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722A - 폐어망 파쇄기 - Google Patents

폐어망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722A
KR20220043722A KR1020200127450A KR20200127450A KR20220043722A KR 20220043722 A KR20220043722 A KR 20220043722A KR 1020200127450 A KR1020200127450 A KR 1020200127450A KR 20200127450 A KR20200127450 A KR 20200127450A KR 20220043722 A KR20220043722 A KR 2022004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waste fishing
blade
shredd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981B1 (ko
Inventor
김민욱
한택희
김성원
홍혜민
박준길
박상민
최성익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2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어망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폐어망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폐어망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쇄된 상기 폐어망을 채집하는 채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어망 파쇄기 {A WASTE FISHING NET CRUSHER}
본 발명은 폐어망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폐어망을 블레이드 사이의 끼임 현상 없이 적정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어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해양에는 공장 및 도시 등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와 하천을 따라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 등으로 인해 심각한 해양 오염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연안 양식어장이 증가하면서 어망 또는 그물과 같은 해양 폐어망 역시 해양 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이들을 수거 및 처리하는 데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소비되고 있다.
즉, 주로 PE(폴리에틸렌) 및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폐어망은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과거에는 이들 폐어망을 수거하여 소각 또는 매립 처리하였으나 폐어망 소각 시 다이옥신 등과 같은 심각한 대기오염 물질들이 다량 발생하여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 요인이 되고있다.
또한, 상기 어망은 나일론, PP, PE 등과 같은 자연 분해가 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분해 작업 없이 폐기될 경우에는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지구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망은 얇은 로프가 연속적으로 매듭지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에 비해 무게가 덜 나갈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원양 참치 조업에서 사용되는 어망의 경우 한 세트 길이가 2km, 폭이 약 80m 정도에 이르며 무게는 약 60톤에 육박하는 거대한 양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대량의 폐어망을 땅에 그대로 매립시킬 경우, 재질의 특성상 수십년간 썩지 않아 식물 생장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폐어망의 처리과정에서도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재생 자원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폐어망은 다양한 분야에서 재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진용 보강 재료로 사용되어 구조물의 성능을 개선시킴으로써 항만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자원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이 때, 폐어망은 항만 구조물의 보강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구조물의 충진을 위한 적정 크기로 절단하는 파쇄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폐어망은 PE(폴리에틸렌) 및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파쇄기 사용시 회전하는 블레이드나 디스크 사이에 폐어망 조각들이 끼게 되고 이에 따른 파쇄기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어 폐어망의 절단 또는 파쇄 과정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407호는 폐그물의 재활용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폐그물을 건식법(:전체공정도;미세절단->Beat&Card->Step->Separater Process)에 의해 폐그물에 부착된 오염원인 이물질만 폐그물의 주성분인 합성수지와 완전 분리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02011-0100407호는 폐그물을 재활용하기 전단계 공정들의 단계별 순서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폐그물의 절단 공정에서 파쇄기의 오작동 없이 파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파쇄기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이에 따른 세부적인 내용들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는 재활용을 위한 폐어망을 끼임이나 막힘의 오작동 없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크기의 단위들로 파쇄 또는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파쇄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1-0100407호 (공개 일자 2011년 09월 1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동축에 고정된 디스크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져 굴곡지도록 구성된 V자형의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주기적으로 교차되는 고정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고정블레이드 교차시 폐어망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량의 폐어망을 재활용이 가능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파쇄 과정 중 블레이드나 디스크 사이 폐어망 끼임 현상 없이 효율적인 파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폐어망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폐어망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쇄된 상기 폐어망을 채집하는 채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파쇄부가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다수개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블레이드; 및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주기적인 교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축과 이격된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파쇄부가 상기 블레이드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폐어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파쇄부가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을 수동 제어하는 수동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파쇄부가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창은 상기 확인창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채집부가 기설정된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 및 상기 채집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어 파쇄된 폐어망을 수용하는 수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채집스크린이 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곡면 안측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호퍼가 하방으로 경사진 투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는 상기 파쇄부가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에 의하면, 회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디스크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및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V자형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합성 재질로 구성된 다량의 폐어망을 재활용이 가능한 적정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를 V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절곡부 안측으로 폐어망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폐어망 파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 내측으로 수용된 폐어망에 작용하는 블레이드의 전단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된 폐어망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주기적인 교차가 이루어지는 고정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교차시 