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637A -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637A
KR20220044637A KR1020210072538A KR20210072538A KR20220044637A KR 20220044637 A KR20220044637 A KR 20220044637A KR 1020210072538 A KR1020210072538 A KR 1020210072538A KR 20210072538 A KR20210072538 A KR 20210072538A KR 20220044637 A KR20220044637 A KR 2022004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ading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젠고
아키라 미하라
마모루 후지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8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y detecting a particular orig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20Auxiliary type mechanisms for printing distinguishing marks, e.g. for accenting, using dead or half-dead key arrangements, for printing marks in telegraph printers to indicate that machine is rece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4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6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ased on detection of a dedicated indication, e.g. mar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75Inhibiting reproduction, e.g. by disabling reading or reproduc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판독 장치는, 판독원 기록 매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정보 입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갖는 용지 이외의 용지에 대해서는, 인자(印字)를 행하지 않도록 한 프린터 장치로서,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으로 반송되어 온 용지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 제어되고, 반송되어 온 용지 상에 정보를 프린트 출력하는 인자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인자 수단에 대해서 인자를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로부터 출력된 용지를 대상으로 해서, 당해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는 인쇄 화상 판독부와, 상기 인쇄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과, 미리 설정된 출력 금지 화상을 비교해서, 상기 화상 형성부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대한 출력 허부(許否)를 판정하는 인쇄 화상 판정부와, 상기 인쇄 화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 형성부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대한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출력 불허가가 판정된 경우에 실행하는 출력 동작을, 출력 허가가 판정된 경우에 실행하는 출력 동작과는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5-8174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4-113775호 공보
기밀 정보를 종이 등의 기록 매체에 인쇄할 때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함으로써, 기밀 정보가 인쇄된 기록 매체인 것이, 피검지물의 검지에 의해 검출 가능해진다. 그러나, 정보가 인쇄된 종이 등의 기록 매체를 판독할 때에, 판독원의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존재하는지를 검지하지 않으면,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그 판독원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 피검지물을 부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판독원의 기록 매체에의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판독 시에 입수할 수 있는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판독원 기록 매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정보 입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1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기 피검지물을 비접촉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2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는,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2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2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는, 자력(磁力)을 발하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1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는, 조작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1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정보 입수부가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 경우에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가 상기 피검지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시하는 제시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는, 제7 태양에 따른 판독 장치이며, 상기 제시부는,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태양∼제8 태양의 어느 하나의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을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9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하는 피검지물 부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10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기밀 정보의 기밀 정도에 따라서 선택된 피검지물을 상기 기록 매체에 부가한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11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자력을 발하는 재료,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 또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밀 정도에 따라서 선택된 피검지물을 상기 기록 매체에 부가한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10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한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10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을 경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9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 부가되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판독원 기록 매체의 판독 시에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의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판독원 기록 매체로부터 비접촉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전파의 흡수의 유무에 의해 판독원 기록 매체의 피검지물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가스의 존재에 의해 판독원 기록 매체의 피검지물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자계의 검지에 의해 판독원 기록 매체의 피검지물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작자의 조작에 의거해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가 특수한 기록 매체인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가, 어떠한 재료가 부가된 기록 매체인지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독 시에 입수하고, 판독원 기록 매체의 내용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의하면, 기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형성된 기록 매체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의하면, 기밀 정도에 따라서 적절한 피검지물을 기록 매체에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의하면, 기밀 정도에 따라서 적절한 재료를 기록 매체에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의하면, 기밀 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형성된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없으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있어도, 판독원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판독원 기록 매체를 그대로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의하면, 판독원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실행할 기능의 내용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원고에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정보 입수부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센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정보 입수부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검지 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 요소 및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가하고 있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사정상 과장되어 있어, 실제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U)는, 상면에 투명한 원고대(PG), 소위, 플래튼 유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디지털식의 복사기 본체(U1)와, 상기 플래튼 유리(PG)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고(Gi)가 겹쳐서 수용되는 원고 급지부(TG1)를 갖고 있다. 원고(Gi)는, 판독원 기록 매체의 일례이다. 상기 원고 급지부(TG1)에 재치(載置)된 복수의 각 원고(Gi)는 순차 플래튼 유리(PG) 상의 복사 위치, 즉, 원고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플래튼 롤(GR1)의 압접 위치를 통과해서, 원고 배출 부재(GR2)에 의해 원고 배지부(TG2)에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사기 본체(U1)는, 상기 플래튼 유리(PG)를 갖는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로서의 스캐너부(U1a) 및 화상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부(U1b)를 갖고 있다.
