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533A -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533A
KR20220043533A KR1020200127047A KR20200127047A KR20220043533A KR 20220043533 A KR20220043533 A KR 20220043533A KR 1020200127047 A KR1020200127047 A KR 1020200127047A KR 20200127047 A KR20200127047 A KR 20200127047A KR 20220043533 A KR20220043533 A KR 20220043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tructure
support wood
siding
dry
dry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652B1 (ko
Inventor
정판열
Original Assignee
정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판열 filed Critical 정판열
Priority to KR102020012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A)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에 지지목재(300)를 배치하는 단계, (B) 고정부재(400)의 말단이 드라이비트 구조(200)로부터 노출되도록,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100)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단계, (C) 지지목재(300)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지지목재(300)에 체결부재(500)를 배치하는 단계, (D)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는 단계, 및 (E) 지지목재(300)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600)가 배치되도록, 사이딩 부재(600)를 지지목재(30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Method for construction of siding for dryvit structure or bricks wall}
본 발명은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부 단열 공법으로 드라이비트(Dryvit)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단열 공법은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끼우는 방식이지만, 이 경우 복잡한 공정으로 시공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건축비 상승 요인이 되며 공사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드라이비트 공법은 건물의 외벽에 직접 접착제를 바르고 단열재를 접착한 뒤 그 위에 마감재를 도포해 보호막을 생성하는 개념으로서, 기존의 단열 시공에 비해 건축비가 크게 절감되고,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드리이비트 공법은 저렴한 가격으로 석재와 같은 질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재의 색상과 질감이 다양하기 때문에 무늬를 넣거나 화사한 색감의 외벽을 만들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드라이비트 구조는 화재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드라이비트 구조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불에 취약한 가연성 소재이므로, 화재 발생시 외벽을 타고 불이 급속도로 번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에 취약한 드라이비트 구조의 단점은 추후 사이딩 시공을 하는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딩 시공은 드라이비트 구조 외부에 철제 프레임을 용접으로 고정한 후, 철제 프레임에 사이딩을 고정하는데, 철제 프레임을 용접으로 고정할 때, 드라이비트 구조에 불이 옮겨붙어 큰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드라이비트 구조는 외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태풍 등 강풍이 불면 드라이비트 구조가 외벽으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딩 시공은 용접을 통해 외벽에 고정되는 철제 프레임이 드라이비트 구조를 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이딩 시공 후에 드리이비트 단열재가 외벽으로부터 떨어져 건물의 단열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20-2017-0004066 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목재를 드라이비트 구조의 외측에 고정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생략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A)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외측에 지지목재를 배치하는 단계; (B) 고정부재의 말단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지지목재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목재에 체결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지목재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사이딩 부재를 상기 지지목재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지목재는 길이방향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목재는 다수가 구비되고, 다수의 상기 지지목재는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외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상기 외벽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한 쌍씩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목재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목재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ㄷ"자 형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마주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마주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하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목재를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지지목재가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를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사이딩 부재를 나사못 또는 클립을 통해서 상기 지지목재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목재를 드라이비트 구조의 외측에 고정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생략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재가 지지목재를 드라이비트 구조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지지목재는 드라이비트 구조가 외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및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A)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에 지지목재(300)를 배치하는 단계, (B) 고정부재(400)의 말단이 드라이비트 구조(200)로부터 노출되도록,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100)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단계, (C) 지지목재(300)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지지목재(300)에 체결부재(500)를 배치하는 단계, (D)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는 단계, 및 (E) 지지목재(300)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600)가 배치되도록, 사이딩 부재(600)를 지지목재(30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100)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비트 구조(200)는 건축물의 외벽(100)에 시공되는 것으로, 통상 단열재(210), 접착제(220), 유리망 섬유(230, Mesh), 마감재(240)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210)는 외벽 단열을 위한 기본자재로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220)는 단열재(210)와 외벽(100)을 접착시키는 것으로, 아크릴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망 섬유(230)는 균열 방지와 충격 보강을 위한 구조로서, 유리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마감재(240)는 아크릴 수지, 화학 제품, 특수 규사 등을 합성하여 만든 조합물로서, 최외각에 노출되어 다양한 질감이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비트 구조(200)가 노후화되면 이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딩 시공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딩 시공에는 철제 프레임을 용접으로 고정해야 하는데, 용접 과정에서 드라이비트 구조(200)에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단열재(210, 스티로폼)는 한번 화재가 발생할 경우 순식간에 건축물 전체로 번져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화재 위험성 때문에 종래에는 드라이비트에 사이딩 시공을 함부로 시도하지 못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용접을 생략하여 미연에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하도록 한다.
