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17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177A
KR20220044177A KR1020220037289A KR20220037289A KR20220044177A KR 20220044177 A KR20220044177 A KR 20220044177A KR 1020220037289 A KR1020220037289 A KR 1020220037289A KR 20220037289 A KR20220037289 A KR 20220037289A KR 20220044177 A KR20220044177 A KR 20220044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ing
display panel
generating device
soun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98B1 (ko
Inventor
최영락
박관호
신현수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177A/ko
Priority to KR1020230078435A priority patent/KR2023009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84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 H04R1/28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the enclosure structure, i.e. strengthening or shape of the enclosur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과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 및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단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것이 제한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개시물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개시물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개시물은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물은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 및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표시 패널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단열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단열 부재 사이에 마련된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후면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후면을 2 이상의 후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1 이상의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2 이상의 후면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2 이상의 후면 영역 각각에 배치된 2 이상의 단열 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마련된 1 이상의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보빈 및 단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단열 부재와 보빈 간의 결합 구조를 결합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후면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방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k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j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물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개시물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물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물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물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개시물의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음향 발생 장치(200), 후면 구조물(300), 접착 부재(400), 및 단열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그 후면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표시 패널(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픽셀 및 각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기판(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포함하는 상부 기판(또는 컬러 필터 어레이 기판), 및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마련되어 각 픽셀의 구동에 따라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픽셀과 각 픽셀을 구동하기 위해 각 픽셀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마련된 유기 발광 소자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그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어 표시 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2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킨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200)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구조물(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 상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20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면 구조물(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커버 버텀(cover bottom)으로 구현되거나,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버텀과 결합되고 표시 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넷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커버 버텀 또는 커버 버텀과 결합된 미들 캐비넷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구조물(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금속 재질,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판상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물에서 후면 구조물(300)은 커버 바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바텀(Plate Bottom), 백 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구조물(300)은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400)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과 후면 구조물(300)을 접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접착 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열 부재(500)는 표시 패널(100)과 음향 발생 장치(200) 사이에 마련되어,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표시 패널(100)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제한한다.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표시 패널(100)과 음향 발생 장치(200)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을 마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표시 패널(100)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500)는 제 1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부재(500)는 제 1 접착 부재와 음향 발생 장치(200)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표시 패널(100)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200)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시 음향 발생 장치(200)의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단열 부재(500)를 포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200)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시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단면도으로서, 도 2a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 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1 구조는 자석 부재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 2 구조는 자석 부재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된다.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제 1 및 제 2 모듈 프레임(210, 210'), 자석 부재(220), 센터 폴(230), 외부 프레임(240), 보빈(250), 코일(260), 및 댐퍼(2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200)는 상기 제 1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듈 프레임(210)은 음향 발생 장치(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베이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 상에 배치된 자석 부재(220) 상에 배치된다. 즉,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자석 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자석 부재(220)를 지지하면서 음향 발생 장치(200)를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듈 프레임(210)은 후면 구조물(300)에 마련된 지지 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자석 부재(220)는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제 2 모듈 프레임(210') 사이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모듈 프레임(210) 및 제 2 모듈 프레임(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프레임은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자석 부재(220)는 제 1 모듈 프레임(210) 상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자석 부재(220)는 그 중앙에 센터 폴(230)이 이격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센터 폴(230)을 이격되게 둘러싼다.
일 예에 따른 자석 부재(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자석 부재(220)의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오디뮴 자석은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상기 센터 폴(23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 상의 중앙에 배치된다. 센터 폴(230)은 센터 폴(230)로부터 최외곽에 배치된 제 2 모듈 프레임(210') 및 자석 부재(22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이고, 센터 폴(230)과 인접한 보빈(250)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인다. 여기서, 보빈(250) 역시 제 2 모듈 프레임(210') 및 자석 부재(22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인다.