상기 스캐너부(U1a)는, 판독 기준 위치에 배치된 노광계 위치 검출 부재, 소위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 및 노광 광학계(A)를 갖고 있다.
상기 노광 광학계(A)는, 그 이동 및 정지가 노광계 레지스터 센서(Sp)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시(常時)는 판독 기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를 사용해서 복사를 행하는 자동 원고 반송 동작의 경우는, 상기 노광 광학계(A)는 판독 기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플래튼 유리(PG) 상의 복사 위치를 순차 통과하는 각 원고(Gi)를 노광한다.
원고(Gi)를 작업자가 손으로 플래튼 유리(PG) 상에 놓고 복사를 행하는 수동 원고 배치 동작의 경우, 노광 광학계(A)는 이동하면서 플래튼 유리(PG) 상의 원고(Gi)를 노광 주사한다.
노광된 상기 원고(Gi)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지나서 고체 촬상 소자(CCD) 상에 수속된다. 상기 고체 촬상 소자(CCD)는, 그 촬상면 상에 수속된 원고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IPS)는, 상기 고체 촬상 소자(CCD)로부터 입력된 판독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기입 신호로 변환해서 프린터부(U1b)의 기입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에 출력한다.
프린터부(U1b)의 제어부(C)에 의해 동작 타이밍이 제어되는 상기 기입 구동 신호 출력 장치(DL)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기입 구동 신호를 잠상(潛像) 기입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아래쪽에 배치된 피청소체의 일례로서의 상(像) 유지체(PR)는, 회전한다. 상기 상 유지체(PR) 표면은, 대전 영역(Q0)에 있어서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에 의해 대전된 후, 잠상 기입 위치(Q1)에 있어서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잠상 기입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빔(L)에 의해 노광 주사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상 유지체(PR) 표면은 회전 이동해서 현상 영역(Q2), 전사 영역(Q4)을 순차 통과한다.
상기 현상 영역(Q2)에 있어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D)는, 현상제를 현상 롤(R0)에 의해 현상 영역(Q2)에 반송하고, 상기 현상 영역(Q2)을 통과하는 상 유지체(PR) 상의 정전 잠상을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Tn)으로 현상한다.
상기 전사 영역(Q4)에 있어서 상기 상 유지체(PR)에 대향하는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R)은, 상 유지체(PR) 표면의 토너상(Tn)을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에 전사하는 부재이고, 현상기(D)에서 사용되는 현상용의 토너의 대전 극성과 역극성의 전사 전압이 전원 회로(E)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대전 롤(CR)에 인가하는 대전 전압, 현상 롤(R0)에 인가하는 현상 전압, 전사 롤(TR)에 인가하는 전사 전압 등의 인가 전압, 후술의 정착 장치(F)의 가열 롤의 히터를 가열하는 히터 전원 등을 갖는 전원 회로(E)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된다.
복사기 본체(U1)의 하부에는, 급지 용기의 일례로서의 제1 급지 트레이(TR1) 및 제2 급지 트레이(TR2)가 상하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급지 트레이(TR1) 및 제2 급지 트레이(TR2)의 우단부의 상단부에는 용지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된 시트(S)는, 세퍼레이션 부재(Rs)에 반송된다.
상기 세퍼레이션 부재(Rs)는, 서로 압접하는 급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드 롤러(Rs1) 및 분리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타드 롤(Rs2)을 갖고 있다. 상기 닙부에 반송된 시트는 세퍼레이션 부재(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고,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로(SH1)에 반송된다.
시트 반송로(SH1)에는, 정역(正逆) 회전 가능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롤(Rb)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 반송로(SH1)에 반송된 상기 시트(S)는 정역 회전 가능한 반송 롤(Rb)에 의해, 위쪽의 전사 전 시트 반송로(SH2)에 반송된다.
전사 전 시트 반송로(SH2)에 반송된 시트(S)는, 반송 롤(Ra)에 의해 전사 영역 반송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또한, 수동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수동 급지 트레이(TR0)로부터 급지된 시트(S)도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다.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상 유지체(PR) 상의 토너상(Tn)이 전사 영역(Q4)으로 이동하는 것에 타이밍을 맞춰서, 전사 전 매체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전 시트 가이드(SG1)로부터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상기 상 유지체(PR) 표면에 현상된 토너상(Tn)은, 상기 전사 영역(Q4)에 있어서, 전사 롤(TR)에 의해 시트(S)에 전사된다. 전사 후, 상 유지체(PR) 표면은,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클리너(CL1)에 의해 클리닝되어 부착물의 일례로서의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상기 대전 롤(CR)에 의해 재대전된다.
