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172A -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 Google Patents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172A
KR20220042172A KR1020227006462A KR20227006462A KR20220042172A KR 20220042172 A KR20220042172 A KR 20220042172A KR 1020227006462 A KR1020227006462 A KR 1020227006462A KR 20227006462 A KR20227006462 A KR 20227006462A KR 20220042172 A KR20220042172 A KR 20220042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bd
scn1a
animals
thc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가이
벤자민 웰리
파비트라 파트라
Original Assignee
지더블유 리서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더블유 리서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더블유 리서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61P25/10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for petit-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에서 질환 변형(disease modifica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칸나비디올(CBD: cannabidiol)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CBD는 드라베 증후군을 갖는 환자에서 신생아 안녕(neonatal welfare), 생존 및 중복이환(co-morbidity)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CBD는, 98% (w/w) 이상의 CBD 및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포함하는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형태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0.1% (w/w) 이하의 농도의 THC; 0.15% (w/w) 이하의 농도의 CBD-C1; 0.8% (w/w) 이하의 농도의 CBDV; 및 0.4% (w/w) 이하의 농도의 CBD-C4이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trans-THC와 cis-THC 둘 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합성적으로 생성된 CBD가 사용된다.

Description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본 발명은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에서 질환 변형(disease modifica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칸나비디올(CBD: cannabidiol)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CBD는 드라베 증후군을 갖는 환자에서 신생아 안녕(neonatal welfare), 생존(survival) 및 중복이환(co-morbidity)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CBD는, 98% (w/w) 이상의 CBD 및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포함하는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형태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0.1% (w/w) 이하의 농도의 THC; 0.15% (w/w) 이하의 농도의 CBD-C1; 0.8% (w/w) 이하의 농도의 CBDV; 및 0.4% (w/w) 이하의 농도의 CBD-C4이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trans-THC와 cis-THC 둘 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합성적으로 생성된 CBD가 사용된다.
뇌전증(epilepsy)은 세계 인구 중 대략 1%에서 발생하며(Thurman , 2011), 이 중 70%는 이의 증상을 입수 가능한 기존의 항뇌전증 약물(AED)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 군(group) 중 30%(Eadie , 2012)는 입수 가능한 AED로부터 발작 완전 소실률(seizure freedom)을 수득할 수 없으며, 이에 난치성(intractable) 또는 "치료-저항성 뇌전증"(TRE: treatment-resistant epilepsy)을 앓고 있다고 한다.
난치성 또는 치료-저항성 뇌전증은 2009년에 세계 뇌전증 연맹(ILA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에 의해 "지속된 발작 완전 소실률을 달성하기 위한 2개의 관용되며 적절하게 선택되고 사용된 AED 스케쥴(단독치료법으로서 또는 조합되든지 간에)의 적절한 시험의 실패(failure of adequate trials of two tolerated and appropriately chosen and used AED schedules (whether as monotherapies or in combination) to achieve sustained seizure freedom)"(Kwan , 2009)로서 정의되었다.
생애 처음 몇년 동안 뇌전증을 발증하는(develop) 개체는 종종 치료가 어렵고 이에 종종 치료-저항성이라고 한다. 아동기에 빈번한 발작을 겪는 아동에게는 종종, 인지, 행동 및 운동 지체를 야기할 수 있는 신경학적 손상이 남게 된다.
아동기 뇌전증은 100,000명당 대략 700명의 유병률(prevalence)을 갖는, 아동 및 청소년에서 상대적으로 보편적인 신경학적 장애이다. 이는 집단당 뇌전증 성인 수의 2배이다.
아동 또는 청소년이 발작을 나타날 때, 통상적으로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조사가 이루어진다. 아동기 뇌전증은 많은 상이한 증후군 및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에 이러한 아동에 대한 진단은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뇌전증의 주요 증상은 반복된 발작이다. 환자가 앓고 있는 뇌전증 또는 뇌전증 증후군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발작의 유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임상적 관찰 및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phy) 검사가 수행되고, 발작의 유형(들)은 ILEA 분류에 따라 분류된다.
발작이 양측으로(bilaterally) 분포된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고 신속하게 연계되는(engage) 전신 발작(generalised seizure)은 6개의 하위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강직-간대성(tonic-clonic)(대(grand mal)) 발작; 결신(absence)(소(petit mal)) 발작; 간대성 발작; 강직성 발작; 무긴장성(atonic) 발작 및 근간대성(myoclonic) 발작.
발작이 단지 하나의 반구(hemisphere)로 제한된 네트워크 내에서 기원하는 국소(부분) 발작 또한 하위-범주로 나뉜다. 본원에서, 발작은 기운(aura), 운동(motor), 자율신경계(autonomic) 및 자각 / 반응성을 포함하여 발작의 하나 이상의 특질에 따라 특징화된다. 발작이 국재화된(localized) 발작으로서 시작하고 급속하게 진화하여 양측 네트워크 내에서 분포되는 경우, 이러한 발작은 양측 경련성 발작(bilateral convulsive seizure)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2차 전신 발작(secondary gneralized seizure)(국소 발작으로부터 진화하였고 더 이상 국재화된 상태로 있지 않음)을 대체하도록 제안된 용어이다.
대상체의 자각 / 반응성이 변경되는 국소 발작은 손상을 갖는 국소 발작으로 지칭되고, 대상체의 자각 또는 반응성이 손상되지 않는 국소 발작은 손상이 없는 국소 발작으로 지칭된다.
뇌전증 증후군(epileptic syndrome)은 종종 많은 상이한 유형의 발작을 나타내며, 표준 AED 중 많은 것이 치료하도록 표적화되거나 주어진 발작 유형 / 하위유형에 대해서만 효과적이므로 환자가 앓고 있는 발작의 유형을 식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나의 이러한 아동기 뇌전증은 드라베 증후군이다. 드라베 증후군의 발병(onset)은 거의 항상, 이전에는 건강하고 발달적으로 정상인 유아에서 생애 첫해 동안 간대성 및 강직-간대성 발작으로 발생한다(Dravet, 2011). 증상은 약 5개월째에 피크를 이룬다. 다른 발작, 예컨대 연장된 국소 인식장애 발작(prolonged focal dyscognitive seizure) 및 잠깐 동안의 결신 발작(brief absence seizure)은 1세 내지 4세 사이에 발증한다.
드라베 증후군 환자는 국소 발작과 전신 발작을 둘 다 앓고, 또한 무정형 결신 발작(atypical absence seizure), 근간대성 결신 발작, 무긴장성 발작 및 비-경련성 간질중첩증(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을 경험할 수 있다.
