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33A -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33A
KR20220045433A KR1020200128150A KR20200128150A KR20220045433A KR 20220045433 A KR20220045433 A KR 20220045433A KR 1020200128150 A KR1020200128150 A KR 1020200128150A KR 20200128150 A KR20200128150 A KR 20200128150A KR 20220045433 A KR20220045433 A KR 20220045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unit
temperature measuring
measuring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안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2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433A/ko
Publication of KR2022004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 모임에서 참석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의, 행사 등의 공공 모임에서 참석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Wearabl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모임에서 참석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으며,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이러한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여기서 비말감염은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 또는 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에게 감염되는 것으로 통상 이동거리는 2M로 알려져 있다. 눈의 경우 환자의 침 등이 눈에 직접 들어가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손으로 눈을 비비면 눈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코로나19의 주요 임상 증상은 37.5도 이상의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이므로, 감염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1차적 진단 방법은 발열 여부이다. 즉, 심한 열을 가진 사람들은 1차적으로 해당 질병 의심자로 판단할 수 있고, 정밀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공항이나 역 등 공공장소에는 적외선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 중인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발열 여부를 체크하고 있다. 회의, 행사 등의 공공 모임에서는 개인 스스로가 발열여부를 체크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여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회의실 등의 공공장소에서 참석자 스스로가 발열체크를 하도록 강제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회의 초반에는 발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나중에 발열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회의 도중 발열체크를 다시 진행하여 참석자들의 체온을 모니터링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44483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3934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신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상상태이면 안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발열상태이면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안전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정상상태를 알리는 정상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고 위험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열 상태를 알리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목 또는 이마에 착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온측정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주연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정상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 1 색상을 발광시키는 제 1 발광부 및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 2 색상을 발광시키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2 발광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2 발광부는 각각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정상 이벤트 또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위험통신신호를 외부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외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으면, 상기 위험통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로 위험통신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경고부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송신 거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부는 수신 거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 정보를 복수 회 전달받아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달받은 체온 정보들 중 어느 한 체온정보가 기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신체의 움직임을 자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체온 정보를 최초로 전달받는 경우, 최초로 전달받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체온 정보를 최초로 전달받지 않은 경우,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 정보를 복수 회 전달받아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온측정부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의, 행사 등의 공공 모임에서 참석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주변에 발열이 발생하고 있는 참석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자리를 피하도록 하여 본인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또는, 진행자로 하여금 참석자들의 체온을 다시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가 적용된 공공장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에 발열이 발생한 사용자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100)는 본체(110), 체온측정부(120), 배터리잔량체크부(130), 출력부(150), 송신부(160), 수신부(162), 진동경고부(170), 부저경고부(172), 저장부(18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 가능한 것으로, 다른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목 또는 목 또는 이마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110)는 손목에 착용되도록 링 형상 또는 시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희의실 등의 공공장소에 참석한 참석자 등을 일컫는다.
체온측정부(120)는 신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한 개로 구성되며 본체(110)의 내주연 일측에 장착되어 손목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체온측정부(120)는 본체(110)의 내주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손목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체온측정부(120)는 신체와 접촉되어 신체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가 방출하는 적외선 파장을 측정하여 측정된 파장 정보를 온도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온도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37.5도 미만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37.5도 이상이면 발열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제어부(140)는 정상상태이면 안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발열상태이면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안전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정상상태를 알리는 정상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고, 제어부(140)로부터 위험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열 상태를 알리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출력부(150)는 예를 들면, 본체(110)의 일측 테두리 전체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발광부(152) 및 제 2 발광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발광부(152) 및 제 2 발광부(154)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발광부(152)는 녹색을 발광시키고, 제 2 발광부(154)는 빨간색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 1 발광부(152)는 예를 들면 제어부(140)로부터 안전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정상 이벤트 즉, 녹색광을 발광시키고, 제 2 발광부(154)는 제어부(140)로부터 위험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발열 이벤트 즉, 적색광을 발광시킨다. 제 1 발광부(152)가 발광되면 사용자는 본인의 체온이 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고, 제 2 발광부(154)가 발광되면 사용자는 본인의 체온이 발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부(152)가 발광되면 사용자 주변의 참석자들은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상태임을 알 수 있고, 제 2 발광부(154)가 발광되면 사용자 주변의 참석자들은 사용자의 체온이 발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출력부(150)는 정상 이벤트 또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본체(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는 정상 이벤트 또는 발열 이벤트를 숫자, 문자 또는 캐릭터 등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배터리잔량체크부(130)는 본체(110)의 내부를 따라 위치되는 배터리(미도시)의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것으로, 배터리의 전압 등을 체크하여 잔량을 체크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배터리잔량체크부(130)로부터 배터리의 잔량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본체(110)의 전체 또는 본체(110)의 반원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 1 발광부(152)가 들어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배터리의 잔량이 줄어드는 만큼 제 1 발광부(152)의 발광 부위가 손목쪽으로 줄어들도록 하여 충전 시기를 알려주도록 한다.
송신부(160) 및 수신부(162)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종류를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송신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으면 위험통신신호를 외부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한다. 수신부(162)는 외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으면, 위험통신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송신부(160)로 위험통신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수신부(162)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진동경고부(170)로 경고신호를 전달한다.
진동경고부(170)는 본체(110) 내부 일측에 위치되며, 제어부(14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본체(11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수신부(162)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진동경고부(170)로 경고신호를 전달하여, 진동경고부(170)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부저경고부(172)는 본체(110) 내부 타측에 위치되며, 제어부(14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부저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달받은 체온 정보들 중 어느 한 체온정보가 기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체 움직임이 너무 많아 체온측정부(120)가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신체의 움직임을 자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부저경고부(172)로 전달한다.