상기 상 유지체(PR), 대전 롤(CR), 잠상 기입 장치(ROS), 현상기(D) 등에 의해 토너상 형성 장치(G)(PR+CR+ROS+D)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상기 전사 영역(Q4)에서 토너상(Tn)이 기록된 기록 완료 시트(S)를 정착 영역(Q5)에 반송하는 전사 후 시트 반송로(SH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사 영역(Q4)에 있어서 전사 롤(TR)에 의해 토너상이 전사된 상기 시트(S)는, 상 유지체(PR)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고, 상기 전사 후 시트 반송로(SH3)의 전사 후 매체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가이드(SG2)에 의해 안내되고, 전사 후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벨트(BH)에 의해,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정착 장치(F)는, 내부에 열원으로서의 히터를 갖는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갖는다. 정착 장치(F)에 반송된 시트(S)는, 상기 가열 롤(Fh)과 가압 롤(Fp)의 압접 영역에 의해 구성되는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에, 토너상이 가열 정착되고 나서, 시트 배출로(SH4)를 지나서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에 반송된다.
상기 시트 배출로(SH4)에는, 상기 정착 장치(F)의 하류측에 반송로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환 게이트(GT1)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게이트(GT1)는, 상기 정착 장치(F)를 통과한 시트(S)의 반송 방향을 상기 배지 트레이(TRh)측 또는 시트 반전 접속로(SH5)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환한다. 시트 반전용 접속로(SH5)는, 상기 시트 배출로(SH4)의 상류단, 즉, 정착 장치(F)의 하류측 부분과 상기 상하 방향 시트 반송로(SH1)를 접속한다.
양면 복사의 경우, 1면째의 토너상이 기록된 편면 기록 완료 시트(S)는, 상기 전환 게이트(GT1)에 의해 시트 반전 접속로(SH5)에 반송되고, 반송 방향 규제 부재의 일례로서의 마일러 게이트(GT2)를 지나서, 정역 회전 반송 롤(Rb)의 역회전에 의해 시트 반전로(SH6)에 반송된다. 시트 반전로(SH6)에 반송된 시트(S)는, 정역 회전 반송 롤(Rb)의 정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 소위, 스위치백되고, 표리가 반전된 상태로 전사 영역(Q4)에 재송된다.
상기 부호 SH1∼SH6에 의해 나타난 요소에 의해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로(SH)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및 시트 반송로(SH)에 배치된 시트 반송 기능을 갖는 롤러(Ra, Rb, Rr) 등에 의해 매체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장치(US)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U)는, 정보 입수부(100a), 피검지물 부가부(200a, 200b)를 구비한다. 정보 입수부(100a) 및 피검지물 부가부(200a)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피검지물 부가부(200b)는, 프린터부(U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정보 입수부(100a)는, 원고(Gi)의 판독을 행하여,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원고(Gi)에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다. 피검지물은, 원고(Gi)가 통상의 종이와는 다른 매체인 것을 화상 형성 장치(U)에 검지시키는 물질이다. 피검지물은, 예를 들면, 원고(Gi)의 표면에 부착되고,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로 구성된다.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휘발성 재료가 있다. 휘발성 재료가 원고(Gi)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원고(Gi)로부터는 휘발성 가스가 발생한다. 원고(Gi)로부터 발생한 휘발성 가스를 정보 입수부(100a)가 검지함으로써, 정보 입수부(100a)는, 휘발성 재료가 원고(Gi)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로서 입수할 수 있다.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가 있다.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로서, 주파수 1GHz 이상 5THz 이하의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가 이용된다.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로서, 임의의 도전성 재료, 유전성 재료, 자성 재료가 이용되어도 된다.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가 원고(Gi)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정보 입수부(100a)는, 전파의 반사 상황으로부터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가 원고(Gi)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로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있다. 원고(Gi)에 자력을 발하는 재료, 예를 들면 자성체가 원고(Gi)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정보 입수부(100a)는, 자력을 검지함으로써,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원고(Gi)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로서 입수할 수 있다.