발작은 빈번하고 치료-저항성으로 진행되며, 이는 발작이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발작은 또한, 연장되는 경향이 있으며 5분 초과 지속된다. 연장된 발작은, 30분 초과 지속되는 발작 또는 잇따라서 무리지어 발생하는 발작인 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을 유발할 수 있다.
예후는 불량하며, 아동 중 대략 14%는 발작 동안 감염때문에 또는 불명확한 원인으로 인해 급작스럽게, 종종 끊임없는 신경학적 쇠약(relentless neurological decline)때문에 사망한다. 환자는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및 일생 내내 지속되는(lifelong ongoing) 발작을 발증한다. 지적 장애(intellectual impairment)는 50% 환자에서 중증으로부터, 각각 사례의 25%에 대해 중등도(moderate) 및 경증(mild) 지적 장애까지 다양하다.
드라베 증후군에 대해 특정하게 지시된 유일한 FDA 승인 치료는 Epidiolex®(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칸나비디올)이다. 다른 보편적으로 처방되는 약물은 하기 항경련제(anticonvulsant)의 조합을 포함한다: 클로바잠(clobazam), 클로나제팜(clonazepam), 레베티라세탐(levetiracetam),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및 발프로산(valproic acid)의 조합을 수반한다.
스티리펜톨(stiripentol)은 유럽에서 클로바잠과 발프로산과 함께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용으로 승인된 것이다. 미국에서, 스티리펜톨은 2008년에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용으로 희귀 지정(Orphan Designation)으로 허락되었으나; 약물이 FDA 승인된 것은 아니다.
뇌전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나트륨 채널 차단제는 드라베 증후군 환자에서 발작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금지된다. 가장 보편적인 것이 페니토인(phenytoin),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라모트리긴(lamotrigine) 및 루피나마이드(rufinamide)이다.
관리(management)는 또한, 케톤체생성 식이요법(ketogenic diet), 및 신체적 및 미주 신경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항경련성 약물 외에도, 많은 드라베 증후군 환자는 항-정신성 약물(anti-psychotic drugs), 자극제, 및 불면증 치료 약물로 치료된다.
칸나비스(cannabis) 식물로부터의 비-향정신성(non-psychoactive) 유도체인 칸나비디올(CBD)은 동물 모델과 인간 둘 다에서 몇몇 일화적인(anecdotal) 보고서, 전임상 및 임상 연구에서 항경련제(anti-convulsant) 특성을 실증하였다. 3개의 무작위배정된 대조 시험은 드라베 및 레녹스-가스토(Lennox-Gastaut) 증후군을 갖는 환자에서 CBD의 정제된 약학적 제형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3개의 시험에 기초하여,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는 2018년 6월에 FDA에 의해 드라베 증후군 및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관련된 발작의 치료용으로 승인되었다.
에피디오렉스(Epidiolex)에 대한 미국 FDA 라벨은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구체적으로 이 증후군과 관련된 발작의 치료를 위한 CBD의 사용을 개시한다.1 이는, CBD 사용이 행동 중복이환(behavioural comorbidity), 예컨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인지를 개선시킬 수 있다고 개시하지 않거나 심지어 시사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는 적어도 2세 이상의 환자에서 사용하도록 지시된다.
2019년에 Huestis 은 CBD의 부작용(AE) 또는 독성의 연구에 기초한 검토를 보고하였다.2 마찬가지로, 행동 중복이환에 미치는 CBD의 효과에 대한 어떠한 개시도 없으며, 나아가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은 0.4세 내지 62세 범위이다.
Silvestro 은 상이한 형태의 뇌전증에서 CBD 치료를 연구한 최근의 문헌 및 임상 시험의 검토를 공개한 한편,3 2019년에 Laux 에 의해 발표된 분석은 LGS 또는 DS를 갖는 환자에서 CBD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EAP; Expanded Access Program)에서 살펴보았다.4 상기 문헌에 대해, 이러한 논문에서 행동 중복이환에 미치는 CBD의 효과에 대한 어떠한 개시도 없으며, 치료되는 환자의 연령은 유아기부터 줄곧 시작한다.
출원인은, 드라베 증후군의 급성 마우스 모델에서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사용이 생존을 증가시키고 신생아 안녕의 악화를 지연시켰음을 밝혀내었다. 드라베 증후군의 만성 마우스 모델에서, CBD 투여는 운동 기능 및 보행에 임의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기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사회적 행동 및 기억 기능을 개선시키고 불안-유사 및 우울증-유사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칸나비디올(CBD) 제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CBD 제제는 98% (w/w) 이상의 CBD 및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며,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노이드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칸나비디올-C1(CBD-C1); 칸나비디바린(CBDV); 및 칸나비디올-C4(CBD-C4)를 포함하고, THC는 trans-THC와 cis-THC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신생아 안녕의 개선이다. 대안적으로,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행동 중복이환의 개선이다.
일 구현예에서, 행동 중복이환은 인지의 개선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행동 중복이환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개선이다.
바람직하게는 CBD는 칸나비스(cannabis) 식물 재료로부터 단리되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BD 제제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칸나비스 식물 재료로부터 단리된다.
대안적으로, CBD는 합성 제제로서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BD 제제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합성적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CBD의 용량은 5 mg/kg/일 초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BD의 용량은 20 mg/kg/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BD의 용량은 25 mg/kg/일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CBD의 용량은 50 mg/kg/일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드라베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질환 변형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칸나비디올(CBD) 제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환자는 포유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더 기재되며, 도면에서:
도 1은 신생아 안녕(TNW) 점수 및 생존에서 야생형(WT) 마우스 및 Scn1a-/- 마우스에게 CBD의 만성 투여를 도시한다. A: 신생아 안녕 점수 및 B: 생존;
도 2는 생존에서 Scn1a+/- 마우스에게 CBD의 만성 투여를 도시한다. 실험의 완료(P52) 시까지 생존한 Scn1a+/- 비히클-치료 동물 및 Scn1a+/- CBD-치료 동물의 A: 생존 및 B: 백분율;
도 3은 운동 기능 및 보행에서 Scn1a+/- 마우스에게 CBD의 만성 투여를 보여주는 박스 및 위스커(whisker) 플롯을 도시한다. A: 가속화된 로타로드(rotarod)에서 소모된 평균 시간(초); B: 정적 빔(static beam) 시험에서 이루어진 발 미끄러짐(foot slip)의 횟수 중앙값; C: 평균 좌측 활보(stride) 길이(mm); D: 평균 우측 활보 길이 및 E: 평균 보폭; 및
도 4는 능동적 사회적 상호작용, 뒷발로 서기(rearing), 불안-유사 및 우울증-유사 행동 및 인지에 미치는 Scn1a+/- 마우스에게 CBD의 만성 투여 효과를 보여주는 박스 및 위스커 플롯을 도시한다. A: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능동적 상호작용에 소모된 평균 시간(초); B: 사회적 상호작용 시험에서 이루어진 뒷발로 서기의 횟수 중앙값; C: 십자형 높은 미로(EPM; Elevated Plus Maze) 시험에서 열린 아암(open arm)에 소모된 평균 시간(초); D: 수크로스 선호도(Sucrose Preference) 시험에서 평균 수크로스 선호도(%); E: 평균 기준 기억 오류(RME; reference memory error); 및 F: 작업 기억 오류(WME; working memory error) 중앙값.