센터 폴(230)은 보빈(250)의 상하 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센터 폴(230)은 보빈(250)의 상하 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적정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센터 폴(23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터 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폴(230)은 복수 개로 구현되어, 보빈(250)에 둘러싸이면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240)은 제 2 모듈 프레임(210')의 상단의 외곽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향하여 연장된다. 외부 프레임(240)의 상부는 댐퍼(270)와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프레임(240)은 제 2 모듈 프레임(210')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프레임(240)과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빈(250)은 센터 폴(2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일 예에 따른 보빈(250)은 내부 중앙에 센터 폴(230)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빈(250)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환상(또는 원통)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보빈(250)은 자기력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코일(260)은 보빈(214)의 하측 일정 영역 주위, 예를 들어 보빈(250)의 하측 외부면에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향 발생을 위한 전류(또는 보이스 신호)를 수신한다. 일 예에 따른 코일(260)은 보빈(250)에 권취되어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자석 부재(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기 때문에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60) 전체가 센터 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하 왕복운동하게 된다. 보빈(260)의 상하 왕복운동은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키고, 이로 인한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되어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댐퍼(270)는 외부 프레임(240)의 상부와 보빈(250)의 상부를 연결한다. 댐퍼(270)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댐퍼(270)는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250)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물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보빈(25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과 보빈(250) 사이에 에어 갭(501)을 형성할 수 있다. 단열 부재(500)는 보빈(250)의 중공부에 수용된 센터 폴(230) 상에 마련되는 열 방출 공간(294)을 덮음으로써 열 방출 공간(280)과 표시 패널(100) 사이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열 방출 공간(294)의 열에 의한 표시 패널(100)의 온도 상승을 억제(또는 제한)한다. 즉, 단열 부재(500)는 열 방출 공간(28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에어 갭(501)(또는 밀폐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에어 갭(501)은 보빈(250)의 상하 왕복운동 및 코일(26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열 방출 공간(280)에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100) 쪽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를 최소화하여 표시 패널(10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이러한 단열 부재(500)는 열 방출 공간(28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에어 갭(501)을 마련하여 열 방출 공간(280)으로부터 표시 패널(100)로의 열 전달을 방지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200)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영역에서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표시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제 1 접착 부재(550)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55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단열 부재(500)의 대향면(또는 상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부재(500)는 음향 발생 장치(200)의 보빈(250)과 제 1 접착 부재(550)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501)(또는 밀폐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에어 갭(501)을 통해 열 방출 공간(294)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쪽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도를 최소화하여 표시 패널(10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또한, 보빈(250)이 표시 패널(100)과 매개물 없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개시물은 단열 부재(500)를 통해 음향 발생 장치(200)와 표시 패널(100)의 접착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고, 음향 발생 장치(200)와 표시 패널(100)과의 부착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500)는 보빈(250)을 덮도록 구성되어 보빈(250)을 보호함으로써 음향 출력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진동력 이외에 표시 패널(100)에 가해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이 음향 발생 장치(200)에 가해지는 완충하여 음향 발생 장치(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단열 부재(500)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 부재(55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단열 부재(50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제 1 접착 부재(55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550)가 양면 테이프로 구현되면, 표시 패널(100)과 단열 부재(500) 간의 부착 불량이 발생될 경우에 재작업(rework)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접착 부재(506)가 양면 테이프로 구현되면, 접착 레진 대비 부작 공정이 수월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제 1 및 제 2 모듈 프레임(210, 210'), 자석 부재(220), 센터 폴(230), 외부 프레임(240), 보빈(250), 코일(260), 및 댐퍼(2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200)는 상기 제 2 구조일 수 있다. 제 2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제 1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제 2 모듈 프레임(210'), 자석 부재(220), 및 센터 폴(230)의 위치가 변경되어 구성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1 구조와의 차이점만을 개시하고,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 상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그 중앙에 자석 부재(220) 및 센터 폴(230)이 이격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자석 부재(220) 및 센터 폴(230)을 이격되게 둘러싼다.
상기 자석 부재(220)는 제 1 모듈 프레임(210) 상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 2 모듈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게 둘러싸인다. 또한, 자석 부재(220)는 자석 부재(220)로부터 최외곽에 배치된 제 2 모듈 프레임(21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이고, 자석 부재(220)와 인접한 보빈(250)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인다. 여기서, 보빈(250) 역시 제 2 모듈 프레임(21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인다.
상기 센터 폴(230)은 자석 부재(220)의 상단에 배치되어 보빈(250)을 통해 둘러싸인다. 센터 폴(230)은 센터 폴(230)로부터 최외곽에 배치된 제 2 모듈 프레임(21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이고, 센터 폴(230)과 인접한 보빈(250)에 의해 이중으로 둘러싸인다. 여기서, 보빈(250) 역시 제 2 모듈 프레임(210')에 의해 이격되게 둘러싸인다.