도 9는, 원고(Gi)에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예를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원고(Gi)의 표면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구조물(600)이 부착되어 있다. 구조물(600)은, 예를 들면, 자성체(600A)와, 자성체(600A)의 주위를 덮는 보호층(600B)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고(Gi)의 표면에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자기 센서에 의한 원고(Gi)의 검지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피검지물로서 원고(Gi)에 부가되는 물질은 다양하다. 따라서, 정보 입수부(100a)는, 원고(Gi)에 부가된 피검지물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원고(Gi)에 휘발성 가스가 부착된다면, 정보 입수부(100a)는 가스를 검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원고(Gi)에 전파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가 부착된다면, 정보 입수부(100a)는, 전파를 발신하는 송신 안테나 및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센서로서 구비한다. 또한, 원고(Gi)에 자력을 발하는 재료가 부착된다면, 정보 입수부(100a)는, 자력을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센서로서 구비한다. 자기 센서에는, 예를 들면, 코일, 홀 소자, 자기 저항 효과 소자 등의 자기를 검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입수부(100a)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정보 입수부(100a)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센서(15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센서(156)는, 금속 산화물식의 가스 센서이다. 센서(156)는, 케이스(170)와, 케이스(170)에 마련된 지지부(172)와, 지지부(172)에 지지된 플레이트(174)와, 플레이트(174)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176, 178)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172)는,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74)는,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다. 또한, 센서(156)는, 플레이트(174) 상에 전극(176, 178)을 덮도록 마련된 금속 산화물층(180)과, 전극(176, 178)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156)에서는, 예를 들면, 공기 중의 산소가 금속 산화물층(180)의 전자를 포착하고, 금속 산화물층(180)의 표면에 마이너스 이온 O-로 되어 흡착한다. 금속 산화물층(180) 부근에 환원성 가스가 존재하면, 금속 산화물층(180)의 표면의 마이너스 이온 O-가 환원성 가스와 반응하여(예를 들면, 환원성 가스의 수소와 반응함으로써 물로 되어), 금속 산화물층(180) 중에서 전자(E)가 이동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저항 측정부(182)에서 측정되는 저항값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원고(Gi)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가스의 농도가 높을 경우, 휘발성 가스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산화물층(180)의 표면의 마이너스 이온 O-와 반응함으로써, 금속 산화물층(180) 중의 전자(E)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저항 측정부(182)에서 전극(176, 178)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원고(Gi)에 부가된 가스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 입수부(100a)의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정보 입수부(100a)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검지 장치(418)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지 장치(418)는, 전파를 발신하는 송신 안테나(420)와,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422)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 안테나(420)와 수신 안테나(422)는, 원고(Gi)가 통과하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안테나(420)와 수신 안테나(422)는, 예를 들면, 원고(Gi)의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검지 장치(418)에서는, 송신 안테나(420)는, 주파수 1GHz 이상 5THz 이하의 전파를 인쇄물에 대해서 발신한다. 수신 안테나(422)는, 송신 안테나(420)로부터 발신된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전파의 반사 또는 흡수를 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서는, 송신 안테나(420)로부터 발신하는 전파는, 밀리파이다. 송신 안테나(420) 및 수신 안테나(422)는, 복수 마련해도 되고, 또한, 복수의 송신 안테나(420) 및 수신 안테나(422)를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검지 장치(418)에서는, 수신 안테나(422) 대신에, 원고(Gi)에 대해서 전파를 발신하는 송신 안테나(420)와 같은 측에,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424)가 배치되어도 된다.
검지 장치(418)는, 송신 안테나(420)가 전파를 발신하고, 수신 안테나(422)가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원고(Gi)에 기밀 레벨이 높은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즉, 원고(Gi)의 표면에 통상의 화상(400)뿐만 아니라, 검지용 화상(402)을 형성함에 의해서, 검지 장치(418)는, 원고(Gi)의 검지용 화상(402)을 송신 안테나(420) 및 수신 안테나(422)에 의해 비접촉으로 검지할 수 있다. 원고(Gi)에 검지용 화상(402)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전파의 대부분은 원고(Gi)의 화상(400)이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지만(즉, 투과하지만), 전파의 적어도 일부가 검지용 화상(402)에서 반사 또는 흡수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검지용 화상(402)은,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는 검지용 화상이다. 이 경우, 송신 안테나(420)로부터 발신된 전파의 대부분은, 원고(Gi)에 화상(400)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통과하지만, 전파의 적어도 일부는, 검지용 화상(402)에서 반사된다. 이에 의해, 수신 안테나(422)에서 취득되는 수신 이미지(434)는, 원고(Gi) 중 검지용 화상(402)의 부분(434A)이 빠진 이미지로 된다. 이 때문에, 수신 안테나(422)로 검지용 화상(402)이 형성된 원고(Gi)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검지물 부가부(200a)는,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으며, 또한, 정보 입수부(100a)가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없었을 경우에,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한다. 피검지물 부가부(200a)는,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으며, 또한, 정보 입수부(100a)가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또한, 피검지물 부가부(200a)는,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지 않으면,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고체 촬상 소자(CCD)로부터 입력된 판독 화상 신호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해서 해석함에 의해서 판단된다. 원고(Gi)에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소정의 키워드의 유무, 미리 등록된 기밀 화상의 유무, 단어 또는 포맷의 유사성, 정규 표현에 의한 전화번호 등의 검출 등에 의해서 행해질 수 있다.
