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374B1 -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374B1
KR102498374B1 KR1020220035759A KR20220035759A KR102498374B1 KR 102498374 B1 KR102498374 B1 KR 102498374B1 KR 1020220035759 A KR1020220035759 A KR 1020220035759A KR 20220035759 A KR20220035759 A KR 20220035759A KR 102498374 B1 KR102498374 B1 KR 10249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sset
account
terminal
approver
appl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태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Priority to KR102022003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374B1/ko
Priority to PCT/KR2023/002334 priority patent/WO20231826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은 위탁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수탁자 단말을 포함한다. 수탁자 단말은 위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고,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여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 AND DIGITAL ASSE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및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가상자산의 관리를 수탁하여 가상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는 고객의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는 고객사의 담당 직원이 디지털 자산을 탈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해킹의 위험도 있어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및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은 위탁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수탁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수탁자 단말은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오너 계정 생성부;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신청자 계정 생성부;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승인자 계정 생성부;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부;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계정 검증부;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확인부; 및 상기 계정 검증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신청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승인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는 상기 위탁자 단말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상기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상기 신청자 계정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탁자 단말은 상기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청이 접수되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와 비교하고; 상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와 상기 기준 자산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에 대해 설정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승인자 계정을 상기 승인자 계정 개수 만큼 랜덤으로 선택하고; 그리고 랜덤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은 수탁자 단말에 의해, 위탁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오너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신청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승인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승인 요청부에 의해,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계정 검증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디지털 자산 확인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단계; 및 디지털 자산 관리부에 의해, 상기 계정 검증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은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위탁자 단말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수탁자 단말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와 상기 기준 자산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신청자 계정에 대해 설정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승인자 계정을 상기 승인자 계정 개수 만큼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랜덤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및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탁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위탁자 단말(100), 하나 이상의 수탁자 단말(200), 및 수탁자 DB(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탁자 단말(100)은 수탁자 단말(200)에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위탁하는 위탁자와 관련된 단말일 수 있다. 위탁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나 기관, 조직 등의 단체(위탁자)에 소속된 단말일 수 있다.
위탁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랩탑,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탁자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110), 하나 이상의 신청자 단말(120), 및 하나 이상의 승인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0), 신청자 단말(120), 승인자 단말(130), 수탁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0)은 기업 등의 위탁자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자에 위탁하기 위한 오너 계정,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수탁자 단말(200)에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신청자 단말(120)은 관리자 단말(110)의 디지털 자산 보관 및 관리 요청에 따라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발급된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이전 등과 같은 디지털 자산 관리를 신청하는 신청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위탁하는 대상인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자 단말(130)은 수탁자 단말(200)에 의해 발급된 승인자 계정에 접속하여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해 승인을 하는 승인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탁자 데이터베이스(DB)(300)는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위탁받은 디지털 자산 정보, 오너 계정 정보, 신청자 계정 정보, 승인자 계정 정보, 위탁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는 디지털 자산 지갑 정보(난수번호에 해당하는 지갑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탁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탁자 단말(200)은 오너 계정 생성부(210),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 승인 요청부(250), 계정 검증부(260),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너 계정 생성부(210)는 위탁자 단말(100)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위탁자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오너 계정은 위탁자에게 부여되는 계정으로, 오너 계정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오너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기 위한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위탁자 단말(100)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신청자 계정 별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위탁자 단말(100)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위탁자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신청자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위탁자 단말(100)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위탁자 단말(100)에 공유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승인자 계정은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
승인 요청부(250)는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계정 검증부(26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는 계정 검증부(260) 및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수탁자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위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켜 디지털 자산의 탈취,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오너 계정 별로 승인자 단말(130)은 하나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될 수도 있으나, 오너 계정에 대해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될 수도 있다. 또한, 승인자 계정은 신청자 계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오너 계정에 대해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이 부여되는 경우, 위탁자 단말(100)의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을 신청하게 되면,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어느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에 대해 승인을 요청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랜덤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승인자 계정을 선택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오너 계정에 대해 3개의 승인자 계정이 설정될 경우, 3개의 승인자 계정 중에서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신청자는 3명은 승인자 중 어느 승인자에게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관, 관리 승인이 요청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신청자가 3명의 승인자 모두와 부정하게 모의를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전 모의에 의한 디지털 자산의 편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계정을 통해 접수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신청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의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탁자 단말(200)은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를 초과할 경우, 둘 혹은 셋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모든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될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단말(120)로부터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 이하인 경우, 하나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해당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오너 계정 생성이 요청되면(S11), 수탁자 단말(200)의 오너 계정 생성부(210)는 위탁자에게 발급할 오너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S12). 오너 계정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오너 계정 정보는 위탁자 단말(100)에 공유되고,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S13, S14).
