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772A -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772A
KR20220042772A KR1020200126007A KR20200126007A KR20220042772A KR 20220042772 A KR20220042772 A KR 20220042772A KR 1020200126007 A KR1020200126007 A KR 1020200126007A KR 20200126007 A KR20200126007 A KR 20200126007A KR 20220042772 A KR20220042772 A KR 2022004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reactor
electron beam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539B1 (ko
Inventor
유승호
김탁현
김태훈
조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2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내부에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공간 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유입관 및 제 1 유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를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 및 상기 제 1 공간 내 상기 반응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기;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시스템{SYSTEM FOR PURIFYING AIR}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등 공기를 통하여 사람 간에 전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출몰이 잦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건물에는 공기 순환으로 인한 2차 감염을 방지하고자 공기 정화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기존의 다중 이용 시설의 공조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실내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다중 이용 시설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대부분 온도, 습도 등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는 실정이며 실내 공기질에 대해서는 수동적인 필터 정도만 적용되고 있어서, 2차 감염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물리적 필터 예를 들면 헤파필터는 일정 기간 사용을 하면 교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물리적 필터는 병원성 오염원 등의 살균은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 시 사멸되지 않은 병원성 오염원에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항시 존재한다.
이에 따라, 물리적 필터 뿐만 아니라 UV기반 광촉매 산화기술을 이용한 화학적 필터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화학적 필터 장치에 이용되는 광촉매의 느린 반응 속도로 인하여, 화학적 필터는 공기 정화 용량에 제약이 있었다.
최근에는 공기내 전염성 오염원 등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자빔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하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손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모듈화 되고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빔 조사 시 발생하는 오존 기체를 재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필터를 활용하여 공기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내부에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공간 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유입관 및 제 1 유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를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 및 상기 제 1 공간 내 상기 반응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응기는 상기 전자빔이 상기 반응기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반응기 일측에 형성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빔 조사기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빔 조사구는 상기 전자빔이 상기 투과부를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도달하도록 상기 투과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응기는 상기 투과부가 형성된 제 1 반응기 몸체 및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이 형성된 제 2 반응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응기 몸체는 상기 제 2 반응기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반응기 내부로 투과된 상기 전자빔이 상기 제 1 필터의 일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투과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의 타면과 소정의 간격를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제 1 필터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필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은 각각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반응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의 상기 투과부 측 일면이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의 중심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필터를 먼저 통과할 수 있게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유도벽; 및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 2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제 1 유출관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유도벽;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유도벽은 상기 제 1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도벽은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전자빔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를 화학적으로 정화하고,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 2 유출관; 상기 제 2 유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공간에서 발생한 오존 기체를 상기 제 2 유출관으로 유출시키는 오존 유출 부재; 일단이 상기 오존 유출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유입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유입관; 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유출 부재는 상기 제 1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기 제 2 유출관으로부터 유출된 상기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2 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 1 유입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은,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 내부의 상기 제 2 공간으로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 단계; 상기 반응기로 유입된 상기 공기에 상기 반응기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하여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 단계; 상기 전자빔 조사 시 상기 제 1 공간 내에 발생한 오존 기체를 상기 제 2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오존 기체 투입단계; 제 2 공간에 위치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여 제 3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필터링 단계; 및 제 3 공간에 위치한 상기 공기를 상기 제 1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배출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오존 기체 투입단계는 상기 오존 기체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 