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554A -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554A
KR20220042554A KR1020200125491A KR20200125491A KR20220042554A KR 20220042554 A KR20220042554 A KR 20220042554A KR 1020200125491 A KR1020200125491 A KR 1020200125491A KR 20200125491 A KR20200125491 A KR 20200125491A KR 20220042554 A KR20220042554 A KR 2022004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ainless steel
seated
steel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072B1 (ko
Inventor
안지원
Original Assignee
안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원 filed Critical 안지원
Priority to KR102020012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0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선반, 수납장 등의 다양한 스테인리스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조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어 이송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두 개의 지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부를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베이스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회전하는 연마석을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어를 제거하여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을 연마하는 두 개의 연마부; 및 상기 두 개의 슬라이더부 사이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홈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연마부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DEBURRING DEVICE FOR STAINLESS STEEL PLATES FOR KITCHENWARE MANUFATURING}
본 발명은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선반, 수납장 등의 다양한 스테인리스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조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재, 건재, 주방기기 등에 있어서, 내식성 및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연마 마무리 스테인레스 강판이 사용되는 일이 많아졌다.
종래, 연마 마무리 스테인레스 강판은 연마 벨트나 연마 원반 등을 회전시켜, 그 연마 면에 피연 마강판을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되나, 연마재와 피연마 강판의 속도, 연마 방향이나 연마재의 숫돌 입자의 크기 등에 따라서, HL마무리(광택이 있는 거친 연마 마무리), No.3, No.4 연마 마무리(두 가지 모두 JIS G4305에 규정된 표면 마무리), 버프(buff) 연마 마무리나 경면(유리면) 연마 마무리 등, 여러 가지 연마 마무리가 있다.
이러한 연마 마무리는 최종 마무리로서 이용되고, 냉간 압연후 광휘 어닐링(bright annealing) 또는 대기 어닐링후 산세정을 하고, 조질(調質)압연이나 텐션 레벨러(tension leveller)로 재질, 형상을 고른 후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마 마무리 스테인레스 강판이 차량재, 건재나 주방기기 등의 사람의 손에 닿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 강판의 제조 단계에서 발생되는 버어 등으로 인해 미관상 문제 또는 손이 찔리는 등의 사용상 문제 등이 발생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9676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61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선반, 수납장 등의 다양한 스테인리스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조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어를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어 이송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두 개의 지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부를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베이스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회전하는 연마석을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어를 제거하여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을 연마하는 두 개의 연마부; 및 상기 두 개의 슬라이더부 사이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홈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연마부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_"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는 커버 지지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선반, 수납장 등의 다양한 스테인리스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조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어를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후공정으로 투입됨에 따라 버어로 인한 후공정에서의 후판의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베이스 지지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커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10)는, 이송부(100), 베이스부(200), 두 개의 슬라이더부(300), 두 개의 베이스 지지부(400), 두 개의 연마부(500) 및 커버부(700)를 포한다.
이송부(100)는, 베이스부(200)의 후단에 설치되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가 안착되어 이송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11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두 개의 지지 프레임(120)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를 베이스부(200) 방향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부(100)는, 베이스부(200)의 전단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200)의 후단에도 역시 설치되어 버어의 제거가 완료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를 전달받아 다음 공정이 수행되는 곳으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를 전달할 수 있다.
베이스부(200)는, 이송부(100)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부를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가이드홈(210)이 형성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슬라이더부(300)가 각각 설치되며, 상측에 커버부(700)가 안착된다.
슬라이더부(300)는, 가이드홈(21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200)의 일측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에 연마부(500)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부(300)는, 스테인리스 판재(S)의 좌우 폭에 대응하여 다른 슬라이더부(300)와의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스 지지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하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베이스부(200)를 지지하면서, 버어 제거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킨다.
연마부(500)는, 슬라이더부(300)에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더부(30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회전하는 연마석(510)을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의 측면에 밀착시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어를 제거하여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S)의 측면을 연마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부(500)는, 연마석(510)의 회전을 위해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와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및 제어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700)는, 가이드홈(210)으로 연마된 버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라이더부(300) 사이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가이드홈(210)을 덮고 설치되며, 이동 중인 스테인리스 판재(S)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10)는, 선반, 수납장 등의 다양한 스테인리스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조된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어를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후공정으로 투입됨에 따라 버어로 인한 후공정에서의 후판의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지지부(400)는, 박스형 케이스(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제3 지지부(440) 및 간격조절볼트(4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4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베이스부(20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다.
제1 지지부(420)는,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4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2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부(2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_"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43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440)는,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4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4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부(20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450)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4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450)는, 볼트 본체(4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4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4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451)는,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4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1, 452-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453-1, 453-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454-1, 454-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이스 지지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베이스부(20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간격(t1, t2)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아치 구조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여 베이스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커버부(7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220)에 설치되는 커버 지지부(6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커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대(610), 하부 지지대(6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610)는,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커버부(700)의 하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0)는, 안착홈(220)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6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며, 안착홈(22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며, 안착홈(220)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버 지지부(600)는, 판재(S)의 이동에 따라 판재(S)가 안착되어 있는 커버부(700)로부터 발생되는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10)는, 지지 플레이트(611), 하부홈(612), 간격 지지 탄성체(613), 제1 제동 프레임(614) 및 제2 제동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6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7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613)에 의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612)은, 간격 지지 탄성체(6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613)는, 지지 플레이트(611)와 하부 지지대(6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614)은,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615)은, 제1 제동 프레임(6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620)는, 지지 본체(621), 제1 상하 관통홈(622), 제2 상하 관통홀(623),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6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622)은, 제1 제동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623)은, 제2 제동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6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6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6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2는 도 9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제3 스프라켓(633), 구동 벨트(634), 제동 플레이트(635) 및 제동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631)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632)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633)은, 제1 설치 공간(6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634)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6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6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안착홈(220)의 바닥면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632)와 제3 스프라켓(633)은, 구동 벨트(634)의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6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면(6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6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636)은,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6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6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커버 지지부(600)가 제동 스프링(6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6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커버 지지부(6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100: 이송부
200: 베이스부
300: 슬라이더부
400: 베이스 지지부
500: 연마부
600: 커버 지지부
700: 커버부

