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243A - 의료용 기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243A
KR20220044243A KR1020217041808A KR20217041808A KR20220044243A KR 20220044243 A KR20220044243 A KR 20220044243A KR 1020217041808 A KR1020217041808 A KR 1020217041808A KR 20217041808 A KR20217041808 A KR 20217041808A KR 20220044243 A KR20220044243 A KR 2022004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container
medical container
height direction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 사카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08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2795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46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3508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22004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walls, e.g. walls of inequal height, tabs; for maintaining the mouth of the sack or ba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10Handles formed of similar material to that used for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4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hand por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99/00Subject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6Nested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14Flexible bags or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수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의료용 용기를 제공한다.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의 주연이 접합되어 형성된 의료용 용기(1)로서, 폭 방향(WD)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용부(10)와,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수용부(10)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20)를 구비한다. 의료용 용기(1)는, 수용부(10)와 한 쌍의 연장부(20)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높이 방향(HD)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0)와 연장부(20)를 구획하는 구획 접합부(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의료용 기기
본 발명은 의료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에 사용되는 기구나 제제 등은, 외계로부터의 보호 및 오염의 방지를 위해, 수지제의 용기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보존 및 운반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이들 기구나 제제 등의 수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결구역(不潔野)과 청결구역(淸潔野)이 구분된 수술실 등에서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용기가 개봉되고, 수용물은 청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용기로부터 꺼내진다.
일본 특허공표 2015-509386호 공보
여기에서, 용기의 외측은 외계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불결구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용기의 개봉 부분인 개구부도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개구부와 접촉하지 않고 용기로부터 수용물을 꺼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의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一組)의 시트상 부재의 주연(周緣)이 접합되어 형성된 의료용 용기로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그 수용부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의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의료용 용기는 주연의 일부에 형성되는 수용용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용 용기는, 상기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연장부와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연장부를 구획하는 구획 접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 접합부의 높이 방향의 일단측의 단부의 위치는, 수용물을 상기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용물의 높이 방향의 일단부보다 타단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용 용기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접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용 용기는,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접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용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에서의 상기 규제 접합부가 배치된 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높이 방향의 타단측의 변은,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높이 방향의 일단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의 주연이 접합되어 형성된 의료용 용기로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해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사각형부는,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갖고, 폭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의 단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의 단부와의 거리 a는, 35mm 이상 70mm 이하이며, 높이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와의 거리 b는, 20mm 이상 40mm 이하인 의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의 폭 d는 상기 거리 a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의 폭 c는 2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측변의 폭 방향에 대한 예각측의 각도 θ2는, 20°이상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에 의하면, 수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에 수용물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의료용 용기의 상단부를 절단하여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한 쌍의 연장부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한 쌍의 연장부를 갖고, 개구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를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의료용 용기에 수용물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에 수용물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의료용 용기의 상단부를 절단하여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경사부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경사부를 갖고, 개구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를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절단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에서의 수용용 개구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에서의 수용부의 상단부의 폭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의료용 용기는, 의료에 사용되는 기구나 제제 등을 수용물로서 수용하고, 수용물을 오염으로부터 지켜 위생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1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는, 재생 의료 등에 사용되는 세포를 수용한 수용 용기(60)를 수용물로서 수용한다.
의료용 용기(1)는,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2장)의 시트상 부재(50, 50)(도 3 참조)의 주연(周緣)이 수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용 개구부(70)(도 1에 있어서는 상변부분)를 제외하고 열 접착(힛 씰)이나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시트상 부재(50)는 가요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시트상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EVA 수지(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상 부재(50)는 EVA 수지로 구성된다. 시트상 부재(50)를 EVA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의료용 용기(1)를 동결 보존한 경우에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의료용 용기(1)가 저온 하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의료용 용기(1)는,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0)와, 한 쌍의 연장부(20)와, 한 쌍의 구획 접합부(30)와, 규제 접합부(40)와, 수용용 개구부(70)를 구비한다.
수용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WD)의 길이가 높이 방향(HD)의 길이보다 짧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의료용 용기(1)의 폭 방향(W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수용부(10)에는, 무균 상태가 유지된 의료에 사용되는 기구, 제제 등이 수용물로서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에는, 재생 의료에 이용되는 세포가 수용된 통 형상의 수용 용기(60)가 수용된다. 수용 용기(60)는, 일단측이 개구한 통 형상의 본체부(61) 및 본체부(6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캡(62)을 구비하고, 캡(62)이 의료용 용기(1)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인 상단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0)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의 폭 방향(WD)의 길이(W1)는 수용 용기(60)의 폭(W2)보다 크게 구성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부(10) 및 한 쌍의 연장부(20)의 늘어선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의료용 용기(1)의 폭 방향(WD)으로, 폭 방향(W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시트상 부재(50)의 면 방향을 따르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HD)으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의 중첩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TD)로 한다.