피검지물 부가부(200b)는, 원고(Gi)에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었을 경우에, 반송되어 온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한다. 또한, 피검지물 부가부(200b)는, 원고(Gi)에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지 않으면,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피검지물 부가부(200a, 200b)는, 원고(Gi) 및 시트(S)의 표면에,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을 피검지물로서 부가한다. 예를 들면, 피검지물 부가부(200a, 200b)는, 원고(Gi) 및 시트(S)에 휘발성 재료를 피검지물로서 부가한다. 원고(Gi) 및 시트(S)에 부가되는 휘발성 재료는, 휘발한 상태에서 사람에게 있어서 무취인 것, 또는 휘발한 상태에서 사람의 후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에게 있어서 무취의 휘발성 재료로서, 예를 들면, 수산기 또는 수산기와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알코올류, 글리콜류, 또는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무취의 휘발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콜류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로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류로서는,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에테르기 및 알코올기를 갖는 것으로서, tert-부틸셀로솔브, 솔핏 등을 들 수 있다.
무취인 것의 평가 방법은, 6단계 취기(臭氣) 강도 척도를 이용할 수 있다. 6단계 취기 강도 척도에서는, 척도 0 또는 1을 무취로 한다. 평가는 취기 판정사의 자격을 갖는 자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척도 0 또는 1로 되는 농도가, 인간이 후각으로 검지할 수 없는 농도이다. 또한, 기지의 안전성 평가에서 안전한 것이 확인되어 있는 휘발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피검지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2종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2종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면, 피검지물 부가부(200a, 200b)에서 각각의 유기 화합물의 특징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휘발성 가스의 발생 시간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휘발 속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U)는, 정보 입수부(100a)에 의해서 원고(Gi)에 부가된 피검지물을 검지하지만, 원고(Gi)를 프린터부(U1b)에 반송하고, 정보 입수부(100b)에 의해서 원고(Gi)에 부가된 피검지물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제1 급지 트레이(TR1) 및 제2 급지 트레이(TR2)로부터 반송되는 시트(S)에도 미리 피검지물이 부가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입수부(100c)에 의해서 시트(S)에 부가된 피검지물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스캐너부(U1a)의 내부에 정보 입수부(100e)를 마련하고, 스캐너부(U1a)의 내부에 구비된 정보 입수부(100e)에 의해서 원고(Gi)에 부가된 피검지물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U)는, 피검지물 부가부(200c)에 의해서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만, 피검지물 부가부(200b 또는 200d)에 의해서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해도 된다. 또한, 스캐너부(U1a)의 내부에 피검지물 부가부(200e)를 마련하고, 스캐너부(U1a)의 내부에 구비된 피검지물 부가부(200e)에 의해서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해도 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U)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U)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ROM(Read Only Memory)(12), RAM(Random Access Memory)(13), 스토리지(14), 입력부(15), 표시부(16) 및 통신 인터페이스(I/F)(17)를 갖는다. 각 구성은, 버스(19)를 통해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중앙 연산 처리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각부(各部)를 제어한다. 즉, CPU(11)는, ROM(12) 또는 스토리지(14)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AM(13)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1)는, ROM(12) 또는 스토리지(14)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각 구성의 제어 및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OM(12) 또는 스토리지(14)에는, 원고(Gi)에의 기밀 정보의 인쇄의 유무를 검출하고, 기밀 정보의 유무에 따라서 원고(Gi) 또는 시트에 피검지물을 부가시키는 기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OM(12)은,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13)은, 작업 영역으로서 일시적으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14)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15)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고, 각종 입력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시부(1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6)는, 터치패널 방식을 채용해서, 입력부(15)로서 기능해도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7)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상표), FDDI, Wi-Fi(등록상표) 등의 규격이 이용된다.
상기한 기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U)는, 상기한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해서,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화상 형성 장치(U)가 실현하는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U)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U)의 기능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U)는, 기능 구성으로서, 정보 입수부(100), 판독부(110), 제시부(120), 기능 제어부(130) 및 피검지물 부가부(200)를 갖는다.
정보 입수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독부(110)가 판독한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원고(Gi)에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다. 피검지물은, 원고(Gi)의 표면에 부착되어,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로 구성된다.
