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702A -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702A
KR20210029702A KR1020200114186A KR20200114186A KR20210029702A KR 20210029702 A KR20210029702 A KR 20210029702A KR 1020200114186 A KR1020200114186 A KR 1020200114186A KR 20200114186 A KR20200114186 A KR 20200114186A KR 20210029702 A KR20210029702 A KR 2021002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provider
card
wallet address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381B1 (ko
Inventor
어준선
송주한
서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ublication of KR2021002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702A/ko
Priority to KR102022008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사 서버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토큰이 발행/배분 되며, 사용자는 이를 카드사 서버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에서 DID 인증을 통해서 사용하며, 인증/사용된 토큰은 가맹점의 가맹점 월렛으로 전달되며, 가맹점은 정해진 시점에 카드사 서버로 해당 토큰을 전송하여 현금정산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페이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METHOD OF PAYING BASED ON BLOCKCHAIN TOKEN AND CARD COMPANY SERVER USING TH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토큰을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에 관한 것이다.
페이먼트란 실물 및 금융거래 등 각종 경제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거래 당사자간의 채권/채무 관계를 화폐적 가치의 이전을 통하여 청산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페이먼트 서비스는 경제 주체 및 금융 기관 간에 자금과 화폐의 이동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페이먼트 서비스 사업자로서는 은행 및 카드사를 예로 들 수 있다.
경제 주체들인 사용자들은 서비스를 제공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를 하기 위하여 페이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페이먼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먼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이나 카드사 등과 같은 페이먼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먼트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와 페이먼트 서비스 사업자 사이에서 각종 보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온라인 인증사, 결제 대행사(PG사; payment gateway사), VAN사 등의 중계사가 존재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와 페이먼트 서비스 사업자 사이의 결제에 대한 동작이 온라인 인증사, 결제 대행사, VAN사 등의 중계사에 의해 수행되므로 시스템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중계사에 의한 수수료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드 결제망은 결제승인을 위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카드 정보들이 온/오프 라인 상에서 전송되므로 해킹 등에 의한 정보 노출 및 이를 이용한 카드 도용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신용카드 결제망을 사용하지 않고 신용카드 결제에 이용될 수 있는 페이먼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용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카드의 페이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의 페이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카드 정보들이 온/오프 라인 상에서 전송하지 않고도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카드의 페이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와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d)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e)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저장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d)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한 다음,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e)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카드사 DID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와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I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IV)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V)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저장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I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IV)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한 다음,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V)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카드사 DID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망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토큰을 통해 카드에 대한 지불을 수행하므로 운용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본 발명은 VAN 등이 포함된 종래의 카드 결제망을 사용하지 않고 블록체인 토큰을 통해 카드에 대한 지불을 수행하므로 결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카드 정보들이 온/오프 라인 상에서 전송하지 않고도 결제가 가능하므로 카드 정보의 노출 및 카드 도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의 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카드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정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의 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카드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정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페이먼트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카드사 서버(200), 서비스 제공 단말(3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카드 토큰을 사용하여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주체로, PC(Personal Computer),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개인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일회성 아이디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의 사용과 관련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카드 토큰의 사용과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스,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카드 토큰을 발행하여 주며, 카드 토큰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주체로, 카드 토큰의 발행, 조회, 정산, 소각 등과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카드 토큰의 발행, 조회, 정산, 정산, 소각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드사 서버(2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스,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 토큰의 지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 PC(Personal Computer),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IoT 기기,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개인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일회성 아이디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 토큰 지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카드 토큰 지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스,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다수의 노드에 의해 형성되는 분산합의 네트워크로, DID를 저장하며, 카드 토큰에 대한 거래 정보를 관리하며, 카드 토큰의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참조하여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의 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와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카드를 페이먼트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프라이빗키와 사용자 퍼블릭키를 생성하며, 사용자 월렛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 사용자 DID 생성을 요청하여 사용자 DID를 생성하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프라이빗키에 비하여 쉬운 단어의 배열인 니모닉(mnemonic)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카드 만료일, CVC 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 카드와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카드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사 서버(200)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S2)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등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카드사 서버(200)로 사용자 DID와 사용자 카드 정보를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암호화한 암호화된 사용자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카드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카드 정보를 획득한 다음,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레거시 서버로부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S3)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1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1 서명확인값을 서명하여 제1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하고,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제1 사용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4)하여 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제1 사용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5, S6)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5, S6)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검증(S7)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1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1 서명확인값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제1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 사용자 서명값과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정보, 일 예로, 제1 사용자 서명값과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사용자 DID에 매칭하여 카드사 서버(200)에 저장하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S8)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 DID와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페이먼트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1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와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생성하며, 서비스 제공자 월렛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 서비스 제공자 DID 생성을 요청하여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생성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에 비하여 쉬운 단어의 배열인 니모닉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번호 등과 같이 가맹점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S12)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가맹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카드사 서버(200)로 서비스 제공자 DID와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암호화한 암호화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복호화하여 