2 유출관으로 오존 유출 부재를 통해 유출하는 오존 기체 유출 단계; 및 상기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기 오존 유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유출관으로 유출된 상기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오존 유출 부재와 상기 제 1 유입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로 투입하는 오존 기체 유입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에 전자빔을 조사하는 제 1 필터 활성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제 1 필터에 의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화학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링 단계; 상기 제 1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공기를 제 2 필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링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전자빔을 조사하기 용이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소형화된 전자빔 조사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전자빔 조사 시 발생하는 오존 기체를 순환시켜 공기에 투입시키고 전자빔을 오존 기체에 조사함으로써 오존 기체의 살균력을 높여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전자빔에 의해 활성화되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공기를 화학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물리적 필터를 전자빔 반응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필터표면에 축적될 수 있는 병원성오염원의 살균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살균되고 공기에 남은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반응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반응기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의 오존 기체 투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의 필터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연결이라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다른 구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구성의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나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으며, 도면에서 나타낸 구성의 두께나 크기를 실제와 같이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 순환 장치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전자빔, 오존 기체, 화학적 필터 및 물리적 필터를 이용하여 살균 및 여과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공기 정화 시스템은 다중 이용 건물의 공기 순환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이 다중 이용 건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반응기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반응기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하우징(50), 반응기(10,20) 및 전자빔 조사기(60)를 구비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내부에 제 1 공간(1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50)은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 한 제 1 공간(11)과 하우징(50)의 외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50)은 제 1 공간(11)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제 1 공간(11)에 접근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전자빔 조사기(60) 또는 반응기(10,20)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우징(50) 내부와 외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지 않다면 개폐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50)은 제 1 공간(11)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방사선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방사선이 하우징(5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50) 제작 시 방사선 차폐가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50)이 납이나 알루미늄이 포함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이 다중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때 납이나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층을 포함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납이나 알루미늄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하는 것일 뿐, 반드시 납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라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자빔 조사기(60)는 내부에서 전자빔을 발생하여 측면에 형성된 전자빔 조사부(62)를 통해 전자빔을 조사한다. 이 때, 전자빔 조사기(60)가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빔 조사기(60)의 측면에는 전자빔 조사기(60)의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빔이 외부로 조사되는 전자빔 조사구가 형성된다.
전자빔 조사구에서 조사된 전자빔을 공기에 조사하는 경우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 예를 들면, VOCs,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이 제거되며, 나아가 유해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도 제거된다. 이 때 전자빔에 의해서 유해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공기를 정화한다'라는 표현을 공기 중 상술한 유해 물질을 포괄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의미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 조사기(60)는 하우징(50) 내부 제 1 공간(11)에 배치되며, 하우징(5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50)의 내부측 상면에 고정된다.
이 때, 전자빔 조사기(6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고정부재에 의해 하우징(5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빔 조사기(60)가 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된 채로 전자빔 조사부(6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빔 조사부(62)의 위치나 방향을 조절하여 전자빔이 조사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자빔 조사구가 제 1 공간(11)에 배치되고, 전자빔 조사기(60)는 하우징(5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빔 조사기(60)에서 발행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10,20)는 하우징(50) 내부 제 1 공간(11)에 배치된 전자빔 조사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때, 반응기(10,2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 부재를 통해 하우징(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50) 내부 일측에 반응기(10,20)가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통해 반응기(10,20)가 하우징(50) 내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반응기(10,2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반응기(10,20) 내부를 통과하면서 전자빔 조사기(60)에서 조사된 전자빔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반응기(10,20)의 형태에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정화 대상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의 반응기(10,20)는 반응기(10,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전자빔을 이용하여 정화하기 위하여, 제 1 유입관(22), 제 1 유출관(24) 및 투과부(12)를 구비한다.