한 쌍의 연장부(20)는, 수용부(10)로부터 폭 방향(WD)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연장부(20)는 높이 방향(HD)을 따르는 측변, 및 높이 방향(HD)의 타단측의 변인 저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되어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는 접합되지 않는다.
연장부(20)는,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H1)는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H2)보다 짧게 구성된다. 또한, 연장부(20)의 저변은 폭 방향(WD)의 단부로부터 수용부(10)를 향하여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연장부(20)의 저변은 폭 방향(WD)의 단부로부터 수용부(10)를 향하여 상승 경사된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연장부(20)의 저변과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을 따르는 측변이 이루는 각도 θ1은 0°~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구획 접합부(30)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수용부(10)와 한 쌍의 연장부(20)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의료용 용기(1)의 높이 방향(HD)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0)와 연장부(20)를 구획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접합부(30)는,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을 따르는 측변이 일단측(상단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구획 접합부(30)는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을 따르는 측변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구획 접합부(30)는, 수용부(10)와 한 쌍의 연장부(20)를 완전히는 구획하지 않고, 일부를 구획한다. 즉, 수용부(10)와 연장부(20)는,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상단측)에서는 연통한 부분을 갖고 있다.
구획 접합부(3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상단측)의 단부의 위치(30a)는, 수용 용기(60)를 수용부(10)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수용 용기(6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부(상단부)(60a)보다 타단측(하단측)에 위치한다(도 2 참조). 또한, 구획 접합부(3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상단측)의 단부의 위치(30a)로부터 의료용 용기(1)의 취출용의 개구부까지의 길이(H0)를 적당한 치수(길이)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시트상 부재(50)의 반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규제 접합부(40)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 용기(60)의 위치를 규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접합부(40)는, 수용부(10)의 폭 방향(WD)의 중앙부에 있어서, 폭 방향(WD)에 소정 간격을 두고 높이 방향(HD)에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규제 접합부(40)는,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타단측의 변인 저변으로부터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규제 접합부(40)를 구성하는 2개의 접합부 사이의 폭 방향(WD)의 길이(W3)는, 수용 용기(60)의 크기(폭)(W2)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수용용 개구부(70)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의 주연의 일부가 접합되지 않고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용 개구부(70)는 높이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의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의료용 용기(1)에 수용 용기(60)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수용용 개구부(70)가 형성되는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의 변인 상변을 제외한 각 변이 접합된 상태의 의료용 용기(1)에, 수용용 개구부(70)로부터 세포가 수용된 수용 용기(60)가 수용된다. 여기에서, 수용 용기(60)는 캡(62)이 상단측에 위치하도록 규제 접합부(40)를 구성하는 2개의 접합부 사이에 삽입되고, 수용부(10)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 후, 의료용 용기(1)의 상변이 접합되고, 수용 용기(60)는 밀폐된 상태에서 의료용 용기(1)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는 구획 접합부(30)의 상단부(30a)보다 상단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2 참조).
수용 용기(60)에 수용된 세포는 사용되기까지의 사이에 의료용 용기(1)에 수용되고, 밀폐된 상태로 동결 보존된다. 여기에서, 의료용 용기(1)를 EVA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의료용 용기(1)를 동결 보존한 경우에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의료용 용기(1)가 저온 하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 용기(60)에 수용된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의료용 용기(1)에 수용된 상태에서, 불결구역과 청결구역이 구분된 수술실 등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의료용 용기(1)는,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개봉되고, 수용 용기(60)는 청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의료용 용기(1)로부터 꺼내진다.
의료용 용기(1)로부터 수용 용기(60)를 꺼내는 순서에 대하여, 도 4 ~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의료용 용기(1)의 상변 측이 가위 등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의료용 용기(1)의 상변측에 취출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의료용 용기(1)의 상변측의 절단 위치는 절단 후에 구획 접합부(30)의 상단부(30a)와 취출용 개구부의 단부가 이루는 각도 θ0(도 4 참조)이 90°~ 160°가 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 140°가 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부(20)가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연장부(20)는, 주연부(측변 및 저변)를 제외하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는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결구역의 담당자는 한 쌍의 연장부(20)에, 개구부로부터 각각,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을 삽입함과 함께, 삽입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1장의 시트상 부재(50)를 끼움으로써, 연장부(20)를 지지할 수있다.
