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764A - 수액백용 배액 포트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배액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764A
KR20200118764A KR1020200041705A KR20200041705A KR20200118764A KR 20200118764 A KR20200118764 A KR 20200118764A KR 1020200041705 A KR1020200041705 A KR 1020200041705A KR 20200041705 A KR20200041705 A KR 20200041705A KR 20200118764 A KR20200118764 A KR 2020011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ion bag
drain port
spike
port
rub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열
박재연
김혜경
강원준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백에 설치되어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 포트는 스파이크가 가이드 홀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고무마개 밀림현상이나 파편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스파이크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마감캡의 박막과 고무마개의 탄성이 스파이크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흔들리거나 저절로 빠져나올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스파이크가 고무마개의 절취선을 통과하기 때문에 스파이크의 자국이 남지 않고, 상기 고무마개의 탄성에 의해서 절취선의 절개면이 서로 밀착됨으로서 누액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용하다.

Description

수액백용 배액 포트{Drainage port for intravenous bag}
본 발명은 수액백에 설치되어 스파이크(spike, 투침부)를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의료적 목적으로 투여되는 각종 수액(輸液; Parenteral nutrition) 이나 복막투석액(Peritoneal dialysis solution), 혈액 등은 주로 넌-피브이씨(Non-PVC) 재질의 플라스틱 수액백(medical solution bag)에 보존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액백에는 통상 배액 포트(drainage port)와 주입 포트(injection port)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액 포트(drainage port)는 스파이크(spike)를 삽입하여 백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주입 포트는 주사기를 꽂아 백 내부로 항생제 등 다른 약물을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액백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튜브가 구비되는데, 이들 튜브 중 하나에는 의사가 처방한 특정약물이 들어있는 주사기 바늘을 꽂기 위한 주입 포트(Injection port)가 장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정맥 안으로 주사액을 주입하는 수액세트의 스파이크(spike)를 꽂기 위한 배액 포트(drainage port)가 장착된다.
종래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포트는 선단부분이 고무마개로 밀봉되어 있어, 주사기 바늘이나 스파이크를 고무마개에 찔러넣을 때, 고무파편이 수액백 안으로 들어가 수액과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무마개는 두께가 두꺼워, 주사기 바늘이나 스파이크를 고무마개에 찔러넣을 때 힘이 많이 들뿐 아니라, 주사기 바늘이 휘거나 부러질 수 있었다(대한민국 특허 제10-2015-0173979호).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포트는 선단부분이 합성수지제 캡이나 이지필 필름(easy-peel film)으로 밀봉되며, 특히, 배액 포트의 내부에는 얇은 두께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다. 수액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단막은 수액세트의 스파이크에 의해 천공되는데, 스파이크가 차단막을 관통할 때, 차단막으로부터 버(bur)(미세한 조각이나 가루)가 떨어져 나와 수액백 속의 수액과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파이크가 차단막을 관통할 때 차단막이 불규칙하게 찢어지므로, 스파이크(spike)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남게 되는 차단막의 잔존부분과 스파이크 사이에 불규칙한 틈이 생겨, 이 틈으로, 수액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틈으로 인해, 스파이크가 차단막의 잔존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므로 스파이크가 배액 포트로부터 빠져버릴 수 있었다. 게다가, 이러한 유형의 배액 포트는, 수액백의 사용 후, 사용과정에서 제거한 이지필 필름이나 캡을 수액백과 함께 수거해서 폐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대한민국 특허 제10-1168229호, 10-1150154호, 10-1168229호).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들 포트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으며, 걸림턱 사이에는 이격이 형성되는데, 걸림턱의 하단부가 열려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약액 주입 시 걸림턱 사이의 이격 부위에 약액이 흘러들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무마개의 파편 발생과 고무마개 말림현상을 최소화하고, 누액을 방지하면서 삽입 및 부착강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걸림턱의 오염의 방지할 수 있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마감캡과 고무마개에 가이드 홀을 구비하고, 이를 각각 박막과 차단막으로 차단하며, 박막 하부에 리브를 포함할 경우, 고무마개의 파편발생과 말림현상은 최소화 하면서 삽입 및 부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백용 배액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의 바닥을 막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은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캡은 스파이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박막과 1개이상의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 포트는 스파이크가 가이드 홀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고무마개 밀림현상이나 파편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스파이크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마감캡의 박막과 고무마개의 탄성이 스파이크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흔들리거나 저절로 빠져나올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스파이크가 절취선을 통과하기 때문에 스파이크의 자국이 남지 않고, 상기 고무마개의 탄성에 의해서 절취선의 절개면이 서로 밀착됨으로서 누액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 포트의 몸체와 고무마개 및 마감캡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 포트 마감캡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배액 포트 고무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의 리브를 상단에서 관찰한 평면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감캡에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에 리브를 설치하며, 고무마개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절취선이 형성될 경우, 고무마개 파편 발생 및 말림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착 및 삽입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감캡에 가이드홀을 형성하면서 중간에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 하부에 리브를 설치하며, 고무마개에 절취선을 형성한 차단막을 설치하여 수액백용 배액 포트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성능을 확인한 결과,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100)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200)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330)과, 상기 가이드 홀의 바닥을 막는 차단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캡은 스파이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350)가 형성된 박막(340)과 1개 이상의 리브(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액백용 배액 포트는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200)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측의 외면에 상기 마감캡의 걸림홈(360)에 대응하는 걸림턱 1(110) 및 걸림턱 2(111)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 1 및 2 사이에는 이격(112)이 존재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홈(120)을 포함하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마감캡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걸림턱 1과 2로 나뉘어서 사이에 이격을 포함하게 되면, 탄력이 생겨 스파이크 삽입이 용이하고, 마감캡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걸림턱은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부가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연결부(11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걸림턱 