투과부(12)는 반응기(10,2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자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반응기(10,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전자빔이 반응기(10,20) 내부로 최대한 도달하도록 투과부(12)는 전자빔 조사기(60) 측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전자빔 조사구는 조사된 전자빔이 반응기(10,20) 내부로 최대한 도달하도록 투과부(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투과부(12)는 반응기(10,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전자빔 조사부(62)에서 조사된 전자빔이 반응기(10,20) 내부에 도달할 수 있다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응기(10,20)의 일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투과부(12)는 개구부를 덮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투과부(12)는 판상의 필름부재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전자빔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면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투과부(12)와 반응기(10,20)의 접촉면 상에는 반응기(10,20) 내부의 공기가 제 1 공간(11)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공간(11)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반응기(10,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빔 조사기(60)를 제 1 공간(11) 상부에 배치하고, 이에 따라 반응기(10,20)를 전자빔 조사기(60)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빔 조사기(60)가 반응기(10,20)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제 1 유입관(22)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정화할 대상 공기를 외부로부터 반응기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반응기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1 유입관(22)의 외부 측 일단에는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예를 들면, 다중 이용 건물의 공기 순환 장치의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유입관(22)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일반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유입관(2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반응기(10,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입관(22)은 제 1 유입관(22)이 형성된 반응기(10,20)가 하우징(50) 내부 제 1 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5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제 1 유입관(22)이 관통한 하우징(50)의 둘레부를 통하여 제 1 공간(11)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 1 유입관(22) 및 하우징(50) 사이에 밀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되어 반응기(10,20)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제 1 유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를 위해 제 1 유출관(24)은 반응기(10,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 1 유출관(24)의 외부 측 일단에는 정화된 공기를 수용하는 장치, 예를 들면 상술한 제 1 유입관(22)과 연결된 공기 순환 장치의 반대 측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이 설치된 공기 순환 장치는 정화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제 1 유출관(24)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일반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입관(22)과 제 1 유출관(24)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반응기(10,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제 1 유입관(22)과 제 1 유출관(24)은 반응기(10,2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일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유출관(24)은 제 1 유입관(22)과 같이 반응기(10,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출관(24)은 제 1 유출관(24)이 형성된 반응기(10,20)가 하우징(50) 내부 제 1 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5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제 1 유출관(24)이 관통한 하우징(50)의 둘레부를 통하여 제 1 공간(11)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 1 유출관(24) 및 하우징(50) 사이에 밀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반응기(10,20)는 사용자가 반응기(10,20) 내부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제 1 반응기(10,20) 몸체 및 제 2 반응기(10,20)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반응기(10,20) 몸체는 제 2 반응기(10,20) 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반응기(10,20) 몸체가 제 2 반응기(10,20)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제 1 반응기(10,20) 몸체에 투과부(12)가 형성되고, 제 2 반응기(10,20) 몸체에는 제 1 유입구 및 제 1 유출구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반응기(10,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추가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제 1 필터(30)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필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필터(30)는 제 1 필터(30)를 기준으로 반응기(10,20)의 내부 공간을 제 1 유입관(22)과 연결되는 제 2 공간(21)과 제 1 유출관(24)과 연결되는 제 3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반응기(10,20)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2 공간(21)을 거쳐 제 1 필터(30)를 통과한다. 또한 제 1 필터(30)를 통과한 공기는 제 3 공간으로 이동하며, 종국적으로 제 1 유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즉, 제 1 필터(30)가 반응기(10,20) 내부를 제 2 공간(21) 및 제 3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반응기(10,2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하여야만 제 1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30)의 둘레부에는 제 1 필터(30)를 반응기(10,2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지지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필터(30)는 전자빔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광촉매를 이용한 필터일 수 있다. 이 때, 광촉매는 백금, 팔라디움, 망간, 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촉매일 수 있다. 제 1 필터(30)는 반드시 광촉매 필터여야 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필터(30)를 광촉매 필터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광촉매는 전자빔이 조사되면 전자와의 출동에 의하여 열에너지가 발생하면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의 활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유해 물질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제 1 필터(30)에 부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산화 반응에 의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광촉매 필터의 작용원리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필터(30)의 광촉매가 원활하게 활성화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30)는 반응기(10,20)에 형성된 투과부(1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자빔 조사부(62)로부터 조사된 전자빔은 투과부(12)를 통과하여 제 2 공간(21)에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뿐만 아니라, 제 1 필터(30)의 광촉매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제 1 유입관(22)을 통해 제 2 공간(21)에서 전자빔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전자빔에 의해 활성을 갖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정화된다.
