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89A -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 Google Patents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89A
KR20220042889A KR1020200126267A KR20200126267A KR20220042889A KR 20220042889 A KR20220042889 A KR 20220042889A KR 1020200126267 A KR1020200126267 A KR 1020200126267A KR 20200126267 A KR20200126267 A KR 20200126267A KR 20220042889 A KR20220042889 A KR 20220042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lip
force
double
at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규
Original Assignee
박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규 filed Critical 박원규
Priority to KR102020012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889A/ko
Publication of KR20220042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89A/ko
Priority to KR1020220075174A priority patent/KR10263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9Paperclip dispens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01Heliostat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3Devices for applying fasteners, e.g. clips, to bund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부착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게시물를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하는 클립부; 및 상기 부착면과 상기 클립부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磁力)을 제공하는 제1 부착부재 및 점착력(pressure-sensitive adhesive)을 제공하는 제2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과 상기 점착력에 의한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Attachable Clip Using Double Adhesion Strength }
본 발명(Disclosure)은,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미끄러운 부착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다량 또는 중량의 게시물을 클리핑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의 사무실과 같은 업무 공간이나 또는 교실과 같은 학습공간에서는, 분필 가루 날림없이 깨끗이 사용할 수 있는 화이트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화이트 보드는, 일반적으로 필기를 하는 표면의 이면은 철재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회의 또는 교육시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인쇄물이나 메모지를 자석으로 부착하여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화이트 보드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 다양한 메모 또는 알림 용지를 부착하는 알림판이나 게시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사용하기 쉽고 흔적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화이트 보드에 게시물을 고정할때 사용되는 자석은 고무자석이나 페라이트 자석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고무자석은, 판 또는 띠 형태의 고무자성 원판을,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모양으로 쉽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무자석은, 자력(磁力)이 약하여, 부착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즉, 화이트 보드에 자석을 이용하여 각종 게시물을 부착할 때, 종이라 할지라도 다량의 게시물이나, 제본된 책자형 게시물은 그 무게 때문에 쉽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이트 보드의 표면은, 필기를 위해서 매끈하고 끈적임없는 표면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자력이 약한 고무자석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부착할때, 게시물과 고무자석은 물론이고, 게시물과 화이트 보드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불충분하여, 고무자석과 게시물이 아래로 미끄러져 흐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장의 게시물을 펼쳐서 한 장씩 게시할 수 밖에 없고, 하나로 모아서 게시할 때에는 부착면에서 클립을 떼어내어 고정한 다음 다시 부착면에 부착하게 되는데 그때마다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도록 사용자가 신경을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강력한 자력을 가지는 네오디움 자석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쉽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강력한 자력(磁力)으로 인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상 편의성이 우수한 고무자석을 이용하여 다량 또는 중량의 게시물을 부착면의 특정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게시물을 고정상 한 상태에서 또 다른 게시물을 동일한 특정 위치에 쉽게 추가할 수 있는 부착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28695호
본 발명(Disclosure)은, 중량의 게시물을 클리핑한 상태로, 화이드 보드와 같이 미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벽면에 형성되는 부착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불필요시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부착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게시물를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하는 클립부; 및 상기 부착면과 상기 클립부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磁力)을 제공하는 제1 부착부재 및 점착력(pressure-sensitive adhesive)을 제공하는 제2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과 상기 점착력에 의한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상기 제1부착부재는, 고무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상기 제1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점착성 재료를 이용 진공 흡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상기 클립부와 상기 부착부가 서로 회동하도록 체결시키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상기 회전축부는, 한 쌍이 상기 클립부의 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클립부의 가로방향의 중심에서 분리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력(磁力) 및 점착력(pressure-sensitive adhesive)이 융합된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여, 미끄러운 부착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중량의 게시물을 클리핑한 상태에서 부착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필요시 부착면으로 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에서 클립부 및 부착부를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다른 실시형태에 채용될 수 있는 클립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들림동작으로 게시물을 클리핑하는 클립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을 타측에서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을 타측에서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에서 클립부 및 부착부를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클립부(100) 및 부착부(200)를 가진다.
클립부(100)는, 부착면(10)에 부착되고, 부착면(10)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서류를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한다.
또한 클립부(100)는 레버(110)와 가압부재(130) 및 클립판(120)을 구비할 수 있다.
클립부(100)의 레버(110)는, 부착면을 향하는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가압부재(130)와 클립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게시물을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할 수 있다.