또한, 연장부(20)와 수용부(10) 사이에는, 구획 접합부(3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20)를 지지할 때에, 불결구역의 담당자의 손가락이 수용부(10)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부(20)가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가 반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연장부(20)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 사이에 삽입된 엄지 손가락과, 시트상 부재(50)의 외측에 배치된 집게 손가락에 의해 끼워진 시트상 부재(50)의 표리(表裏)를 반전시킴으로써, 개구부 근방의 시트상 부재(50)의 표리가 반전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은 청결한 시트상 부재(50)의 내면이 외측에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청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수용 용기(60)가 위생적으로 꺼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료용 용기(1)를, 수용부(10)와, 수용부(10)로부터 폭 방향(WD)의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개구부의 폭 방향(WD)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연장부(20)를 양손으로 잡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개구부에서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시트상 부재(50)의 내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꺼낼 수있다.
또한, 연장부(2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H1)를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H2)보다 짧게 구성하였다. 또한, 연장부(20)의 저변을, 폭 방향(WD)의 단부로부터 수용부(10)를 향해 상승 경사시켰다. 이에 따라, 개구부에서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에, 연장부(20)가 수용부(10)에 간섭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시트상 부재의 반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키는 경우에, 구획 접합부(30)의 상단부(30a)를 시트상 부재(50)의 굽힘 기점으로서 반전시키기 때문에,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시트상 부재(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키려고 한 경우에,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가 모두 두께 방향(TD)의 한쪽으로 접혀 버려, 개구부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
또한, 구획 접합부(30)의 상단부의 위치(30a)를, 수용 용기(60)를 수용부(10)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보다도 하단측에 위치시켰다. 이에 따라, 시트상 부재(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킨 경우에, 수용 용기(60)의 단부를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용기(60)를 보다 용이하게 위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의료용 용기(1)를,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의 주연을 접합하여 형성함과 함께, 수용부(10)와, 이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에 배치됨과 함께, 수용부(10)로부터 폭 방향(W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용 용기(1)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을 가위 등으로 개봉하여 의료용 용기(1)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꺼낼 경우에, 가위 등으로 개봉되어 형성된 개구부의 폭 방향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연장부(20)를 양손으로 잡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개구부에서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시트상 부재(50)의 내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꺼낼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용기(60)를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20)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반전시킴으로써, 수용부(10)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 용기(60)를 보다 위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2) 의료용 용기(1)를, 높이 방향(HD)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0)와 연장부(20)를 구획하는 구획 접합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키는 경우에, 구획 접합부(30)의 단부를 시트상 부재(50)의 굽힘 기점으로서 반전시키기 때문에,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시트상 부재(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키려고 한 경우에,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가 모두 두께 방향(TD)의 한쪽으로 접혀 버려, 개구부가 닫혀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20)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반전시키는 경우에, 삽입된 손가락이 수용부(1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용 용기(60)를 보다 위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3) 구획 접합부(3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의 단부(상단부)의 위치(30a)를, 수용 용기(60)를 수용부(10)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수용 용기(60)의 높이 방향(HD)의 일단부(상단부)(60a) 보다 타단측(하측)에 위치시켰다. 이에 따라, 시트상 부재(50)를 개구부에서 반전시켰을 경우에, 수용 용기(60)의 단부를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용기(60)를 보다 용이하게 위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4) 의료용 용기(1)를, 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 용기(60)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접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용부(10)의 폭을 수용물의 폭보다 넓게 구성한 경우라도, 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수용 용기(60)를 꺼낼 때에, 수용 용기(60)의 선단을 개구부로부터 적절히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용기(60)의 취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있다.
(5) 연장부(2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 H1을,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길이 H2보다 짧게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연장부(20)의 높이 방향(HD)의 타단측(하단측)의 위치를 수용부(10)의 높이 방향(HD)의 타단측(하단측)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개구부에서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에, 연장부(20)가 수용부(10)에 간섭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상 부재(50)의 반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6) 연장부(20)의 높이 방향(HD)의 타단측(하단측)의 변을, 폭 방향(WD)의 단부로부터 수용부(10)를 향하여 일단측(상단측)으로 경사시켰다. 이에 따라, 개구부에서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에, 연장부(20)를 수용부(10)에 의해 간섭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시트상 부재(50)의 반전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0)의 면적을, 특히 폭 방향(WD)의 외측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에, 연장부(20)를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단단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1A)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2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A)는, 주로 구획 접합부 및 규제 접합부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A)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A)의 폭 방향(WD)의 길이는 수용물로서의 수용 용기(60)의 폭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 용기(60)는 수용부(10A)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의료용 용기(1A)를 개봉하여 개구부에서 시트상 부재(50)를 반전시킬 때에는, 수용부(10A)와 연장부(20)의 경계 부분의 접합부가 굽힘 기점이 되어, 시트상 부재(50)가 반전된다.