정의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 중 일부의 정의는 하기에 상술된다:
현재까지 100개가 넘는 상이한 칸나비노이드가 식별되었고, 예를 들어, 문헌[Handbook of Cannabis, Roger Pertwee, 챕터 1, 3쪽 내지 15쪽]을 참조한다. 이러한 칸나비노이드는 하기와 같이 상이한 군으로 나뉠 수 있다: 피토칸나비노이드(Phytocannabinoid); 엔도칸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 및 합성 칸나비노이드(신규 칸나비노이드 또는 합성적으로 생성된 피토칸나비노이드 또는 엔도칸나비노이드일 수 있음).
"피토칸나비노이드"는 자연으로부터 기원하고 칸나비스 식물에서 발견될 수 있는 칸나비노이드이다. 피토칸나비노이드는 식물로부터 단리되어 고도로 정제된 추출물을 생성할 수 있거나 합성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고도로 정제된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식물로부터 추출되고, 칸나비노이드와 함께 공동추출되는 다른 칸나비노이드 및 비-칸나비노이드 성분이 제거되는 정도까지 정제되어서, 고도로 정제된 칸나비노이드가 95% (w/w) 이상 순수하도록 된 칸나비노이드로서 정의된다.
"합성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노이드 또는 칸나비노이드-유사 구조를 갖고 식물에 의해서보다는 화학적 수단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화합물이다.
피토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노이드를 추출하는 데 사용된 방법에 따라 중성(탈카르복실화된 형태) 또는 카르복실산 형태로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형태의 가열은 대부분의 카르복실산 형태가 중성 형태로 탈카르복실화되도록 야기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등가 용량(equivalent dose) 계산****
상세한 설명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제조
하기는, 98% w/w 이상의 CBD 및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하는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가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오픈 라벨(open label),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에 사용되었음을 기재한다.
요약에서, 이 시험에서 사용된 약물 성분은, CBD를 산출하기 위해 용매 결정화 방법에 의해 추가로 정제되었었던 칸나비스 사티바 엘.(Cannabis sativa L.)의 고-CBD 함유 화학형의 액체 이산화탄소 추출물이다. 결정화 과정은 95% CBD w/w 초과, 전형적으로 98% w/w 초과의 CBD를 산출하기 위해 다른 칸나비노이드 및 식물을 특이적으로 제거한다.
칸나비스 사티바 . 식물은 성장되며, 수합되고, 가공되어 식물학적 추출물(중간산물)을 생성한 다음, 결정화에 의해 정제되어, CBD(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를 산출한다.
식물 출발 물질은 식물학적 원료(BRM: Botanical Raw Material)로 지칭되며; 식물학적 추출물은 중간산물이고; 활성 약학적 성분(API: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은 약물 성분인 CBD이다.
과정의 모든 파트는 세부 사항에 의해 제어된다. 식물학적 원료 세부 사항은 표 A에 기재되어 있고, CBD API는 표 B에 기재되어 있다.
표 A: CBD 식물학적 원료 세부 사항
Figure pct00001
표 B: 예시적인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의 세부 사항
Figure pct00002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의 순도는 98% 이상이었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는 THC 및 다른 칸나비노이드, 예를 들어, CBDA, CBDV, CBD-C1, 및 CBD-C4를 포함한다.
칸나비스 사티바 . 식물의 별개의 화학형은 특정 화학적 구성분인 칸나비노이드의 산출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생성되었다. 소정의 화학변종(chemovar)은 주로 CBD를 생성한다. 단지 CBD의 (-)-trans 이성질체는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제 동안, CBD의 입체화학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CBD 식물학적 약물 성분의 생성
식물학적 추출물인 중간산물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의 개요는 하기와 같다:
a) 성장 단계
b) 직접적인 건조 단계
c) 탈카르복실화 단계
d) 추출 단계 - 액체 CO2를 사용함
e) 에탄올을 사용한 동결방지처리(winterization) 단계
f) 여과 단계
g) 증발 단계.
높은 CBD 화학변종은 필요할 때까지 건조실에서 성장되며, 수합되고, 건조되고, 더미로 뭉쳐지며(bale), 보관되었다. 식물학적 원료(BRM)는 1 mm 스크린이 장착된 Apex 밀(mill)을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쇄되었다. 밀링된(milled) BRM은 추출 전에 냉동고에 보관되었다.
CBD로의 CBDA의 탈카르복실화는 열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BRM은 115℃에서 60분 동안 탈카르복실화되었다.
추출은 액체 CO2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식물학적 약물 성분(BDS)을 생성하였으며, 그 후에 이를 결정화하여, 시험 물질을 생성하였다. 조(crude) CBD BDS는 동결방지처리되어, 표준 조건(-20℃에서 대략 50시간 동안 2 부피의 에탄올) 하에 추출물을 정제(refine)하였다. 침전된 왁스는 여과에 의해 제거되고, 용매는 제거되어 BDS를 산출하였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의 생성
BDS로부터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를 생성하기 위한 제조 단계는 하기와 같았다:
a) C5-C12 직쇄 또는 분지형 알칸을 사용한 결정화 단계
b) 여과 단계
c) 진공 건조 단계.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BDS는 C5-C12 직쇄 또는 분지형 알칸에 분산되었다. 혼합물은 수동으로 진탕(agigate)되어 임의의 덩어리를 부순 다음, 밀봉된 용기는 냉동고에 대략 48시간 동안 놓였다. 결정은 진공 여과를 통해 단리되며, 냉각(cold) C5-C12 직쇄 또는 분지형 알칸의 분취액으로 세척되고, 60℃의 온도에서 <10 mb의 진공 하에 건조될 때까지 건조되었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 제제는 FDA 식품 등급 승인된 실리콘 밀봉(seal) 및 클램프(clamp)와 함께 약학적 등급의 스테인리스강 용기에서 -20℃에서 냉동고에 보관되었다.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물리화학적 특성
본 발명에 기재된 임상 시험에 사용된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는 98% (w/w) 이상의 CBD 및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0.1% (w/w) 이하의 농도의 THC; 0.15% (w/w) 이하의 농도의 CBD-C1; 0.8% (w/w) 이하의 농도의 CBDV; 및 0.4% (w/w) 이하의 농도의 CBD-C4이다.
