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800A -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800A
KR20190062800A KR1020170161354A KR20170161354A KR20190062800A KR 20190062800 A KR20190062800 A KR 20190062800A KR 1020170161354 A KR1020170161354 A KR 1020170161354A KR 20170161354 A KR20170161354 A KR 20170161354A KR 20190062800 A KR20190062800 A KR 2019006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transaction
dependent
private key
bl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158B1 (ko
Inventor
김정수
조문일
김치헌
김영환
김학범
정승채
Original Assignee
신한카드 주식회사
(주)블록체인팩토리
페이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카드 주식회사, (주)블록체인팩토리, 페이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158B1/ko
Priority to US15/741,007 priority patent/US20190311336A1/en
Priority to PCT/KR2017/015097 priority patent/WO2019107654A1/ko
Priority to CN201780004521.6A priority patent/CN110326012A/zh
Priority to EP17814289.9A priority patent/EP3518164A4/en
Priority to JP2018517218A priority patent/JP6796641B2/ja
Publication of KR2019006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9Hierarchy of users of accounts
    • G06Q20/2295Parent-child type, e.g. where parent has control on child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상기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들의 다중서명(multi-signature)을 관리하는 계정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거래 조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결제를 진행하는 거래 생성부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APPARATUS OF GENERATING CREDIT VIRTUAL CURRENCY AND APPARATUS OF MANAGING CREDIT VIRTUAL CURRENCY}
이하의 설명은 여신 가상화폐를 생성하는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여신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에 연관된다.
종래의 신용거래는 소비자, 가맹점 및 카드회사 사이를 연결하는 VAN사(Value Added Network) 또는 PG사(Payment Gateway)를 통해 결제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종래 방식은 VAN사 또는 PG사 각각이 거래를 중개하고, 중개된 거래 횟수에 따라 수수료를 취득하였기 때문에 VAN사 및 PG사를 거치지 않는 새로운 결제 프로세스가 개발되지 않는 이상 신용카드 가맹점들의 수수료를 인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최근에는 계좌이체 방식의 앱(APP: Application) 투 앱 결제로써 VAN사 또는 PG사가 없는 거래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가맹점 수수료를 낮추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계좌이체 방식은 신용거래가 아니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신용카드 사용 및 신용으로 결제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앱 투 앱 결제를 통해서는 통장 잔액 내에서만 소비가 가능하다는 아쉬움이 존재할 수 잇다.
또한, 미래에는 사람뿐만 아니고 사물 단말을 통해서도 자동 결제하는 시대가 도래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 신용카드 거래는 사람 또는 사람이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2307호에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송금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상특허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거래소 컴퓨터장치들이 암호화폐를 각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고, 해당 암호화폐를 법정화폐와 교환하도록 하여 사용자 간의 편리한 계좌이체를 구현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일측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상화폐 생성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상기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들의 다중서명(multi-signature)을 관리하는 계정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거래 조건에 따라 상기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하는 거래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에 관한 주계정 및 상기 소비자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 각각의 다중서명을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화폐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제1 개인키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종속계정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 종속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속계정의 다중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시스템키로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생성부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거래 조건은 상기 제1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 각각에 대한 백업키들을 저장하고, 상기 백업키들은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단말로부터 블록체인을 공유하기 위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은 소비자의 신용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거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적어도 두 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단말의 개인키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삭제 메시지 및 결제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결제취소 메시지 각각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 개인키에 기초한 전자서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거래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종속계정에 대해 저장된 시스템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을 삭제하거나,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결제를 취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배포된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소비자 단말과 상기 블록체인에 연관되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신용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종속계정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명령어 세트,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추출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의 개인키로서 전송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 중 제1 계정에 연관되는 단말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상화폐 관리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및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확인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관리하는 거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및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거래 