서비스 사용자 가맹점 정보를 획득한 다음,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레거시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전송(S13)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3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3 서명확인값을 서명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자 DID,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14)하여 줄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자 DID,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15, S16)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15, S16)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검증(S17)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3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3 서명확인값이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 전송한 제3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자 정보,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하여 카드사 서버(200)에 저장하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 DID를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S18)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카드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발급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21)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S22)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2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2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한 다음, 사용자 DID와 제2 사용자 서명값을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23)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DID와 제2 사용자 서명값을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24, S25)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검증(S26)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2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제2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제2 서명확인값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제2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레거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S27)할 수 있다. 이때, 레거시 서버는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카드 사용 한도를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의 카드 사용 한도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토큰 볼륨을 확인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를 통해 확인된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28)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S29)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통해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아직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 이체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어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 이체가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카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함으로써, 카드사 서버(200)가 사용자 카드 한도에 대응하여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을 확인한 후 카드 토큰을 발급하여 주었으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발급을 원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발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가 발행을 요청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카드 한도 내에서 발급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요청한 카드 토큰 볼륨을 발행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도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즉,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에서 제공받거나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S31)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서비스 제공자 D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32, S33)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검증(S34)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35)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전송(S36)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서비스 제공자 월렛으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의 이체를 확인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S37)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으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카드 토큰에 의한 페이먼트가 이루어짐으로써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조회하여 부정 사용이 확인될 경우 해당 카드 토큰을 버닝하여 카드 토큰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불법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정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자신이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정산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4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정산 요청 정보는 정산 요청을 진행하기 위한 카드사 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부터의 정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카드사 DID 및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정보를 전송(S42)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사 서버 정보를 검증(S43)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단말(300)에 저장된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가맹점 등록 과정에서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44)하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에 대응하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45)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S46)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정산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통해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아직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어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가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된 것이 확인되면, 레거시 서버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S47)할 수 있다. 이때,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레거시 서버로 전송하여 레거시 서버가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의 카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 및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카드를 페이먼트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5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프라이빗키와 사용자 퍼블릭키를 생성하며, 사용자 월렛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 사용자 DID 생성을 요청하여 사용자 DID를 생성하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프라이빗키에 비하여 쉬운 단어의 배열인 니모닉(mnemonic)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카드 만료일, CVC 번호 등과 같이 사용자 카드와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카드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사 서버(200)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S52)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등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카드사 서버(200)로 사용자 DID와 사용자 카드 정보를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암호화한 암호화된 사용자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카드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카드 정보를 획득한 다음,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레거시 서버로부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S53)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1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1 서명확인값을 서명하여 제1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하고, 사용자 DID 및 제1 사용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54)하여 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사용자 DID 및 제1 사용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55, S56)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55, S56)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검증(S57)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1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1 서명확인값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제1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 사용자 서명값과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정보, 일 예로, 제1 사용자 서명값과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S58)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 DID,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을 페이먼트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6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와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생성하며, 서비스 제공자 월렛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 서비스 제공자 DID 생성을 요청하여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생성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에 비하여 쉬운 단어의 배열인 니모닉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번호 등과 같이 가맹점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의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S62)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가맹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카드사 서버(200)로 서비스 제공자 DID와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암호화한 암호화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복호화하여 서비스 사용자 가맹점 정보를 획득한 다음,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레거시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전송(S63)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3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를 이용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3 서명확인값을 서명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64)하여 