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419A -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419A
KR20220122419A KR1020210027011A KR20210027011A KR20220122419A KR 20220122419 A KR20220122419 A KR 20220122419A KR 1020210027011 A KR1020210027011 A KR 1020210027011A KR 20210027011 A KR20210027011 A KR 20210027011A KR 20220122419 A KR20220122419 A KR 2022012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information
transaction
sa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돈
이정륜
조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이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이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이스탠다드
Priority to KR102021002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419A/ko
Publication of KR2022012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을 방지하는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부동산 물건의 거래 관련 요구사항을 거래 조건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 본인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 조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거래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관한 거래 조건 정보, 주소지 정보, 상태 정보, 건축년도 정보 및 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들이 기록된 NFT(None-Fungible Token)를 생성하고, 해당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 정보들이 등록된 정식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는 대응하는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대하여 단일의 토큰으로 발행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에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정보 및 거래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The false real estate property registration prevention syste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을 방지하는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실제 매물에 대응하는 토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발행하여 허위 매물을 차단하고, 매수인 또는 임차인의 요구사항 정보를 중개사에게 제공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매물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처리기술을 의미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원장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의 위변조와 같은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이며,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P2P(Peer to Peer;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탈(脫)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한다. P2P란 서버나 클라이언트 없이 개인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노드가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는 방식을 통해 디지털 상에 신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은 중개자 없이 P2P로 편리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상의 모든 거래 정보가 블록에 기록되기 위해서는 유효한 서명이 있어야 하고, 이러한 서명은 유효한 디지털 키에 의해 수행된다. 디지털 키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 쌍으로 구성되는데, 공개키는 은행의 계좌번호 역할을 하고, 개인키는 계좌의 비밀번호 역할을 한다.
한편, 가상화폐는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라고도 하며, 지폐나 동전 등의 실물이 없고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말한다. 암호화폐는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가치가 매겨진다. 또한, 탈중앙화 특징에 의해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거래 내역을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정부 등 특정 기관이 가치나 지급을 보장하지 않는다.
한국 등록특허 10-1857223 (공고일자 2018년 5월 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동산 매물 거래에 있어서 해당 매물에 대한 매도인 또는 임대인이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유일한 NFT(None-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를 발급하여 허위 매물이 아닌 실제 매물에 대해서만 매물 리스트로 관리 및 열람가능하게 하여 허위 매물을 없앨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매수인 또는 임차인이 구매를 원하는 요구사항 정보를 지정하여 플랫폼에 등록시, 중개사의 확인을 거쳐 조건에 부합하는 부동산 매물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며, 부동산 매물들의 거래 이력, 거래 조건, 거래 가격, 위치, 상태, 건축년도, 면적, 하자보수 현황 등의 각종 정보들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부동산 물건의 거래 관련 요구사항을 거래 조건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 본인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 조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거래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관한 거래 조건 정보, 주소지 정보, 상태 정보, 건축년도 정보 및 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들이 기록된 NFT(None-Fungible Token)를 생성하고, 해당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 정보들이 등록된 정식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는 대응하는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대하여 단일의 토큰으로 발행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에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정보 및 거래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은, 상기 정식 매물 리스트를 통해 상기 NFT에 기록된 부동산 매물의 상세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지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식 매물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 발급을 통해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허위 매물을 없앨 수 있으며, 실제 매물을 인증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통해 구매자가 검색하는 부동산 매물들의 거래 이력, 거래 조건, 거래 가격, 위치, 상태, 건축년도, 면적, 하자보수 현황 등의 각종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 매물에 대해 매수인 또는 임차인이 원하는 요구사항 정보를 중개사가 확인하여 고객 맞춤형 매물 리스트를 제공하여, 구매자가 직접 매물을 찾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 포함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되어 있는 부동산 매물들의 상세 정보들에 대해 매수인 또는 임차인의 요구사항에 따라 중개사의 확인을 거쳐 조건에 부합하는 부동산 매물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며, 구매자는 본인의 요구사항에 맞는 매물을 선택하여 계약을 진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드들(110-170)로 이루어진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 시스템이다. 분산형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노드들(110-170)은 컴퓨터, 이동 단말기, 전용 전자 장치 등 연산 능력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네트워크(100)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블록(block)의 연결 묶음 내에 모든 참여 노드에 공통으로 알려진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노드들(110-170)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저장, 관리 및 전파를 담당하는 완전 노드(full node)와 단순하게 트랜잭션에만 참여할 수 있는 간이 노드(light node)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노드에 대하여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완전 노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암호화폐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금융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물건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실물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100)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각각의 암호학적 연관관계가 있는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 쌍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2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블록체인(200)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200)에 연결한다. 