판독부(110)는, 원고(Gi)의 판독을 행한다. 판독부(110)는, 판독한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독부(110)가 판독한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으면, 피검지물 부가부(200)가,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원고(Gi) 및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한다. 판독부(110)는, 원고(Gi)에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소정의 키워드의 유무, 미리 등록된 기밀 화상의 유무, 단어 또는 포맷의 유사성, 정규 표현에 의한 전화번호 등의 검출 등에 의해서 판단한다.
제시부(120)는, 정보 입수부(100)가 입수한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면,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으면, 제시부(120)는,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다는 취지, 및,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의 내용을 제시한다.
기능 제어부(130)는, 판독부(110)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U)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능 제어부(130)는, 판독부(110)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U)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의 일부를 제한하거나, 특정의 처리가 실행되도록 기능을 제어한다. 기능 제어부(130)가 행하는 이용 제어의 예로서는, 인쇄 기능의 금지, 팩시밀리 기능의 금지, 스캔 기능의 금지, 원고(Gi)의 배지 트레이에의 이동 등이 있지만, 이들 제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원고(Gi) 및 시트(S)의 표면에, 비접촉에 의해서 존재의 검지가 가능한 물질을 피검지물로서 부가한다. 정보 입수부(100)가 검지 가능한 피검지물과, 피검지물 부가부(200)가 부가하는 피검지물은, 동일한 물질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물질이어도 된다.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원고(Gi) 및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할 수 있으면 되고, 화상 형성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피검지물 부가부(200)가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식은,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등의 액적 토출 방식, 스탬프 방식, 도포 방식, 또는 실크 인쇄 방식 등의 화상 형성 방식에서 선택 가능하다.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원고(Gi) 및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할 때에, 원고(Gi) 및 시트(S)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피검지물을 부가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피검지물 부가부(200)에 의해서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할지의 여부가 제어된다.
CPU(11)는, 원고(Gi)의 기밀 정도에 따라서, 피검지물 부가부(200)에 의해 부가하는 피검지물을 선택해도 된다.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예를 들면, 원고(Gi)의 기밀 정도에 따라서, 자력을 발하는 재료,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 또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검지물로서 부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Gi)의 기밀 정도가 복수의 레벨로 규정되어 있을 경우,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가장 높은 기밀 정도의 원고(Gi)에는, 자력을 발하는 재료를 부가해도 된다. 그리고,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기밀 정도의 높음이 위로부터 2번째인 원고(Gi)에는,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 또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해도 된다. 자력을 발하는 재료는, 다른 재료와 비교해서 검지 정밀도가 좋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원고(Gi)의 기밀 정도에 따라서, 부가하는 피검지물을 선택함으로써, 원고(Gi)의 검출 정밀도는, 원고(Gi)의 기밀 정도에 따른 검출 정밀도로 된다.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원고(Gi)의 기밀 정도의 높음에 따라서, 복수 종류의 재료를 피검지물로서 부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원고(Gi)의 기밀 정도가 복수의 레벨로 규정되어 있을 경우,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가장 높은 기밀 정도의 원고(Gi)에는, 복수 종류의 재료를 피검지물로서 부가해도 된다. 그리고, 피검지물 부가부(200)는, 기밀 정도의 높음이 위로부터 2번째인 원고(Gi)에는, 1종류의 재료만을 피검지물로서 부가해도 된다. 복수 종류의 재료가 피검지물로서 부가됨으로써, 1종류의 재료가 피검지물로서 부가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원고(Gi)에 부가된 피검지물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U)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CPU(11)가 ROM(12) 또는 스토리지(14)로부터 기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AM(13)에 전개해서 실행함에 의해, 기밀 정보 처리가 행해진다.
화상 형성 장치(U)의 스캐너부(U1a)가 원고(Gi)를 판독할 때에, CPU(11)는, 원고(Gi)에 피검지물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S101).
스텝S101에 계속해서, CPU(11)는, 판독한 원고(Gi)에 피검지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2).
스텝S102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에 피검지물이 있던 경우는(스텝S102; Yes), CPU(11)는, 판독한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3). CPU(11)는,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은지의 여부를,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한다. CPU(11)는, 원고(Gi)에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소정의 키워드의 유무, 미리 등록된 기밀 화상의 유무, 단어 또는 포맷의 유사성, 정규 표현에 의한 전화번호 등의 검출 등에 의해서 판단한다. CPU(11)는,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면 기밀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원고(Gi)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기밀도가 높지 않다고 판정한다.
스텝S103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으면(스텝S103; Yes), CPU(11)는, 원고(Gi)는 기밀성이 있다고 판단한다(스텝S104). 한편, 스텝S103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지 않으면(스텝S103; No), CPU(11)는, 원고(Gi)는 기밀성이 없다고 판단한다(스텝S105).