상기 센터 폴(230)은 자석 부재(220)와 함께 보빈(250)의 상하 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자석 부재(220) 및 센터 폴(230)은 보빈(250)의 상하 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적정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2 구조의 자석 부재(220) 및 센터 폴(230)의 합산 높이는 제 1 구조의 센터 폴(230)의 합산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 2 구조는 자석 부재(220)가 센터 폴(230)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제 1 구조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개시물의 예에 의한 음향 발생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의 보빈 및 단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물의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중앙부(510), 측벽부(520), 및 주변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510)는 보빈(250)의 중공부(251)를 덮으면서 표시 패널(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중앙부(510)는 보빈(25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형성되는 열 방출 공간에서의 열이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중앙부(510)은 열 차단 부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중앙부(510)는 보빈(250)의 일단, 즉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되어 보빈(250)의 중공부(251)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중앙부(510)는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표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520)는 중앙부(5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즉, 측벽부(52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중앙부(510)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측벽부(520)와 중앙부(510)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표시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는 중앙부(510)의 상부는 측벽부(520)에 의해 둘러싸인다. 여기서, 측벽부(520)에 의해 둘러싸여 중앙부(510 상에 마련되는 공간은 전술한 에어 갭(251)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측벽부(520)의 높이는 에어 갭(251)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으로, 음향 발생 장치(2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열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측벽부(520)는 음향 발생 장치(200)에 포함된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됨으로써 중앙부(510)를 표시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여기서, 측벽부(520)는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표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빈(250)의 중공부(25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변부(530)는 보빈(250)의 일단, 즉 상면에 결합되어 측벽부(520)를 지지한다. 주변부(530)는 보빈(25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빈(250)의 중공부(251)를 제외한 나머지 보빈(250)의 상면 전체를 덮는다. 즉, 중앙부(530)는 중앙부(510)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환상 형태 또는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520)와 주변부(530)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변부(530)는 제 1 접착 부재(550)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스커트부(531), 및 보빈 삽입홈(5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커트부(531)는 측벽부(520)와 나란하도록 주변부(530)의 후면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때, 스커트부(531)는 보빈 삽입홈(535)를 사이에 두고 측벽부(520)와 나란하게 마련된다. 스커트부(531)의 높이는 측벽부(520)의 높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스커트부(531)의 높이는 측벽부(52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지만, 측벽부(520)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단열 부재(500)와 보빈(250) 간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531)의 높이는 측벽부(520)의 높이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 삽입홈(535)은 보빈(250)의 일단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스커트부(531)와 측벽부(520) 사이에 마련된다. 보빈 삽입홈(535)의 폭은 보빈(250)의 두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보빈 삽입홈(535)의 폭은 서로 나란한 스커트부(531)와 측벽부(520)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것으로, 보빈(250)의 두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사출물 또는 금속의 금형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단열 부재(500)는 고무, 실리콘, 섬유 강화재, 섬유 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향 발생 장치(200)의 구동으로 인한 발열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섬유 강화재는 탄소 섬유 강화재(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유리 섬유 강화재(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및 그라파이트 섬유 강화재(Graphite Fiber Reinforced Plastics) 중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탄소섬유는 열팽창계수가 작아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전도성, 내식성, 진동감쇄성, 및 X선 투과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유리섬유는 가볍고,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가공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은 알루미늄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단열 부재와 보빈 간의 결합 구조를 결합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도 4와 결부하면,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는 제 2 접착 부재(570)를 매개로 하여 보빈(2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 부재(570)는 보빈(250)의 상단(250a)에 결합됨과 아울러 단열 부재(500)에 마련된 주변부(520)의 후면에 결합된다. 즉, 보빈(250)의 상단(250a)에 결합된 제 2 접착 부재(570)는 단열 부재(500)의 보빈 삽입홈(535)에 삽입된 보빈(250)의 상단(250a)과 마주하는 주변부(520)의 후면에 결합된다. 일 예에 따른 제 2 접착 부재(570)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아크릴 레진(acryl resin),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제 2 접착 부재(570)가 양면 테이프일 경우, 매우 얇은 보빈(250)의 두께로 인하여 보빈(250)의 상단(250a)에 제 2 접착 부재(570)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 2 접착 부재(570)와 보빈(250) 간의 결합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접착 부재(570)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또는 아크릴 레진(acryl resi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도 4와 결부하면,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500)와 보빈(250)은 기구 구조물로 이루어진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결합 부재(250h) 및 제 2 결합 부재(23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 부재(250h)는 단열 부재(500)의 측벽부(520)에 의해 둘러싸이는 보빈(250)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결합 홀 각각은 보빈(250)의 폭 방향을 따라 보빈(25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적어도 2개의 결합 홀 각각은 보빈(250)의 폭 방향을 따라 보빈(250)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결합 홀 각각은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부재(231a)는 적어도 2개의 결합 홀 각각과 일대일로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결합 돌기는 단열 부재(500)의 스커트부(531) 또는 측벽부(520)로부터 돌출되어 제 1 결합 부재(250h)의 결합 홀 각각에 삽입된다. 적어도 2개의 결합 돌기는 단턱부와 경사면을 갖는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스커트부(531) 또는 측벽부(5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결합 돌기 각각은 해당하는 결합 홀에 삽입됨으로써 단열 부재(500)를 보빈(25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2 결합 부재(231a)의 결합 돌기에 마련된 단턱부는 제 1 결합 부재(250h)의 결합 홀에 의해 보빈(250)의 진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보빈(250)의 진동에 따라 보빈(250)으로부터 단열 부재(500)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하고, 단열 부재(500)가 보빈(250)의 하부 진동과 함께 하부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 1 결합 부재(250h)는 보빈(250)에 마련된 홀,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결합 부재(231a)는 제 1 결합 부재(250h)와 결합되도록 단열 부재(500)의 스커트부(531) 또는 측벽부(520)에 마련된 돌기, 홈,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는 결합 부재(250h, 231a)를 이용해 단열 부재(500)를 보빈(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단열 부재(50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과 보빈(250)의 교체시 단열 부재(500)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제 1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음향 발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을 위해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센터 폴(230)은 N극으로 자화되고,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S극으로 자화됨으로써 코일(260)의 내부(또는 센터 폴(230)이 배치된 공간)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여기서, 센터 폴(230)은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자석 부재(220)의 하면과 연결됨으로써 N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듈 프레임(210')은 자석 부재(220)의 상면과 연결됨으로써 S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인가 자기장이 코일(260) 주위에 생성되며, 보빈(250)은 인가 자기장 및 외부 자기장으로부터 발생된 힘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인가 자기장이 코일(260) 주위에 형성되고, 외부 자기장이 자석 부재(220)에 의하여 코일(260) 내부에 형성되므로, 보빈(250) 전체가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센터 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단열 부재(500) 및 제 1 접착 부재(506)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전면 방향(FD)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또는 음향)가 발생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빈(250)을 상측으로 진동시키는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또는 반대 