오너 계정 생성 시에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기 위한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220)는 위탁자 단말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신청자 계정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위탁자 단말(100)로부터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의 생성이 요청되면(S15), 수탁자 단말(200)의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및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오너 계정과 관련된 위탁자 단말(100)의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S16)
이때,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와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신청자 계정 생성부(230) 및 승인자 계정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신청자 계정 및 승인자 계정은 위탁자 단말(100)에 공유되고, 수탁자 DB(300)에 기록될 수 있다(S17, S1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승인 요청부(250)는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21).
승인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이 승인되면(S22), 계정 검증부(26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다(S23).
디지털 자산 관리부(280)는 계정 검증부(260) 및 디지털 자산 확인부(270)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고, 디지털 자산 관리에 따른 정보를 수탁자 DB(300)에 기록할 수 있다(S24, S25).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위한 계정을 신청자 계정과 승인자 계정으로 분산시키고 고객사의 키 정보를 분할 보관하여 고객사의 내부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의 탈취, 해킹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의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 및 승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탁자 단말(200)은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할 수 있다(S32).
위탁자 단말(100)의 신청자 단말(120)이 신청자 계정에 접속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을 신청하게 되면,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어느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 등에 대해 승인을 요청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계정을 통해 접수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신청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S34).
수탁자 단말(200)은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랜덤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승인자 계정을 승인자 계정 개수만큼 선택하여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36).
수탁자 단말(200)은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를 초과할 경우, 둘 혹은 셋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모든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될 경우에만 해당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탁자 단말(200)은 신청자 단말(120)로부터 이전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가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 이하인 경우, 하나의 승인자 계정으로 승인을 요청하여 해당 하나의 승인자 계정을 통해 승인이 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수탁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신청자 계정에 의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초로 2개의 승인자 계정을 랜덤으로 선택할 것으로 결정하면, 3개의 승인자 계정 중에서 2개의 승인자 계정을 임의로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관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38).
신청자는 다수의 승인자 중 어느 승인자에게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관, 관리 승인이 요청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신청자가 모든 승인자와 부정하게 모의를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전 모의에 의한 기업 등에서의 디지털 자산의 편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100 : 위탁자 단말
110 : 관리자 단말
120 : 신청자 단말
130 : 승인자 단말
200 : 수탁자 단말
210 : 오너 계정 생성부
220 :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
230 : 신청자 계정 생성부
240 : 승인자 계정 생성부
250 : 승인 요청부
260 : 계정 검증부
270 : 디지털 자산 확인부
280 : 디지털 자산 관리부
290 : 제어부
300 : 수탁자 DB

Claims (9)

  1. 위탁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수탁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수탁자 단말은: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오너 계정 생성부;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신청자 계정 생성부;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승인자 계정 생성부;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부;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계정 검증부;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확인부; 및
    상기 계정 검증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승인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는 상기 위탁자 단말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상기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상기 신청자 계정 별로 설정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탁자 단말은:
    상기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청이 접수되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와 비교하고;
    상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와 상기 기준 자산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에 대해 설정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승인자 계정을 상기 승인자 계정 개수 만큼 랜덤으로 선택하고; 그리고
    랜덤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5. 수탁자 단말에 의해, 위탁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보관 및 관리를 수탁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위탁자 단말의 오너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오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신청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부에 의해, 상기 오너 계정과 관련된 상기 위탁자 단말의 승인자 계정 생성 요청에 따라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위탁자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승인 요청부에 의해,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을 접수하여 상기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계정 검증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상기 승인자 계정에 의한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확인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에 보관 중인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관리부에 의해, 상기 계정 검증부 및 상기 디지털 자산 확인부의 검증 및 확인 완료시, 상기 디지털 자산 관리 신청에 따른 디지털 자산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클레이튼을 포함하는 가상 화폐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개의 가상 화폐를 포함하고,