조건과 비교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거래 조건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권한, 상기 제1 계정의 결제권한 및 상기 제1 계정의 백업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를 할부된 전체 금액만큼 차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관리부는, 소정 기간 이후에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할부 대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입금 결과에 따라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의 일부를 복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거래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정이 할부 가능 계정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제1 계정에 연관되는 식별값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값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송금 처리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결제가 진행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가 다중서명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어의 설명
이하의 설명에서, 블록체인이란 거래 정보 각각을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들을 차례차례 연결한 거래 장부를 나타낸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비트코인(bitcoin)과 같은 암호화된 가상화폐들이 생성될 수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개발되어 소스코드(source code)가 공개된 암호화폐(cryptocurrency)이며, 오늘날 이용되고 있는 가상화폐의 한 종류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이 새롭게 제안하는 여신 가상화폐(credit virtual currency)는 사용자의 신용 한도에 기반하여 발행된 가상화폐를 나타낼 수 있다. 여신 가상화폐에 상응하는 결제 대금의 납부 여부에 따라 여신 가상화폐가 갖는 결제 한도가 복원될 수도 있고,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결제가 진행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이 도시된다. 예시적으로,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은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 및 가상화폐 관리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이 개별적인 기능에 따라 두 개의 장치(111, 112)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나, 이는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를테면,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 자체가 기능적 분리 없이 하나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되는 실시예 또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은 각각의 소비자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에 여신 가상화폐(120)를 발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에 포함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여신 가상화폐(120)를 발급할 수 있다.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는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특정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생성 장치(110)는 상기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의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 소비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31)을 통해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로부터 여신 가상화폐(120)를 발급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는 실물 신용카드를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31)은 카드사 서버가 미리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화폐 생성 장치(11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여신 가상화폐(120)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 소비자와 제2 소비자들은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하여 소비자 간의 피어투피어(peer to peer) 형태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소비자는 제1 사용자 단말(131) 내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여신 가상화폐(120)를 전달하는 형태로, 제2 사용자 단말(132)에 여신 가상화폐(120)를 송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 소비자 또는 제2 소비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131, 132)을 이용하여 제1 가맹점 단말(141)과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한 신용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소비자 또는 제2 소비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131, 132) 내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하여 제1 가맹점 단말(141)과 신용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 가맹점 단말(141)은 실제 가맹점에 배치된 POS(Point Of Sales) 단말이나 카드 결제 단말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 가맹점 단말(141)은 온라인 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 등의 가맹점 서버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 가맹점 단말(141)은 카드사 서버로부터 배포된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컴퓨터 및 휴대용 랩탑(laptop) 컴퓨터와 같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가맹점 단말(141)은 제1 소비자 또는 제2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131, 132)에 설치된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앱 투 앱 거래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가맹점 단말(141)은 사용자 단말(131, 132) 내의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여신 가상화폐(120)를 전달 받는 형태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신용 거래 서비스를 이용한 제1 소비자는 제1 사용자 단말(131)을 이용하여 여신 가상화폐(120)를 통한 결제 대금을 가상화폐 관리 장치(112)에게 정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정산 과정에는 원화와 같은 실물 법정화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대금 정산 절차는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한 신용 거래와는 독립적으로 카드사와 소비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대금 정산 절차는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한 신용 거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1 가맹점과 제2 가맹점 각각은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하여 가맹점 간의 피어투피어 형태의 거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가맹점은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B2B(Business To Business)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2 가맹점은 기업 간의 거래를 지원하는 B2B 가맹점의 결제 단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1 가맹점은 제1 가맹점 단말(141) 내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여신 가상화폐(120)를 전달하는 형태로, 제2 가맹점 단말(142)에 여신 가상화폐(120)를 송금할 수 있다.
