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563A -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563A
KR20220040563A KR1020200123045A KR20200123045A KR20220040563A KR 20220040563 A KR20220040563 A KR 20220040563A KR 1020200123045 A KR1020200123045 A KR 1020200123045A KR 20200123045 A KR20200123045 A KR 20200123045A KR 20220040563 A KR20220040563 A KR 2022004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it
unit
camera module
barr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196B1 (ko
Inventor
김동하
김영일
손병수
서계원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Priority to KR102020012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96B1/ko
Priority to US18/014,731 priority patent/US20230273508A1/en
Priority to PCT/KR2021/009874 priority patent/WO2022065664A1/ko
Publication of KR2022004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일측에서 광이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경통부 및 상기 경통부의 일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고 중앙이 상기 경통부와 연통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몸체, 전방으로 볼록한 외형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부를 전방에서 감싸며 내부에 반사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반사공간 내부에서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투과해 전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부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반사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제1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상기 경통부로 전달하는 제2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유닛을 포함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Front camera module including dome-shaped cover unit}
본 발명은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렌즈를 가공하지 않고, 굴절면을 담당하는 커버유닛과 반사면을 담당하는 반사유닛을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결합함으로써 전방위 카메라의 렌즈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대부분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카메라는 CMOS나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소형 카메라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형카메라는 인쇄회로기판에 CMOS나 CCD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후 렌즈(lens)와 하우징(housing)에 조립된 후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카메라모듈이 동작한다.
다만,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크기가 소형화 되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여 소형화 함에 따라 촬영 가능 영역 자체도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안렌즈나, 특수 렌즈를 통해 광각의 시야를 가진 카메라모듈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특수 렌즈가 전방위 카메라 등에 적용됨으로써, 소형화한 카메라로도 광범위한 시야각을 가지며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다.
전방위 카메라모듈에 사용되는 렌즈는 어안렌즈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어안렌즈의 경우 큰 화각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어안렌즈가 아닌 특수 렌즈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전방위 카메라에 사용되는 특수한 렌즈의 경우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렌즈에 굴절면과 반사면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렌즈는 제작난이도가 높아 비용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렌즈의 경우 제작을 위해 복수 개의 부분으로 제작 후 접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어 실질적으로 제작공정이 증가하며 비용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별도의 렌즈 가공 없이 광 투과성 소재로 돔 형상의 커버유닛과 내부에 별도의 반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전방위 카메라 모듈의 제작 단가를 저감시키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은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일측에서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경통부 및 상기 경통부의 일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고 중앙이 상기 경통부와 연통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몸체, 전방으로 볼록한 외형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부를 전방에서 감싸며 내부에 반사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반사공간 내부에서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투과해 전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부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반사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상기 경통부로 전달하는 제2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전면의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통부 내부와 연통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확장부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반사공간 내부에서 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사부는 중앙에 상기 경통부와 연통되는 제1투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경통부 내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반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에서 경통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사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커버유닛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경통부와 마주보는 중앙에 제2투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전방을 통해 유입되는 광을 투과시켜 직접 상기 경통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2반사부의 전방에서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투과되는 광을 상기 제2투과홀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보조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별도의 코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확장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둘레에 따른 가장자리에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에 따르면, 굴절면의 역할을 수행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과,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유닛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경통부의 전방에서 확장된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광각렌즈 없이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메라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카메라모듈에서 경통부로 광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카메라모듈에서 커버유닛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카메라모듈에서 커버유닛의 전방으로 광이 입사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카메라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카메라모듈에서 경통부로 광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볼록한 형태의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전방에서 전달되는 광을 광각으로 수집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크게 몸체(100), 커버유닛(200), 반사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광이 전달되는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별도의 이미지 센서(114)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일측에 후술하는 상기 커버유닛(200)이 구비되어 타측이 별도의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전방으로부터 이미지를 광각으로 수집할 수 잇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커버유닛(200)을 통과한 광이 이동하는 경통부(110) 및 상기 경통부(110)의 전방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어 중앙에 경통부(110)와 연통된 홀이 형성되는 확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경통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광의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일측에 개방된 홀을 통해서 내부의 연통구를 통과하며, 상기 연통구 내에는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광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경통부(1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상기 