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268A - 박스 밴딩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268A
KR20220041268A KR1020200123638A KR20200123638A KR20220041268A KR 20220041268 A KR20220041268 A KR 20220041268A KR 1020200123638 A KR1020200123638 A KR 1020200123638A KR 20200123638 A KR20200123638 A KR 20200123638A KR 20220041268 A KR20220041268 A KR 2022004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strapping device
transfe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익
김종웅
한찬재
박종옥
Original Assignee
동호기계 주식회사
대은산업(주)
주식회사 진성에너텍
(주)진성메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호기계 주식회사, 대은산업(주), 주식회사 진성에너텍, (주)진성메카시스템 filed Critical 동호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268A/ko
Publication of KR2022004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박스 밴딩 장치는, 밴딩이 필요한 박스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투입부와, 일단이 상기 투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박스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가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세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와,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및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박스의 너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밴딩이 완료된 박스를 적재하는 적재부 및 상기 투입부, 이송부,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 센서부 및 적재부가 연계되도록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박스 밴딩 장치{BOX BANDING DEVICE}
본 발명은 박스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박스를 밴딩함에 있어서 박스의 방향을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거나, 방향 전환을 위한 추가 공정이 없이도 박스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밴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박스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골판지의 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절첩하고 이 절첩된 골판지의 단부를 철심을 통해 결속하는 스티치를 통해 제작되며, 이와 같이 제작된 포장박스들을 포장박스 밴딩기 상에서 다수개씩 적재하여 PP밴드(Polypropylene band) 또는 PET밴드(Polyester band) 등을 이용하여 결박하여 출하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116호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는 적재된 포장박스를 안치할 수 있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적재된 포장박스를 밴드로 휘감아서 결박할 수 있도록 하는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베이스와 밴딩부의 협동에 의해 내부에서 사각 형태의 포장박스 안치 공간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상면과 밴딩부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을 통해 밴드가 배출되면서 포장박스가 결속된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결속을 위해, 베이스의 일측에는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롤이 설치되고, 밴드롤에서 공급되는 밴드는 가이드롤러를 통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밴드저장박스 내로 안내되고, 이 밴드저장박스를 통과한 밴드는 베이스의 홈을 따라 안내되어 베이스의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거쳐 밴딩부의 홈을 따라 계속 안내되어 단부가 받침대 상에 놓인 스토퍼의 걸림턱에 걸려 사각 형태로 스토퍼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밴딩준비 상태가 완료되는 데, 이 상태에서 포장박스가 베이스 상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되면 밴드가 당겨지면서 밴드가 밴딩부의 홈을 따라 배출되면서 포장박스를 결박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로 포장박스의 결박이 완료되면 밴드의 단부를 융착 및 커팅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일측에는 열판과 커터가 설치된다.
즉, 밴드의 결박이 완료되면 스토퍼가 일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열판이 받침대 상으로 이동하여 밴드의 단부를 융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융착이 완료되면 받침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커터가 상승하면서 밴드를 절단하게 되고, 그로써 밴드의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 경우, 박스 스택의 포장박스들을 작업자들이 수동으로 가지런하게 정렬하여 포장박스 밴딩기에 제공해야 하며, 밴딩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박스의 방향을 돌리거나, 방향을 바꾼 상태에서 한번 더 옮겨 밴딩 작업을 거쳐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1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송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박스를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거나, 방향 전환을 위한 추가 공정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이 없이도 박스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이송되는 박스의 너비를 측정하고, 측정된 박스의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스 밴딩 장치는, 밴딩이 필요한 박스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투입부와, 일단이 상기 투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박스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가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세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와,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및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박스의 너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밴딩이 완료된 박스를 적재하는 적재부 및 상기 투입부, 이송부,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 센서부 및 적재부가 연계되도록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는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본체 및 상기 제1고정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평면상으로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박스의 가로방향으로 밴드를 감아서 결박시키는 제1결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박부는 상기 박스의 규격에 따라 밴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1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박스의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그리퍼의 위치가 좌우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는 상기 이송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제2고정본체 및 상기 제2고정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밴드를 2열로 배치하여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가 밴드를 밀고 지나가면서 박스에 세로방향의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결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박부는 상기 박스의 규격에 따라 밴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박스의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그리퍼의 