제1 가맹점 단말(141) 및 제2 가맹점 단말(142) 각각은 전자지갑 내에 저장된 여신 가상화폐(120)에 기반하여 가상화폐 관리 장치(112)로 여신 가상화폐(120)의 환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여신 가상화폐 거래관리 시스템(110)은 소비자의 신용을 기반으로 한 여신 가상화폐(120)를 발행하고, 발행된 여신 가상화폐(120)를 이용하여 소비자와 가맹점 사이뿐만 아니고, 소비자간 및 가맹점간의 신용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가 하나의 소비자에 대한 복수의 종속계정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신용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추가적인 도면과 함께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화폐 생성 장치(200)는 통신부(210), 블록체인 생성부(220), 계정관리부(230) 및 거래 생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소비자의 주계정에 대응하는 단말(mobile terminal)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200)를 관리하는 카드사에 의해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비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화폐 생성 장치(200)에 대한 계정인증을 미리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여신 가상화폐는 복수의 다중계정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하나의 주계정과, 상기 주계정의 인증을 통해 생성되며 소비자의 가족 또는 소비자에 연관되는 사물 단말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복수의 종속계정이 가상화폐를 공유하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부(220)는 소비자의 신용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생성부(220)는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기술 분야에 있는 전문가에게는 straight forward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정관리부(230)는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들의 다중서명(multi??signature)을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다중서명에는 개인키에 기반한 전자서명, 시스템키에 기반한 전자서명 및 백업키에 기반한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정관리부(230)는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에 관한 주계정 및 상기 소비자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 각각의 다중서명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소비자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은 주계정 소유자의 가족 또는 회사직원과 같은 연관 인물에 의해 관리되는 계정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소비자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은 주계정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 단말에 연관되는 계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 단말은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이 자동화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기계 단말로서, 스마트 센서, 자동차, 냉장고 및 세탁기 등과 같이 주계정 소비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 중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거래 생성부(240)는 복수의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거래 생성부(240)는 주계정에 대응하는 제1 거래 조건, 제1 종속계정에 대응하는 제2 거래 조건 및 제2 종속계정에 대응하는 제3 거래 조건 각각을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주계정과 두 개의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들의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기재일 뿐, 발명의 사상이 위와 같은 예시로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하나의 주계정만의 거래 조건이 저장되는 실시예 또는 하나의 주계정과 열 개의 종속계정의 거래 조건이 각각 저장되는 실시예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거래 생성부(240)는 거래 조건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가적인 도면과 함께 다중계정 각각의 다중서명 계정과 거래 조건들이 관리되는 과정이 설명된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는 계정관리부(310), 거래 생성부(320) 및 블록체인 생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비자(341)는 자신에 연관되는 복수의 계정을 통해 가족, 지인과 같은 사람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와 같은 IoT 단말들과 여신 가상화폐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소비자(341)는 자신이 이용하는 주계정과 함께 네 개의 종속계정을 이용할 수 있다. 네 개의 종속계정은 각각 제1 소비자(341)의 가족(342), 제1 소비자(341)의 자동차(343), 제1 소비자(341)의 냉장고(344) 및 제1 소비자(341)의 세탁기(345)에 연관될 수 있다.
제1 소비자(341)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로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소비자(341)는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요청으로서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종속계정은 소비자(341)의 가족(342)에 연관되는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계정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제1 개인키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310)는 인증의 결과에 따라 제1 종속계정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정관리부(310)는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제1 소비자(341)에 대한 제1 종속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종속계정은 제2 다중서명 계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중서명 계정은 제1 개인키를 이용하여 유도된(driven) 개인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거래 생성부(320)는 제1 소비자(3410)에 대한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제2 거래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거래 조건은 제1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는 제1 소비자(341)의 가족(342), 제1 소비자(341)의 자동차(343), 제1 소비자(341)의 냉장고(344) 및 제1 소비자(341)의 세탁기(345) 각각에 대한 종속계정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소비자(341)의 가족(342)에 연관되는 제1 종속계정은 제2 다중서명 계정 및 제2 거래 조건에 연관되고, 제1 소비자(341)의 자동차(343)에 연관되는 제2 종속계정은 제3 다중서명 계정 및 제3 거래 조건에 연관된다. 또한, 제1 소비자(341)의 냉장고(344)에 연관되는 제3 종속계정은 제4 다중서명 계정 및 제4 거래 조건에 연관되고, 제1 소비자(341)의 세탁기(345)에 연관되는 제4 종속계정은 제5 다중서명 계정 및 제5 거래 조건에 연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는 주계정의 관리 하에 운영되는 다중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폐 생성 장치(300)는 각각의 종속계정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들을 관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권한을 갖는 복수의 계정을 지원하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테면, 자동차(343)에 연관되는 제2 종속계정은 카센터 또는 주유소와 같은 유형의 가맹점 내에서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제3 거래 조건이라든가, 미성년자인 가족(342)에 연관되는 제1 종속계정은 주계정의 결제 한도와 다른 월 30만원의 결제 한도를 갖도록 하는 제2 거래 조건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비자의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410), 소비자의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420) 및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여신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상기 여신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410)은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새로운 종속계정을 생성하기 위해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420)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410)은 소비자의 가족이 이용하는 단말 또는 전자기기로 구현되는 IoT 단말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410)에는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카드사가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은 소비자의 가족이나 회사 직원과 같은 종속계정 소유자의 선택으로 진행되거나, 단말 제조사, 주계정 소유자 본인의 선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420)은 이미 카드사 서버에 대해 계정인증 및 생성을 마친 상태일 수 있다.