도 2에는 제한된 수의 블록들(210, 220, 2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블록체인(200)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 헤더(211)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220)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200)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블록 바디(213)는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 또는 트랜잭션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 헤더(211)는 이전 블록의 해시(2112), 현재 블록의 해시(2113), 넌스(Nonce)(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 헤더(211)는 블록 내의 트랜잭션 리스트의 헤더를 나타내는 루트(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2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블록 헤더(211) 내의 해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다. 블록 헤더(211)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2112)은 직전 블록(220)에 대한 해시 값으로서 직전 블록(220)에 포함된 현재 해시(2213)와 동일한 값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각 블록 헤더 내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의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므로 악의적인 단일 노드가 이미 생성된 블록의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블록 바디(213)는 트랜잭션 리스트(213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의 목록이다. 예를 들면,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금융 거래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트리(tree)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한 금액을 목록 형태로 기록하며, 블록 내의 저장 길이는 현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수에 기초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10)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에 포함된 정보 이외의 기타 정보(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동일한 블록체인을 가지며, 블록에는 동일한 트랜잭션이 저장된다. 트랜잭션 목록이 포함된 블록이 네트워크에 공유되므로 모든 참여 노드들이 검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도 4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4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동산 물건의 거래 관련 요구사항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매수인 또는 임차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부동산 물건의 거래 관련 요구사항으로서 거래 조건, 위치, 상태, 건축년도, 면적, 거래 가격 등의 조건을 지정하여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사용자 단말(310)에 대해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물건의 거래 조건에 관한 요구사항 정보를 입력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중개사 단말(330)의 회원등록 신청을 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중개사 단말(330)에 대해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제공받은 물건의 거래 조건에 관한 요구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제공받은 물건의 거래 조건에 관한 요구사항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로부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제공받아 이를 해당 사용자 단말(310)로 제공할 수 있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거래 대상 물건들에 대한 상세 정보들을 종합하여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로 미리 전달하여 저장해 두고, 사용자 단말(310)의 요청에 따라 중개사 단말(330)은 매물 정보 제공부(340)의 검색을 통해 적합한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310)로 전달한다.
여기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부동산 중개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에 회원등록을 한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의 요구사항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작성 및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에 저장된 부동산 매물들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에서 요청한 요구사항 정보에 부합하는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 단말(3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는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로부터 부동산 매물들에 관한 거래 조건 정보, 물건의 주소지, 상태, 건축년도, 면적, 사진 등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상술한 정보들이 기록된 NFT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310)의 요구사항에 따라 중개사 단말(330)의 검색을 통해 적합한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일 수 있다.
NFT(None-Fungible Token)란 대체불가토큰을 의미하며,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에서 NFT를 생성하는 이유는 NFT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특정한 거래 대상 매물의 판매 소유권 또는 임대차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매도인 또는 임대인이 증명된다. NFT는 중복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300) 내에 동일 매물의 등록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NFT에 기록되는 정보에는 부동산 매물에 관한 거래 조건 정보, 물건의 주소지, 상태, 건축년도, 면적, 사진 등의 정보 이외에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거래 가격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NFT를 통해 해당 물건에 대한 전체적인 이력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는 특정한 거래 대상 물건에 대해 NFT를 생성하면서 매물 리스트에 해당 물건을 정식 매물로 등록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상기 정식 매물 리스트를 열람하여 허위 매물이 없는 거래가능 부동산 매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동산 매물마다 거래 조건 정보, 물건의 주소지, 상태, 건축년도, 면적, 사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거래 가격 정보 등도 NFT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이 상기 매물 리스트를 통해 NFT에 기록된 부동산 매물의 상세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수료에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 포함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저장부(321), 전송부(322), 회원관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로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부동산 매물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321)는 사용자 단말(310)에서 등록한 부동산 물건의 거래 조건에 대한 요구사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10)은 부동산 물건에 대한 매수인 또는 임차인 지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부동산 물건의 거래 조건, 위치, 상태, 건축년도, 면적, 거래 가격 등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요구사항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저장부(321)는 상술한 정보들을 포함한 구매자의 요구사항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에서 열람가능 하도록 한다.
전송부(322)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에서 상기 요구사항 정보에 부합하는 매물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경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회원관리부(323)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로부터 중개사 자격증 및 중개 위치를 선택받아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을 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에서 제공된 본인 인증 결과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을 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거래내역을 블록에 저장한 후 연결한 체인형태의 구조이다. 블록체인은 분산된 공공 거래장부라고 불리며 거래 내역을 연결된 노드에 공유한 후 합의에 의하여 처리가 된다. 따라서, 중앙 서버가 따로 필요 없고 이로 인해 서버구축 및 관리비용이 절감되는데, 블록체인으로 트랜잭션이 참여된 모든 노드에게 공유되고 거래 수정 및 승인 시 각 참여노드에게 승인을 받아야 하며 수시로 검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변조나 해킹이 사실상 어렵다.