줄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부터의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65, S66)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65, S66)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검증(S67)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3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3 서명확인값이 서비스 제공자 단말(300)로 전송한 제3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자 정보,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 DID를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S68)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에게 카드 토큰을 발행하여 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발급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71)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를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S72)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제2 서명확인값은 논스,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200)가 생성하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2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한 다음, 사용자 DID와 제2 사용자 서명값을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73)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DID와 제2 사용자 서명값을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S74, S75)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검증(S76)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복호화하여 제2 서명확인값을 추출하며, 제2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제2 서명확인값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제2 서명확인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레거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S77)할 수 있다. 이때, 레거시 서버는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카드 사용 한도를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의 카드 사용 한도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토큰 볼륨을 확인하여 줄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S78, S79)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수행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한번의 프로세스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DID와 제2 사용자 서명값을 획득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사용자 퍼블릭키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서명값을 검증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레거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레거시 서버를 통해 확인된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80)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S81)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통해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아직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 이체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어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 이체가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카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함으로써, 카드사 서버(200)가 사용자 카드 한도에 대응하여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을 확인한 후 카드 토큰을 발급하여 주었으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발급을 원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발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가 발행을 요청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카드 한도 내에서 발급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요청한 카드 토큰 볼륨을 발행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도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사용자가 카드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즉,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에서 제공받거나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S91)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요청 정보는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요청 정보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과, 서비스 제공자 D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S92, S93)하거나, 리졸버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을 검증(S94)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S95, S96)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한 다음,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97)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전송(S98)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서비스 제공자 월렛으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의 이체를 확인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S99)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이 사용자 월렛으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월렛으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카드 토큰에 의한 페이먼트가 이루어짐으로써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되면,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할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조회하여 부정 사용이 확인될 경우 해당 카드 토큰을 버닝하여 카드 토큰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불법적인 카드 토큰의 이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정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자신이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을 통해 정산 요청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101)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정산 요청 정보는 정산 요청을 진행하기 위한 카드사 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부터의 정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카드사 DID 및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정보를 전송(S102)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사 프라이빗키, 카드사 퍼블릭키, 및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생성한 다음,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통해 카드사 DID를 생성하며, 카드사 퍼블릭키와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사 서버 정보를 검증(S105)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S103, S104)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사 서버 정보, 즉,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서비스 제공 단말(300)은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S106)하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에 대응하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S107)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이체되었는지를 확인(S108)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정산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통해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지 않으므로 아직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가 되지 않은 상태이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400)부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검색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블록이 생성되어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가 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이 카드사 월렛으로 이체된 것이 확인되면, 레거시 서버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S109)할 수 있다. 이때,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자 DID를 레거시 서버로 전송하여 레거시 서버가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등록된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카드사 서버(200)가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카드사 DID와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이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별도의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획득한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카드사 서버(200)는 정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카드사 DID를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단말(300)로 하여금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한 다음,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카드 토큰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카드사 서버(200)는 멤버쉽 포인트 등에 대해서도 멤버쉽 토큰을 발행하여 결제에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멤버쉽 토큰은 카드 토큰과는 별도의 토큰으로 발행하여 주거나, 카드 토큰으로 발행하여 주되 별도의 사용자의 월렛을 이용하여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자의 카드 사용 실적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리워드 토큰을 발행하여 줄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카드사 서버(200)는 할인 쿠폰 토큰을 발행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카드서 서버(200)는 가맹점 할부 토큰을 발행하여 줄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서비스 제공자, 및 카드사 사이의 할부 비용 정산을 위한 가맹점 할부 토큰을 발행하여 주고 이를 통해 할부 거래에 대한 지급을 정산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페이먼트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카드사 서버,
300: 서비스 제공 단말,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28)