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420)은 종속계정 생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410)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이 성공된 경우, 사용자 단말(420)은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 및 주계정의 제1 개인키로 생성된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종속계정 생성 요청을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의 계정관리부(431)는 수신한 전자서명을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420)에 관한 주계정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주계정이 인증된 경우, 계정관리부(431)는 거래 생성부(432)로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은 생성될 종속계정에 대한 유효기간, 사용권한, 결제권한 등을 포함하며, 상기 거래 조건은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전달된다.
거래 생성부(432)로부터 결과를 수신한 계정관리부(431)는 주계정의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한 개인키를 기반으로 종속계정의 다중서명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거래 생성부(432)는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종속계정의 제2 개인키와 처리 결과를 계정생성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4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20)은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410)로 제2 개인키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410) 내의 메모리에 제2 개인키가 저장되면서 종속계정 생성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소비자의 가족 또는 사물 단말은 종속계정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메시지를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계정관리부(431)는 종속계정에 대한 결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종속계정을 응답하고,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계정관리부(431)는 거래 생성부(432)로 결제 내역에 따른 블록체인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거래 생성부(432)은 이에 응답하여 처리 결과를 계정관리부(431)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410) 또는 사용자 단말(420) 각각에는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배포된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은 단말(410) 또는 사용자 단말(420)의 식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값에 따라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는 신용 거래에 연관되는 주체가 법인인지, 가맹점인지, 개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요청 메시지가 개인과 개인 사이의 메시지라면, 가상화폐를 이용한 송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가상화폐 생성 장치(430)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요청 메시지가 법인이나 가맹점과 개인 사이의 메시지라면,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계정관리부(431)는 사용자 단말(420) 또는 단말(410)로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이 종속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은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510),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520),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530)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은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 내의 메모리는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인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키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인키에 상응하는 제1 시스템키는 가상화폐를 발급하고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지정된 조건에 따라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에 대해 주계정 소비자에 대한 주민등록번호, 실물 신용카드 번호, 실물 신용카드 비밀번호 및 휴대폰 번호 등과 같은 식별키(identification key)를 요구하고, 수신된 식별키 값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상기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식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테면, 실물 신용카드의 유효기간 검증 또는 실물 신용카드의 CVC(Card Validation Code) 번호 검증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이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단계(520)에서의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거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소비자는 주계정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 종속계정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설정하거나, 제2 종속계정이 패스트푸드와 같은 요식업 업종 가맹점에 대해서만 결제권한을 갖는 것과 같은 각각의 거래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가상화폐를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거래 환경을 정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거래 조건은 오늘날 기술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이른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은 소비자의 신용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540)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의 개인키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개인키 중 하나를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로서 사용자 단말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소비자는 자신의 주계정에 기초하여 인증된 복수의 종속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결제 수단으로 자신의 신용에 기반하여 여신 가상화폐를 공유하는 종속계정을 생성하면서, 거래 조건에 기반하여 각각의 종속계정들의 개별적인 거래 환경을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여 다중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가 다중서명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제1 소비자에 대응하는 다중서명 계정을 생성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의 동작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는 계정관리부(611)와 거래 생성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비자(621)는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주계정뿐만 아니라, 제1 소비자의 가족(622) 및 제1 소비자의 IoT 단말(623) 각각이 이용하는 두 개의 종속계정을 추가 생성할 수 있다.
