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398A - 수액백용 배액포트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배액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398A
KR20220041398A KR1020200124532A KR20200124532A KR20220041398A KR 20220041398 A KR20220041398 A KR 20220041398A KR 1020200124532 A KR1020200124532 A KR 1020200124532A KR 20200124532 A KR20200124532 A KR 20200124532A KR 20220041398 A KR20220041398 A KR 20220041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infusion bag
spike
guide hole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열
최연석
문혜진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398A/ko
Publication of KR2022004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에 설치되어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포트 몸체와, 상기 포트 몸체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는 스파이크가 가이드 홀을 통해 차단막을 2중으로 관통하며 삽입되고 차단막이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고 있어 파편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스파이크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1차단막과 제 2차단막이 스파이크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흔들리거나 저절로 빠져나올 우려가 없으며, 미세핀홀을 포함하여 멸균력이 향상되어 유용하다.

Description

수액백용 배액포트{Port for intravenous bag}
본 발명은 수액백에 설치되어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포트 몸체와, 상기 포트 몸체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의료적 목적으로 투여되는 각종 수액(輸液; Parenteral nutrition) 이나 복막투석액(Peritoneal dialysis solution), 혈액 등은 주로 넌-피브이씨(Non-PVC) 재질의 플라스틱 수액백(medical solution bag)에 보존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액백에는 통상 배액포트(drainage port)와 주입포트(injection port)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액포트(drainage port)는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여 백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주입포트는 주사기를 꽂아 백 내부로 항생제 등 다른 약물을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액백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튜브가 구비되는데, 이들 튜브 중 하나에는 의사가 처방한 특정 약물이 들어있는 주사기 바늘을 꽂기 위한 주입포트(Injection port)가 장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정맥 안으로 주사액을 주입하는 수액세트의 스파이크(spike)를 꽂기 위한 배액포트(Drainage port)가 장착된다.
종래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포트는 선단 부분이 고무마개로 밀봉되어 있어, 주사기 바늘이나 스파이크를 고무마개에 찔러 넣을 때, 고무 파편이 수액백 안으로 들어가 수액에 떠다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무마개는 두께가 두꺼워, 주사기 바늘이나 스파이크를 고무마개에 찔러넣을 때 힘이 많이 들뿐 아니라, 주사기 바늘이 휘거나 부러질 수 있었다(대한민국 특허 제10-2015-0173979호).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포트는 선단 부분이 합성수지제 캡으로 밀봉되며, 특히, 배액포트의 내부에는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다. 수액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단막은 수액세트의 스파이크에 의해 천공되는데, 스파이크가 차단막을 관통할 때, 플라스틱 차단막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수액백 속에서 떠다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파이크가 차단막을 관통할 때 차단막이 불규칙하게 찢어지므로, 스파이크(spike)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남게 되는 차단막의 잔존부분과 스파이크 사이에 불규칙한 틈이 생겨, 이 틈으로, 수액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틈으로 인해, 스파이크가 차단막의 잔존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므로 스파이크가 포트로부터 빠져버릴 수 있었다(대한민국 특허 제10-1168229호, 10-1150154호, 10-1168229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포트 내부 멸균력을 향상 시키고, 누액을 방지하면서 삽입 및 부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포트 몸체와 주입관에 가이드 홀을 구비하고, 이를 각각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으로 차단할 경우, 누액을 최소화 하고, 멸균력을 향상 시키면서 삽입 및 부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백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300)과, 상기 주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포트 몸체(100)와, 상기 포트 몸체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330)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2차단막(310) 및 상기 제2차단막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핀홀(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트 몸체는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110)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1차단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캡은 포트 몸체의 가이드 홀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는 스파이크가 가이드 홀을 통해 차단막을 2중으로 관통하며 삽입되고 차단막이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고 있어 파편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스파이크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이 스파이크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흔들리거나 저절로 빠져나올 우려가 없으며, 미세핀홀을 포함하여 멸균력이 향상되어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의 몸체와 주입관 및 마감캡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 실제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의 결합 전 각 부품의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포트 몸체에 제1차단막을 형성하고, 주입관에 제2차단막과미세핀홀을 설치할 경우, 누액 현상을 방지하고 멸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트 몸체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면서 상부에 제1차단막을 형성하고, 주입관에 제2차단막과 미세핀홀을 설치하여 수액백용 포트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성능을 확인한 결과,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300)과, 상기 주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포트 몸체(100)와, 상기 포트 몸체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330)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2차단막(310) 및 상기 제2차단막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핀홀(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트 몸체는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110)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1차단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캡은 포트 몸체의 가이드 홀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액백용 포트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300)과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감캡(200)과 상기 포트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주입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측의 외면에 상기 마감캡의 걸림홈(250)에 대응하는 걸림턱 1(120) 및 걸림턱 2(130)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관의 걸림턱(340)에 대응하는 걸림홈(150), 스파이크가 관통하는 가이드 홀(110) 및 가이드 홀 상부를 막는 제1차단막(140)을 포함하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마감캡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걸림턱 1과 2로 나뉘어서 2중 결합하게 되면, 마감캡의 부착이 용이해지며, 결합력이 강화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제1차단막(140)의 두께는 0.2 내지 2mm 미만일 수 있는데, 0.2 mm 이하일 경우에는 사출 성형이 어렵고, 2.0mm 이상일 경우에는 투침이 어렵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 제1차단막의 두께는 0.3 내지 0.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여 스파이크 투침가이드로 이용되며, 주입관의 제2차단막과 가이드 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40)이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는 가이드 홀(3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차단막(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핀홀(3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핀홀은 멸균력을 향상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핀홀은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사이 내부 공간을 통해 약액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멸균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만약, 미세핀홀이 없을 경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사이 내부 공간에 약액이 통하지 않아 멸균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입관 미세핀홀의 길이는 0.01 내지 0.4mm 미만일 수 있는데, 0.01mm 이하일 경우에는 성형이 불가능하고, 0.4mm 이상일 경우에는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사이에 약액이 충전되어, 스파이크 투침시 약액이 튈 가능성이 높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입관 미세핀홀의 길이는 0.1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입관 미세핀홀의 형태는 약액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없이 이용가능하며, 다각형, 일자형, 십자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210)과 상기 외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연결부(2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220)과, 상기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250)과 포트 몸체의 가이드 홀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30) 및 관통공과 내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2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8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40 중량 %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및 우레탄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린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에테르(P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터(PES),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세핀홀의 멸균력 확인
제2차단막에 미세핀홀을 포함하지 않는 포트와, 본 발명에 따른 제2차단막에 미세핀홀을 포함하는 포트의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사이 내부 공간에 각각 Strip 형태의 Bacillus Subtilis 균을 위치시킨 후, 각각의 포트의 멸균을 진행하였다.
멸균 후,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사이 내부 공간에 위치한 Strip 형태의 균을 채취하여 2주일간 배양하여 멸균 여부를 확인한 결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세핀홀을 포함하는 포트의 멸균력이 월등히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미세핀홀의 멸균력 확인 결과
구분 실시예 1
제2차단막 미세핀홀 유/무
평가 수량 30개 30개
배양 결과 양성 16개 0개
음성 14개 30개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포트 몸체
110: 가이드 홀
120: 걸림턱 1
130: 걸림턱 2
140: 제1차단막
150: 걸림홈
200: 마감캡
210: 외측벽
220: 내측벽
230: 관통공
240: 연결부
250: 걸림홈
300: 주입관
310: 제2차단막
320: 미세핀홀
330: 가이드 홀
340: 걸림턱