추가로 사용되는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는 trans-THC와 cis-THC 둘 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trans-THC : cis-THC의 비는 변경되고, 가공 및 정제 과정에 의해 제어되며, 이의 비정제된 탈카르복실화된 상태에서 3.3:1(trans-THC:cis-THC) 내지 고도로 정제될 때 0.8:1(trans-THC:cis-THC)의 범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에서 발견되는 cis-THC는 (+)-cis-THC 이소형(isoform)과 (-)-cis-THC 이소형 둘 다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분명하게도, CBD 제제는 2벌(duplicate) 구성요소와 함께 조성물을 생성함으로써 합성적으로 생성될 수 있었다.
하기 실시예 1은, CBD가 생존을 증가시키고 신생아 안녕의 악화를 지연시켰던, 드라베 증후군의 급성 마우스 모델에서 식물학적으로 유래된 정제된 CBD의 용도를 기재한다. 드라베 증후군의 만성 마우스 모델에서, CBD 투여는 운동 기능 및 보행에 임의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기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사회적 행동 및 기억 기능을 개선시키고 불안-유사 및 우울증-유사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1: 생존 및 중복이환을 시험하기 위한 드라베 증후군의 급성 및 만성 마우스 모델에서 칸나비디올(CBD)
방법
연구 I: Scn1a -/- 마우스에서 신생아 안녕 및 생존의 평가
동물:
129S-Scn1a tm1Kea/Mmjax 이형접합체 마우스(Jackson Laboratory, USA)를 함께 유지시키고 사육하여, 이 연구에 사용되는 Scn1a-/- 동물 및 야생형(WT) 동물을 수득하였다(군(group)당 n=10).
연구 동물(Scn1a-/-/WT 마우스)에서 관찰된 임의의 매개변수가 어미의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장하기 위해 어미(dam)의 모계 행동을 또한 동시에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어미 점수는 연구 전반에 걸쳐 0에 머물러 있었고, 따라서 새끼(pup)의 반응은 모계 행동에서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연구의 종료 시, 동물을 스케쥴 1 방법(경추 탈구)에 의해 인도적으로 사망시켰다.
실험 설계:
유전자형분석 후, 동물을 WT 비히클-치료, WT CBD-치료, Scn1a-/- 비히클-치료 및 Scn1a-/- CBD-치료(n=10/군)의 4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이들에게 P8로부터 P25 또는 사망 시(어느 것이 더 먼저인가에 따라)까지 CBD(100 mg/kg) 또는 이의 비히클(에탄올: Kolliphor®: 0.9% 식염수=2:1:17)을 매일 2회 피하 주사하였다.
매일 2회 안녕 검진(welfare check)을 연구 전체 기간 전반에 걸쳐 수행하였다. 약물 투여를 0800 h에 수행하고, 뒤이어 안녕 검진을 수행하였다. 대조적으로, 오후 안녕 검진을 1600 h로부터 수행하고, 뒤이어 약물을 투여하여, 용량 사이의 최대 가능 시간(maximum possible time)을 제공하였다.
안녕 점수의 평가:
실험자가 치료와 유전자형 둘 다에 대해 맹검인 채로 남아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동물의 유전자형 및 이러한 동물에게 주어진 치료(CBD/비히클)에 대한 정보가 결여된 맹검 스프레드시트(blinded spreadsheet)를 사용하여 신생아의 안녕 채점을 매일 2회 수행하였다. 신생아 안녕 채점은 뮤린 모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이전에 확증된 표준화된 접근법에 기초하였다(Langford 등, 2010; Ullman-Cullere & Foltz, 1999; Wolfensohn & Lloyd, 2007).
안녕 평가에 사용되는 매겨변수는 하기와 같았다: 체중, 자연적인 활동(NA(natural activity); 0 내지 3), 터치에 대한 반사 작용/반응(RT; 0 내지 3), 안와 조임(OT(orbital tightening); 0 내지 2), 및 신체 충실 점수(BC(body condition score); 1 내지 3). NA, RT, 및 ST로부터의 점수를 함께 합하여 총 신생아 안녕 점수(TNW; 범위 0 내지 8)를 계산하였다.
생존의 평가:
사망을 예측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과 함께 확증된 안녕 채점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동물 고통을 최소화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델이 사망을 예측한 임의의 동물을, 질환의 최대 중증도를 견디기 전 0.5일째에 희생시킬 수 있었다. 모델은, 질환의 최대 중증도를 나타내었고 자연사로 사망한(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음) 비치료 Scn1a-/- 마우스(n=19)로부터 수득된 선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망을 예측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 알고리즘에서,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사망을 예측하기 위한 각각의 매개변수(TNW, NA, RT, OT, BC 점수)에 대한 역치를 수득하였다: (i) 각각의 동물에 대해 생후부터 모든 반나절을 측정한 각각의 매개변수를, 1.5일 범위(window)와 함께 이동 평균(moving mean)으로 평균화한다; (ii) 19 마리의 동물의 사망 전 0.5일에 걸쳐 이러한 동물에 걸쳐 관찰된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한 최소 중증 점수(least severe score)를 확인하였다; (iii) 연구에서 동물에 의해 나타난 5개 매개변수 각각을 (ii)에서 1일 2회 수득된 점수와 비교하였다; (iv) 5개 매개변수 각각이 P8로부터 적어도 1회 (ii)에서 정의된 이의 각각의 역치에 도달하였다면, 동물은 0.5일 이내에 스케쥴 절차(경추 탈구)를 받을 것이다. 추가로, 표면 온도(ST) 역치를 이용하여, 마지막 1.5일에 걸쳐 ST 점수의 합계가 3 이상이라면, 동물이 0.5일 이내에 경추 탈구에 의해 사망되게 할 것이다.
연구 II: Scn1a+/- 마우스에서 생존 및 중복이환의 평가
동물:
동물을, 각각의 동물을 개별적으로 사육하였을 때 수크로스 선호도 동안 3일을 제외하고는 연구 II 전반에 걸쳐 군(group)으로 사육하였다. 이 실험을 암실(어두침침한 적색광, 8:00-20:00 h)에서 수행하였다. 수컷 129S-Scn1 atm1Kea/Mmjax 이형접합체 마우스(Jackson Laboratory, USA)를 암컷 야생형 C57BL/6 마우스(Charles River, UK)와 함께 사육하여, Scn1a+/- 및 야생형(WT) 한배새끼(littermate) 마우스를 수득하였고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종료 시, 동물을 경추 탈구에 의해 인도적으로 사망시켰다.