부착부(200)는, 클립부(100)와 부착면(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착부재(210) 및 제2 부착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 부착부재(210)는 자력(磁力)에 의한 부착력을 제공하고, 제2 부착부재(220)는 점착력(pressure-sensitive adhesive)에 의한 부착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부착부(200)는 제1 부착부재(210) 및 제2 부착부재(220)가 제공하는 서로 다른 부착력에 의한 이중 부착력, 즉 자력과 점착력을 모두 이용하여 클립부(100)를 부착면(10)에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강력한 클리핑 압력을 제공하는 클립부(100)가, 다량 또는 중량의 게시물을 강하게 클리핑한 상태로, 부착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력과 점착력은, 부착면(10)으로부터 재박리가 가능하므로, 클립부(100)를 부착면(10)으로 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부착면(10)은, 바람직하게는 화이트 보드의 표면이며, 부착면(10)의 이면은 철제를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부착부재(210)가 제공하는 자력에 의한 부착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착부재(210)가 제공하는 자력은 부착면(10)의 표면에 직각방향의 부착 강도는 강하지만, 부착면(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부착 강도는 약하다. 즉, 부착면(10)의 직각방향 박리력은 크고 부착면(10)과 평행한 방향 박리력은 작다.
반면에 점착력은, 부착면(10)의 표면에 직각방향의 부착 강도는 약하지만, 부착면(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부착 강도는 강하다. 즉, 부착면(10)의 직각방향 박리력은 작고, 부착면(10)과 평행한 방향 박리력은 크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다량 또는 중량의 게시물이 클리핑된 클립부(100)가, 세로로 세워진 부착면(10)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져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부착부재(210)가 제공하는 자력은 클립부(100)를 부착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부착부재(220)는,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가 그 자중에 의해 부착면(10)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서로 다른 박리 방향에 대한 박리력이 서로 보완 관계를 가지는 제1 부착부재(210) 및 제2 부착부재(220)를 이용함으로써, 다량 또는 중량의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를 부착면(1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착부재(210)는, 고무자석인 것이 바람직히다.
네오디움 자석을 포함하는 강력한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제1 부착부재(210)를 형성하면, 제2 부착부재를 부착면으로 부터 떼어내기 위한 박리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2 부착부재(220)는 다양한 탄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고무를 재료로 하는 고무계, 아클릴산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재료로 하는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를 재료로 하는 우레탄계 및 실리콘 고무를 재료로 하는 실리콘계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부착부재(220)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를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다른 실시형태에 채용될 수 있는 클립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클립부(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레버형 클립 또는 도 3에 도시된 집게형 클립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클립부(100)는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서류를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누름 작동은, 부착부(200) 특히 제2 부착부재(220)의 부착력을 견고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클립부는,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게시물을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하는 클립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립부(100)는 한 쌍의 집게 레버(140)와 한 쌍의 집게 가압부재(150)를 구비하며, 한 쌍의 가압부재(150)는 서로를 향하여 대향하여 가압함으로써, 게시물을 클리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방의 집게 레버(140)) 및 집게 가압부재(150)에 부착부를 형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면을 향하여 집게 레버를 가압하는 동작으로 게시물을 클리핑하는 작동과 클리핑을 해제하는 작동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클리핑 또는 클리핑을 해제하는 작동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클립과 같이, 제2 부착부재(220)의 부착력을 강화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들림동작으로 게시물을 클리핑하는 클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클립부는 게시물을 클리핑하거나, 클리핑된 게시물의 클리핑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들림 가압부재(160)를 부착면의 직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도 4의 클립부의 클리핑 또는 클리핑 해제를 위한 작동은, 부착면의 직각방향 박리력이 약한 제2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약화시킨다.
즉, 도 4의 클립부의 클리핑 또는 클리핑 해제 작동은, 제2 부착부재를 박리시키는 작동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3 및 도 4를 비교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게시물를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하는 클립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클립부의 클리핑 또는 클리핑 해제 작동이 제2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제1 부착부재 및 제2 부착부재의 이중 부착력이 상호 보완하여, 클립부를 강하게 부착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을 타측에서 보인 도면이다.