한편, 제 1 유입관(22) 및 제 1 유출관(24)의 중심축이 일치되어 제 1 유입관(22) 및 제 1 유출관(24)이 반응기(10,2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일렬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필터(30)는 제 1 필터(30)의 투과부(12) 측 일면이 제 1 유입관(22) 및 제 1 유출관(24)의 중심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입관(2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제 1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투과부(12)와 제 1 필터(30)의 투과부(12) 측 일면의 거리를 좁혀 제 2 공간(21)을 통과하는 공기에 전자빔을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는 전자빔에 의한 제 1 필터(30)의 활성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반응기(10,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추가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제 2 필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필터(40)의 둘레부에는 제 2 필터(40)를 반응기(10,2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지지부재(4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필터(40)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재차 제 2 필터(40)를 통과함으로써 정화될 수 있도록 반응기(10,20) 내에 배치된다. 이 때, 제 1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 1 필터(30)를 먼저 통과하도록 제 2 필터(40)는 제 1 필터(30)의 투과부(12) 측 일면의 반대면 측에 배치된다.
제 2 필터(40)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원활히 제 2 필터(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필터(3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이 때, 소정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반응기(10,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 2 필터(40)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원활히 제 2 필터(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필터(3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 1 필터(30)와 제 2 필터(40)가 반드시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2 필터(4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제 1 필터(30)와 다른 종류를 필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필터(30)가 공기를 화학적으로 정화하는 광촉매 필터라면 제 2 필터(40)는 물리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2 필터(40)는 물리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2 필터(40)를 헤파 필터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제 2 필터(40)가 구비됨에 따라, 제 1 유입관(22)을 통해 제 2 공간(21)에서 전자빔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전자빔에 의해 활성을 갖는 제 1 필터(3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정화되고, 다시 제 2 필터(40)를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통과된다.
즉 제 2 필터(40)는 제 1 필터(30)에서 필터링하지 못한 오염물, 예를 들면 제 1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사멸된 병원성 미생물 및 바이러스의 사체를 필터링한다.
한편,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10,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반응기(10,20) 몸체를 제 2 반응기(10,20) 몸체로부터 분리한 뒤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를 교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가 반응기(10,20)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10,20) 내에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가 안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걸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전자빔을 사용함으로써 오염원 특히, 병원성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이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자빔을 조사하여 사멸시키므로, 사용자가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병원성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로부터 감염될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제 1 유도벽(26) 및 제 2 유도벽(28)을 구비한다.
제 1 유도벽(2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 내부의 제 1 유입관(22) 측에 형성되어서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모두 제 1 필터(30)를 통과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 1 필터(30)를 거치지 않고 제 2 필터(40)를 통과하거나 어떠한 필터도 거치지 않고 제 1 유출관(24)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빔 조사기(60)가 배치된 측을 상 측이라고 규정할 때, 제 1 유입관(22)의 하측으로부터 제 1 필터(30)의 제 1 유입관(22) 측 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유도벽(26)은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필터(3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제 2 유도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10,20) 내부의 제 1 유출관(24) 측에 형성되어서 제 2 필터(40)를 통과한 공기가 모두 제 1 유출관(24)으로 유출되도록 유도한다.