두 블레이드의 전단력이 상기 페어망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폐어망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극대화시켜 폐어망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쇄부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작동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구성된 확인창을 구비함으로써, 파쇄 과정 중 폐어망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동제어기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회동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쇄기의 작동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에 개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파쇄되고 있는 폐어망의 뭉침이나 걸림 현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쇄부 하단에 일정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를 구비함으로써, 기설정된 적정 크기로 폐어망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곡면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채집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어망을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디스크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폐어망의 파쇄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되는 폐어망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채집부 하단에 이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쇄기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파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수동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채집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채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회전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 파쇄부(200), 채집부(300) 및 이동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100)는 폐어망이 투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퍼(100)는 상기 파쇄기(1)의 상단에 구비되어 파쇄부(200)로 폐어망을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다각형상을 갖고 개방된 하단으로 상기 파쇄부(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100)는 하방으로 경사진 투입가이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가이드(110)는 투입된 폐어망이 별도의 외력 없이 폐어망의 하중만으로도 파쇄부(200) 내부로 흘러 내려 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둘레의 길이가 하단 둘레의 길이 보다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100)는 페어망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마찰력이 작은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상기 호퍼(100)의 재질은 특정 재질로 제한하지 않고 공지의 재질들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파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0)와 연결되어 상기 폐어망을 파쇄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부(200)는 상측에 상기 호퍼(100)와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채집부(3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호퍼(100)에 유입된 폐어망을 절단 또는 파쇄하여 파쇄를 마친 폐어망을 상기 채집부(30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쇄부(200)는 회동축(210), 디스크(220), 블레이드(230), 지지대(240), 수동제어기(250), 확인창(260) 및 회전모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10)은 다수개의 상기 디스크(220) 및 후술할 회전블레이드(231)가 고정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축으로, 일측에 상기 회전모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270)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210)은 상기 파쇄부(200)의 상단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호퍼(100)의 개방된 하단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210)은 상기 디스크(220) 및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투입된 폐어망을 파쇄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210)은 상기 파쇄부(200)의 외장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의 길이와 유사하거나 소정으로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210)은 상기 회전모터(27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나, 상기 수동제어기(250)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크(220)는 상기 디스크(220)의 중심부 일측이 상기 회동축(210)과 이음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220)와 직립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220)는 상기 디스크(220)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상기 회동축(21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디스크(220)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 블레이드(230)는 상기 디스크(220)의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230)는 투입된 폐어망을 절단 또는 파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블레이드(231) 및 고정블레이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상기 디스크(2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상기 디스크(220)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220)와 함께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회전 중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와 일측 모서리가 주기적으로 교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와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의 교차시 상기 폐어망은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와 고정블레이드(232)의 전단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절단되거나 파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일단이 다수개의 디스크(220)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되는 타단 측 모서리는 폐어망을 파쇄하는 칼날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회전하는 디스크(220)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회전 동선 중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와 교차하는 부분에서 투입된 폐어망을 상기 칼날에 의해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칼이나 가위의 전단력과 유사한 원리로 상기 폐어망에 절단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파쇄가 어려웠던 페어망을 용이하게 파쇄하거나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는 동선의 움직임에서는 상기 채집부(300)로 이송되지 않은 폐어망들을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기설정된 길이 또는 크기로 파쇄되지 않은 폐어망을 가이드하여 상기 폐어망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폐어망이 파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는 폐어망의 전단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중심부에 절곡부(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중심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V자형을 갖도록 소정으로 절곡되는 구성으로, 절곡으로 인해 페어망에 작용하는 회전블레이드(231)의 전단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폐어망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준다.
이에,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중심부 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전단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231a)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폐어망을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폐어망의 수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여 상기 폐어망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준다.