실험 설계:
여기서, Scn1a+/-를 2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이들에게 P8로부터 P52 또는 사망 시(어느 것이 더 먼저인가에 따라)까지 줄곧 CBD(100 mg/kg 매일 2회; n=12) 또는 이의 비히클(에탄올: Kolliphor®: 0.9% 식염수=2:1:17, n=29)을 피하 주사하였다.
유사하게는, 연구의 전체 기간 동안 야생형(WT) 한배새끼 마우스(n=11)에게 비히클을 주사하였다. 비히클-치료 Scn1a+/-에서 P20과 P27 사이에 유의한 수의 사망(약 60%)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점을 고려하여, 더 큰 초기 군 크기를 이용하여, P35로부터 줄곧 행동 평가를 위해 최소 n=10 동물/군을 수득하였다.
생존의 평가:
이 모델에서 발작-관련 사망은 예측 불가능하였으므로, 동물을 연구 전반에 걸쳐 계속(24hx7일) 비디오로 모니터링하였고, 관찰된 임의의 사망률을 이용 가능한 비디오 장면과 교차 검증하여, 사망 원인을 확인하였다.
운동 기능의 평가:
가속화된 로타로드 및 정적 빔 시험에 의해 동물에서의 미세한 운동 제어를 평가하였다. 동물을 2일 동안 1일 2분 동안 정지형 로타로드에 적응시켰다. 가속화된 로타로드 시험에서, 각각의 마우스를 선형으로 가속화하는 로드(5분에 걸쳐 4 내지 40 rpm; LE8500, Letica Scientific Instruments, UK)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시키고, 로드로부터 낙하하기까지의 평균 잠복기(latency)(최대 300초)를 3개의 연속 시험으로부터 계산하였다(시험 사이에 2분 간격).
정적 빔 과제를 추가로 이용하여, 균형 및 조정력(coordination)을 분석하였고(Sedy, Urdzikova, Jendelova, & Sykova, 2008), 여기서 동물은 원통형 상승 빔(cylindrical elevated beam)(100 cm 길이, 0.9 cm 직경 및 바닥으로부터 50 cm 높이)을 따라 걷고 빔 말단에서 어두운 인클로저(enclosure)로 들어가야 했다. 시험일 전 3일 연속일 동안 마우스를 과제에 적응시켰다. 적응 기간의 각각의 일자에, 동물을 인클로저로부터 30, 60 및 100 cm 거리에 배치시키고, 빔을 따라 횡단하게 두었다. 시험일에, 각각의 마우스는 2개의 연속 시험(시험 사이에 2분 간격)을 수행하였고, 과제를 완료하는 데 최대로 주어진 시간은 2분이었다(코가 박스에 진입하는 것을 과제 완료로서 간주하였음). 시험을 비디오(Sony DCR-SX21E)로 모니터링하였고, 맹검 오프라인 분석을 수행하여(Observer XT 12, Noldus, The Netherlands) 2개의 연속 시험으로부터 이루어진 발 미끄러짐의 평균 횟수를 평가하였다.
보행의 평가:
보행 시험을 수행하여, 동물의 소뇌 기능을 평가하였다(Patel & Hillard, 2001). 이 시험에서, 각각의 마우스의 뒷발을 무독성 잉크로 표시하고, 주문-제작된 플렉시글라스 터널(50Х10Х10 cm)의 바닥 상에 배치된 백색 종이(50X10 cm) 상을 마우스가 걷게 하였다. 좌측 및 우측 활보 길이를 수득하기 위해, 2개의 동측(ipsilateral) 발 프린트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반면, 우측 각도에서 발자국과 이의 반측(contralateral) 활보 길이 사이의 거리로부터 보폭을 계산하였다(Wecker 등, 2013). 처음 발자국 및 마지막 발자국은 측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모든 동물을 시험 전 2일 동안 시험 절차 및 장치에 적응시켰다. 시험일에, 2개의 시험을 각각의 동물에 대해 수행하여, 해당 동물에 대한 평균 활보 길이(좌측 또는 우측) 및 폭을 수득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평가:
사회적 상호작용 시험을 시험 마우스의 홈 케이지에서 수행하여, 동물의 사회적 행동을 평가하였다(Sato, Mizuguchi, & Ikeda, 2013). 시험일에, 케이지 메이트(mate)(들)를 시험 마우스의 홈 케이지로부터 제거하고, 마우스를 15분 동안 고립시켰다. 그 후에, 시험 마우스와 동일한 계통(strain), 동일한 성별 및 유사한 체중의 신규 야생형 마우스를 시험 마우스의 홈 케이지에 넣었다. 활동을 10분 동안 비디오(Sony DCR-SX21E)로 기록하고, 수득된 비디오 파일을 모든 실험의 종료 시 맹검화하였다. 능동적 상호작용(예를 들어, 근접 뒤따름(close following), 킁킁거리며 냄새맡기(sniffing), 알로그루밍(allogrooming)/사회적 그루밍 및 마운팅)에서 소모된 시간 및 뒷발로 서기(앞발을 공중에 들어올림) 사례의 횟수를, Observer XT 12(Noldus, Netherlands)를 사용하여 오프라인에서 코딩하였다. 공격적 행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여겨지지 않았고 코딩되지 않았다. 이 시험에서, 감소된 사회적 상호작용은 자폐증-유사(autistic-like) 행동으로서 여겨지는 한편(Sato 등, 2013), 증가된 뒷발로 서기 사례는 방어적 탈출(defensive escape)의 징후이다(Kaplan 등, 2017).
불안-유사 행동의 평가:
십자형 높은 미로(EPM) 시험을 수행하여, 동물에서 불안의 수준을 평가하였다(M. Chen 등, 2017). 나무로 된 시험 장치는 중심 플랫폼(10Х10 cm)을 통해 연결되고 바닥 위로 50 cm 높이에서 들어올려진 2개의 닫힌 아암(closed arm)(50Х10 Х40 cm) 및 2개의 열린 아암(50Х10 cm)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동물을 열린 아암 쪽으로 향하는 중심 플랫폼 상에 배치시켰다. 활동을 5분 동안 비디오(Swann SRDVR-16440H, UK)로 기록하였다. 비디오 파일을 맹검화시키고, Observer XT 12(Noldus, Netherlands)를 사용하여 모든 실험의 종료 시 오프라인에서 코딩하였다. 열린 아암 상에서 소모된 시간은 불안의 수준과 역의 관계가 있었다.