확장부(12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경통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광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이미지 센서(1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통부(110)는 내부에 광의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일측에서 유입된 광이 복수 개의 렌즈 어레이(112)를 경유하여 타측에 구비된 상기 이미지 센서(11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경통부(110)의 일측에서 구비되어 후술하는 상기 반사유닛(300) 및 커버유닛(200)이 결합되며, 전방에서 유입되는 광의 반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경통부(110)의 전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경통부(110)의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120)는 후술하는 상기 반사유닛(300)의 일부가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반사유닛(300)이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120)는 전면의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통부(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확장부(120)의 전면이 평면 형태로 단순히 둘레가 확장되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0)는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며 전방에 형성된 상기 확장부(120)에 후술하는 상기 커버유닛(200) 및 상기 반사유닛(300)이 구비되어 광각으로 광을 수집한 후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200)은 전방으로 볼록한 외형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부(120)를 전방에서 감싸며 내부에 반사공간(R)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확장부(120)의 전방에서 볼록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12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확장부(120)의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과 상기 커버유닛(200)의 내면 사이에 별도의 반사공간(R)을 형성하여 광이 이동 및 반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유닛(200)은 광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부(120)의 둘레를 따라 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서 볼록한 형태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반사공간(R)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200)은 일반 적인 돔 형태로 형성되어 유리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반사공간(R)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부(12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확장부(12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둘레에 따른 가장자리에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결합부(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120)는 상기 커버유닛(200)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202)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12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202)와 상기 제2결합부(122)가 상호 치합됨으로써 상기 커버유닛(200)이 상기 확장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유닛(200)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02)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122)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202)는 단순한 홈이 아니라 꺾여진 형태의 홈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22)가 제1결합부(20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제1결합부(202)와 상기 제2결합부(122)에 의해 상기 확장부(120)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202)와 상기 제2결합부(12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유닛(30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유닛(200) 내부로 유입된 광을 상기 반사공간(R)에서 반사하여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제1반사부(310) 및 제2반사부(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유닛(300)은 상기 반사공간(R) 내부에서 확장부(1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310)와 상기 제1반사부(31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반사된 광을 재반사 시켜 상기 경통부(110)로 전달하는 제2반사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해 전달되는 광을 1차적으로 반사한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형성되어 광을 반사하며,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커버유닛(200)의 곡률과 상이한 곡률을 가지며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해 전달되는 다양한 입사각도의 광을 각각 반사하여 후술하는 상기 제2반사부(320) 방향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반사부(310)는 일반적인 반사거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상기 경통부(110)와 연통되는 제1투과홀(3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제2반사부(320)에서 재반사 되는 광이 경통부(110) 내부로 이동할 수 잇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확장부(120)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확장부(120)가 볼록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경통부(110)가 볼록한 형태가 아니라 전면이 평판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반사부(310)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전면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야 하며 중앙에 상기 제1투과홀(312)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확장부(120)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유닛(200)의 결합 시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반사부(310)가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코팅 형태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반사부(310)가 코팅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반사부(310)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반사부(310)는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서 상기 반사공간(R)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유닛(200)을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광을 일정 각도로 반사하여 전방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제2반사부(320)는 상기 커버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부(120)의 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전달된 광을 재반사하여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반사부(320)는 상기 제1반사부(310)와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반사되는 광을 재반사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200)의 볼록한 중앙부분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반사부(320)는 상기 제1반사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광이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의 면적을 가지며, 평판형태 또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모두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반사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00)의 내부 중앙에서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결합되며, 이와 달리 상기 커버유닛(200)의 내면에 직접 반사코팅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제2반사부(320)가 반사코팅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유닛(200) 내면의 해당 위치에서는 평판 형태 또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반사부(320)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반사부(320)는 상기 제1반사부(310)의 전방에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전달되는 광을 재반사하여 상기 제1반사부(31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제2반사부(320)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전달된 광이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의해 반사되어 전달되고, 이를 다시 재반사하여 상기 경통부(11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하여 넓은 시야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유닛(300)은 상기 제1반사부(310) 및 상기 제2반사부(320)를 통해 각각 광을 반사하여 상기 커버유닛(200)의 광각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경통부(110) 내부로 반사하여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상기 경통부(110)의 변형이나, 수정 없이 상기 경통부(110)의 전방에 