즉, 제 2 필터(40)를 통과한 공기가 제 1 유출관(24)으로 유출되지 않고 재차 제 2 공간(21)이나 제 1 필터(3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빔 조사기(60)가 배치된 측을 상측이라고 규정할 때, 제 1 유출관(24)의 상측으로부터 제 2 필터(40)의 제 1 유출관(24) 측 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유도벽(28)은 제 2 필터(40)를 통과한 공기가 제 2 필터(4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이 때, 제 1 유도벽(26)은 제 1 유입관(2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제 1 유도벽(26)이 제 1 유입관(2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우보다 반응기(10,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직이나 둔각을 이루는 경우 제 1 유도벽(26)의 제 1 유입관(22) 측 공간에 맴도는 공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유도벽(28)의 경우도 제 2 유도벽(28)의 제 1 유출관(24) 측 공간에 맴도는 공기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제 2 유도벽(28)을 제 1 유출관(24)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은 반응기(10,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추가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제 2 유출관(52), 제 2 유입관(56) 및 오존 유출 부재(5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빔 조사기(60)에서 전자빔을 반응기(10,20) 측으로 조사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제 1 공간(11)에는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 오존 기체가 발생하는데, 제 2 유출관(52)은 하우징(5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50)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존 기체를 외부로 유출한다.
제 2 유출관(52)의 외부 측 일단에는 오존 유출 부재(54)가 연결된다. 오존 유출 부재(54)는 하우징(50) 내부의 제 1 공간(11)에서 발생한 오존 기체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유입관(56)은 오존 유출 부재(54)와 제 1 유입관(22)을 연결한다. 즉, 제 2 유입관(56)은 오존 유출 부재(5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유입관(22)의 일 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오존 유출 부재(54)에 의해 제 1 공간(11)에서 펌핑된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 2 유입관(56)을 통해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된 오존 기체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함께 반응기(10,20) 내부의 제 2 공간(21)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정화가 이루어 지게 된다.
이 때, 오존 기체는 강한 살균력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반응하여 공기 혼합되어 있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게 된다.
한편, 제 1 공간(11)과 제 2 공간(21)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1 공간(11)에서 발생한 오존 기체가 오존 유출 부재(54)에 의해 제 2 공간(21)으로 유입됨으로써, 오존기체는 공기와 함께 전자빔에 집중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 때, 오존 기체는 전자빔과 반응하여 오존에 비해 보다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 수산화라디칼 또는 수퍼옥사이드라디칼 등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일반적인 오존 기체를 이용하여 살균할 때 보다 강력하게 살균된다.
제 2 유입관(56)을 통해 반응기(10,20)로 공급되는 오존 기체는 대부분 오염원과 반응하여 산소나 물 등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전환되어 소멸한다. 하지만, 대량으로 발생한 오존 기체가 반응기(10,20)를 통과해 무분별하게 제 1 유출관(24)으로 유출되는 경우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오존 유출 부재(54)는 정화 대상 공기의 유량에 따라 제 2 유출관(52)으로부터 유입된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 2 유입관(56)으로 유출시켜 반응기(10,20)로 공급되는 오존 기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오존 기체가 반응기(10,20)에서 모두 반응하고 제 1 유출관(24)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존 기체의 유출을 추가적으로 막기 위하여, 제 1 필터(30) 또는 제 2 필터(40)가 오존을 포집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유출관(24)에 오존을 포집하는 필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오존 유출 부재(54)는 제 2 유입관(56)으로 배출하는 오존 기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밸브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존 유출 부재(54)는 별도의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오존 유출 부재(54)가 정화 대상 공기의 유량에 따라 오존 기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 2 유입관(56)으로 배출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사항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의 오존 기체 투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의 필터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1)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은 공기 유입 단계(S10), 전자빔 조사 단계(S20), 오존 기체 투입 단계(S30), 필터링 단계(S40) 및 공기 배출 단계(S50)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 단계(S10)에서는 제 1 유입관(22)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 공급 장치, 예를 들면 다중 이용 시설의 공기 순환 장치로부터 정화 대상 공기가 반응기(10,20) 내부로 유입된다.
전자빔 조사 단계(S20)에서는 반응기(10,20)에 형성된 투과부(12)를 통하여 전자빔 조사기(60)에서 조사된 전자빔이 반응기(10,20)로 유입된 공기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원이 1차적으로 제거된다.