원고(Gi)는 기밀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104), CPU(11)는, 화상 형성 장치(U)에 대한 이용 제어를 행한다(스텝S106). 화상 형성 장치(U)에 대한 이용 제어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U)가 구비하고 있는 기능의 일부를 제한하거나, 특정의 처리가 실행되도록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CPU(11)가 행하는 이용 제어의 예로서는, 인쇄 기능의 금지, 팩시밀리 기능의 금지, 스캔 기능의 금지, 원고(Gi)의 배지 트레이에의 이동 등이 있지만, 이들 제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텝S106에 계속해서, CPU(11)는, 원고(Gi)에의 피검지물의 부가를 행하지 않고(스텝S107), 피검지물 부가부(200)에 대하여, 복사처의 원고인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시킨다(스텝S108). 또, CPU(11)는, 원고(Gi)에 피검지물이 있으며, 또한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은 경우는, 시트(S)에의 복사를 행하지 않는다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스텝S102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에 피검지물이 없었던 경우는(스텝S102; No), CPU(11)는, 판독한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9).
스텝S109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으면(스텝S109; Yes), CPU(11)는, 원고(Gi)는 기밀성이 있다고 판단한다(스텝S110). 그리고, CPU(11)는 화상 형성 장치(U)에 대한 이용 제어를 행한다(스텝S111).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지 않았지만,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으므로, CPU(11)는, 피검지물 부가부(200)에 대하여,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시킨다(스텝S112). 또한, CPU(11)는, 피검지물 부가부(200)에 대하여, 복사처의 원고인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시킨다(스텝S113).
한편, 스텝S109의 판정의 결과,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지 않으면(스텝S109; No), CPU(11)는, 원고(Gi)는 기밀성이 없다고 판단한다(스텝S114). 원고(Gi)는 기밀성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105 또는 스텝S114), CPU(11)는 화상 형성 장치(U)에 대한 이용 제어를 행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U)를 통상 이용시킨다(스텝S115). 스텝S115에 계속해서, CPU(11)는,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지 않으므로, 원고(Gi)에의 피검지물의 부가를 행하지 않는다(스텝S116). 또한, CPU(11)는, 원고(Gi)의 기밀도가 높지 않으므로, 복사처의 원고인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스텝S117).
CPU(11)는,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기록 매체에의 기밀 정보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CPU(11)는,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기밀성이 있는지의 여부로, 복사처의 기록 매체에의 피검지물의 부가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것은, 피검지물(F1)이 부가된 특수지로서, 기밀 정보(S1)가 인쇄된 원고(Gi)를 화상 형성 장치(U)로 복사하는 경우의 예이다.
원고(Gi)에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의 복사 시에, 시트(S)에 피검지물(F1)을 부가해서 출력한다. 원고(Gi)의 복사 시에, 시트(S)에 피검지물(F1)을 부가해서 출력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U)는 복사원의 원고(Gi)와 동등한 기밀성을 시트(S)에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보통지로서, 기밀 정보(S1)가 인쇄된 원고(Gi)를 화상 형성 장치(U)로 복사하는 경우의 예이다.
원고(Gi)에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지 않지만, 원고(Gi)에 기밀 정보(S1)가 인쇄되어 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의 복사 시에, 시트(S)에 피검지물(F1)을 부가해서 출력할 뿐만 아니라, 원고(Gi)에도 피검지물(F1)을 부가한다. 원고(Gi)의 복사 시에, 시트(S)뿐만 아니라, 원고(Gi)에도 피검지물(F1)을 부가해서 출력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U)는 복사원의 원고(Gi)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보통지로서,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원고(Gi)를 화상 형성 장치(U)로 복사하는 경우의 예이다.
원고(Gi)에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원고(Gi)에 기밀 정보(S1)가 인쇄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의 내용을 그대로 시트(S)에 복사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에도 시트(S)에도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U)에 의한 기밀 정보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것은,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는 특수지로서,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원고(Gi)를 화상 형성 장치(U)로 복사하는 경우의 예이다.
원고(Gi)에 피검지물(F1)이 부가되어 있지만, 원고(Gi)에 기밀 정보(S1)가 인쇄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의 내용을 그대로 시트(S)에 복사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U)는, 시트(S)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U)는, 원고(Gi)에의 피검지물의 부가의 유무와, 원고(Gi)에 인쇄되어 있는 내용에 의거해서, 원고(Gi)에의 피검지물의 부가, 및, 원고(Gi)의 내용을 복사하는 시트에의 피검지물의 부가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U)는, 기밀 정보가 원고(Gi)에 인쇄되어 있지만, 피검지물이 원고(Gi)에 부가되어 있지 않으면, 원고(Gi)에 피검지물을 부가할 수 있다.