제1 소비자(621)의 사용자 단말 내의 전자지갑에는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631)가 저장된다. 제1 개인키(631)는 주계정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로부터 발급된 키를 나타낼 수 있다.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는 제1 개인키(631)에 상응하는 제1 시스템키(632)를 계정관리부(611) 내의 다중서명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는 제1 개인키(631)에 상응하는 제1 백업키(633)를 발급하여, 제1 백업키(633)를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소비자(621)는 제1 백업키(633)를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범용 저장장치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제1 개인키(631)가 삭제되거나 분실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제1 개인키(631)가 삭제되거나 분실된 경우, 제1 소비자(621)의 사용자 단말은 제1 백업키(633)를 가상화폐 생성 장치(610)에 전송함으로써 제1 시스템키(632)와의 인증을 통해 여신 가상화폐를 통한 결제를 진행하거나 계정을 삭제하는 것과 같은 관리 행위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611)는 주계정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제1 개인키(631)에 의한 전자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제1 개인키(631)에 의한 전자서명이 인증된 경우, 계정관리부(611)는 각각의 종속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계정관리부(611)는 제1 개인키(631)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641, 642, 643)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정관리부(611)는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제2 시스템키(642)로 저장하고,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 제2 백업키(643)로서 전송하고,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제1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의 개인키(641)로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원리로, 계정관리부(611)는 제1 개인키(631)에 의한 전자서명을 검증하여, 제3 개인키(651), 제3 시스템키(652) 및 제3 백업키(653)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3 시스템키(652)는 제1 소비자의 IoT 단말(623)과 연관되며 계정관리부(611) 내의 다중서명 계정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인키(651)는 제1 소비자의 IoT 단말(623) 내의 전자지갑에 단말에 대한 개인키로서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정관리부(611)가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로 개인키(641)를 전송하는 과정이 설명되나,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이 두 개의 개인키를 수신하고, 그 중 하나를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실시예 또한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 계정관리부(611)는 제1 개인키(631)가 인증된 경우에, 새로운 종속계정 각각에 대한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제1 개인키(631)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적어도 두 개의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계정에 연관되는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은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631)를 저장하고, 복수의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643, 653) 또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백업키들(643, 653)은 제1 개인키(631)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종속계정들에 대한 백업키들(643, 653)에 기반하여 개별 종속계정 각각에 대한 거래 중단, 결제 취소, 개인키 폐기와 같은 계정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는 제1 개인키(631)에 기반하여 생성된 복수의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643, 653)를 검증할 수 있어, 소비자가 해당 종속계정에 대한 관리 능력을 갖는 주계정의 사용자라는 것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확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주계정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삭제 메시지 및 결제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제1 소비자의 가족(622)에 대한 제1 종속계정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결제취소 메시지 각각은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2 백업키(643)에 기초한 전자서명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백업키(643)는 제1 종속계정의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제2 개인키(641)로부터 유도된 키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는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거래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계정관리부(611)로 전송할 수 있다. 계정관리부(611)는 제1 종속계정에 대해 저장된 제2 시스템키(642)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라 제1 종속계정을 삭제하거나, 제1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결제를 취소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계정관리부(611)는 제1 개인키(631)로부터 유도된 하나의 제3 개인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개인키를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에 제3 백업키(653)로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610)는 제3 백업키(653)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3 개인키를 생성하고, 복수의 제3 개인키 중 하나를 제3 시스템키(652)로서 저장하고, 복수의 제3 개인키 중 하나를 제2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의 개인키(651)로서 전송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631)와 독립적으로, 복수의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643, 653)가 별도로 관리되는 실시예가 개시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6a와 함께 기재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주계정을 관리하는 제1 소비자(621)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 내의 전자지갑에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631)만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소비자(621)는 복수의 종속계정 각각에 대한 백업키(643, 653)를 별도의 USB나 저장 토큰과 같은 저장매체에 보관하여 비상 사태를 대비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소비자(621)가 사용자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 제1 개인키(631)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1 소비자(621)는 주계정의 개인키가 재발행되기 이전까지 