오존 기체 투입 단계(S30)에서는 전자빔 조사 시 하우징(50) 내부의 제 1 공간(11) 내에 발생한 오존 기체가 반응기(10,20) 내부에 형성된 제 2 공간(21)으로 투입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 기체 투입 단계(S30)는 오존 기체 유출 단계(S31) 및 오존 기체 유입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오존 기체 유출 단계(S31)에서는 제 1 공간(11)에서 발생한 오존 기체가 오존 유출 부재(54)를 이용하여 하우징(50)에 연결된 제 2 유출관(52)으로 유출된다.
오존 기체 유입 단계(S32)에서는 제 2 유출관(52)으로 유출된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 1 유입관(2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오존 유출 부재(54)에 의해 제 2 유입관(56)으로 유출된다. 이에 따라, 오존 기체의 일부가 제 2 유입관(56)에 연결된 제 1 유입관(22)을 통하여 반응기(10,20)로 투입되어 공기를 살균함으로써, 공기가 2차적으로 정화된다.
한편, 필터링 단계(S40)에서는 제 2 공간(21)으로 이동된 공기가 제 3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에 의하여 필터링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단계(S40)는 제 1 필터 활성화 단계(S41), 제 1 필터링 단계(S42) 및 제 2 필터링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필터 활성화 단계(S41)에서는 전자빔 조사부(62)로부터 조사된 전자빔이 투과부(12)를 투과하여 제 1 필터(30)에 조사됨으로써 제 1 필터(30)의 광촉매가 활성화된다.
제 1 필터링 단계(S42)에서는 제 1 필터 활성화 단계(S41)에서 활성화된 제 1 필터(30)를 제 2 공간(21)의 공기가 통과하면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원이 제 1 필터(30)에 흡착되거나, 공기에 포함된 병원성 오염원이 사멸한다.
제 2 필터링 단계(S43)에서는 제 1 필터(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제 2 필터(40)를 통과하면 물리적으로 필터링된다. 따라서, 제 1 필터(30)를 통과한 각 오염물질 예를 들면, 병원성 오염원의 사체가 제 2 필터(40)에 의하여 필터링된다.
즉 오존 기체에 의해 2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제 1 필터(30) 및 제 2 필터(40)를 거치면서 3, 4차적으로 정화된다.
한편, 공기 배출 단계(S50)에서는 반응기(10,20) 내에서 정화를 마치고 제 3 공간(21)으로 이동된 공기가 제 1 유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공기 정화 시스템 32 제 1 지지 부재
10 반응기 상부 몸체 40 제 2 필터
11 제 2 공간 42 제 2 지지 부재
12 투과부 50 하우징
20 반응기 하부 몸체 51 제 1 공간
21 제 3 공간 52 제 2 유출관
22 제 1 유입관 54 오존 유출 부재
23 걸이부 56 제 2 유입관
24 제 1 유출관 58 배출관
26 제 1 유도벽 60 전자빔 조사기
28 제 2 유도벽 62 조사부
30 제 1 필터 70 제어부

Claims (13)

  1. 내부에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공간 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유입관 및 제 1 유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를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공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필터; 및
    상기 제 1 공간 내 상기 반응기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기;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전자빔이 상기 반응기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반응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빔 조사기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빔 조사구는 상기 전자빔이 상기 투과부를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의 내부로 도달하도록 상기 투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기 정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투과부가 형성된 제 1 반응기 몸체 및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이 형성된 제 2 반응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응기 몸체는 상기 제 2 반응기 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정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반응기 내부로 투과된 상기 전자빔이 상기 제 1 필터의 일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투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공기 정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의 타면과 소정의 간격를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제 1 필터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필터;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은 각각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반응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의 상기 투과부 측 일면이 상기 제 1 유입관 및 상기 제 1 유출관의 중심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공기 정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 1 필터를 먼저 통과할 수 있게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유도벽; 및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상기 유체가 상기 제 2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제 1 유출관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 2 유도벽; 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도벽은 상기 제 1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도벽은 상기 제 1 유출관으로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공기 정화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전자빔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를 화학적으로 정화하고,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상기 유체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 2 유출관;
    상기 제 2 유출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공간에서 발생한 오존 기체를 상기 제 2 유출관으로 유출시키는 오존 유출 부재;