제2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A)에 의하면, 상술한 (1), (5), (6)의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1B)에 대하여, 도 8 ~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의료용 용기(1B)는, 도 8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2장)의 시트상 부재(50, 50)(도 10 참조)의 주연이, 수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용 개구부(70)(도 8에 있어서는 상변부분)를 제외하고 열 접착이나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의료용 용기(1B)는, 도 8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B)와, 경사부(20B)와, 직사각형부(30B)와, 수용용 개구부(70)를 구비한다.
수용부(10B)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WD)의 길이 d(이하, 수용부(10B)의 폭 d라고도 함)가 높이 방향(HD)의 길이보다도 짧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의료용 용기(1B)의 폭 방향(WD)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수용부(10B)에는, 무균 상태가 유지된 의료에 사용되는 기구나 제제 등이 수용물로서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B)에는, 재생 의료에 이용되는 세포가 수용된 통 형상의 수용 용기(60)가 수용된다. 수용 용기(60)는, 일단측이 개구한 통 형상의 본체부(61) 및 본체부(6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캡(62)을 구비하고, 캡(62)이 의료용 용기(1)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인 상단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0B)에 수용된다. 수용부(10B)의 폭 d는, 수용 용기(60)가 삽입 가능한 길이로 구성된다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B)의 폭 d는, 수용 용기(60)의 캡(62)의 폭(W)의 2배 정도의 길이로 하였다. 이에 따라, 수용 용기(60)를 수용부(10B)에 삽입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 용기(60)가 수용부(10B)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 용기(60)가 수용부(10B)의 상단부로부터 10mm ~ 15mm 정도 돌출되도록 수용부(10B)의 높이 방향(HD)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용부(10B)로부터의 수용 용기(60)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의 좌우 방향을 의료용 용기(1B)의 폭 방향(WD)으로, 폭 방향(W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시트상 부재(50)의 면 방향을 따르는 방향(도 8의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HD)으로, 시트상 부재(50, 50)의 중첩 방향(도 10의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TD)으로 한다.
경사부(20B)는, 수용부(10B)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수용부(10B)의 상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20B)는 수용부(10B)와 연통하고 있고,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상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WD)의 길이가 길어지는(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사부(20B)는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경사져 폭 방향(WD)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변을 갖는다. 경사부(20B)는, 한 쌍의 측변에 있어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되어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되어 있지 않다. 경사부(20B)의 폭 방향(WD)의 길이는 수용부(10B)로부터 직사각형부(30B)를 향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경사부(20B)의 최소 폭은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폭 d와 동일한 폭이고, 최대 폭은 직사각형부(30B)의 폭 c와 동일한 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20B)의 한 쌍의 측변은 높이 방향(HD)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연장된다.
직사각형부(30B)는, 경사부(20B)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경사부(20B)의 상단측)에 배치된다. 직사각형부(30B)는, 높이 방향(HD)을 따르는 측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가 접합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에서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직사각형부(30B)의 폭 방향(WD)의 길이 c(이하, 직사각형부(30B)의 폭 c라고도 함)는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폭 d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의료용 용기(1B)는, 수용 용기(60)의 취출시에, 직사각형부(30B)에서의 경사부(20B)와의 경계부(BD)의 근방에서 폭 방향(WD)을 따라 절단된다.
수용용 개구부(70)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의 주연의 일부가 접합되지 않고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용 개구부(70)는 높이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의 변, 즉 직사각형부(30B)의 상단측의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B)는, 이하와 같이 사용된다.
의료용 용기(1B)에 수용 용기(60)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수용용 개구부(70)가 형성되는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의 변인 상변을 제외한 각 변이 접합된 상태의 의료용 용기(1B)에, 수용용 개구부(70)로부터 세포가 수용된 수용 용기(60)가 수용된다. 여기에서, 수용 용기(60)는 캡(62)이 상단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0B)에 수용된다. 그 후, 의료용 용기(1B)의 상변이 접합되고, 수용 용기(60)는 밀폐된 상태에서 의료용 용기(1B)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는 직사각형부(30B)와 경사부(20B)의 경계부(BD)보다 하단측, 즉 경사부(20B)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9 참조).
수용 용기(60)에 수용된 세포는, 사용되기까지의 사이에 의료용 용기(1B)에 수용되어 밀폐된 상태로 동결 보존된다.
수용 용기(60)에 수용된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의료용 용기(1B)에 수용된 상태에서, 불결구역과 청결구역이 구분된 수술실 등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의료용 용기(1B)는,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개봉되고, 수용 용기(60)는 청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의료용 용기(1B)로부터 꺼내진다.
본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B)는, 경사부(20B)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절단 후에 경사부(20B)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다.