별도 보관된 백업키(643, 653)들을 이용하여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 삭제, 결제 취소 등의 관리를 지속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화폐 관리 장치(700)는 통신부(710), 블록체인 생성부(720) 및 거래 관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 중 제1 계정에 연관되는 단말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상화폐 관리 장치(7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블록체인 생성부(720) 및 거래 관리부(730) 각각은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부(720)는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730)는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확인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730)는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및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거래 조건과 비교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은 동일한 소비자의 다중계정일지라도, 각각의 주계정 또는 종속계정 별로 상이한 거래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래 조건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권한, 상기 제1 계정의 결제권한 및 상기 제1 계정의 백업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거래 관리부(730)는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를 할부된 전체 금액만큼 차감할 수 있다. 또한, 거래 관리부(730)는 소정 기간 이후에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할부 대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입금 결과에 따라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의 일부를 복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체적으로 120만원의 결제 한도를 갖는 제1 종속계정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종속계정을 이용하여 5개월 할부로 100만원의 결제가 발생된 경우에, 거래 관리부(730)는 상기 제1 종속계정의 결제 한도를 20만원으로 계산할 수 있다. 1개월 뒤에 할부금에 상응하는 20만원이 입금되었다면, 거래 관리부(730)는 종전의 20만원에서 입금된 20만원 만큼의 결제 한도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종속계정의 결제 한도를 40만원 만큼 복원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가상화폐 관리 장치(700)는 각각의 종속계정에 대한 할부 거래를 지원하며, 할부 거래에 상응하도록 결제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거래 관리부(730)는 상기 거래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정이 할부 가능 계정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계정의 소비자에 의해 특정 종속계정에 대해서는 할부 거래가 불가하도록 거래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거래 관리부(730)는 결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종속계정이 할부 가능한 계정인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종속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2)

  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상기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들의 다중서명(multi-signature)을 관리하는 계정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거래 조건에 따라 상기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하는 거래 생성부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에 관한 주계정 및 상기 소비자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 각각의 다중서명을 관리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제1 개인키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종속계정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 종속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속계정의 다중서명을 생성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관리부는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시스템키로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주계정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단말로 전송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생성 요청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거래 생성부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1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거래 조건은 상기 제1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계정에 대한 제1 개인키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계정 각각에 대한 백업키들을 저장하고,
    상기 백업키들은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생성 장치.
  8. 단말로부터 블록체인을 공유하기 위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이용한 전자서명 및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은 소비자의 신용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유효기간, 사용권한 및 결제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거래 조건을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제1 개인키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거래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제1 개인키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적어도 두 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추출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배포된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화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소비자 단말과 상기 블록체인에 연관되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신용 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단말의 개인키로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백업키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새로운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삭제 메시지 및 결제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결제취소 메시지 각각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 개인키에 기초한 전자서명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계정삭제 메시지 및 상기 결제취소 메시지 중 하나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종속계정에 대해 저장된 시스템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서명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을 삭제하거나,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결제를 취소하는 사용자 단말.