Claims (8)

  1.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어 이송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두 개의 지지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부를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베이스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회전하는 연마석을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어를 제거하여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측면을 연마하는 두 개의 연마부; 및
    상기 두 개의 슬라이더부 사이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홈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연마부의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가 안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_"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_"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는 커버 지지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KR1020200125491A 2020-09-28 2020-09-28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KR10243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91A KR102436072B1 (ko) 2020-09-28 2020-09-28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91A KR102436072B1 (ko) 2020-09-28 2020-09-28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54A true KR20220042554A (ko) 2022-04-05
KR102436072B1 KR102436072B1 (ko) 2022-08-24

Family

ID=8118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91A KR102436072B1 (ko) 2020-09-28 2020-09-28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0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160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스트립 측면 부착 이물 제거 장치
KR100296763B1 (ko) 1997-03-21 2001-08-30 아사무라 타카싯 얼룩제거성이우수한연마마무리스테인레스강판및그제조방법
KR20030006144A (ko) *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전환 용접기 펀처
KR200419610Y1 (ko) 2006-04-11 2006-06-21 장호진 스테인레스연마기의 연마롤러장치
KR20110076024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버어 제거 장치
KR20130125267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의 버어 제거 장치
KR20200013422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전단 측면 버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63B1 (ko) 1997-03-21 2001-08-30 아사무라 타카싯 얼룩제거성이우수한연마마무리스테인레스강판및그제조방법
KR20010064160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스트립 측면 부착 이물 제거 장치
KR20030006144A (ko) *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전환 용접기 펀처
KR200419610Y1 (ko) 2006-04-11 2006-06-21 장호진 스테인레스연마기의 연마롤러장치
KR20110076024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버어 제거 장치
KR20130125267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의 버어 제거 장치
KR20200013422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전단 측면 버어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072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2160B2 (en) Drawer sliding structure
KR102436072B1 (ko) 주방용품 제작을 위한 스테인리스 판재의 버어 제거 장치
KR102441164B1 (ko) 의류 재고 관리를 위한 의류 이송 장치
JP2005533710A (ja) 車両座席用の長手方向アジャスタ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US2909802A (en) Sliding door closure
CN101383068A (zh) 收银箱中底板与抽屉的安装结构
KR102445692B1 (ko) 발열 골프장갑 제조 장치
KR102306191B1 (ko) 밴딩장치
US1810378A (en) Base for typewriters and other articles
TWM551642U (zh) 滑動門的滑動裝置
CA2470751A1 (en) Dishwasher rack guide
AU2018201609B2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CN203202111U (zh) 滑动式阻尼机构
JP4221587B2 (ja) 自動車用多目的キャビネット
CN212296083U (zh) 一种推拉门限位机构
CN206197576U (zh) 一种适用于电动摇篮的滑动装置
US1855782A (en) Support for phonographic machines
KR200460904Y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간이 테이블
GB2547197A (en) Carriage for sliding door
JP3019736U (ja) 収納棚
AU2018201616A1 (en) Railway car truck friction shoe
CN209778003U (zh) 一种具有支撑防护功能的电梯用涨紧轴装置
KR102420471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