위치가 좌우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스 밴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추가 구성이나 공정 없이도 박스에 가로 및 세로의 밴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박스의 너비에 맞게 밴딩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너비의 박스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각 구성의 연계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움직일 필요가 없어 인력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스 밴딩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스 밴딩 장치에 있어서, 박스의 너비에 따라 밴딩 위치가 설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박스를 밴딩함에 있어서 박스의 방향을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거나, 방향 전환을 위한 추가 공정이 없이도 박스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밴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박스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 밴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이 필요한 박스(800)가 순차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부(100)와, 밴딩이 완료된 박스(800)가 적재되는 적재부(600), 그리고 상기 투입부(100)와 상기 적재부(600)의 사이, 다시 말해, 일단이 상기 투입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상기 박스(800)를 상기 적재부(60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200)는 복수의 롤러가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20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박스(800)가 상기 투입부(100)에서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일방향(진행방향), 즉, 상기 적재부(60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박스(800)에 가로 방향(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와, 세로방향(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 그리고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 및/또는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에서 이송되는 박스(800)의 너비를 측정하는 센서부(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투입부(100), 이송부(200),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 센서부(500) 및 적재부(600)가 연계되어 하나의 자동화 시스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 및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는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순서는 하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상기 박스(800)가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어 지면서 상기 이송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에 의해 가로방향의 밴딩이 이루어진 이후, 연속적으로 상기 박스(800)가 이송되어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를 통해 세로방향의 밴딩이 추가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를 먼저 통과하면서 상기 박스(800)에 세로방향의 밴딩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에 의해 가로방향의 밴딩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는 상기 이송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제1고정본체(310) 및 상기 제1고정본체(31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며,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된 박스(800)의 가로방향으로 밴드를 감아서 결박시키는 제1결박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박부(320)는 상기 박스(800)의 규격에 따라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그리퍼(3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그리퍼(321)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의 상기 제1결박부(320)에 구비되는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박스(800)의 너비 및 규격 전체를 먼저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상기 박스(800)의 너비 및 규격 정보는 상기 제어부(700)에 전송되고, 이러한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박스(800)를 감아 밴딩처리 할 수 있는 상기 제1결박부(320)의 제1그리퍼(321)가 상기 박스(800)의 규격에 맞게 상하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밴드의 낭비가 없이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박스(800)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밴딩의 설정을 작업자가 매번 직접 수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안정적인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에서 상기 이송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고정본체(3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결박부(32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되는 상기 박스(800)의 세로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가로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1열 또는 2열의 선택적 밴딩은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상기 박스(800)의 너비 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그리퍼(321)의 위치가 좌우 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박스(800)의 너비에 따라 불필요하게 과도한 밴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본체(310)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세로 너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박부(320) 자체를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박스 밴딩 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박스(800)의 규격 범위가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박스(800)에 세로방향의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는 상기 이송부(200)가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본체(410) 및 상기 제2고정본체(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부(200)와 수직을 이루도록 밴드를 2열로 배치시킬 수 있는 제2결박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는 상술한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와 다르게 이송된 박스(800)에 밴드를 감는 형식이 아닌, 상기 이송부(20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밴드를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박스(800)가 밀고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박스(800)에 세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결박부(420)는 상기 제1그리퍼(32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그리퍼(4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그리퍼(421)는 상기 제2고정본체(41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박스(800)의 너비 및 규격을 측정하는 상기 센서부(500)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이송부(200)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밴드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리퍼(421)는 