우울증-유사 행동의 평가:
수크로스 선호도 시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유사 행동을 평가하였다(Serova, Mulhall, & Sabban, 2017). 동물을 이 시험 동안 별도로 사육하였다. 여기서, 시험 전 24시간째에, 각각이 2%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2개 병을 마시도록 동물을 훈련시켰다. 시험 첫날에, 동물에게 2% 수크로스의 미리-칭량된 병 및 미리-칭량된 부피의 수돗물을 함유하는 또 다른 병을 제공하였다. 병의 위치를 24시간 후 바꾸어서, 임의의 부 선호도(side preference)를 피하였다. 48시간 후, 병을 둘 다 칭량하고, 하기 식을 사용함으로써 수크로스 선호도를 계산하였다:
수크로스 선호도 (%) = 수크로스 소모 / 수크로스 소모 + 물 소모 Х 100
인지의 평가:
8개의 아암(각각의 아암 60Х10 cm; 바닥으로부터 50 cm 높이 들어올려짐)으로 구성된 방사형 아암 미로(RAM; radial arm maze)를 사용하여, 동물의 기준 기억(RM) 및 작업 기억(WM)을 평가하였다. 4일 연속일 시, 동물이 시험 장치 및 시험 규칙에 적응하도록 2개의 10-분 기간을 주었고, 이 기간을 90분 간격으로 분리하였다. 적응의 처음 2일 동안, 사료 보상물(1/4 Cheerios®, Nestle)을 각각의 아암의 말단에서 모든 아암 및 사료통을 피복하는(covering) 장치의 바닥 상에 무작위로 흩어 놓았다. 제3 및 제4 적응일에, 사료 보상물을 4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아암의 사료통에만 배치하였다(적응일 및 시험일 동안 각각의 동물에 대해 고정됨). 시험(적응일 및 시험일 둘 다 동안) 전 4시간 내지 6시간째에 사료를 치워서, 동물이 보상물을 찾고 과제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시험일에 10분간의 2개 시험을 90분 간격으로 수행하고, 실험의 종료 후 오프라인 맹검된 코딩을 위해 동물의 활동을 비디오로 기록하였다. 비-유인된 아암으로의 진입을 기준 기억 오류(RME)로서 여긴 반면, 사료가 이미 놓였던 이전에 유인된 아암으로의 재진입을 작업 기억 오류(WME)로 여긴다. 2개 시험 시도로부터의 평균 WME 또는 RME를 계산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데이터 및 통계학적 분석은 실험 설계에서의 권고사항 및 약물학에서의 분석을 준수한다(Curtis 등, 2018).
연구 I에서, SPSS 24(IBM SPSS Statistics®, UK)를 사용하여 안녕 매개변수를 분석한 한편, GraphPad Prism 6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Inc., USA)를 사용하여 생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안녕 매개변수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를 3-원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하여, 치료, 유전자형 및 시간의 주요 효과, 및 이의 2-원 및 3-원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유의한 2-원 상호작용이 발견된다면, 임의의 치료 x 유전자형 상호작용에서 본페로니 사후 검정(Bonferroni post hoc test)을 수행하여, 상이한 유전자형(WT/Scn1a-/-)에 미치는 CBD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페로니 사후 검정을 또한 임의의 유의한 3-원 치료 x 유전자형 x 시간 상호작용에 대해 수행하여, WT 군과 Scn1a-/- 군 둘 다에서 안녕 평가의 모든 시점에서 CBD 치료의 효과를 비히클 치료와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사후 분석을 다중 비교에 대해 교정하였다. 2.2% 안녕 점수로부터의 데이터는 아웃라이어(outlier)였고, 추가 분석으로부터 배제되었다(±2.5*SD)(J. Miller, 1991). 생존 데이터에 대해, 만텔-콕스 검정(Mantel-Cox test)을 사용하여 Scn1a-/- 비히클-치료군 및 CBD-치료군으로부터의 생존 곡선을 비교하였다. 연구 동안 어떠한 WT 동물도 사망하지 않았고, 따라서, 생존 곡선은 비교되지 않았다. 모든 데이터를 평균 ± SEM으로서 표현한다. 모든 경우에, p<0.05는 유의성의 수준으로서 여겨진다.
연구 II에서, 데이터를 GraphPad Prism 6 소프트웨어에서 분석하였다. 만텔-콕스 검정을 사용하여 Scn1a+/- 비히클-치료군 및 Scn1a+/- CBD-치료군의 생존 곡선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종료 시(P52)까지 생존한 Scn1a+/- 비히클-치료군 및 Scn1a+/- CBD-치료군으로부터의 동물의 백분율을 피셔 정확 검정(Fisher's exact test)에 의해 비교하였다. 나아가, 중복이환 평가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를 다규스티노 및 피어슨 옴니부스 정규성 검정(D'Agostino & Pearson omnibus normality test)에 의해 정규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로타로드, 보행, 사회적 상호작용(능동적 상호작용), EPM, 수크로스 선호도, RAM(RME) 시험으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는 정규적으로 분포되었고, 3개 군 사이의 차이를 1-원 ANOVA에 의해 분석하였다.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다면, 홀름-시닥 사후 검정(Holm-Sidak post-hoc test)을 군 사이에서 수행하였다. 한편, 정적 빔, 사회적 상호작용(뒷발로 서기 사례), RAM(WME)으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는 비-모수(non-parametric)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에 의해 분석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때, 던 사후 검정(Dunn's post-hoc test)을 이용하여, 군을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다중 비교를 교정하였다. 모수 데이터(parametric data)는 도면에서 산점도로 제시되고, 평균 ± SEM으로서 표현된다. 비-모수 데이터는 도면에서 박스 플롯으로 제시되고, 중앙값, 최소 내지 최대, 및 사분위수 범위(IQR; interquartile range)로서 표현된다. 모든 경우, p<0.05는 유의성의 수준인 것으로 여겨졌다.
결과
연구 I: Scn1a -/- 마우스에서 신생아 안녕
이 연구에서, 동물(n=10/군)을 P8로부터 P25 또는 사망 시(어느 것이 더 먼저인가에 따라)까지 비히클 또는 CBD로 치료하고, 안녕을 매일 2회 모니터링하였다. WT 비히클-치료군, WT CBD-치료군, Scn1a-/- 비히클-치료군 및 Scn1a-/- CBD-치료군에서의 평균 총 신생아 안녕(TNW) 점수는 각각 0.39 ± 0.04, 0.24 ± 0.04, 3.66 ± 0.04 및 2.85 ± 0.04였다. TNW 점수에 미치는 치료(F(1,612)=128.78; p<0.001), 유전자형(F(1,612)=4850.12; p<0.001) 및 시간(F(16,612)=57.89; p<0.001)의 주요 효과를 확인하였다.
