요청에 따른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을 검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시키는 단계;
    태기 단말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 중 하나에 대해 계약 체결을 요청하는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의 계약 체결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태깅 동작을 수행한 상기 태기 단말과 상기 태거 단말이 연계되어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
    상기 태거 단말에서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 상기 특정 재화에 관한 전자 상거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가 상기 전자 상거래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깅 서버가 상기 전자 상거래에 따른 상기 특정 재화의 상태 변경에 따른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전자 상거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른 거래 상태로부터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의 이행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 및
    상기 이행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태거 단말과 상기 태기 단말에 대해 상기 거래 스마트계약에 상응하는 사업 모델에 대응되는 배분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태깅 서버가 제공하는 가상화폐가 태깅 금액으로 요구되며,
    상기 전자 상거래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화폐가 거래 금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화가 복권인 경우,
    상기 계약 체결 조건은 상기 복권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이고,
    상기 이행 조건은 상기 복권의 당첨 사실이며,
    상기 사업 모델은 소정 조건에 따라 상기 복권의 당첨금을 태거와 태기가 배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화가 부동산인 경우,
    상기 계약 체결 조건은 상기 부동산의 구입 금액 중 일부의 분담이고,
    상기 이행 조건은 상기 부동산의 구매 및 소유권 이전 등기의 완료이며,
    상기 사업 모델은 상기 부동산에 대해 태거와 태기가 공동 소유하거나 상기 태기가 소유한 상태에서 상기 태거가 일정 기간 임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28225A 2020-10-05 2020-10-05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1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25A KR102451576B1 (ko) 2020-10-05 2020-10-05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25A KR102451576B1 (ko) 2020-10-05 2020-10-05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61A true KR20220045461A (ko) 2022-04-12
KR102451576B1 KR102451576B1 (ko) 2022-10-05

Family

ID=8118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25A KR102451576B1 (ko) 2020-10-05 2020-10-05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338A (ko) * 2016-07-08 2018-01-17 김만이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28087B1 (ko) * 2018-01-03 2019-02-26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복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20200057564A (ko) * 2018-11-16 2020-05-26 김용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72318A (ko) * 2018-12-12 2020-06-22 길기상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8956A (ko) * 2019-01-15 2020-07-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의향정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338A (ko) * 2016-07-08 2018-01-17 김만이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101928087B1 (ko) * 2018-01-03 2019-02-26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복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57564A (ko) * 2018-11-16 2020-05-26 김용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서버 및 시스템
KR20200072318A (ko) * 2018-12-12 2020-06-22 길기상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8956A (ko) * 2019-01-15 2020-07-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의향정보 처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29023호 (2001.04.06. 공개) - 인터넷복권의 추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576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168B1 (ko) 온라인 인증 서비스 방법
KR100917036B1 (ko) 부동산 전자거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전자거래 방법
JP2007536619A5 (ko)
US20120173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uthenticating, implementing, brokering data transfers, and collecting fees for data transfers among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and servers
KR101799235B1 (ko) 에스크로 서비스 보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22568A1 (en) Product transaction management computer, product transaction system, and product transaction method
Schuppli et al. Piercing the digital veil: A case study for a DAO legal framework under Swiss law
KR102479166B1 (ko) 중화권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1138416B1 (ko) 가상 계좌를 이용한 국제 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1576B1 (ko)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1216394A (ja) 債権保全方法、債権流動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395502B1 (ko)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부동산 거래 방법
KR20230059109A (ko)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디지털 금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04360B1 (ko)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물품의 임대차 방법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KR20090049827A (ko) 현금본위제도에 의한 마일리지 지급보장 시스템
WO2020185188A1 (en) Online real estate market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KR102509885B1 (ko) 조달 중개 시스템
US118748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ventorying, managing, and monetizing water assets
CN110462610A (zh) 用于形成具有综合管理职位和任务安排的网络的系统和方法
US20240119427A1 (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system - intellectual property blockchain-platform
Folha et al. Towards a Novel Business Process Model for Food Delivery Servic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050007916A (ko) 부동산 거래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Ainsworth et al. Data First–Tax Next: How Fiji’s Technology Can Improve New Zealand’s' Netflix Tax'(Electronic Marketplaces) Part 3
US20210082029A1 (en) Intermediary Method, Intermediary Device, and Recording Medium/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