의료용 용기(1B)로부터 수용 용기(60)를 꺼내는 순서에 대하여, 도 11 ~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의료용 용기(1B)가 소정의 절단 위치에서 가위 등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의료용 용기(1B)의 상변측에 취출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의료용 용기(1B)는, 직사각형부(30B)에 있어서의 경사부(20B)와의 경계부(BD)의 근방에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및 도 9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20B)의 형상은 높이 방향(HD)에 대해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경계부(BD)의 거리 b가 20mm 이상 40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거리 b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경계부(BD)의 근방에서 직사각형부(30B)를 절단할 때에, 가위 등이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에 닿아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0B)가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경사부(20B)는, 주연부(측변)를 제외하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는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결구역의 담당자는, 경사부(20B)에, 개구부로부터 각각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을 삽입함과 함께, 삽입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시트상 부재(50)를 끼움으로써, 경사부(20B)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폭 방향(WD)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와의 거리 a를 35㎜ 이상으로 함으로써, 불결구역의 담당자가 수용 용기(60)를 만지지 않고 경사부(20B)에 양손의 엄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0B)가 불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부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가 반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부(20B)에 있어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 사이에 삽입한 엄지 손가락과 시트상 부재(50)의 외측에 배치된 담당자의 집게 손가락에 의해 끼워진 시트상 부재(50)의 표리를 반전시킴으로써, 개구부 근방의 시트상 부재(50)의 표리가 반전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은 청결한 시트상 부재(50)의 내면이 외측에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청결구역의 담당자에 의해, 수용 용기(60)가 위생적으로 꺼내진다.
여기에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의 거리 a를 70mm 이하로 하고,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경계부(BD)(경사부(20B)의 상단부)의 거리 b를 40㎜ 이하로 함으로써,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경사부(20B)의 반전하는 위치를 수용부(10B)의 상단부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보다 경사부(20B)의 반전 위치가 하측이 되기 때문에, 수용 용기(60)의 상단부의, 의료용 용기(1B)로부터의 노출 부분을 많게 할 수 있고, 청결구역의 담당자가 수용 용기(6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리 a가 70mm를 초과하는 경우는, 경사부(20B)의 손가락 파지 부분 및 그 근방부의 시트상 부재(50) 부분에 대해서는 반전되기 쉽지만, 수용 용기(60)를 꺼내는 부위가 되는 폭 방향(WD)의 중앙 부분의 개구측을 잘 반전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그 결과, 반전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거리 b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사부(20B)를 반전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즉,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와의 거리 a를 70㎜ 이하로 하고,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경계부(BD)(경사부(20B)의 상단부)의 거리 b를 40mm 이하로 함으로써, 수용 용기(60)를 적절한 위치에서 반전시킬 수 있고, 반전시킨 상태에서 수용 용기(60)의 상단부의 의료용 용기(1)로부터의 노출 부분을 많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용기(60)를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용 용기(1B)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 위치를 직사각형부(30B)에서의 경사부(20B)와의 경계부(BD)의 근방으로 함으로써, 직사각형부(30B)가 경계부(BD)의 근방보다 상방에서 절단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경사부(20B)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의료용 용기(1B)에는, 개봉을 위한 절단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부착해도 좋다. 절단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로서는, 절단 위치를 따라 시트상 부재(50)에 부착된 표시, 또는 직사각형부(30B)의 측부에 형성된 노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폭 방향(WD)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와의 거리 a가, 35㎜ 이상 70㎜ 이하인 경우, 및, 높이 방향(HD)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수용부(10B)와 경계부(BD)(경사부(20B)의 상단부)의 거리 b가, 20mm 이상 40mm 이하인 경우에, 의료용 용기(1B)를 경계부(BD)에서 절단 후에 경사부(20B)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용이하게 경사부(20B)를 반전시키기 위한 경사부(20B)의 바람직한 형상에 대해서 추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용부(10B)의 폭 방향(WD)의 길이 d(수용부(10B))는,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의 거리 a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직사각형부(30B)의 폭 방향(WD)의 길이 c(직사각형부(30B)의 폭)는 2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부(20B)의 측변의 폭 방향(WD)에 대한 예각 측의 각도 θ2는 20°이상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의료용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7) 의료용 용기(1B)는,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의 주연을 접합하여 형성함과 함께, 수용부(10B)와, 이 수용부(10B)의 높이 방향(HD)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경사부(20B)와, 이 경사부(20B)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배치된 직사각형부(30B)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경사부(20B)를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해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하며, 폭 방향(WD)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경사부(20B)의 상단부의 단부와의 거리 a를, 35㎜ 이상 70㎜ 이하인 것으로 하고, 높이 방향(HD)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경계부(BD)의 거리 b를 20㎜ 이상 40㎜ 이하인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용 용기(1B)의 높이 방향(HD)의 일단측을 가위 등으로 개봉하여 의료용 용기(1B)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꺼낼 경우에, 의료용 용기(1B)를 직사각형부(30B)와 경사부(20B)와의 경계부(BD)의 근방에서 절단함으로써, 경사부(20B)를 양손으로 잡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되지 않은 시트상 부재(50)의 내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용부(10B)에 수용된 수용 용기(60)를 꺼낼 수 있다. 또한, 경사부(20B)에서의 반전 위치를 수용부(10B)의 근방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용기(60)의 취출이 용이하다. 또한, 절단시에, 가위 등이 수용 용기(60)의 상단부(60a)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수용 용기(60)를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경사부(20B)에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반전시킴으로써, 수용부(10B)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 용기(60)를 보다 위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8)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폭 d를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와의 거리 a 이하의 크기로 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경사부(20B)에 손가락을 넣어 반전시킬 때의 손가락의 힘이 경사부(20B)에 전달되기 쉬워지므로, 더욱 용이하게 경사부(20B)를 반전시킬 수 있다.