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6a에서 설명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표시 패널(100)의 후면 방향(RD)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이러한 보빈(250)의 이동에 따라 표시 패널(100)이 후면 방향(RD)으로 진동하게 되고,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또는 음향)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은 코일(260)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전면 방향(FD)과 후면 방향(RD)으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또는 음향)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FD)으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제 2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음향 발생 방법은 코일(26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코일(260)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자석 부재(220)에 의하여 코일(260) 내부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서 보빈(250) 전체가 센터 폴(2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구조의 음향 발생 장치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후면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 1 구조 또는 제 2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 2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제 1 모듈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된 확경부(2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확경부(214)는 제 1 모듈 프레임(2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 1 모듈 프레임(2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확경부(2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경부(614)는 음향 발생 장치(200')를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장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2)는 홀을 포함할 수 있고, 홀을 관통한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결합된다. 너트(33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음향 발생 장치(200')는 나사(320)에 의하여 후면 구조물(3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너트(330)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로 구현될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는 하나의 형태로서 팸너트(pem nut)를 포함한다.
너트(330)가 팸너트(pem nut)로 구현되면, 음향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330)에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후면 구조물(30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방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단열 부재 사이에 방열 부재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방열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방열 부재(590)는 표시 패널(100)과 단열 부재(500) 사이에 마련되어 단열 부재(50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확산시켜 방열시킨다. 즉, 방열 부재(590)는 음향 발생 장치(200')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로 작용함으로써 열에 의한 표시 패널(100)의 성능 약화를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 장치(200')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열은 단열 부재(50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단열 부재(500)를 통해 표시 패널(100)로 전달되는 열을 넓은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200')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표시 패널(100)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방열 부재(590)는 음향 발생 장치(20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판 형태 또는 원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 부재(590)는 음향 발생 장치(200')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59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로 구현되거나 또는 방열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방열 부재(590)는 복수의 배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기홀은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방열 부재(590)와 표시 패널(100)의 후면 간의 접착(또는 부착)시 접착층 내의 기포 및/또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접착층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 해당하고, 제 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우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중음역대는 200Hz~3kHz에 해당하고,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partition, 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700)은 음향 발생 장치(1600)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공간(space)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7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티션(700)은 표시 패널(100)의 외곽 네 변의 전체 영역에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70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700)은 표시 패널(100)의 진동을 표시 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좌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영역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700)은 좌우 음향을 분리하고,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7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고, 일면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에 의해서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700)은 2개의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음향의 좌우분리가 가능해지므로 음향의 스테레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b는 도 9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파티션(700), 후면 구조물(300), 및 접착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구조물(supporting member; 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와 후면 구조물(300)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400)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과 후면 구조물(300)을 접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접착 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c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파티션(70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파티션(700')은 표시 패널(100) 외곽의 네 변을 따라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파티션(700')은 음향이 표시 패널(100)의 각 측면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음향이 표시 패널(100)의 전면 방향으로만 출력되도록 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400)가 폼 패드로 구현될 경우, 제 2 파티션(7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파티션(700')을 추가로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저음 발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 발생 장치(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음 발생 장치(900)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시 패널(100)의 외곽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르면, 저음 발생 장치(900)는 일반적인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 KHz 이하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는 좌우 구분 없이 하나의 저음 발생 장치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저음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좌우로 분리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예의 저음 발생 장치(900)는 표시 패널(100)과 이격되고,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의 좌측 저음 발생 장치(900)는 좌측 음향 발생 장치(1600)의 하단에 배치되고, 우측 저음 발생 장치(900')는 우측 음향 발생 장치(1600')의 하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및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각각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저음 발생 장치(900, 900')를 구비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예의 표시 패널(100)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L), 제 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우측 영역(R), 제 3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C)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우퍼 스피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고,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 출력이 가능하므로, 표시 장치는 2.1채널 형태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의 면적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되면, 제 1, 제 2, 및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가 동일한 음향출력을 가지더라도,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면적이 커지므로, 표시 장치는 저음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파티션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의 중고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고, 제 3 영역에서의 저음역대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은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사이에 있는 제 1 파티션(1700'), 제 3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있는 제 2 파티션(1700"), 및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있는 제 3 파티션(170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파티션(1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에서의 진동이 제 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파티션(1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에서의 진동이 제 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파티션(1700'), 제 2 파티션(1700"), 및 제 3 파티션(1700)은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와 폭을 가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 