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331A -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331A
KR20220043331A KR1020200126609A KR20200126609A KR20220043331A KR 20220043331 A KR20220043331 A KR 20220043331A KR 1020200126609 A KR1020200126609 A KR 1020200126609A KR 20200126609 A KR20200126609 A KR 20200126609A KR 20220043331 A KR20220043331 A KR 2022004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hemoport
assembly
chamb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용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순용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용,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순용
Priority to KR102020012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331A/ko
Publication of KR2022004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3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catheter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2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implanted tubes connected to the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protectors, caps or cov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94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specific shape matching the shape of a tool to be inserted therein, e.g. for easy introduction, for sealing purposes,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characterised by physical shape, e.g. array of activating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이식된 상태에서 위치 식별이 용이한 케모포트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체내에 이식되어 피하 혈관으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케모포트 조립체로서, 내부에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내부의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촉지 돌기부; 및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Chemopo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이식된 상태에서 촉지를 통해 위치 식별이 용이한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모포트(Chemoport)는 포털(portal)과 카테터(cathertor)로 구성된 중심 정맥관의 일종이다.
이러한 케모포트는 특히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수혈 및 채혈을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항암제, 항생제, 혈액제제, 비경구적 영양공급, 수액, 진통제의 간헐적이거나 계속적인 주입이 필요하거나, 말초혈관 확보의 어려움이 있거나,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대상(환자)에게 주로 삽입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케모포트는 외관상 잘 보이지 않고, 미사용시 소독이 불필요하며, 수영 또는 목욕이 가능하고,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케모포트의 포털 부위는 몸속(피하)에 위치하고, 카테터는 동·정맥의 혈관 내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혈류 감염의 발생이 낮아 장기유치용 혈관 내 카테터로서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케모포트와 같은 약물 주입 장치는 인체 내부에 이식되고 약물이 공급되는 챔버와, 챔버와 피하 정맥을 연결하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챔버는 셀프실링(Self sealing)되는 커버막으로 밀폐되며, 주사바늘로 커버막을 찔러 관통시킨 후 약물이 챔버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이식된 챔버에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을 보면, 일반적으로 시술자가 챔버가 이식된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챔버 주위를 손으로 잡고, 커버막의 위치를 짐작하여 주사바늘로 삽침하게 된다.
그러나, 이식된 챔버는 피부에 가려져서 육안으로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커버막은 챔버보다 크기가 작아 주사바늘로 찔러야 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숙달된 시술자가 아닌 경우, 커버막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주사바늘을 삽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7096호(공고일자: 2018년 8월 9일)
<선행기술 2> 미국공개특허 US2015/0297115(공개일자: 2015년 10월 22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에 이식된 상태에서 위치 식별이 용이하고, 일체화를 통한 공정 감소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체내에 이식되어 피하 혈관으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케모포트 조립체로서, 내부에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내부의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촉지돌기부; 및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케모포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베이스 부재가 서로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결합면에는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 내에는 중공격자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표면은 눈부심 방지 코팅층 또는 광흡수 패터닝(patterning)이 적용된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부재의 둘레에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고정단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단부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케모포트 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촉지 돌기부는 3D 프린팅(3D Printing)의 단일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케모포트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촉지 돌기부를 통해 시술자가 용이하게 케모포트의 설치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중공격자부를 형성하여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케이싱의 표면에 눈부심 방지 코팅층 또는 광흡수 패터닝이 적용된 소재를 적용하여 시술시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시술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촉지 돌기부와 케이싱을 3D 프린팅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일체화를 통한 공정의 감소와 제조단가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모포트 조립체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중공격자부를 확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모포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케모포트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되도록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모포트 조립체는 케이싱(10), 멤브레인 부재(50), 베이스 부재(11a,11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0)은 내부에 멤브레인 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한 멤브레인 장착영역(11)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10)의 상단 둘레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촉지 돌기부(30)가 형성된다. 이 촉지 돌기부(30)는 멤브레인 부재(50)의 둘레방향에 위치한 케이싱(10)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촉지돌기(30a,30b)로 구성된다.
이 촉지 돌기부(30)는 도 5와 같이 대상자(P)에 피하부(500; 도 4참조)에 케모포트 조립체(C 또는 100)가 시술되면, 피부의 표면에 촉지 돌기부(30)가 형성된 영역이 융기됨으로써 시술자가 촉지를 통해 용이하게 케모포트 조립체(C 또는 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티타늄(titanium)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소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폴리설폰(Polysulfone)이나 에폭시(Epoxy)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싱(10)은 상기한 재질로 일체화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0)과 촉지 돌기부(30)는 3D 프린팅(3D Printing)의 단일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일체화를 통해 공정감소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측면에는 커넥터부(20)가 형성되는데, 이 커넥터부(20)는 도 4와 같이 카테터(600)가 연결되어 케모포트 조립체(100)로 약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싱(10)의 멤브레인 장착영역(11)에는 제1 베이스 부재(11a)와 제2 베이스 부재(11b)가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제1 베이스 부재(11a)는 멤브레인 부재(50)가 장착되는 구성요소이고, 제2 베이스 부재(11b)는 멤브레인 부재(50)로 삽입된 니들로부터 약액이 임시 저장되는 챔버(51; 도 3참조)를 구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1 베이스 부재(11a)와 제2 베이스 부재(11b)는 서로 제1 고정부(12)와 제2 고정부(13)를 통해 서로 맞물리게 장착됨으로써 이들 고정부(11a,11b)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견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즉 베이스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1 베이스 부재(11a) 및/또는 제2 베이스 부재(11b)의 결합면에는 자체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중공격자부(Ao)가 제공된다.
이 중공격자부(Ao)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베이스 부재(11a)와 제2 베이스 부재(11b)가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양 측벽(16a,16b)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16H)를 형성한다. 또한 이 공간부(16H)에는 예를 들어 탄소섬유와 같은 경량이면서 고강도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격자(16c)가 설치되어, 이는 측벽(16a,16b)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측벽(16a,16b)은 예를 들어 케이싱(10)의 내측벽이나 베이스 부재(11a,11b)의 내측벽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모포트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부재(5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 고정단부(33)를 포함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케이싱(10)의 내측에는 장착부(17)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단부(33)는 수직방향으로 상단(33a)과 하단(33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17)는 이 고정단부(33)의 상단(33a)과 하단(33b)을 수용하는 홈의 형태로 제공된다. 즉 실리콘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부재(50)의 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고정단부(33)가 형성되고, 케이싱(10)의 내주면에는 이 고정단부(33)가 삽입되도록 장착부(17)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0)의 내부에 베이스 부재의 결합부분에 중공격자부(Ao)가 형성되고, 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촉지 돌기(30a,30b)가 돌출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케이싱(10)의 표면에는 빛 반사율을 낮춰 시술시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눈부심방지 코팅층(16)이 형성된다. 이때 눈부심방지 코팅층(16)은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및 경화성 촉매를 함유하여 표면조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상온에서 빠르게 경화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을 케이싱(10)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눈부심방지 코팅조성물은 경화성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 표면에는 다양한 요철물(피라미드형이나 막대형 등)의 마이크로 또는 나노크기의 패터닝을 형성하고, 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광량을 조절하며,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패터닝을 통한 표면 조도형성에는 3D프린팅을 활용하는 방법과 화학적 식각공정에 의한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촉매는 열경화성 촉매, 광경화성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민을 포함하는 경화성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민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케모포트 조립체(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대상자(P)의 피하부(500)에 설치된다. 이때 케이싱(1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촉지 돌기부(30)에 의해 대상자(P)의 피부 표면의 일부(즉 케모포트 조립체가 위치한 지점)가 융기되고 시술자가 이를 촉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케모포트 조립체(100)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도 5참조).
한편 이와 같이 시술자가 케모포트의 설치위치를 파악한 다음 니들 조립체(200)의 니들을 멤브레인 부재(50)에 삽침하여 약물을 혈관(5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싱
11: 멤브레인 장착영역
11a: 제1 베이스 부재
11b: 제2 베이스 부재
12: 제1 고정부
13: 제2 고정부
15: 측벽부
16: 눈부심 방지 코팅층
16a: 제1 측벽
16b: 제2 측벽
16c: 중공격자
16H: 공간부
18: 여유홈부
20: 커넥터부
20H: 공급관
30: 촉지 돌기부
30a: 제1 촉지돌기
30b: 제2 촉지돌기
33: 고정단부
33a: 상단
33b: 하단
50: 멤브레인부재
51: 챔버
100: 케모포트
200: 니들조립체
500: 피하부
510: 혈관
600: 카테터