치료 x 유전자형 x 시간 중에서 유의한 3-원 상호작용을 관찰한 한편(F(16,612)=5.46, p<0.001), 치료 x 유전자형(F(1,612)=62.74; p<0.001), 치료 x 시간(F(16,612)=2.19; p=0.005) 및 유전자형 x 시간(F(16,612)=112.22; p<0.001)에 대해 유의한 2-원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치료 x 유전자형 x 시간 상호작용에 대한 사후 비교는, 각각의 일자에 비히클-치료 Scn1a-/- 마우스와 비교하여 Scn1a-/- 마우스에서 안녕 점수의 악화를 P12로부터 P16까지 지연시켰음을 드러내었다(p<0.01; 도 1a). 이러한 사후 검정은 추가로, CBD가 WT 동물에서 TNW 점수를 P8로부터 P8.5로 향상시켰고, 즉, 각각의 사례에서 WT 비히클-치료 동물과 비교하여 치료의 첫날을 향상시켰음을 보여주었다(p<0.05; 도 1a).
연구 I: Scn1a -/- 마우스에서 생존
WT 동물 중 어느 것도 연구 동안 사망하지 않았다. 2개의 Scn1a-/- 군에서, CBD-치료 Scn1a-/- 마우스에서의 생존 중앙값은 비히클-치료 Scn1a-/- 마우스(15.5일; X2=8.61; p=0.003; n=10/군; 도 1b)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높았다(16.25일).
연구 II: Scn1a +/- 마우스에서 조기 사망률
P47에 사망한 Scn1a+/- 비히클-치료군으로부터의 단일 동물을 제외하고는 Scn1a+/- 마우스에서 P20과 P27 사이에 사망률은 최고였다. 기록된 비디오 발자국을 검토하였고, 강직-간대성 발작은 모든 경우에 사망의 원인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생존은 Scn1a+/- CBD-치료군(X2=5.94; p=0.04; 도 2a)과 비교하여 Scn1a+/- 비히클-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대략 66%(29 마리 중 19 마리)의 Scn1a+/- 비히클-치료 동물이 연구의 완료 전에 사망하였고, Scn1a+/- CBD-치료 동물에서 단지 17%(12 마리 중 2 마리)와는 대조적이었다(p<0.0001; 도 2b).
연구 II: 운동 기능에 미치는 효과
가속화 로타로드 시험과 정적 빔 시험 둘 다에 의해 운동 기능을 평가하였다. 가속화 로타로드 시험에서, 군 사이에서 로드 상에서 소모된 시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F(2,29)=0.86; p=0.44; 도 3a).
정적 빔 시험에서, 발 미끄러짐의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군 사이에서 확인되었다(H(2)= 10.67; p=0.005). Scn1a+/- 비히클-치료군은 WT 비히클-치료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p=0.003) 더 많은 발 미끄러짐을 이루었으나, Scn1a+/-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p=0.23; 도 3b). WT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의 추가 비교는 이러한 2개 군 사이에서 발 미끄러짐의 횟수에서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드러내지 않았다(p=0.48).
연구 II: 보행 비정상
보행 시험에서, 3개 군 사이에서 좌측 활보 길이(F(2,29)=0.73; p=0.44; 도 3c), 우측 활보 길이(F(2,29)=0.86; p=0.44; 도 3d) 및 보폭(F(2,29)=1.87; p=0.17; 도 3e)에 대해 어떠한 유의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II: Scn1a +/- 마우스의 사회적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시험을 수행하여, 시험 동물의 홈 케이지에서 나타난 능동적 사회적 상호작용 및 뒷발로 들기 행동을 평가하였다.
능동적 상호작용에서 소모된 시간은 군 사이에서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F(2,29)=13.58; p<0.0001). Scn1a+/- 비히클-치료 동물(n=11)은 WT 비히클-치료(n=11; p=0.0002) 동물과 Scn1a+/- CBD-치료(n=10) 동물(p=0.0003; 도 4a) 둘 다와 비교하여 낯선 마우스와 능동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하게 더 적은 시간을 소모하였다. Scn1a+/- CBD-치료군에 의한 능동적 상호작용은 WT 비히클-치료군과 유사하였다(p=0.86).
한편, 뒷발로 들기 사건의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는 군 사이에서 관찰되었고(H(2)= 16.18; p=0.0003), WT 비히클-치료 동물(p=0.02) 또는 Scn1a+/- CBD-치료 동물(p=0.0003) 둘 다와 비교하여 Scn1a+/- 비히클-치료 동물에 대해 뒷발로 들기 사례의 횟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도 4b). 뒷발로 들기 사건에서 어떠한 차이도 WT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 관찰되지 않았다(p=0.55).
연구 II: Scn1a +/- 마우스에서 불안-유사 행동
EPM의 열린 아암 상에서 소모된 시간의 양에 의해 동물의 불안을 평가하였다. 열린 아암 상에서 소모된 시간은 군 사이에서 상이하였다(F(2,28)=5.11; p=0.01). Scn1a+/- 비히클-치료 동물(n=11; 도 4c)은 WT 비히클-치료 동물(n=11; p=0.03)과 Scn1a+/- CBD-치료 동물(n=10)(p=0.02) 둘 다와 비교하여 열린 아암 상에서 유의하게 더 적은 시간을 소모하였다. 열린 아암에서 소모된 시간은 WT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 상이하지 않았다(p=0.73).
연구 II: Scn1a+/- 마우스에서 우울증-유사 행동
우울증-유사 행동은 수크로스 선호도와 역의 상관관계에 있다(Murray, Boss-Williams, & Weiss, 2013). 수크로스 선호도는 군 사이에서 유의하게 상이하였다(F(2,29)=8.37; p=0.001). Scn1a+/- 비히클-치료 동물(n=11; 도 4d)은 WT 비히클-치료 동물(n=11; p=0.002) 또는 Scn1a+/- CBD-치료 동물(n=10; p=0.01) 둘 다와 비교하여 수크로스에 대해 감소된 선호도를 가졌다. 수크로스 선호도는 WT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 유사하였다(p=0.36).
연구 II: Scn1a +/- 마우스에서 인지
8-아암 RAM 시험을 사용하여 동물에서 기준 기억 및 작업 기억 기능을 평가하였다. RME의 수에서의 유의한 차이(F(2,28)=29.54; p<0.0001)를 군 사이에서 관찰하였다. Scn1a+/- 비히클-치료군(n=10)은 WT 비히클-치료군(n=11)과 Scn1a+/- CBD-치료군(n=10)(p<0.0001; 도 4e) 둘 다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많은 RME를 이루었다. RME에서의 어떠한 차이도 WT 비히클-치료군과 Scn1a+/- CBD-치료군 사이에서 관찰되지 않았다(p=0.65).