하부에 연결부가 있을 경우, 약액 주입시 약액이 이격에 주입되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210)이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는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차단막(220)의 저면에는 상기 절취선 주위로 덧살부(230)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덧살부는 고무마개의 사출 및 조립시 고무가 금형에서 떨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고무마개끼리의 결합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마개의 절취선은 고무마개가 스파이크에 의해 잘 뚫릴 수 있는 구조이면 제한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마개의 차단막 두께는 0.5 내지 4.0mm 미만일 수 있는데, 0.5mm 이하일 경우에는 성형이 불가능하고, 4.0mm 이상일 경우에는 파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마개 차단막의 두께는 1.5 내지 2.5 mm 미만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310)과 상기 외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부(35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320)과, 상기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브”는 구조물 하중을 지탱해주는 보강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rib, 370)는 투침된 스파이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해 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개수는 1개 이상이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6개일 수 있고, 리브 상단부 직경은 5.0 내지 7.5 mm 이며, 하단부 직경은 5.5 내지 8.0 mm일 수 있으며, 리브 각각의 길이는 1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단부 직경은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감캡의 박막 바로 아래에 설치된 리브의 평면도에서의 직경을 의미하며, 하단부 직경은 리브가 내측벽에 밀착한 가장 하단부에서 도시한 리브 평면도에서의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여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투침되는 스파이크의 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각각 5.0 및 5.5 미만일 경우에는 스파이크의 투침 시 필요한 힘이 너무 강해 사용이 불가능하며, 리브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이 7.5 및 8.0 초과일 경우, 부착강도가 너무 약해 스파이크가 탈착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리브 각각의 길이가 1mm 미만인 경우에는 스파이크의 투침 강도 및 부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5mm 초과일 경우에는 스파이크 투침 시 필요한 힘이 너무 높아져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캡 박막(340)의 두께는 0.2 내지 2mm 미만일 수 있는데, 0.2 mm 이하일 경우에는 사출 성형이 불가능하고, 2.0mm 이상일 경우에는 투침이 곤란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캡 박막의 두께는 0.3 내지 1.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 박막에서 투침부의 직경은 5.5 내지 6.2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감캡은 스파이크에 의해 투침된 이후에 내측벽에 가까이 붙어야 하나, 구성하는 소재의 특성 상 탄성이 강해 복원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마감캡의 직경을 5.5mm 미만으로 줄이면 복원력이 너무 강해 스파이크에 의한 투침이 곤란하고, 6.2mm를 초과할 경우, 스파이크가 투침후 고정되지 않아 부착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와 마감캡은 가이드 홀(3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마감캡의 내측벽과 상기 고무마개의 걸림턱이 결합하여 생기는 공간이며, 고무마개의 차단막은 상기 고무마개의 걸림턱과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2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8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40 중량 %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및 우레탄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에테르(P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터(PES),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무기물은 작업성 및 성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고무 마개 주원료의 분자간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투침 시 파편 발생 및 누액 발생이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마무개의 무기물 함량은 0 내지 5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0% 이하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점토(clay), 탈크 및 산화 무기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 무기물은 산화 화합물 형태이면 제한없이 이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제2철,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수액백용 배액 포트의 제조
수액백용 배액 포트 캡은 60% random PP(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는 40% SEBS 엘라스토머(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엘라스토머)를 재료로 하여 박막 두께를 0.5 mm+-0.05mm로 사출성형하였고,
몸체는 100% random PP로 제조하였으며,
고무마개는 0~25% 무기물을 포함하고 차단막 두께는 2.0 +-0.3mm 두께로 제조하였다(도 1).
실시예 2: 성능 확인
2-1. 고무마개 성능 확인
1) 투침부 두께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 탄성력, 인장 강도, 탄성계수, 측정
측정용 도그 타입 시편제작 (폭 5mm, 두께 1.5mm, 길이 100mm), 샘플 수 각각 5개를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로드셀 100N을 장착하고 cross-head speed 200mm/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3) 영구압축률 측정
제작된 compression tester기에 상판과 하판에 원형 시편 4개씩 넣고 나사로 쪼여 압축을 가한 상태로 항온조 chamber에 70도로 22시간 유지 후 compression tester로 부터 원형시편을 제거 한 후 30분 동안 상온유지 후 두께측정을 버니어캐릴퍼스로 측정하여 초기 두께와 차이를 비교하여 영구 변형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기존 고무마개 대비 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Figure pat00001
2-2. 수액백용 배액 포트의 기존 제품 대비 성능 비교
1) Cap open 강도 평가
Cap open 강도는 마감 캡과 포트 몸체의 분리시 강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지룃대 원리의 지그를 이용하고, Push-pull gauge 장비를 이용하여 강도를 측정하였다.
2) 누액 평가
누액 평가를 진행하고자 하는 배액 포트를 결합한 bag을 멸균한 이후, 수액세트를 5시간 동안 삽입한 다음, 5시간 이후에 수액 세트를 제거 했을 때의 누액을 확인하여 5초간 누액이 흐를 경우 누액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3) 파편 평가
멸균이 완료된 배액 포트에 수액세트를 이용하여 삽입할 때, 수액세트를 돌리며 삽입하여 수액세트를 구부러지게 만들어 파편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존 수액백용 배액 포트 대비 성능이 모든 면에서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3: 성능 개량
1) 리브 길이에 따른 삽입/부착강도 측정
실시예 2-2의 방법에서와 같이 Push-pull gauge 장비를 이용하여 스파이크 투침시의 삽입강도와 탈착시의 분리강도를 마감캡에 구비된 리브의 길이를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리브의 길이가 2mm일 때,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Figure pat00003
2) 리브 상/하부 직경에 따른 삽입/부착강도 측정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3-1에서 도출한 3번 샘플에서 리브 상/하부의 직경에 따른 삽입/부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리브 길이, 리브 상/하단부 직경이 각각 6.8과 7.3mm일 때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Figure pat00004
3) 투침부 직경에 따른 삽입/부착강도 측정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3-2에서 도출한 5번 샘플에서 박막이 있는 투침부 직경을 조절하여 삽입/부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투침부 직경이 6.05mm일 때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표 5).
Figure pat0000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 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포트 몸체
110: 걸림턱 1
111: 걸림턱 2
112: 이격
113: 연결부
120: 걸림홈
200: 고무마개
210: 걸림턱
220: 차단막
230: 덧살부
240: 연결부
300: 마감캡
310: 외측벽
320: 내측벽
330: 가이드 홀
340: 박막
350: 관통부
360: 걸림홈
370: 리브