(9) 직사각형부(30B)의 폭을, 200㎜ 이하인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경사부(20B)에서의 반전 위치를 수용부(10B)의 근방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용기(60)의 취출이 용이하다.
(10) 경사부(20B)의 측변의 폭 방향(WD)에 대한 예각 측의 각도 θ2를 20° 이상 40°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경사부(20B)를 양손으로 잡고,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50, 50)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용 용기(1B)에 대해서,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경사부(20B)의 상단부의 단부와의 거리 a와, 수용부(10B)의 상단부와 경계부(BD)(경사부(20B)의 상단부)와의 거리 b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의료용 용기를 시험체로서 제작하고, 반전 용이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또한, 수용부(10B)의 폭 d는 모두 27mm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고, 거리 a와 거리 b의 관계를, 경사부(20B)의 측변의 폭 방향(WD)에 대한 예각측의 각도 θ2로 나타낸 것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에 사용한 의료용 용기(1B)를 구성하는 시트상 부재로서는, EVA 수지로 구성된 두께 0.35mm의 시트를 사용하였다.
표 1의 반전 용이성에 대해서는, 경사부(20B)에 손가락을 안쪽까지 넣지 않고 반전할 수 있고, 저항감이 없는 것을 「◎」로 하고, 경사부(20B)에 손가락을 안쪽까지 넣지 않고 반전할 수 있지만, 저항감이 있는 것을 「○」로 하며, 경사부(20B)에 손가락을 안쪽까지 넣으면 반전은 할 수 있지만, 저항감이 있는 것을 「△1」으로 하고, 손가락의 파지 개소 근방에서는 반전 가능하지만, 수용 용기의 수납한 수용부를 형성한 중앙부(개구부)에서의 반전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것을 「△2」로 하며, 반전할 수 없는 것을 「×」로 하여 5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실시예는,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굵은 프레임으로 둘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에 의하면, 수용 용기(60)의 상부 거리 a가 35mm 이상 70mm 이하, 및, 거리 b가 20mm 이상 40mm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는, 반전 용이성은 모두 「◎」이며, 용이하게 반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리 a 및 거리 b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각도 θ2는 대략 20°이상 40°이하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용 용기(60)가 수용부(10B)의 상단부로부터 위로 돌출된 거리를 일정(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된 거리를 10㎜로 함)하게 하고, 경사부(20B)를 반전시킨 후의 수용물의 취출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수용부(10)에 손가락을 거의 넣지 않아도 꺼낼 수 있는 것을 「○」로 하고, 손가락을 넣으면 꺼낼 수 있는 것을 「△」로 하며, 손가락을 안쪽까지 넣지 않으면 꺼낼 수 없거나, 또는 꺼낼 수 없는 것을 「×」로 하여 3단계로 평가하였다. 단, 표 1(실시예 1)에서 평가가 낮았던(△1, △2, ×) 샘플에 대해서는, 실시예 2의 취출 평가는 행하지 않고, 미평가(-)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실시예는 표 3에서 굵은 프레임으로 둘렀다.