Claims (5)

  1. 체내에 이식되어 피하 혈관으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케모포트 조립체로서,
    내부에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내부의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촉지 돌기부; 및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모포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베이스 부재가 서로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결합면에는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 내에는 중공격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모포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표면은 눈부심 방지 코팅층 또는 광흡수 패터닝이 적용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모포트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부재의 둘레에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고정단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단부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모포트 조립체.
  5. 청구항 1에 기재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촉지 돌기부는 3D 프린팅(3D Printing)의 단일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모포트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200126609A 2020-09-29 2020-09-29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43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609A KR20220043331A (ko) 2020-09-29 2020-09-29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609A KR20220043331A (ko) 2020-09-29 2020-09-29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331A true KR20220043331A (ko) 2022-04-05

Family

ID=8118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609A KR20220043331A (ko) 2020-09-29 2020-09-29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33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8326T3 (es) Orificio de acceso vascular con una carcasa y un tabique.
CN1245226C (zh) 可植入的可再填充的由端口控制释放的药物输送装置
US6878137B2 (en) Implantable device for injecting medical substances
KR101100526B1 (ko) 약물 주입 포트
AU2009219375B2 (en) Venous access port assembly with push surfaces
US7445614B2 (en) Subcutaneously implantable access port
US8608712B2 (en) Septum for venous access port assembly
US9149620B2 (en) Venous access por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6290677B1 (en) Medicinal liquid injection port
US20090118683A1 (en) Dual reservoir implantable access port
WO2007087460A3 (en) Bone supported vascular access port
US20090221974A1 (en) Implantable atraumatic medical site having a simplified design
DE69828281D1 (de) Subkutaninfusionsvorrichtung
EP2083908B1 (en) Vascular access device stagnant fluid displacement
JP5559524B2 (ja) 薬液注入具
KR20190097836A (ko) 혈관 접근 포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3331A (ko) 케모포트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11504516B2 (en) Port catheter
US20200016390A1 (en) Vascular access port and catheter
KR20190099877A (ko) 뇌실포트 조립체
CN219645838U (zh) 一种磁性定位腹腔化疗装置
JPH0331473B2 (ko)
US20160303315A1 (en) Infusion needle unit and liquid infusion apparatus
EP3744367A1 (en) Needle infusion set for insulin infusion
JPH063612Y2 (ja) 薬液注入ボ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