나아가, WME는 군 사이에서 유의하게 상이하였다(H(2)=15.22; p=0.0005). Scn1a+/- 비히클-치료군은 WT 비히클-치료군(p=0.004)과 Scn1a+/- CBD-치료군(p=0.001; 도 4f) 둘 다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많은 WME를 이루었다. WME는 WT 비히클-치료군과 비교하여 Scn1a+/- CBD-치료군에서 상이하지 않았다(p>0.9999).
결론
이러한 데이터는, CBD가 Scn1a-/- 마우스를 사용한 드라베 증후군의 급성 모델에서 신생아 안녕을 개선시키고 생존을 연장시킬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추가로, CBD의 만성 투여는 Scn1a+/- 마우스에서 드라베 증후군의 만성 모델에서 조기 사망률을 예방하고 손상된 인지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한 중증 행동 중복이환을 개선시킬 수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데이터는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CBD의 질환 변형 효과를 나타낸다.
CBD는, 이 장애에 대한 현재의 약물치료법으로 종종 발견되는 운동 기능에 어떠한 유해 효과도 발휘하지 않았다.
참조문헌
Figure pct00003

Claims (16)

  1.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의 질환 변형(disease modifica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칸나비디올(CBD: cannabidiol)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CBD 제제는 98% (w/w) 이상의 CBD 및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를 포함하며, 2% (w/w) 이하의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노이드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칸나비디올-C1(CBD-C1); 칸나비디바린(CBDV: cannabidivarin); 및 칸나비디올-C4(CBD-C4)를 포함하고, THC는 트랜스-THC(trans-THC)와 시스-THC(cis-THC)의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CBD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신생아 안녕(neonatal welfare)의 개선인, CBD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인, CBD 제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드라베 증후군의 질환 변형은 행동 중복이환(behavioural comorbidity)의 개선인, CBD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행동 중복이환은 인지의 개선인, CBD 제제.
  7. 제5항에 있어서, 행동 중복이환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개선인, CBD 제제.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는 칸나비스(cannabis) 식물 재료로부터 단리되어 존재하는, CBD 제제.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 제제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칸나비스 식물 재료로부터 단리되는, CBD 제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는 합성 제제로서 존재하는, CBD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CBD 제제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합성적으로 제조되는, CBD 제제.
  1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의 용량은 5 mg/kg/일 초과인, CBD 제제.
  1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의 용량은 20 mg/kg/일인, CBD 제제.
  1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의 용량은 25 mg/kg/일인, CBD 제제.
  1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의 용량은 50 mg/kg/일인, CBD 제제.
  16. 드라베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질환 변형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칸나비디올(CBD) 제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06462A 2019-07-29 2020-07-27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KR20220042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0803.4A GB2586026A (en) 2019-07-29 2019-07-29 Use of cannabidol in the treatment of Dravet syndrome
GB1910803.4 2019-07-29
PCT/GB2020/051803 WO2021019231A1 (en) 2019-07-29 2020-07-27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dravet syndro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172A true KR20220042172A (ko) 2022-04-04

Family

ID=679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462A KR20220042172A (ko) 2019-07-29 2020-07-27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184000A1 (ko)
EP (1) EP4003315A1 (ko)
JP (1) JP2022542407A (ko)
KR (1) KR20220042172A (ko)
CN (1) CN114206331A (ko)
AU (1) AU2020321667A1 (ko)
BR (1) BR112022001413A2 (ko)
CA (1) CA3145369A1 (ko)
GB (1) GB2586026A (ko)
IL (1) IL289975A (ko)
MX (1) MX2022001337A (ko)
TW (1) TW202118484A (ko)
WO (1) WO2021019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0001B (en) 2014-06-17 2019-01-16 Gw Pharma Ltd Use of cannabidiol in the reduction of convulsive seizure frequency in treatment-resistant epilepsy
GB2531282A (en) 2014-10-14 2016-04-20 Gw Pharma Ltd Use of cannabinoid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GB2569961B (en) 2018-01-03 2021-12-22 Gw Res Ltd Pharmaceutical
GB201916977D0 (en) 2019-11-21 2020-01-08 Gw Res Ltd Cannibidol-type cannabinoid compound
EP4376820A1 (en) * 2021-07-28 2024-06-05 GW Research Limited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8873B (en) * 2016-03-31 2020-12-02 Gw Res Ltd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turgeWeber Syndrome
GB201806953D0 (en) * 2018-04-27 2018-06-13 Gw Res Ltd Cannabidiol Prepa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21667A1 (en) 2022-02-24
MX2022001337A (es) 2022-03-11
GB2586026A (en) 2021-02-03
JP2022542407A (ja) 2022-10-03
IL289975A (en) 2022-03-01
WO2021019231A1 (en) 2021-02-04
CA3145369A1 (en) 2021-02-04
GB201910803D0 (en) 2019-09-11
EP4003315A1 (en) 2022-06-01
CN114206331A (zh) 2022-03-18
TW202118484A (zh) 2021-05-16
BR112022001413A2 (pt) 2022-03-22
US20220184000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2172A (ko)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에서 칸나비디올의 용도
JP6692805B2 (ja) 結節性硬化症の治療におけるカンナビジオールの使用
JP2024012681A (ja) 癲癇の治療におけるカンナビノイドの使用
KR101853634B1 (ko) 간질 치료에서 표준 항-간질 약물(saed)과 조합된 파이토칸나비노이드 칸나비디올(cbd)의 용도
Picci et al. HDAC6 inhibition promotes α-tubulin acetylation and ameliorates CMT2A peripheral neuropathy in mice
Patra et al. Cannabidiol improves survival and behavioural co‐morbidities of Dravet syndrome in mice
US20220257529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epileptic spasms
Kumar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curcumin on altered expression of CACNA1A and GABRD in the pathogenesis of FeCl3-induced epilepsy
Kazemi et al. Modulation of axonal sprouting along rostro-caudal axis of dorsal hippocampus and no neuronal survival in parahippocampal cortices by long-term post-lesion melatonin administration in lithium-pilocarpine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JP2022523479A (ja) てんかんと関連する併存症の処置におけるカンナビノイドの使用
EP4182024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he syngap1 gene
EP4181899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genetic abnormalities
WO2022017946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genetic abnormalities
WO2022017914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Patra Cannabidiol improves survivability, seizures and associated behavioural comorbidities in a range of animal models of epilepsy
US20230285426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genetic abnormalities
WO2022017948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genetic abnormalities
EP4181893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genetic abnormalities
EP4376820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GB2597278A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brain
US20230372367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rare epilepsy syndromes related to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brain
US20240050452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epilepsy syndromes in patients taking brivaracetam
WO2022017957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stroke or brain haemorrhage
WO2022017958A1 (en) Use of cannabidiol in th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shaken baby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