상술한 제1그리퍼(321)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박스(800)의 너비에 맞춰 1열 또는 2열의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그리퍼(421)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측정된 상기 박스(800)의 가로 너비 및 규격 정보를 전달 받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에 진입하는 상기 박스(800)의 규격에 맞춰 상하 이동 및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스(800)의 높이에 맞춰 밴드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박스(800)의 가로 너비에 맞춰 1열 또는 2열의 세로방향 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300) 및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400)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이송부(2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먼저 구비되는 하나의 스트래핑 디바이스에만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비된 스트래핑 디바이스에서도 상기 센서부(500)의 측정 정보가 적용되어 박스(800)의 밴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스(800)의 너비에 따라 상기 제1그리퍼(321) 및 제2그리퍼(421)를 좌우 이동시켜 1열 또는 2열의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투입부 200 : 이송부
300 :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310 : 제1고정본체 320 : 제1결박부
321 : 제1그리퍼
400 :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
410 : 제2고정본체 420 : 제2결박부
421 : 제2그리퍼
500 : 센서부 600 : 적재부
700 : 제어부 800 : 박스

Claims (5)

  1. 밴딩이 필요한 박스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투입부;
    일단이 상기 투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에서 투입된 박스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가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에 세로방향으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및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박스의 너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이송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밴딩이 완료된 박스를 적재하는 적재부; 및
    상기 투입부, 이송부,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 센서부 및 적재부가 연계되도록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박스 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스트래핑 디바이스는,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고정본체; 및
    상기 제1고정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평면상으로 상기 이송부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된 박스의 가로방향으로 밴드를 감아서 결박시키는 제1결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박부는,
    상기 박스의 규격에 따라 밴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1그리퍼;
    를 포함하는 박스 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박스의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그리퍼의 위치가 좌우 이동되는 박스 밴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래핑 디바이스는,
    상기 이송부가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제2고정본체; 및
    상기 제2고정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밴드를 2열로 배치하여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가 밴드를 밀고 지나가면서 박스에 세로방향의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결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박부는,
    상기 박스의 규격에 따라 밴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그리퍼;
    를 포함하는 박스 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박스의 너비에 따라 1열 또는 2열 밴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그리퍼의 위치가 좌우 이동되는 박스 밴딩 장치.
KR1020200123638A 2020-09-24 2020-09-24 박스 밴딩 장치 KR20220041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38A KR20220041268A (ko) 2020-09-24 2020-09-24 박스 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38A KR20220041268A (ko) 2020-09-24 2020-09-24 박스 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68A true KR20220041268A (ko) 2022-04-01

Family

ID=8118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38A KR20220041268A (ko) 2020-09-24 2020-09-24 박스 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4546A (zh) * 2023-11-24 2023-12-26 江苏康百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矫正调节功能的包装箱传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ko)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ko)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4546A (zh) * 2023-11-24 2023-12-26 江苏康百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矫正调节功能的包装箱传输装置
CN117284546B (zh) * 2023-11-24 2024-03-12 江苏康百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矫正调节功能的包装箱传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96006C (en)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KR101300366B1 (ko)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RU2675447C2 (ru) Полотно пакетов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продукта в пленочные пакеты посредством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го полотна пакетов
KR101485116B1 (ko) 포장박스 밴딩기
US110530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ing a cushioning element in a carton
KR20220041268A (ko) 박스 밴딩 장치
KR101950986B1 (ko) 박스 다중 밴딩 포장장치
CN108349669A (zh) 通用的自动化堆叠装置
KR101347779B1 (ko) 박스 다중 밴딩장치
RU2429170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обвязочная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обвязочная упак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KR20220041267A (ko) 박스 밴딩 장치
KR20220041266A (ko) 박스 밴딩 장치
KR20230006706A (ko) 박스 밴딩장치
US3236022A (en) Automatic carton closing machine
EP2392513B1 (en) Equipment, method and station for lateral wrapping of products by means of plastic film
KR20230006710A (ko) 박스 밴딩장치
KR102587128B1 (ko) 다중 와인더 구조의 호스 포장장치
KR20200089466A (ko) 제품 밴딩기
KR102313204B1 (ko) 제함기의 포장박스 밴딩장치
KR20230006707A (ko) 박스 밴딩장치
KR20230006708A (ko) 박스 밴딩장치
KR20230006709A (ko) 박스 밴딩장치
KR102071419B1 (ko) 이송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WO2020261517A1 (ja) 丸棒鋼の精整設備及び精整方法
KR100879640B1 (ko) 카톤 자동 공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