Figure pct00003
표 3에 의하면, 거리 a가 35mm 이상 70mm 이하, 및, 거리 b가 20mm 이상 40mm 이하의 범위에서는, 취출 용이성이 「○」이며, 용이하게 수용 용기(60)를 꺼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리 a가 상기 범위(35mm ~ 70mm) 내에 있어도, 거리 b가 50mm 이상인 경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성은 나쁘지 않았지만 [샘플예(a: 51.5mm, b: 50mm), (a: 61.5mm, b: 50mm)], 경사부(20B)를 반전시켰을 때의 반전 위치가 수용 용기(60)의 상부보다 상방에 위치했기 때문에, 손가락을 넣어 수용 용기(60)를 꺼낼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취출 평가로서는, 「△」로 하였다. 반대로, 거리 b가 범위 내(20mm ~ 40mm)라도, 거리 a가 범위 외[샘플예(a: 34mm, b: 37mm)]인 것에서는, 표 1의 반전성의 평가는 나쁘지 않았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반전 위치가 수용 용기 상부보다 상방에 위치했기 때문에, 취출성의 평가는 「△」가 되었다. 또한, 거리 a가 35mm보다 작은 경우의 2예[샘플예(a: 31.5mm, b: 23mm), (a: 34.0mm, b: 23mm)]는 취출성은 나쁘지 않았지만, 표 1의 반전성의 평가가 ◎가 아니었기 때문에, 반전성에 취출성을 가미한 종합적인 평가로서, 범위 외로 하였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수용 용기(60)를 꺼낼 때에 의료용 용기(1B)가 절단되는 위치를 바꾼 경우에서의 반전 용이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경사부(20B)의 조건은, 거리 a를 41.5mm로 하고, 거리 b를 27mm로 하며, 각도 θ를 33°로 하고, 수용부(10B)의 폭 d를 27mm로 하여 시험체를 4개 제작하였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20B)와 직사각형부(30B)의 경계부(BD)를 라인 A로 하고, 라인 A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7㎜마다 라인 B 내지 라인 D를 설정하였다. 각각의 라인에서 제작한 시험체를 절단하여, 반전 용이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라인 A ~ 라인 C에서 절단한 것은 경사부를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었지만, 라인 D에서 절단한 것은 경사부를 반전시키기가 곤란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세포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60)를 수용물로서 수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핀셋 등의 의료에 사용되는 기구를 수용물로서 수용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형태 ~ 제3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용 개구부(70)를 의료용 용기(1)의 상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용 용 개구부를 의료용 용기의 상변의 수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하고, 상변의 연장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용 개구부의 개구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수용물을 수용하는 경우에서의 의료용 용기 내부의 오염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 개구부(70C)를 의료용 용기(1C)의 하변(높이 방향(HD)의 타단측의 변)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수용용 개구부(70C)는, 하변에서의 한 쌍의 규제 접합부(40) 사이의 부분에만 형성해도 좋다. 수용용 개구부(70C)를 의료용 용기(1C)의 하변에 형성함으로써, 수용부(10C)(한 쌍의 규제 접합부(40)의 사이)에 수용물을 배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용용 개구부(70C)를 한 쌍의 규제 접합부(40) 사이의 부분에만 형성함으로써, 수용용 개구부(70C)의 개구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수용물을 수용하는 상태에서의 의료용 용기(1C)의 내부 오염 리스크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수용용 개구부를 수용부(10C)의 하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폭 d는 폭 방향(WD)에 대해 수용부(10B)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B)의 단부 사이의 거리 a 보다 작은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의료용 용기(1D)와 같이, 수용부(10D)의 상단부의 폭 d가, 폭 방향(WD)에 대해 수용부(10D)의 상단부의 단부와 직사각형부(30D)의 단부와의 거리 a 보다 커도 좋다. 이에 따라 폭이 큰 수용물(60D)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10B)의 형상은 높이 방향(HD)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하는 수용 용기의 형상에 맞춰 수납 가능한 형상으로 수용부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수용부(10B)의 높이 방향(HD)의 크기는, 수용 용기(6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용 용기(60) 전체가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수용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불결구역의 담당자가 수용부의 하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수용 용기(60)를 수용부(10)로부터 돌출시킬 수있다. 이와 같이 하여, 청결구역의 담당자가 수용 용기(6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1, 1A, 1B, 1C, 1D 의료용 용기
10, 10A, 10B, 10C, 10D 수용부
20 연장부
20B, 20D 경사부
30 구획 접합부
30B, 30D 직사각형부
40 규제 접합부
50 씰 부재
60 수용 용기(수용물)
70, 70C 수용용 개구부

Claims (12)

  1.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의 주연(周緣)이 접합되어 형성된 의료용 용기로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의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의 일부에 형성되는 수용용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의료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연장부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연장부를 구획하는 구획 접합부를 구비하는 의료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접합부의 높이 방향의 일단측의 단부의 위치는, 수용물을 상기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용물의 높이 방향의 일단부보다 타단측에 위치하는 의료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접합부를 더 구비하는 의료용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접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용 개구부는, 상기 수용부에서의 상기 규제 접합부가 배치된 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의료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의료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높이 방향의 타단측의 변은,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높이 방향의 일단측으로 경사져 있는 의료용 용기.