재질의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 1 파티션(1700'), 제 2 파티션(1700"), 및 제 3 파티션(170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폼 패드(foam pad)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구조물(supporting member; 3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 1600")와 후면 구조물(300)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본 예의 표시 패널(100)은 중고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음향 출력 특성을 거의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면적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면적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제 2 영역에 배치되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제 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더라도, 표시 장치는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파티션(170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파티션(170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 3 파티션(1700)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도 11d를 참조하면,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인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한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우측 영역인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인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한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 영역에 대응되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에서 동일한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압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티션(170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파티션(170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 3 파티션(1700)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도 11e를 참조하면,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다.
도 11e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인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표시 패널(100)의 우측 영역인 제 2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인 제 3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균일한 음향 출력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음압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티션(170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파티션(170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 3 파티션(1700)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e에서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는 후술되는 도 17 및 도 18에서 설명하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각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k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k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파티션(1700', 17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분리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영역에서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노 음향구현 시에는 표시 패널의 좌우영역이 동일한 진동특성을 가지므로,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 현상 또는 간섭 현상이 극대화되어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영역인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2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은 이중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3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현될 경우, 좌우영역에서의 음향간섭이 심해지더라도 음압감소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 출력 특성이 불연속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영역인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우측 영역인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로 구성하고, 중앙영역인 제 3 영역에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서의 중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인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중앙영역에 2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인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중앙영역에 2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한 쌍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한 쌍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경우,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인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중앙영역에 2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 진행파가 파티션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파티션에서 반사되어 진행파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정재파(standing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 출력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파티션에 벤트부(bent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벤트부는 음향 발생 장치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d 내지 도 12k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d 내지 도 12k는 2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파티션으로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벤트부를 더 구성한 것이다.
도 12d 및 도 12e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인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벤트부(712)는 제 3 파티션(17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가장 강한 음파가 도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하고,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4개의 변을 가지며, 4개의 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변(first-side)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을 둘러싸는 4개의 변 중에서 상하의 2개의 변은 표시 패널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벤트부를 구성한다. 벤트부(712)는 2개의 직선부로 구성되며, 2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벤트부(7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벤트부(712)의 경사각(θ)은 정재파 억제의 필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10도 내지 30도로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출력영역이 저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 발생 장치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음향출력영역이 고음역대를 위한 경우이거나 음향 발생 장치의 출력이 작은 경우에는 벤트부(712)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벤트부(712)의 경사각은 제 3 파티션(1700)의 한 변이 표시 패널(100)의 수평방향(또는 가로방향)과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 또는 가로방향은 표시 장치의 긴 변의 방향에 해당하며, 수직방향 또는 세로방향은 표시 장치의 짧은 변의 방향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는 벤트되어 있는 형태로 제 3 파티션(170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벤트 형태는 표시 패널(100)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파티션(1700') 및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파티션(1700)의 벤트부(713)는 직선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e를 참조하면, 벤트부(712) 및 돌출부(protrusion portion, 722)를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하고,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22)가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722)는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722)는 제 3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722)는 음향 발생 장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e에서는 돌출부(722)가 표시 패널(100)의 4개의 변 중에서 제 1 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 2 변(second-side) 중 하나의 변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d 및 도 12e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2f 및 도 12g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 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하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밀봉된 구조에 비하여 제 3 파티션을 형성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및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음향특성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12f 및 도 12g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및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그리고, 벤트부(712)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방향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700)은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하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g는 돌출부(722)를 더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돌출부(722)에 대한 설명은 도 12e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2h 및 도 12i는 돌출부(722) 및 제 2 돌출부(723)가 표시 패널(100)의 4개의 변 중에서 제 1 변(first-side)과 수직하는 제 2 변(second-side)의 각각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 2 돌출부(723)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된 돌출부(722) 및 제 2 돌출부(723)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722) 및 제 2 돌출부(723)를 구성함으로써,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2h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2i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파티션(1700)에 대한 설명은 도 12d 내지 도 12g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2j 및 도 