우선,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에 지지목재(3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즉, 건축물의 외벽(100)에 시공된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에 지지목재(300)를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목재(30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목재(300)는 다수가 구비되고, 다수의 지지목재(300)가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지지목재(300)는 소정간격마다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목재(300)는 나사못(310) 등으로 드라이비트 구조(200)에 가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지목재(300)는 특별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방부목으로 형성되어, 오랜 기간동안 썩지 않고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0)의 말단이 드라이비트 구조(200)로부터 노출되도록,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100)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정부재(400)는 드라이비트 구조(200)와 건축물의 외벽(100)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00)는 일단이 콘크리트로 형성된 건축물의 외벽(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드라이비트 구조(20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고정부재(400)는 한 쌍씩 구비되고(즉, 한 쌍의 고정부재(400)가 하나의 조합임), 한 쌍의 고정부재(400)는 지지목재(30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부재(400)는 지지목재(300)의 양측에 동일한 높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목재(300)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지지목재(300)에 체결부재(5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체결부재(500)는 고정부재(400)에 결합되어, 지지목재(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체결부재(500)는 본체(510), 제1 연장부(520), 및 제2 연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목재(300)는 횡단면이 사각형일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도록 본체(510)는 "ㄷ"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510)는 소정 깊이와 소정 너비를 갖는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횡단면이 사각형인 지지목재(300)의 노출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본체(510)의 소정 깊이는 지지목재(300)의 두께에 대응하고, 체결부재(500)의 본체(510)의 소정 너비는 지지목재(300)의 너비에 대응하여, 체결부재(500)의 본체(510)가 지지목재(300)의 노출면(3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520)는 본체(5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드라이비트 구조(200)와 마주보고, 제2 연장부(530)는 본체(5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드라이비트 구조(200)와 마주본다. 즉, 제1,2 연장부(520, 530)는 본체(510)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각각 지지목재(300)의 우측과 촤측에서 드라이비트 구조(200)와 마주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2 연장부(520, 530)에는 고정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520)에는 두께방향으로 제1 관통홀(525)이 형성되고, 제2 연장부(530)에는 두께방향으로 제2 관통홀(5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목재(30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400)는 각각 제1 관통홀(525)과 제2 관통홀(535)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부재(500)는 고정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5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소정 크기의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0)는 하나의 지지목재(300)의 소정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개의 지지목재(300a, 300b)의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목재(300a, 300b)는 상하 방향으로 두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는 제1,2 지지목재(300a, 30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지지목재(300a)의 상측에 제2 지지목재(30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500)는 제1 지지목재(300a)의 상단과 제2 지지목재(300b)의 하단을 동시에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체결부재(500)의 제1,2 관통홀(525, 535)에 각각 한 쌍의 고정부재(400)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고정부재(400, 예를 들어 앵커볼트)의 말단에 너트(400a)를 결합함으로써,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면, 체결부재(500)는 지지목재(300)를 드라이비트 구조(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목재(300)가 드라이비트 구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500)와 고정부재(400)를 통해서 건축물의 외벽(100)에 고정된 지지목재(300)는 드라이비트 구조(200)에 접촉하여, 드라이비트 구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목재(300)에 의해서 드라이비트 구조(200)가 지지되므로, 드라이비트 구조(200)가 외벽(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목재(300a)와 제2 지지목재(300b)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체결부재(500)가 제1 지지목재(300a)의 상단과 제2 지지목재(300b)의 하단을 동시에 둘러싸도록 배치된 경우,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면, 체결부재(500)가 제1,2 지지목재(300a, 300b)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1,2 지지목재(300a, 300b)가 일렬이 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결국, 지지목재(300)를 두 개 이상을 사용하여 상하로 배치하더라도, 두 개의 지지목재(300a, 300b)의 연결부를 체결부재(500)로 고정함으로써, 지지목재들(300a, 300b)을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다.