  1.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와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d)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e)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저장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d)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한 다음,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e)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드사 서버가,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카드사 DID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와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사용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사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V)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카드사 서버.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V)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카드사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저장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22.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들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토큰 기반으로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I) 사용자 DID(decentralized identity),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카드사 서버에 대응되는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1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1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1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상기 사용자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를 포함하는 카드 토큰 발행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명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와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상기 사용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제2 사용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서명값 및 상기 제2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DID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확인된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을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 토큰 발행 트랜잭션이 검색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발급 가능 카드 토큰 볼륨이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사 서버.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V)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요청 정보 -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결제를 위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보인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 및 서비스 내역 정보를 포함함 -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한 다음,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면,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드 토큰 지급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 상기 결제 카드 토큰 볼륨을 소각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토큰 이체 조건은, 카드 토큰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와 수신자에 대응되는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설정되며, (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패밀리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월렛 어드레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 및 (iii) 상기 송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사용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패밀리 월렛 어드레스일 경우, 상기 수신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인 조건을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에서,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레거시 서버에 등록된 등록 가맹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가 검증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되면, 제3 서명확인값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주며,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서비스 제공자 프라이빗키로 서명한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이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거나,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 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획득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을 검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명값 및 상기 제3 서명확인값이 검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카드사 서버.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V) 서비스 제공 단말 -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DID,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퍼블릭키,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대응되는 가맹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 DID에 매칭되어 상기 레거시 서버에 저장된 상태임 - 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카드 토큰 볼륨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하여 정산을 하기 위한 정산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카드사 DID 및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검증하도록 하고,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가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정산을 위한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카드사 DID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거나, 상기 리졸버 서버로 하여금 상기 카드사 DID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카드사 DID에 대응되는 카드사 DID 문서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카드사 DID 문서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월렛 어드레스로부터 상기 카드사 월렛 어드레스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카드 토큰 정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면, 상기 레거시 서버로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레거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응되는 금융자산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여 상기 정산 카드 토큰 볼륨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KR1020200114186A 2019-09-06 2020-09-07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KR10252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51A KR20220102605A (ko) 2019-09-06 2022-07-13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1031 2019-09-06
KR1020190111031 2019-09-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51A Division KR20220102605A (ko) 2019-09-06 2022-07-13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702A true KR20210029702A (ko) 2021-03-16
KR102522381B1 KR102522381B1 (ko) 2023-04-18

Family

ID=75224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86A KR102522381B1 (ko) 2019-09-06 2020-09-07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KR1020220086451A KR20220102605A (ko) 2019-09-06 2022-07-13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51A KR20220102605A (ko) 2019-09-06 2022-07-13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2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922B1 (ko) * 2021-07-16 2022-04-22 주식회사 시티랩스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 결제방법
US11316699B2 (en) * 2020-07-24 2022-04-26 Coinplug. Inc.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contactlessly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using verifiable credential and authentication supporting server using the same
KR102438846B1 (ko)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933A (ko) * 2017-10-19 2018-02-28 유영근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방법 및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장치
KR101837168B1 (ko) *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20190065824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68B1 (ko) *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020933A (ko) * 2017-10-19 2018-02-28 유영근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방법 및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장치
KR20190062800A (ko) * 2017-11-29 2019-06-07 신한카드 주식회사 여신 가상화폐 생성 장치 및 여신 가상화폐 관리 장치
KR20190065824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6699B2 (en) * 2020-07-24 2022-04-26 Coinplug. Inc.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contactlessly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using verifiable credential and authentication supporting server using the same
KR102389922B1 (ko) * 2021-07-16 2022-04-22 주식회사 시티랩스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 결제방법
KR102438846B1 (ko) 2022-03-15 2022-09-01 클로우플레이크(주) Did 기반 사용자 스타일 정보의 nft 자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05A (ko) 2022-07-20
KR102522381B1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182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トークンidを利用してカード使用を承認す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サーバ{method for approvin
JP6294398B2 (ja) エイリアスを使用したモバイル・ペイメント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21053A1 (en) Digital asset conversion
JP5186790B2 (ja) 電子マネー取引方法、及び電子マネーシステム
RU2320014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ых переводов
KR102522382B1 (ko)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은행 서버
KR102522381B1 (ko)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페이먼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사 서버
CA2944482C (en) Token-based system for securing and recovering data
US11568401B2 (en) Digital payment system
JP5536775B2 (ja) オフライン口座再入金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770881A (zh) 验证机制
JP6915934B1 (ja) 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方法、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4311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급 결제 서버
KR20190132047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US20210334794A1 (en) Resolving a parameter error associated with a primary blockchain
KR10220431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기부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3338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4872A (ko) 통합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9596A (ko) 가상 계좌를 이용한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3009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escrow management
WO2021117515A1 (ja) 電子資産管理方法、及び電子資産管理装置
KR10217139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원리금 수취증서 제공 방법
JP2021168177A (ja) 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方法、及び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システム
WO202225386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cryptocurrencies, tokenized assets and/or fiat currencies on a single distributed ledger system with multiple issuing institutions
KR20220099194A (ko) 블록체인 기반 선불형 콘텐츠 과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