점착성을 가지는 점착층은, 박리 각도에 따라 박리력이 달라진다. 특히, 점착층이 형성되는 기재의 유연성에 따라 박리 각도의 제한범위가 결정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클립부(100)와 부착부(200)가 서로 회동하도록 체결시키는 회전축부(300)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부착부(20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는, 부착부(200)가 클립부(100)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축부(300)는, 부착부(200)를 세로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부착부(200)에 의한 유효 부착력을 더욱 강화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에 인가되는 자중은, 부착면(10)의 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부착부(200)에 인가되는 외력은, 부착면(10)의 직각방향 성분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부착부(200)의 긴변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면, 부착면 직각방향 성분을 가지는 박리력이 작용할 경우에, 쉽게 박리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회전축부(300)를 가지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긴변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착부재가 가지는 부착면(10)의 직각방향 박리력을 더 강화 함으로써, 부착부(200)가 가지는 유효(effective) 이중 부착력을 더욱 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에서, 회전축부(300)는, 한 쌍이 클립부(100)의 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부착부(200)는 클립부(100)의 가로 방향의 중심에서 분리되고, 각각이 한 쌍의 회전축부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분할된 한 쌍의 부착부(200)는 클립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의 자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이중 부착력을 이용한 부착형 클립을 타측에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의 제1 변형 예에서, 제2 부착부재(220)는 진공 흡착구조를 가진다.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의 무게 중심은, 부착면(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게시물을 클리핑한 클립부(100)에 인가되는 외력은 부착면(10) 직각방향을 형성하는 박리력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력은 부착면(10)의 직각방향의 박리력이 약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은, 점착력을 제공하는 제2 부착부재를 흡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부착면(10)의 직각방향 박리력을 강화함으로써, 부착부(200)가 부착면(10)으로 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부착면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면을 향하여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게시물을 클리핑하거나 클리핑을 해제하는 클립부; 및
    상기 부착면과 상기 클립부 사이에 배치되고, 자력(磁力)을 제공하는 제1 부착부재 및 점착력(pressure-sensitive adhesive)을 제공하는 제2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과 상기 점착력에 의한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가지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부재는,
    고무자석인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상기 제1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점착성 재료를 이용 진공 흡착구조를 가지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와 상기 부착부가 서로 회동하도록 체결시키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한 쌍이 상기 클립부의 가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클립부의 가로방향의 중심에서 분리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 체결되는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KR1020200126267A 2020-09-28 2020-09-28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KR20220042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267A KR20220042889A (ko) 2020-09-28 2020-09-28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KR1020220075174A KR102639306B1 (ko) 2020-09-28 2022-06-20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267A KR20220042889A (ko) 2020-09-28 2020-09-28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74A Division KR102639306B1 (ko) 2020-09-28 2022-06-20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89A true KR20220042889A (ko) 2022-04-05

Family

ID=811818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267A KR20220042889A (ko) 2020-09-28 2020-09-28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KR1020220075174A KR102639306B1 (ko) 2020-09-28 2022-06-20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174A KR102639306B1 (ko) 2020-09-28 2022-06-20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28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95B1 (ko) 2016-07-13 2017-04-20 (주)짜임 게시판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582A (ja) * 1996-02-09 1997-08-19 Shinichi Kaneda 保持部材
CN100349755C (zh) * 2002-01-10 2007-11-21 利高文具制造厂有限公司 用于文件夹的扳手式夹子
JP2007167429A (ja) * 2005-12-22 2007-07-05 Kanritsu Chin マグネットフ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95B1 (ko) 2016-07-13 2017-04-20 (주)짜임 게시판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306B1 (ko) 2024-02-20
KR20220110447A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9739A1 (en) Magnetic-adhesive mounting device
EP1074398B1 (en) Self-stick writing note
US5836098A (en) File position location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220042889A (ko) 이중 부착력을 이용하는 부착형 클립
WO2007097890A2 (en) Articles with selective adhesive mechanism
US20070074377A1 (en) Magnetic paper clip structure
JP2018205499A (ja) 壁面表示具および掲示物止め固定用治具
JP2021112908A (ja) 磁性材を用いた案内装置
US20080217907A1 (en) Magnetic Card with Improved Adhesive Construction
CN206251452U (zh) 用于柔性电路板粘合胶带的辅助治具
CN2459188Y (zh) 夹纸器
JP6474522B1 (ja) 重量台紙付き付箋紙
KR200189896Y1 (ko) 광고용 금속판을 갖는 클립보드
US20140353957A1 (en) Easily sheet dispensing note pad
FI111919B (fi) Pidike arkkimaisia esineitä varten
US11780256B2 (en) Assembly and holder
JP2007283518A (ja) 付箋紙
EP1800568B1 (en) Universal sticker
KR200299928Y1 (ko) 양면 접착식 메모지
KR200204983Y1 (ko) 다단 적층용 메모지 고정판
JP2023121385A (ja) クリップボード
GB2410469A (en) A writing instrument holder
JPH0410629Y2 (ko)
TWM596698U (zh) 磁吸式紙張資料夾
US20180304592A1 (en) Mounting tab, dispenser for same,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