다음, 도 6a, 도 6b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목재(300)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600)가 배치되도록, 사이딩 부재(600)를 지지목재(30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지지목재(300)는 체결부재(500)와 고정부재(400)를 통해서 건축물의 외벽(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었으므로, 본 단계에서는 사이딩 부재(600)를 지지목재(30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딩 부재(600)는 최종적인 외장재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메탈 사이딩이나 세라믹 사이딩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딩 부재(600)는 나사못(610)을 통해서 지지목재(300)에 결합되거나(통상 메탈 사이딩의 경우(도 6a 참조)), 클립(620)을 통해서 지지목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통상 세라믹 사이딩의 경우(도 7 참조)). 사이딩 부재(600)가 배치되면, 크랙 등이 발생한 노후화된 드라이비트 구조(200)를 커버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비트 구조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지지목재(300)를 드라이비트 구조(200)의 외측에 고정함으로써, 용접을 생략할 수 있어 사이딩 시공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드라이비트 구조(200)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 벽체(7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상 조적 벽체(700)의 내부에는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710)가 배치되고, 단열재(710)의 내부에 건축물의 외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은 (A) 조적 벽체(700)의 외측에 지지목재(300)를 배치하는 단계, (B) 고정부재(400)의 말단이 조적 벽체(700)로부터 노출되도록, 조적 벽체(700)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100)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단계, (C) 지지목재(300)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지지목재(300)에 체결부재(500)를 배치하는 단계, (D) 체결부재(500)를 고정부재(400)에 체결하는 단계, 및 (E) 지지목재(300)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600)가 배치되도록, 사이딩 부재(600)를 지지목재(30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외벽 200: 드라이비트 구조
210: 단열재 220: 접착제
230: 유리망 섬유 240: 마감재
300: 지지목재 300a: 제1 지지목재
300b: 제2 지지목재 310: 나사못
400: 고정부재 400a: 너트
500: 체결부재 510: 본체
520: 제1 연장부 525: 제1 관통홀
530: 제2 연장부 535: 제2 관통홀
600: 사이딩 부재 610: 나사못
620: 클립 700: 조적 벽체
710: 단열재

Claims (7)

  1. (A)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외측에 지지목재를 배치하는 단계;
    (B) 고정부재의 말단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내부에 배치된 외벽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지지목재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목재에 체결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지지목재의 외측에 사이딩 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사이딩 부재를 상기 지지목재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지목재는 길이방향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목재는 다수가 구비되고, 다수의 상기 지지목재는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의 외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상기 외벽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인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한 쌍씩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목재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목재의 노출면을 둘러싸도록 "ㄷ"자 형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마주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와 마주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2 연장부;
    를 포함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하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목재를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지지목재가 상기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사이딩 부재를 나사못 또는 클립을 통해서 상기 지지목재에 결합하는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KR1020200127047A 2020-09-29 2020-09-29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KR10248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47A KR102486652B1 (ko) 2020-09-29 2020-09-29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47A KR102486652B1 (ko) 2020-09-29 2020-09-29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33A true KR20220043533A (ko) 2022-04-05
KR102486652B1 KR102486652B1 (ko) 2023-01-10

Family

ID=8118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47A KR102486652B1 (ko) 2020-09-29 2020-09-29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55A (ja) * 2004-08-31 2006-04-13 Nippon Shoene Kenchiku Butsuri Soken:Kk 外断熱工法のコンクリート建物における外装材支持金物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20150058986A (ko) * 2013-11-21 2015-05-29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50077185A (ko) * 2013-12-27 2015-07-07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70004066U (ko) 2017-11-13 2017-12-01 조규면 드라이비트 구간별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55A (ja) * 2004-08-31 2006-04-13 Nippon Shoene Kenchiku Butsuri Soken:Kk 外断熱工法のコンクリート建物における外装材支持金物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20150058986A (ko) * 2013-11-21 2015-05-29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50077185A (ko) * 2013-12-27 2015-07-07 김근영 건축물의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170004066U (ko) 2017-11-13 2017-12-01 조규면 드라이비트 구간별 시공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652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3533A (ko) 드라이비트 구조 또는 조적 벽체에 대한 사이딩 시공 방법
KR100619093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CN210658787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alc墙板防裂缝构造装置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EP3015620B1 (en) Panel for the enclosure and external thermal insulation of façades and roofs, and the installation procedure
JP4295640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JP2016037758A (ja) 内装パネル
JP3061925B2 (ja) 硬質壁材の開口部取付構造
JP2008038355A (ja) 既存外壁の改修構造
KR100626976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CN110748107A (zh) 一种装配式钢结构钢柱装饰结构及方法
CN218622763U (zh) 一种土木工程用防火墙
JP7318837B1 (ja) 耐火構造
JP4317773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JP6291164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JP2002339481A (ja) Alcパネル壁構造
JPS6294650A (ja) 石材を利用した建築物の外壁装飾パネル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JP6555882B2 (ja) 外張断熱用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外張断熱工法
KR20210094342A (ko) 화스너 조립부품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 공법
JP4274974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方法
KR100526695B1 (ko) 건축물 외벽 조립식 합성 타일 설치 공법
JP2016180293A (ja) 内外装材用の下地材を備えたclt
JP4317775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方法
JP3110578U (ja) 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