    일단이 상기 오존 유출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유입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유입관; 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 유출 부재는 상기 제 1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기 제 2 유출관으로부터 유출된 상기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 2 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 1 유입관으로 유입시키는, 공기 정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 내부의 상기 제 2 공간으로 상기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 단계;
    상기 반응기로 유입된 상기 공기에 상기 반응기에 형성된 투과부를 통하여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빔 조사 단계;
    상기 전자빔을 조사 시 상기 제 1 공간 내에 발생한 오존 기체를 상기 제 2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오존 기체 투입단계;
    제 2 공간에 위치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여 제 3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필터링 단계; 및
    제 3 공간에 위치한 상기 공기를 상기 제 1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배출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기체 투입단계는
    상기 오존 기체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 2 유출관으로 오존 유출 부재를 통해 유출하는 오존 기체 유출 단계; 및
    상기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기 오존 유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유출관으로 유출된 상기 오존 기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오존 유출 부재와 상기 제 1 유입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로 투입하는 오존 기체 유입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에 전자빔을 조사하는 제 1 필터 활성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제 1 필터에 의해 상기 제 2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화학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링 단계;
    상기 제 1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상기 공기를 제 2 필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링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KR1020200126007A 2020-09-28 2020-09-28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41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07A KR102413539B1 (ko) 2020-09-28 2020-09-28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07A KR102413539B1 (ko) 2020-09-28 2020-09-28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72A true KR20220042772A (ko) 2022-04-05
KR102413539B1 KR102413539B1 (ko) 2022-06-27

Family

ID=811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07A KR102413539B1 (ko) 2020-09-28 2020-09-28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641A (ko) * 2020-11-17 2022-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빔을 이용한 바이오 에어로졸 제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698Y1 (ko) * 2002-05-16 2002-08-13 보람이엔티 (주) 전자빔과 촉매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악취제거장치
KR20200046291A (ko) * 2018-10-24 2020-05-07 한국원자력연구원 전자빔을 이용한 대기정화용 반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698Y1 (ko) * 2002-05-16 2002-08-13 보람이엔티 (주) 전자빔과 촉매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악취제거장치
KR20200046291A (ko) * 2018-10-24 2020-05-07 한국원자력연구원 전자빔을 이용한 대기정화용 반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641A (ko) * 2020-11-17 2022-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빔을 이용한 바이오 에어로졸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539B1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6781B1 (en) A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US9395095B2 (e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shuntable air duct
JP4924570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JP7433234B2 (ja) 流体処理装置
KR2016009781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CN110621353A (zh) 流体处理装置
KR20180113247A (ko) 다양한 구조의 메디아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장치
KR102413539B1 (ko)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272253B1 (ko) 음압과 양압 기능을 갖는 공기 살균기
JP2013508138A (ja) 紫外線照射死角領域を除去した紫外線を利用した殺菌浄化装置
KR101516765B1 (ko) 광촉매 공기 살균정화장치
CN104893951B (zh) 聚合酶链式反应工作站的组合
KR20210078379A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CN114046588B (zh) 具有病毒杀菌功能的空气净化器
EP3964759A1 (en) Device for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JPH10246468A (ja) 滅菌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及び滅菌方法
KR102277275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210047548A (ko)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KR102447989B1 (ko) 피드백 공기 흐름을 갖는 공기살균장치
KR200353057Y1 (ko) 공기조화기용 살균 탈취 소독 장치 및 이 장치가 설치된공기조화기
KR102313683B1 (ko) 다공성 코팅 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291209B1 (ko) 공기 배관설비
EP4142815A2 (en) Sanit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2291210B1 (ko) 덕트 설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