원고(Gi)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지 않고, 판독부(110)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기밀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동 입력으로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U)의 조작 화면에서 기밀 정보가 인쇄된 원고(Gi)로 설정함에 의해, 원고(Gi)에의 피검지물의 부가, 및, 원고(Gi)의 내용을 복사하는 시트에의 피검지물의 부가를 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CPU가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판독 입력해서 실행한 기밀 정보 처리를, CPU 이외의 각종 프로세서가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의 프로세서로서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제조 후에 회로 구성을 변경 가능한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및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특정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전용으로 설계된 회로 구성을 갖는 프로세서인 전용 전기 회로 등이 예시된다. 또한, 기밀 정보 처리를, 이들 각종 프로세서 중의 하나로 실행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異種)의 2개 이상의 프로세서의 조합(예를 들면, 복수의 FPGA, 및 CPU와 FPGA의 조합 등)으로 실행해도 된다. 또한, 이들 각종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적인 구조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소자 등의 회로 소자를 조합한 전기 회로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밀 정보 처리의 프로그램이 ROM 또는 스토리지에 미리 기억(인스톨)되어 있는 태양을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k Read Only Memory),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비일시적(non-transitory)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Claims (15)

  1. 판독원 기록 매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부가되어 있는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정보 입수부를 구비하는,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대해서 상기 피검지물을 비접촉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는,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하는, 판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하는, 판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는, 자력(磁力)을 발하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 피검지물을 검출하는, 판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는, 조작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판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수부가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 경우에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가 상기 피검지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시하는 제시부를 더 구비하는, 판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는, 상기 피검지물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판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을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하는 피검지물 부가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기밀 정보의 기밀 정도에 따라서 선택된 피검지물을 상기 기록 매체에 부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자력을 발하는 재료, 전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재료 또는 휘발성이 있는 재료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밀 정도에 따라서 선택된 피검지물을 상기 기록 매체에 부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있어서 피검지물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판독원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이 부가되어 있을 경우, 상기 피검지물 부가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피검지물을 부가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판독한 내용에 기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0072538A 2020-10-02 2021-06-04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220044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7759A JP2022059881A (ja) 2020-10-02 2020-10-02 情報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20-167759 2020-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637A true KR20220044637A (ko) 2022-04-11

Family

ID=8093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538A KR20220044637A (ko) 2020-10-02 2021-06-04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3583B2 (ko)
JP (1) JP2022059881A (ko)
KR (1) KR202200446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748A (ja) 2003-09-10 200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リンタ装置
JP2014113775A (ja) 2012-12-11 2014-06-26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4528B2 (en) * 2004-02-13 2008-11-18 Ricoh Company, Ltd. Image output apparatus using close range radio contact wherein radio contact element is attached to document on which an image is recorded
JP2006345012A (ja) * 2005-06-07 2006-12-21 Hitachi Ltd 複写装置、サーバ装置、シュレッダ装置、情報端末及び複写制御方法
US7680447B2 (en) * 2005-11-15 2010-03-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uplicating secure documents
JP4784638B2 (ja) * 2008-11-27 2011-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US8670140B2 (en) * 2009-04-08 2014-03-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Workflow management bridging virtual and transient-paper documents
CN103903509B (zh) * 2012-12-24 2017-05-31 苏州华实材料技术服务有限公司 热敏感标签及其制备和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748A (ja) 2003-09-10 200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リンタ装置
JP2014113775A (ja) 2012-12-11 2014-06-26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59881A (ja) 2022-04-14
US20220109771A1 (en) 2022-04-07
US11323583B2 (en)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66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印刷方法
JP2001166641A (ja) 画像形成装置
JP5715166B2 (ja) 消去装置、消去装置の消去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86109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2238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20044637A (ko) 정보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026510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21692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20150244886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bnormal st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93535A (ja) 画像形成装置
US82138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15211A1 (en) Translation device, transl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653440B2 (en) Sensor and housing in a replicating system to facilitate detection of objects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JP372350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72448A1 (en) Development view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and wrapping sheet output apparatus
US20100060912A1 (en) Printing system and secure document printing method
JP564908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18201B2 (ja) 画像形成装置
US11330138B2 (en) Image scanning device
JP540361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077657A1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88560B2 (ja) 画像処理装置
JP614057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13544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08847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