12k는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의 간격이 도 12a 내지 도 12i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보다 저음역대의 음향특성은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k는 돌출부(722)를 더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돌출부(722)에 대한 설명은 도 12e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2j 및 도 12k에서, 도 12d 내지 도 12i의 음향 발생 장치 및 파티션의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d 내지 도 12k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도 1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d 내지 도 12k에서,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d 내지 도 12k에서,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a 내지 도 12k에서 표시 패널(100)의 세 개의 영역을 가지며,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제 3 영역에는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의 면적이 제 1 영역의 면적 및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저음역대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고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음향 출력 특성을 거의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영역의 면적, 제 2 영역의 면적, 및 제 3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음역대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1 영역의 면적 및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제 3 영역의 면적을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j 및 도 12k에서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이 나,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a 내지 도 12k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테레오 음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벤트부를 구성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점선은 도 12a의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은 도 12d의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벤트부를 구성한 경우가 벤트부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저음역대인 약 200Hz 이하에서의 음향 출력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점선은 도 12a의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은 도 12e의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한 경우가 벤트부 및 돌출부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체 음역대에서의 주파수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음향 출력 특성은 음향분석장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음향분석장비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카드, 그리고 사운드카드로부터 발생한 소리를신호를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에 증폭전달하는 앰프(amplifier), 표시 패널에서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제어용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음향 발생 장치(1600, 1600')의 음향을 분석하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5c 및 도 15d는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d는 제 3 파티션(1700)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배치된 제 3 파티션(1700)의 벤트부(713)는 직선 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a 및 도 15c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b 및 도 15d는 음향 발생 장치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및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되며, 벤트부(712)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e, 도 12g, 및 도 12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h 및 도 12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 제 2 파티션(1700"), 및 제 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5c 및 도 15d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인 제 1 영역에는 한 쌍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인 제 2 영역에는 한 쌍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및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이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서브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파티션(17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벤트부(712)는 한 쌍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중앙 및 한 쌍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e, 도 12g, 및 도 12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h 및 도 12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 제 2 파티션(1700"), 및 제 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6c 및 도 16d는 표시 패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16d는 제 3 파티션(7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파티션(17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벤트부(712)는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있는 벤트 형태는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파티션(1700')과 제 2 파티션(1700') 사이에 배치된 제 3 파티션(1700)의 벤트부(713)는 직선 형태,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a 및 도 16c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b 및 도 16d는 음향 발생 장치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b 및 도 16d는 음향 발생 장치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 영역 또는 제 2 영역인 우측 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도 12e, 도 12g, 및 도 12k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3 파티션(1700)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도 12h 및 도 12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파티션(1700'), 제 2 파티션(1700"), 및 제 3 파티션(1700) 각각의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a 내지 도 17j는 본 개시물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발생 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j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 제 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 및 제 3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우퍼스피커일 수 있으며 저음 출력이 가능하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는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하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출력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표시 패널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의 경우보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는 음질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파티션(1400')은 제 1 영역에서의 표시 패널(100)의 진동이 제 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파티션(1400")은 제 2 영역에서의 표시 패널(100)의 진동이 제 3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제 2 영역인 표시 패널(100)의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는 변과 수직인 변에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벤트되는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22)가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22)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인 저음역대에서의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7a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 및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은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모듈은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은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고,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b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영역에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있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사이 및 제 2 영역에 있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사이 각각에는 제 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및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및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서로 인접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c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b 및 도 17c에서,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7d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서로 인접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e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을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있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사이 및 제 2 영역에 있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사이 각각에는 제 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및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및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서로 인접한 2개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d 및 도 17e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d 및 도 17e에서,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 1600'-2) 중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7f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로 이루어진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g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로 이루어진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로 