또한, 상기 절곡부(23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상기 절곡부(231a)의 형상은 상기 V자형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형상 즉, 일정한 각도로 굽어지는 U자형이나 오목한 굴곡을 갖는 다른 공지의 형상들을 제한 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레이드(232)는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와 주기적인 교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축(210)과 이격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블레이드(232)는 상기 회동축(210)과 평행하도록 이격된 일측에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판 형상으로, 회전이나 이동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레이드(232)는 회동축(210)과 인접한 모서리가 회전블레이드(231)의 모서리와 주기적으로 교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블레이드(232)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와 교차 시 폐어망을 파쇄하거나 절단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와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의 전단력이 합쳐져서 폐어망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된 다량의 폐어망을 재활용이 가능한 적정 크기로 절단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와 상기 회전블레이드(231)가 교차되어 상기 폐어망을 절단하는 원리는 가위를 이용한 절단과 유사한 원리로 상기 폐어망에 절단력을 작용하도록 하여 종래의 파쇄기로는 절단이 어려웠던 폐어망의 파쇄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레이드(232)는 대응되는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파쇄기(1)의 크기 및 규모에 따라 다양한 갯수로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블레이드(230)와 이웃하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투입된 폐어망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고정블레이드(232)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투입된 폐어망을 거치시키거나 지지하도록 하는 일정 폭을 갖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회전 동선의 양측에 한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수동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동제어기(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30)의 작동을 수동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동제어기(250)는 상기 하우징 외주면에 노출되며 상기 회동축(210)과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축(210)의 회전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제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제어기(250)는 상기 확인창(260)으로 블레이드(230) 및 폐어망의 상태를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블레이드(231)의 수동 조작이 필요할 경우 예를들면, 폐어망의 뭉침 또는 끼임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기 회전블레이드(231)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제어기(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용 핸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수동제어기(250)의 구성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회동축(210)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다른 공지의 장치로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창(260)은 상기 블레이드(230)의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창(260)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30)의 파쇄 작동을 외부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확인창(26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부재(2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261)의 개방을 통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26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확인창(260)은 개방된 확인창(260)으로 상기 블레이드(230)가 투시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및 위치에 설이됨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230)의 작동이 확인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1)는 상기 확인창(260)을 사용자가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작동중인 블레이드(230)에 사용자의 관리가 필요할 경우 상기 확인창(260)을 개방하여 블레이드(230) 및 폐어망을 투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창(260)을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된 걸기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확인창(260)이 상기 걸기부(미도시)에 걸려져 고정되거나 걸기부(미도시)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6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확인창(260)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확인창(260)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61)는 폐어망의 뭉침이나 걸림 현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230)의 교체 또는 청소 등과 같은 블레이드(230) 및 내부 구성들의 관리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61)는 확인창(260)을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공지의 부재들을 제한 없이 적용실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회전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모터(2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1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모터(270)는 상기 회동축(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21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무거운 하중을 갖는 폐어망의 파쇄가 가능할 정도의 회전 동력을 상기 회동축(210)에 제공할 수 있는 공지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채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채집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쇄된 상기 폐어망을 채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집부(300)는 파쇄된 폐어망을 기설정된 적정 크기로 파쇄되었는지를 선별하고 적정 크기로 파쇄된 폐어망을 수집하여 보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부(2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집부(300)는 채집스크린(310) 및 수용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의 채집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채집스크린(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매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310)은 일정한 각도록 굽어진 곡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곡면 안측으로 상기 블레이드(230)의 회전 동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집스크린(310)은 파쇄가 완료된 폐어망과 적정 크기로 파쇄가 완료되지 않은 폐어망을 분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설정된 적정 크기로 파쇄가 완료된 폐어망을 매쉬의 통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수용관(3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310)은 상기 블레이드(230)의 회전 동선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채집스크린(310)을 통과하지 않고 걸러진 폐어망을 상기 블레이드(230)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회동축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31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착이 가능한 탈착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매쉬의 크기가 다양한 채집스크린(31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폐어망을 다양한 크기 및 길이로 분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채집스크린(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파쇄된 폐어망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파쇄기(1)의 하단에 구비되어 파쇄가 완료된 폐어망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집된 폐어망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랍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관(320)은 일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폐어망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관(320)은 내부의 폐어망을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는 다른 공지의 구성들을 다양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1)는 하단면에 상기 파쇄기의 이동을 위한 이동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기(1) 하단면에 다수개의 바퀴를 장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파쇄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공지의 것을 제한 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파쇄기에 의하면, 회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디스크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및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V자형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합성 재질로 구성된 다량의 폐어망을 재활용이 가능한 적정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를 V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절곡부 안측으로 폐어망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폐어망 파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 내측으로 수용된 폐어망에 작용하는 블레이드의 전단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된 폐어망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주기적인 교차가 이루어지는 고정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교차시 두 블레이드의 전단력이 상기 페어망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폐어망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극대화시켜 폐어망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쇄부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블레이드의 작동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구성된 확인창을 구비함으로써, 파쇄 과정 중 폐어망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동제어기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동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회동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쇄기의 작동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에 개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파쇄되고 있는 폐어망의 뭉침이나 걸림 현상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쇄부 하단에 일정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를 구비함으로써, 기설정된 적정 크기로 폐어망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곡면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채집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어망을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디스크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폐어망의 파쇄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집스크린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되는 폐어망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채집부 하단에 이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쇄기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폐어망 파쇄기 100 : 호퍼
110 : 투입가이드 200 : 파쇄부
210 : 회동축 220 : 디스크
230 : 블레이드 231 : 회전블레이드
231a : 절곡부 232 : 고정블레이드
240 : 지지대 250 : 수동제어기
260 : 확인창 261 : 개폐부재
270 : 회전모터 300 : 채집부
310 : 채집스크린 320 : 수용관
400 : 이동부재

Claims (11)

  1. 폐어망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폐어망을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쇄된 상기 폐어망을 채집하는 채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다수개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블레이드; 및
    회전하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와 주기적인 교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축과 이격된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는,
    양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된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블레이드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투입된 폐어망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을 수동 제어하는 수동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창은,
    상기 확인창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기설정된 크기의 매쉬를 갖는 채집스크린; 및
    상기 채집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어 파쇄된 폐어망을 수용하는 수용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스크린은,
    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곡면 안측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동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하방으로 경사진 투입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파쇄기.