  15. 종속계정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위한 주계정의 제1 개인키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명령어 세트;
    지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을 인증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종속계정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 세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계정생성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종속계정에 대한 복수의 제2 개인키를 추출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개인키 중 하나를 상기 종속계정에 연관되는 단말의 개인키로서 전송하는 명령어 세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계정 중 제1 계정에 연관되는 단말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비자의 신용(credit) 한도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결제 내역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업데이트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및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거래 조건을 확인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관리하는 거래 관리부
    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및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거래 조건과 비교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거래 조건은 상기 제1 계정의 사용권한, 상기 제1 계정의 결제권한 및 상기 제1 계정의 백업키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를 할부된 전체 금액만큼 차감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리부는, 소정 기간 이후에 상기 제1 계정에 대응하는 할부 대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입금 결과에 따라 상기 거래 조건에 포함되는 결제 한도의 일부를 복원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거래 유형 정보가 할부 거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거래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계정이 할부 가능 계정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리부는 상기 제1 계정에 연관되는 식별값을 확인하고, 상기 식별값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송금 처리 또는 결제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1020170161354A 2017-11-29 2017-11-29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10200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54A KR102005158B1 (ko) 2017-11-29 2017-11-29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US15/741,007 US20190311336A1 (en) 2017-11-29 2017-12-20 Apparatus of generating credit virtual currency and apparatus of managing credit virtual currency
PCT/KR2017/015097 WO2019107654A1 (ko) 2017-11-29 2017-12-20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CN201780004521.6A CN110326012A (zh) 2017-11-29 2017-12-20 信贷虚拟货币生成装置及信贷虚拟货币管理装置
EP17814289.9A EP3518164A4 (en) 2017-11-29 2017-12-20 DEVICE FOR GENERATING VIRTUAL CHARGES AND DEVICE FOR MANAGING VIRTUAL CHARGES
JP2018517218A JP6796641B2 (ja) 2017-11-29 2017-12-20 与信仮想貨幣生成装置及び与信仮想貨幣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54A KR102005158B1 (ko) 2017-11-29 2017-11-29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800A true KR20190062800A (ko) 2019-06-07
KR102005158B1 KR102005158B1 (ko) 2019-07-29

Family

ID=662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54A KR102005158B1 (ko) 2017-11-29 2017-11-29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11336A1 (ko)
EP (1) EP3518164A4 (ko)
JP (1) JP6796641B2 (ko)
KR (1) KR102005158B1 (ko)
CN (1) CN110326012A (ko)
WO (1) WO201910765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702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KR20210029703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은행 서버
KR20220045461A (ko) * 2020-10-05 2022-04-12 김창주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98374B1 (ko) * 2022-03-23 2023-02-10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WO202318266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9441B (zh) * 2017-11-23 2023-05-3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资源转移和资金转移的方法和装置
US11108760B2 (en) * 2018-12-05 2021-08-31 Sidewalk Labs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covering identity information in verifiable claims-based systems
US11068888B1 (en) * 2019-02-06 2021-07-20 Countia, LLC. Value-transfer payment system
KR20210017268A (ko) * 2019-08-07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10457956B (zh) * 2019-08-16 2021-05-28 重庆华医康道科技有限公司 面向数据监管的区块链网络的共识监管方法及其监管系统
US11277409B2 (en) * 2019-09-30 2022-03-15 Konica Minolta Business Solutions U.S.A., Inc. Authentication server, system, and method that allow client device to log into client device and/or target service
JP7276495B2 (ja) * 2019-11-15 2023-05-18 富士通株式会社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7250186B2 (ja) * 2019-12-30 2023-03-31 Line株式会社 サーバ、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7175877B2 (ja) * 2019-12-30 2022-11-21 Line株式会社 プログラム、表示方法、端末
US20210398091A1 (en) 2020-06-22 2021-12-23 TraDo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lining credit and/or debit card transactions utilizing blockchain supported credit tokens and/or debit tokens
US20220114584A1 (en) * 2020-10-08 2022-04-14 Geeq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o define and use bearer tokens, certified tokens and applications using bearer tokens and certified tokens
US20220122045A1 (en) * 2020-10-20 2022-04-21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ocument manag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7405930B2 (ja) 2022-02-17 2023-12-26 Lineヤフ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WO2024063739A1 (en) * 2022-09-21 2024-03-28 Havelsan Hava Elektronik San. Ve Tic. A.S.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based digital/cryptocurrency redemp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71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카드 할부 수수료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정 시스템