저장부(180)는 정상상태의 체온 범위 및 발열상태의 체온 범위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 외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8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40)로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희의실 등의 공공장소에 참석한 사용자는 본체(110)를 신체의 손목 등에 착용한다. 그러면 체온측정부(120)가 신체의 체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체온 정보를 전달받으면(S100),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최초로 전달받은 체온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최초로 전달받은 체온 정보인 경우, 전달받은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40). 만일, S110단계에서,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최초로 전달받은 체온정보가 아닌 경우,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 정보를 복수 회, 예를 들면 3회 누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3회 누적되었다면,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한다(S130). 이어서 제어부(140)는 계산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40).
S14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신체의 체온이 정상상태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 1 발광부(152)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S150). 만일, 신체의 체온이 발열상태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 2 발광부(154)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S152).
그 후,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0), 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체온측정부(120)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제어하여 다시 S100단계를 이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기 설정된 시간마다 체온측정부(120)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의, 행사 등의 공공 모임에서 참석자의 발열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도록 구성되므로, 공공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는 회의를 하는 도중 본인의 체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본인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공공 모임을 주최한 관리자는 공공 모임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가 적용된 공공장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에 발열이 발생한 사용자가 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미팅을 위하여 희의실 등의 공공장소에 참석한 모든 사용자는 본 발명의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100)의 본체(110)를 신체의 손목 등에 착용한다. 그리고 모든 사용자가 테이블(T)에 앉은 상태에서, 제 1 사용자(U1)에 착용된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어부(140)는 체온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사용자(U1)의 체온정보가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상상태이면 안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발열상태이면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150)가 정상 이벤트 또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00). 이후 제어부(140)는, 발열상태인 경우, 위험통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160)로 전달한다(S210). 송신부(160)는 위험통신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 지정된 범위(A)로 송신한다(S220).
이어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 지정된 범위(A)에 위치한 제 2 사용자(U2)의 본체(110)에 위치되는 수신부(162)는 제 1 사용자(U1)의 송신부(160)가 송신하는 위험통신신호를 수신받아(S300), 이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수신부(162)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한 후(S310), 생성한 경고신호를 진동경고부(170)로 경고신호를 전달한다(S320). 진동경고부(170)는 제어부(14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본체(110)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제 2 사용자(U2)는 본인 주변에 발열이 발생하고 있는 참석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자리를 피하도록 하여 본인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또는, 진행자로 하여금 참석자들의 체온을 다시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10: 본체 120: 체온측정부
130: 배터리잔량체크부 140: 제어부
150: 출력부 152: 제 1 발광부
154: 제 2 발광부 160: 송신부
162: 수신부 170: 진동경고부
172: 부저경고부 180: 저장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신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체온 정보가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상상태이면 안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발열상태이면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안전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정상상태를 알리는 정상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고 위험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열 상태를 알리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목 또는 이마에 착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온측정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주연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정상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 1 색상을 발광시키는 제 1 발광부 및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 2 색상을 발광시키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2 발광부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2 발광부는 각각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정상 이벤트 또는 발열 이벤트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위험통신신호를 외부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외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으면, 상기 위험통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로 위험통신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위험통신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경고부로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송신 거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부는 수신 거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 정보를 복수 회 전달받아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달받은 체온 정보들 중 어느 한 체온정보가 기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신체의 움직임을 자제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체온 정보를 최초로 전달받는 경우, 최초로 전달받은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체온 정보를 최초로 전달받지 않은 경우, 상기 체온측정부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 정보를 복수 회 전달받아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발열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부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KR1020200128150A 2020-10-05 2020-10-05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KR20220045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50A KR20220045433A (ko) 2020-10-05 2020-10-05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50A KR20220045433A (ko) 2020-10-05 2020-10-05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33A true KR20220045433A (ko) 2022-04-12

Family

ID=8118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150A KR20220045433A (ko) 2020-10-05 2020-10-05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4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41B1 (ko)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44483B1 (ko) 2020-02-27 2020-08-13 주식회사 에프씨티케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의 체온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83B1 (ko) 2020-02-27 2020-08-13 주식회사 에프씨티케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의 체온 측정장치
KR102139341B1 (ko)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707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반응하는 광방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JP6027716B2 (ja) 装着型使用者状態情報取得装置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070229286A1 (en) Fall-over alert device
WO2010108287A1 (en) A wearabl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US20220208391A1 (en) Smart mask
JP2012187127A (ja) 熱中症予防システム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WO2015096567A1 (zh) 一种用户行为安全的监测方法及设备
US20180146887A1 (en) Respiration Detection Device
KR20220045433A (ko) 착용이 가능한 체온 측정 장치
KR2021001666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응급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방법
KR20130096085A (ko) 스포츠 헬멧
KR20210155586A (ko) 전염병 감염 의심자 선별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1195A (ko)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98533A (ko) 모바일 단말 기반 유비쿼터스 헬스 헬멧과 신변안전 시스템
US20240054879A1 (en) Fall-classification device and arrangement
CN111627124A (zh) 作业人员安全警示与自动考勤的方法
KR101987574B1 (ko) 고령자를 위한 안심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JP7057716B2 (ja) 警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724569B (zh) 报警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6940279A (zh) 跌倒分类设备和装置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59039A (ko) 위급 상황 정보 전송 장치, 위급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판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