KR1020200127450A 2020-09-29 2020-09-29 폐어망 파쇄기 KR10248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50A KR102480981B1 (ko) 2020-09-29 2020-09-29 폐어망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50A KR102480981B1 (ko) 2020-09-29 2020-09-29 폐어망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722A true KR20220043722A (ko) 2022-04-05
KR102480981B1 KR102480981B1 (ko) 2022-12-23

Family

ID=8118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450A KR102480981B1 (ko) 2020-09-29 2020-09-29 폐어망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9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176A (ja) * 1997-02-18 1998-09-02 Komatsu Zenoah Co 廃材粉砕装置
KR20000058861A (ko) * 2000-07-03 2000-10-05 권형철 합성수지용기의 분쇄장치
KR100841016B1 (ko) * 2007-03-29 2008-06-24 주식회사 경일기계 회전 절단기
KR20110100407A (ko) 2010-03-04 2011-09-14 한아통상주식회사 폐그물등의 재활용 처리기술
JP2015223527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テクノミズホ 廃土選別処理装置
JP2017209668A (ja) * 2016-05-20 2017-11-30 日本シーム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類の粗破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176A (ja) * 1997-02-18 1998-09-02 Komatsu Zenoah Co 廃材粉砕装置
KR20000058861A (ko) * 2000-07-03 2000-10-05 권형철 합성수지용기의 분쇄장치
KR100841016B1 (ko) * 2007-03-29 2008-06-24 주식회사 경일기계 회전 절단기
KR20110100407A (ko) 2010-03-04 2011-09-14 한아통상주식회사 폐그물등의 재활용 처리기술
JP2015223527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テクノミズホ 廃土選別処理装置
JP2017209668A (ja) * 2016-05-20 2017-11-30 日本シーム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類の粗破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981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CN110975754A (zh) 一种农作物废料粉碎制粒设备
JP2011230077A (ja) 一軸破砕機及びニ軸破砕機
CN103418601A (zh) 餐厨垃圾分拣、破碎、筛选的一体化设备
CN103846274A (zh) 一种生活垃圾破袋分选一体机
KR20220043722A (ko) 폐어망 파쇄기
CN109794495B (zh) 一种生活垃圾自动分选装置
CN210357441U (zh) 一种垃圾水自动分离处理的垃圾回收装置
KR101387427B1 (ko) 냉각용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20120019962A (ko) 이물질 파쇄 선별기
CN2776547Y (zh) 垃圾破碎机的破碎机构
CN2776548Y (zh) 一种垃圾破碎机的破碎机构
CN111229370B (zh) 一种生活垃圾处理用破碎回收装置
KR2022011115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CN203764636U (zh) 一种生活垃圾破袋分选一体机
CN214717195U (zh) 一种食用菌废旧菌包处理装置
CN110090707A (zh) 碎纸机的碎纸片推动构造
CN203664333U (zh) 餐厨垃圾分拣、破碎、筛选的一体化设备
KR20130069911A (ko) 폐음식물용 파쇄기
CN212216560U (zh) 一种循环农业废弃物处理装置
CN112124993B (zh) 一种自动化分料装置
CN212596299U (zh) 一种用于园林垃圾回收装置
CN210410955U (zh) 一种餐余垃圾滚筛破碎分离装置
CN211464261U (zh) 一种餐厨垃圾资源化回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