또한, 블록체인은 서버기능을 분산화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중앙집중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능을 서버단위로 분산화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투명하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중앙집중식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트랜잭션에 대한 권한을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가지고 있으며 쓰기 요청과 읽기 요청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으로 핸들링이 가능하나 해당 서버가 해킹 당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블록체인의 경우 트랜잭션과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공유하므로, 관리자의 권한에 상관없이 공유된 노드에서는 직접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수정 시에도 기존 기록이 블록체인에 남아있기 때문에 어떤 부정한 행위도 과거 이력검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상호 계약관계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위의 같이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약간의 데이터 변화에 대하여도 민감하게 처리하여 위변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거래형식을 고려하여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310)이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에 대해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매수인 또는 임차인 지위를 선택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그리고, 중개사 단말(330)은 중개사 자격증 및 중개 위치에 관한 증빙서류를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로 제공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부동산 매물에 대한 거래에 있어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사용자 단말(310)에서 등록한 부동산 물건의 거래 조건, 위치, 상태, 건축년도, 면적, 거래 가격 등의 요구사항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중개사 단말(330)에서 검색 가능하도록 요구사항 정보 리스트를 제공한다.
중개사 단말(330)은 상기 요구사항 정보 리스트를 열람하여,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로부터 조건에 부합하는 매물들을 검색하여 거래 가능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작성하여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를 통해 사용자 단말(310)로 전달한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20)는 중개사 단말(330)에서 작성되어 전달된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310)에서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 부동산 매물을 다시 지정된 중개사 단말(330)로 전달하여 거래가 성사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는 거래 가능한 부동산 매물들의 상세 정보를 기록한 NFT를 생성하여 중개사 단말(330)에서 상기 NFT를 검색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중개사 단말(330)은 사용자 단말(310)의 요구사항 정보에 따라 적합한 부동산 매물들을 선택하여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달한다.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340)에서 생성한 NFT에는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거래 가격 정보, 해당 물건에 대한 하자보수 이력 정보 등이 포함되거나 업데이트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330)은 NFT를 통해 해당 물건에 대한 전체적인 이력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NFT는 해당 물건에 대해 단일의 토큰으로 발행되며, 중복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300) 내에 동일 매물의 등록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부동산 매물의 거래에 있어서, 허위 매물이 없는 실제 매물에 대해서만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고,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NFT에 기록된 이력 정보들을 통해 부동산 매물의 거래를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와 메모리(120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식별인증 및 개인키 생성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발생시켜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프로세서(110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Read-Only Memor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0)에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의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형 네트워크
110~170: 노드들
200: 블록체인
210, 220, 230: 블록
300: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
31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320: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330: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340: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

Claims (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부동산 물건의 거래 관련 요구사항을 거래 조건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 본인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 조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거래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 및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관한 거래 조건 정보, 주소지 정보, 상태 정보, 건축년도 정보 및 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들이 기록된 NFT(None-Fungible Token)를 생성하고, 해당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 정보들이 등록된 정식 매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는 대응하는 거래 대상 부동산 매물에 대하여 단일의 토큰으로 발행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매물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T에 소유주 변경 이력 정보, 해당 물건의 최초 취득일 정보, 등기부 등본 정보 및 거래 가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은, 상기 정식 매물 리스트를 통해 상기 NFT에 기록된 부동산 매물의 상세 정보들을 열람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지불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개사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식 매물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부동산 매물 리스트를 상기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시스템.
KR1020210027011A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KR20220122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11A KR20220122419A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11A KR20220122419A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419A true KR20220122419A (ko) 2022-09-02

Family

ID=8328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011A KR20220122419A (ko) 2021-02-26 2021-02-26 블록체인 기반의 허위매물 등록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4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24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low trust and zero trust value transfers
US113864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currency trading
Alam et al. A blockchain-based land title management system for Bangladesh
US20190392511A1 (en) Bid matching for blockchain-based goods/assets systems and methods
Liu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200099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gateway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US20220270087A1 (en) Asset trading system enabling transparent trading history management
KR102157171B1 (ko) 소유권자 불특정 공동자산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지분 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US11475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US110428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gateways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Baliga The blockchain landscape
WO2020014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torage of digital assets to facilitate electronic transactions
KR20200030787A (ko)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결제 가맹점 단말 및 가상화폐 결제 및 환전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CN117616410A (zh) 计算机分片环境中的多方计算
KR20200116042A (ko) 가상자산에 의한 제1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과 연동하여 비-가상자산에 의한 제2 결제수단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제대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대행 방법
WO2020113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gateway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WO2019245635A1 (en) Tokenized asset transfer and recording
CN115136542A (zh) 智能合约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WO2023201359A2 (en) Method, controll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cting expiration of a unique cryptographic identifier on a distributed transfer network
Zhang et al. The real estate time-stamping and registration system based on ethereum blockchain
Masseport et al. Proof of usage: User-centric consensus for data provision and exchange
Kalish et al. A Comparative Review of Cryptoasset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