이루어진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있는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와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 사이 및 제 2 영역에 있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 사이 각각에는 제 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 및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의 중앙 및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f 및 도 17g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f 및 도 17g에서,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 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900')인 제 3 서브 음향 발생 모듈(1600')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4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7h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한 쌍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로 이루어진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한 쌍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로 이루어진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있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 사이 및 제 2 영역에 있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 사이에는 제 4 파티션(1430)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및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영역의 제 4 파티션(1430)은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및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2)에서 발생시키는 고음역대의 음향과 중음역대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음향 출력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h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h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의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 중 제 1-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1-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영역의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 1800'-2) 중 제 2-1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1)은 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 2-2 서브 음향 발생 모듈(1800'-2)은 중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윗쪽이 아랫쪽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보다 더 높은 고음역대의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7i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i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8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도 17j를 참조하면,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는 중고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 3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는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1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와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사이에는 제 2 파티션(14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파티션(140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파티션(14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에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800)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 1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는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 2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영역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인 한 쌍의 음향 발생 장치의 중앙을 향하도록 벤트된 제 3 벤트부(14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영역의 좌우측의 변, 즉 제 1 파티션(1400') 및 제 2 파티션(1400") 각각에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18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7i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1 영역인 좌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가 표시 패널(100)의 제 2 영역인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하나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고, 제 1 음향 발생 장치(1600)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1600')의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7a 내지 도 17j 각각에 대한 설명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 3 파티션(1400)의 제 1 벤트부(1412), 제 2 벤트부(1412'), 및 제 3 벤트부(1412") 각각이 밀봉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3 파티션(1400)의 제 1 벤트부(1412), 제 2 벤트부(1412'), 및 제 3 벤트부(1412")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 예에 따른 표시 장치 각각에서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시 표시 패널의 전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Sample 1 Sample 2
Tpanel 65℃ 57℃
위의 표 1은 10W의 음향 출력 조건 하에서 음향 발생 장치를 1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표시 패널의 전면 온도(Tpanel)를 측정한 것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 예에 따른 표시 장치(Sample 1)에서, 표시 패널의 전면 온도는 대략 65℃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면 온도는 대략 57℃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물은 단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표시 패널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거나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음향 발생 장치와 중첩되는 표시 패널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시 패널의 화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 및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표시 패널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단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는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며, 단열 부재는 제 1 접착 부재와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는 후면 구조물에 고정된 모듈 프레임, 중공부를 가지며 단열 부재와 결합된 보빈,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되거나 보빈을 둘러싸는 자석 부재, 보빈에 감겨진 코일, 보빈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센터 폴, 및 모듈 프레임과 보빈 간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는 제 1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의 후면과 결합되고, 보빈의 중앙부와 제 1 접착 부재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단열 부재는 고무, 실리콘, 섬유 강화재, 섬유 강화재를 함유한 복합 수지, 및 금속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단열 부재 사이에 마련된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후면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후면을 2 이상의 후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1 이상의 파티션을 더 포함하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2 이상의 후면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2 이상의 후면 영역 각각에 배치된 2 이상의 단열 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마련된 1 이상의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이격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음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중앙 영역과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가지며, 파티션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좌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1 파티션,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우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2 파티션, 및 표시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 3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3 파티션은 4개의 변, 및 상기 4개의 변 중 1 이상의 제 1 변에 마련된 벤트부를 포함하고, 벤트부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3 파티션은 제 1 변과 수직한 제 2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마련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시 패널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 각각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은 좌측 영역 및 상기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모듈은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은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2개의 서브 음향 발생 모듈 각각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물의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물은 반드시 이러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물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에 의하여 본 개시물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물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물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음향 발생 장치
210: 모듈 프레임 220: 자석 부재
230: 센터 폴 240: 외부 프레임
250: 보빈 260: 코일
270: 댐퍼 300: 후면 구조물
400: 접착 부재 500: 단열 부재
550: 제 1 접착 부재 570: 제 2 접착 부재
590: 방열 부재 700: 파티션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며, 중앙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상기 후면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는 방열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좌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1 파티션;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우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2 파티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 3 파티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와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상기 표시 패널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 부재와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하는,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후면 구조물에 고정된 모듈 프레임;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단열 부재와 결합된 보빈;