  9. 대향하여 배치된 한 세트의 시트상 부재의 주연이 접합되어 형성된 의료용 용기로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높이 방향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직사각형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해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사각형부는,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폭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의 단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의 단부와의 거리 a는, 35㎜ 이상 70㎜ 이하이며,
    높이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와의 거리 b는, 20㎜ 이상 40㎜ 이하인 의료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의 폭 d는 상기 거리 a 이하의 크기인 의료용 용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의 폭 c는 200mm 이하인 의료용 용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측변의 폭 방향에 대한 예각측의 각도 θ2는 20°이상 40° 이하인 의료용 용기.
KR1020217041808A 2019-06-11 2020-06-11 의료용 기기 KR20220044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8624 2019-06-11
JP2019108624A JP7279531B2 (ja) 2019-06-11 2019-06-11 医療用容器
JPJP-P-2020-046360 2020-03-17
JP2020046360A JP7435089B2 (ja) 2020-03-17 2020-03-17 医療用容器
PCT/JP2020/023070 WO2020250988A1 (ja) 2019-06-11 2020-06-11 医療用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243A true KR20220044243A (ko) 2022-04-07

Family

ID=7378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808A KR20220044243A (ko) 2019-06-11 2020-06-11 의료용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4047A1 (ko)
EP (1) EP3984901A4 (ko)
KR (1) KR20220044243A (ko)
CN (1) CN113924256B (ko)
WO (1) WO20202509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9386A (ja) 2012-02-06 2015-03-30 ハイプロテック、 インク. 携行用医療用具プロテ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809A (en) * 1988-09-26 1996-02-27 Highland Supply Corporation Sleeve having a detachable portion for forming a pot cover
US5997811A (en) * 1997-07-02 1999-12-07 Cohesion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terile syringe packaging and handling
JP3745142B2 (ja) * 1998-12-14 2006-02-15 株式会社生産日本社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の袋体
JP4774628B2 (ja) * 2001-05-18 2011-09-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JP5203078B2 (ja) * 2008-07-14 2013-06-05 株式会社カネカ 医療用衛生封止袋
JP5661331B2 (ja) * 2009-05-18 2015-01-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WO2011020185A1 (en) * 2009-08-20 2011-02-24 Ar Medicom Inc. Sterilizable pouch
US11419958B2 (en) * 2011-02-04 2022-08-23 O&M Halyard, Inc.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 with bolsters
WO2014076819A1 (ja) * 2012-11-16 2014-05-22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医療用包装容器
WO2015031811A1 (en) * 2013-08-30 2015-03-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er resistant packag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323754B2 (ja) * 2014-05-30 2018-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流動体が充填された袋の製造方法
JP2019026271A (ja) * 2017-07-25 2019-02-21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TWM554798U (zh) * 2017-07-26 2018-02-01 麥迪康亞太有限公司 透氣性滅菌袋結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9386A (ja) 2012-02-06 2015-03-30 ハイプロテック、 インク. 携行用医療用具プロテ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4256B (zh) 2024-03-12
US20220234047A1 (en) 2022-07-28
WO2020250988A1 (ja) 2020-12-17
EP3984901A4 (en) 2023-05-03
CN113924256A (zh) 2022-01-11
EP3984901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567A (en) Quick release package
EP3768606B1 (en) Packaging container of a contact lens
US5316146A (en) Vial transporter
US3545604A (en) Package
ES2734548T3 (es) Envase para lentes de contacto blandas desechables
US5147042A (en) Holder for medical specimen slide
JPH08295345A (ja) 外科用ねじの包装方法及びその包装パッケージ
US20090139879A1 (en) Opthalmic lens package with a deformable bottom and methods of its use
US11286097B2 (en) Protective packaging structure for compressible materials
KR20220044243A (ko) 의료용 기기
US20050092641A1 (en) Medicine container and packaging therefor
KR101271071B1 (ko) 취약성 파우치를 갖는 안과용 렌즈 패키지 및 그 사용 방법
US10040616B2 (en) Packaging bag
JP7435089B2 (ja) 医療用容器
JP2008526465A (ja) 薬剤容器
JP7279531B2 (ja) 医療用容器
WO2021262021A1 (pt) Embalagem dispensadora flowpack para luvas de uso descartável, método de preparação e dispositivo para acondicionamento e utilização associados
ES2813552T3 (es) Recipiente de reactivo para almacenar un reactivo líquido, aparato para fabricar una parte inferior de un recipiente de reactivo y un método para fabricar una parte inferior de un recipiente de reactivo
JP4327562B2 (ja) 衛生材料用使い捨て容器
US11478405B2 (en) Cell preserving vessel
WO2013140452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KR102309864B1 (ko) 다각형 개봉부를 가진 액상 수용 파우치
GB2558612A (en) A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and / or storage device
US20150008230A1 (en) Container for food
JP2023105939A (ja) 検体容器保管容器、および検体保管キ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