US20170103385A1 (en) * 2015-04-05 2017-04-13 Digital Asset Holdings Digital asset intermediary electronic settlement platform
KR20170079154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카드 결제 거래 취소 방법
US20170330279A1 (en) * 2014-11-14 2017-11-16 Hector Jose Maximiliano Ponzone Unified Option Tra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3285A1 (en) * 2004-07-29 2006-03-09 Kimmel Gerald D Object access level
KR20100116379A (ko) * 2009-04-22 2010-11-01 박보현 온라인 및 오프라인 가상화폐의 전자상품권으로의 통합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50120569A1 (en) * 2013-10-31 2015-04-30 Bitgo, Inc. Virtual currency address security
US10963878B2 (en) * 2014-01-13 2021-03-30 Patricia Lee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al management
KR101626276B1 (ko) * 2014-06-17 2016-06-01 어준선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853977B1 (en) * 2015-01-26 2017-12-26 Winklevoss Ip, Llc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secure transactions within a cloud computing system
US10210490B2 (en) * 2015-02-13 2019-02-19 Sony Corporation Processing electronic monetary transactions using plurality of virtual currency instruments
US10158480B1 (en) * 2015-03-16 2018-12-18 Winklevoss Ip, Llc Autonomous devices
KR20160132307A (ko) 2015-05-09 2016-11-17 김성일 암호화폐를 송금에 이용하는 방법 및 저장매체
US20170132630A1 (en) * 2015-11-11 2017-05-1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lock chain alias for person-to-person payments
JP6657972B2 (ja) * 2016-01-08 2020-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負荷分散システム、負荷分散装置、負荷分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681301B (zh) * 2016-01-16 2019-03-12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区块链上的结算方法
KR101780634B1 (ko) * 2016-02-23 2017-09-2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주식을 발행하여 분배하고 발행된 주식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법 및 서버
WO2017145049A1 (en) * 2016-02-23 2017-08-31 nChain Holdings Limited Consolidated blockchain-based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1799343B1 (ko) * 2016-05-16 2017-11-2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인증 정보의 사용 방법, 파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블록체인기반 인증 정보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0279A1 (en) * 2014-11-14 2017-11-16 Hector Jose Maximiliano Ponzone Unified Option Trading System
KR20160086171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카드 할부 수수료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정 시스템
US20170103385A1 (en) * 2015-04-05 2017-04-13 Digital Asset Holdings Digital asset intermediary electronic settlement platform
KR20170079154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카드 결제 거래 취소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2307호에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송금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상특허는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거래소 컴퓨터장치들이 암호화폐를 각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고, 해당 암호화폐를 법정화폐와 교환하도록 하여 사용자 간의 편리한 계좌이체를 구현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702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KR20210029703A (ko) *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은행 서버
KR20220045461A (ko) * 2020-10-05 2022-04-12 김창주 블록체인 기반 태깅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태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98374B1 (ko) * 2022-03-23 2023-02-10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WO202318266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8164A1 (en) 2019-07-31
CN110326012A (zh) 2019-10-11
WO2019107654A1 (ko) 2019-06-06
JP6796641B2 (ja) 2020-12-09
EP3518164A4 (en) 2019-07-31
JP2020505657A (ja) 2020-02-20
US20190311336A1 (en) 2019-10-10
KR102005158B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58B1 (ko)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US118769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rust tokens
RU2713703C2 (ru) Заблаговременная авторизация цифровых запросов
US10977657B2 (en) Token processing utilizing multiple authorizations
US10922672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location matching
EP325987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user and mobile device
US102489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okenized transaction accounts
KR101573848B1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80285875A1 (en) Static tok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dynamic real credentials
US201903564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ken processing
RU265117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мобильной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купки билетов/обработки платежей через приложение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CA2944482C (en) Token-based system for securing and recovering data
US201800054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resource access
CA2944306C (en) Validating encrypted data from a multi-layer token
US20210004806A1 (en) Transaction Device Management
KR101782436B1 (ko)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카드 결제 거래 취소 방법
KR101834755B1 (ko) 카드 결제 시스템, 결제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KR101596434B1 (ko) 결제정보 분리를 이용한 온라인 전자금융거래 인증방법
KR10222991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GHOSH et al. DEVICE AND METHOD FOR ACCEPTING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IN PAYMENT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