    상기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보빈을 둘러싸는 자석 부재;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상기 보빈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센터 폴; 및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보빈 간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보빈의 중공부를 덮으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측벽부; 및
    상기 보빈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보빈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의 중앙부는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는,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제 1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과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 1 접착 부재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하는, 표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마련된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단열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결합된 제 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부재는 상기 보빈에 마련된 홀,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 부재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단열 부재에 마련된 돌기, 홈, 또는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고무, 실리콘, 섬유 강화재, 섬유 강화재를 함유한 복합 수지, 및 금속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표시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을 2 이상의 후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2 이상의 후면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1 이상 마련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음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티션은 4개의 변 및 상기 4개의 변 중 1 이상의 제 1 변에 마련된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티션은 상기 제 1 변과 수직한 제 2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마련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중양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에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된 상기 음향 발생 장치 각각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며,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상기 후면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상기 표시 패널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단열 부재; 및
    표시 패널과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을 2 이상의 후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중앙 영역,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좌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1 파티션;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과 우측 영역을 분할하는 제 2 파티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 3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파티션은 4개의 변, 및 상기 4개의 변 중 1 이상의 제 1 변에 마련된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부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방향으로 벤트된,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037289A 2017-05-29 2022-03-25 표시 장치 KR10254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289A KR102546798B1 (ko) 2017-05-29 2022-03-25 표시 장치
KR1020230078435A KR20230093225A (ko) 2017-05-29 2023-06-19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47A KR102380627B1 (ko) 2017-05-29 2017-05-29 표시 장치
KR1020220037289A KR102546798B1 (ko) 2017-05-29 2022-03-25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47A Division KR102380627B1 (ko) 2017-05-29 2017-05-29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435A Division KR20230093225A (ko) 2017-05-29 2023-06-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177A true KR20220044177A (ko) 2022-04-06
KR102546798B1 KR102546798B1 (ko) 2023-06-22

Family

ID=644003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47A KR102380627B1 (ko) 2017-05-29 2017-05-29 표시 장치
KR1020220037289A KR102546798B1 (ko) 2017-05-29 2022-03-25 표시 장치
KR1020230078435A KR20230093225A (ko) 2017-05-29 2023-06-19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47A KR102380627B1 (ko) 2017-05-29 2017-05-29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435A KR20230093225A (ko) 2017-05-29 2023-06-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31171B2 (ko)
KR (3) KR102380627B1 (ko)
CN (2) CN108933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60B1 (ko)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50501B1 (ko) 2018-12-31 2024-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652088B1 (ko) * 2019-01-17 202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98776B (zh) * 2019-02-01 2020-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升降式顯示器的電子裝置
US10805714B2 (en) * 2019-02-28 2020-10-13 Google Llc Actuators having compliant member and panel audio loudspeakers including the actuators
TW202333021A (zh) * 2019-02-28 2023-08-16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
JPWO2021020158A1 (ko) * 2019-07-31 2021-02-04
EP3836559A1 (de) * 2019-12-09 2021-06-16 Theis, Liliya Flächenlautsprecher
KR20220002008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4114819B (zh) * 2020-09-01 2024-05-24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投影屏幕及激光投影系统
KR102642412B1 (ko) * 2021-07-07 2024-03-05 부전전자 주식회사 패널 온도 저감 구조를 구비한 익사이터
KR20230111999A (ko) * 2022-01-19 202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79080A1 (zh) * 2022-03-21 2023-09-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487B1 (en) * 1996-09-03 2003-09-09 New Transducers Limited Electro-dynamic exciter
KR20060035319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01983D0 (en) * 1997-01-31 1997-03-19 New Transducers Ltd Electro-dynamic exciter
JP3892159B2 (ja) * 1998-10-14 2007-03-14 株式会社オーセンティック パネル型スピーカ
CN1219413C (zh) * 2001-12-21 2005-09-14 深圳市威福玛实业有限公司 光显示扬声器
US20040038722A1 (en) * 2002-08-22 2004-02-26 Michael Gauselmann Gaming machine having a distributed mode acoustic radiator
TWI221747B (en) * 2003-05-19 2004-10-01 Tai-Yan Kam Piston-form flat loudspeaker and its acoustic panel
JP2007043412A (ja) * 2005-08-02 2007-02-15 Teijin Fibers Ltd スピーカー機能を有するスクリーン
KR20080031337A (ko) * 2005-08-02 2008-04-08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일체형 스피커
JP4437106B2 (ja) * 2005-08-03 2010-03-24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平面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291976A1 (en) * 2006-06-06 2007-12-20 Citizen Electronics Co., Ltd. Electrodynamic exciter
KR2008006369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CN201114231Y (zh) * 2007-07-02 2008-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用户敏感面温升的移动终端
WO2014034250A1 (ja) 2012-08-30 2014-03-06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828393B (zh) * 2012-09-21 2016-09-14 京瓷株式会社 声音产生器、声音产生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102791B1 (ko) * 2013-02-27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175948B1 (ko) * 2013-06-05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3455794U (zh) * 2013-08-07 2014-02-26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TWM490026U (en) * 2014-07-18 2014-11-11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CN205158206U (zh) * 2015-11-02 2016-04-13 李崇 兼具音响功能的显示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487B1 (en) * 1996-09-03 2003-09-09 New Transducers Limited Electro-dynamic exciter
KR20060035319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1894A (zh) 2020-09-25
CN111711894B (zh) 2021-11-23
US20180343512A1 (en) 2018-11-29
CN108933981A (zh) 2018-12-04
US10841678B2 (en) 2020-11-17
KR20180130352A (ko) 2018-12-07
US20200100008A1 (en) 2020-03-26
US10531171B2 (en) 2020-01-07
KR102546798B1 (ko) 2023-06-22
KR102380627B1 (ko) 2022-03-29
CN108933981B (zh) 2020-07-24
KR20230093225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27B1 (ko) 표시 장치
KR102441980B1 (ko) 표시 장치
KR102259805B1 (ko) 표시 장치
KR102266208B1 (ko) 표시 장치
CN107561753B (zh)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KR102481196B1 (ko) 표시장치
KR102663867B1 (ko) 표시 장치
US10986430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59531B1 (ko) 표시장치
KR102548686B1 (ko) 표시장치
KR102449465B1 (ko) 세트장치
KR102455559B1 (ko) 표시장치
KR20210085207A (ko) 표시장치
KR20210085206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