Claims (7)

  1.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포트 몸체와, 상기 포트 몸체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2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핀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트 몸체는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를 막는 제1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캡은 포트 몸체의 가이드 홀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과, 내측벽과 관통공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몸체는 상부측의 외면에 상기 마감캡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스파이크가 통과할 수 있는 제1차단막과 스파이크를 유도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하부에 주입관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미세핀홀은 길이가 0.01 내지 0.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2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8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및 우레탄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에테르(P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터(PES),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KR1020200124532A 2020-09-25 2020-09-25 수액백용 배액포트 KR20220041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32A KR20220041398A (ko) 2020-09-25 2020-09-25 수액백용 배액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32A KR20220041398A (ko) 2020-09-25 2020-09-25 수액백용 배액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98A true KR20220041398A (ko) 2022-04-01

Family

ID=8118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32A KR20220041398A (ko) 2020-09-25 2020-09-25 수액백용 배액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3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867B2 (en) Transfer device valve
KR0145177B1 (ko) 유체송출장치
EP0719158B1 (en) Needleless valve for use in intravenous infusion
CA275202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low control valve for a medical device
US5792104A (en) Dual-reservoir vascular access port
US20100030164A1 (en) Medical Valve with Raised Seal
EP3028736B1 (en) Connector and transfusion set
US20070208320A1 (en) Communicating needle for connecting two or more containers to communicate
JP2015514554A (ja) バイアルスパイキング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JP2007267986A (ja) 連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並びに輸液調剤用具セット
WO1995014455A1 (en) Port adaptor and protector and container having same
US6773427B2 (en) Infusion container
US9561326B2 (en) Coupling devices and kits thereof
JP2011500275A (ja) 医療用流体容器のための投薬ポート
US11266779B2 (en) IV set spike with enhanced removal force
KR20220041398A (ko) 수액백용 배액포트
EP0812158A1 (en) Infusion bag with injection port
KR100816974B1 (ko) 약액 주입 포트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약액 용기
JP2005245960A (ja) 医療用容器
KR20200118764A (ko) 수액백용 배액 포트
JPH0626586B2 (ja) 混注部付き接続部品
EP4082600A1 (en) Valv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lve, cap for a fluid container comprising such valve, fluid container containing such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cap
JP3525550B2 (ja) 流体投与或いは採取装置
KR20240005683A (ko) 유체 용기용 캡, 이러한 캡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및 이러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