    상기 수탁자 단말의 디지털 자산 지갑 등록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별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청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신청자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승인자 계정 생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상 화폐 및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 별로 상기 승인자 계정을 생성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 지갑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위탁자 단말에서 등록 요청한 제1 디지털 자산 지갑과, 디지털 자산 이력을 통해 검증된 제2 디지털 자산 지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을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리스트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등록된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자산 지갑 중에서 상기 신청자 계정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지털 자산 지갑은 상기 신청자 계정 별로 설정되는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오너 계정에 대해 신청자 계정 별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신청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수탁자 단말이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를 기설정된 기준 자산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요청받은 디지털 자산의 규모와 상기 기준 자산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승인자 계정 중 승인 요청을 할 승인자 계정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탁자 단말이 상기 신청자 계정에 대해 설정된 복수개의 승인자 계정 중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처리할 승인자 계정을 상기 승인자 계정 개수 만큼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탁자 단말이 랜덤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승인자 계정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35759A 2022-03-23 2022-03-23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KR10249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59A KR102498374B1 (ko) 2022-03-23 2022-03-23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PCT/KR2023/002334 WO2023182666A1 (ko) 2022-03-23 2023-02-17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59A KR102498374B1 (ko) 2022-03-23 2022-03-23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374B1 true KR102498374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759A KR102498374B1 (ko) 2022-03-23 2022-03-23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6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313A (ko) * 2015-09-09 2015-10-01 구민수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20200093777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하나은행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814A (ko) * 2020-02-05 2021-08-13 논스랩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20150109313A (ko) * 2015-09-09 2015-10-01 구민수 자산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20200093777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하나은행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814A (ko) * 2020-02-05 2021-08-13 논스랩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66A1 (ko) * 2022-03-23 2023-09-28 주식회사 인피닛블록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068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provenance for distributed transaction databases
EP3396575B1 (en) Entitlement management system
CN110096857B (zh) 区块链系统的权限管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9123044B2 (en)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identifiers having biometric keys associated therewith
CN101490689B (zh) 用于由存储装置验证实体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存储装置
US7933835B2 (en) Secure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ing biometric keys associated therewith
KR101534146B1 (ko)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US20210336943A1 (en) Sharing credentials
US11475453B2 (en) System and techniques for utilizing a smart contracts library
US20040039705A1 (en) Distributing a software product activation key
US8601553B1 (en) Techniques of imposing access control policies
CN109388957A (zh) 基于区块链的信息移转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2498374B1 (ko)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US11270292B2 (en) Key pair authentication in a label tracking system
CN110830428A (zh) 区块链金融大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102610237B1 (ko) 멀티팩터 인증과 멀티시그를 활용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시스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방법
KR102601381B1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토큰 출금 거래 수수료 대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03877A (zh) 多租户系统的数据访问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4900334A (zh) Nft权限控制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391864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非同质资产交易系统、方法和计算机装置
KR20230151779A (ko)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 투자 시스템 및 방법
CN110458670A (zh) 一种商品数字凭证处理方法及装置
KR102640619B1 (ko) 디지털 자산 결제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1795A (ko) 디지털 자산 보호예수 시스템 및 방법
US11778027B2 (en) Data sharing in geographically partition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