Claims (13)

  1. 하부가 수액백에 결합되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고무마개를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상편 중앙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의 바닥을 막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감캡은 스파이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박막과 1개이상의 리브(ri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시킨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관통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상판의 이면에 돌출시킨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는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두께는 0.5 내지 4.0mm 이고,
    상기 박막의 두께는 0.2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1개 내지 6개 이고, 리브의 상단부 직경은 5.0 내지 7.5 mm 이며, 하단부 직경은 5.5 내지 8.0mm이고, 리브 각각의 길이는 1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투침부의 직경은 5.5 내지 6.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측의 외면에 상기 마감캡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 사이에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고무마개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걸림턱은 하부에 연결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20 내지 100 중량 % 및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0 내지 8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및 우레탄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에테르(P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터(PES),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무기물의 함량이 0.0001 내지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점토(clay), 탈크 및 산화 무기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배액 포트.
KR1020200041705A 2019-04-08 2020-04-06 수액백용 배액 포트 KR20200118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66 2019-04-08
KR20190040966 2019-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64A true KR20200118764A (ko) 2020-10-16

Family

ID=7303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05A KR20200118764A (ko) 2019-04-08 2020-04-06 수액백용 배액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87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220A (en) Blood filter
KR101929603B1 (ko) 말초 iv 카테터를 통한 채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21150B2 (en) Medical device
JP3389983B2 (ja) 医療用混注ポート
CN107377492A (zh) 设备端口清洁器
NO310805B1 (no) Medisinsk ventil
CN100515380C (zh) 药液容器用栓体
BRPI0415438B8 (pt) conector para embalagens contendo líquido médico
JP2004517673A (ja) 軸方向に作動するバイアルアクセスアダプタ
JP2007507262A (ja) ポートシステム
CN101534893A (zh) 包括防撕破隔膜的血管进入装置
CA2826846C (en) Coupling devices and kits thereof
KR20200118764A (ko) 수액백용 배액 포트
CN102770177A (zh) 具有改善的安全特性的血管导管设备
JP3686890B2 (ja) 容器の止栓
EP0812158A1 (en) Infusion bag with injection port
ES2539909T3 (es) Bolsa médica
US4096070A (en) Blood filter
KR102403142B1 (ko) 수액 백용 포트
JP3361440B2 (ja) 採血用器具および採血用器具を用いた血液処理方法
JP2005131433A (ja) 容器の止栓
WO2016196632A1 (en) Package fitment comprising dual port
KR20220041398A (ko) 수액백용 배액포트
US11813424B1 (en) Inline injection port assembly
KR200497157Y1 (ko) 수액백용 스파이크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