돔 형태의 커버유닛(200) 및 상기 반사유닛(300)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광각으로 시야를 확보하는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잇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상기 몸체(100), 상기 커버유닛(200) 및 상기 반사유닛(3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확장부(120)에 상기 커버유닛(200)이 결합되며, 커버유닛(200)의 내부에 상기 반사유닛(300)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310)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유닛(20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확장부(12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유닛(200)이 상기 확장부(1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반사부(310)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120)와 상기 커버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200)과 상기 확장부(12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반사부(310)가 상기 확장부(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200)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이미지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의 광이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공간(R) 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할 때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광의 일부가 굴절될 수 있으며, 굴절된 광의 대부분은 상기 제1반사부(310)로 전달되어 반사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200) 내부는 빈 공간으로써 공기로 채워지며 상기 제1반사부(310)와 상기 제2반사부(320)가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공간(R) 내부로 입사되는 광의 굴절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커버유닛(200)의 소재를 변경하거나, 상기 반사공간(R) 내부에 광 투과성 물질을 충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전달된 광은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전방으로 반사된다. 이때, 상기 제1반사부(310)는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돔 형태의 상기 커버유닛(200)을 투과하여 전달되는 광의 입사각이 상이 하더라도 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2반사부(320)를 향해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부(310)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상기 제2반사부(320)에서 재반사되어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되고, 전달된 광을 통해 이미지 센서(114)에서 광각으로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모듈은 전방을 향해 돔 형태로 형성된 상기 커버유닛(200)을 통해 입사된 광을 복수 회 반사하여 상기 경통부(110) 내부로 전달함으로써 이미지 센서(114)를 통해 광각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모듈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모듈에서 커버유닛(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카메라모듈에서 커버유닛(200)의 전방으로 광이 입사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변형된 형태의 카메라모듈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지만, 상기 제2반사부(320)의 구성이 상이하며, 추가적으로 별도의 보조렌즈(210)가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반사부(320)는 상기 커버유닛(200)의 중앙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별도의 제2투과홀(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투과홀(322)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은 상기 반사유닛(300)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기 경통부(110)를 향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투과홀(322)은 상기 경통부(110)에 형성된 홀의 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200)에서 상기 제2반사부(320)가 배치됨에 따라 중앙부에서 투과되지 못하는 광을 일부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유닛(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영역 중 중앙부분의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200)은 상기 제2반사유닛(300)의 전방에서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투과되는 광을 상기 제2투과홀(322)로 전달하는 보조렌즈(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렌즈(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200)의 돌출된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2투과홀(322)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반사부(320)에 의해 상기 반사공간(R) 내부로 투과되지 못하고 차단되는 광을 수집하여 상기 제2투과홀(322)로 전달한다.
이때, 보조렌즈(210)는 전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일정 영역에서 유입되는 광을 굴절시켜 상기 제2투과홀(32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200)에서 상기 제2반사부(320)가 배치됨에 따라 중앙부에서 전달되는 광이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부는 직접 제2투과홀(322)을 통해 상기 경통부(110)로 전달함으로써, 이미지의 누락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렌즈(210)는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유닛(200)의 돌출된 중앙부에서 상기 제2반사유닛(3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광을 굴절시켜 상기 제2투과홀(32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기존과 달리 복수 개의 렌즈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하거나, 또는 렌즈를 가공 시 굴절면과 반사면을 별도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커버유닛(200)이 굴절면과 렌즈 자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반사유닛(300)이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광각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몸체
110: 경통부
120: 확장부
200: 커버유닛
210: 보조렌즈
300: 반사유닛
310: 제1반사부
320: 제2반사부
R: 반사공간

Claims (9)

  1.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일측에서 유입된 광이 이동하는 경통부 및 상기 경통부의 일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확장 형성되고 중앙이 상기 경통부와 연통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몸체;
    전방으로 볼록한 외형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부를 전방에서 감싸며 내부에 반사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유닛;
    상기 반사공간 내부에서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투과해 전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부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반사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상기 경통부로 전달하는 제2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유닛;
    을 포함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전면의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통부 내부와 연통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확장부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반사공간 내부에서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중앙에 상기 경통부와 연통되는 제1투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경통부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제1반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에서 경통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커버유닛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상기 경통부와 마주보는 중앙에 제2투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전방을 통해 유입되는 광을 투과시켜 직접 상기 경통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2반사부의 전방에서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투과되는 광을 상기 제2투과홀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보조렌즈를 더 포함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는
    상기 확장부의 전면에 별도의 코팅 형태로 형성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확장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둘레에 따른 가장자리에 돌기 또는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하는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KR1020200123045A 2020-09-23 2020-09-23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KR10244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45A KR102446196B1 (ko) 2020-09-23 2020-09-23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US18/014,731 US20230273508A1 (en) 2020-09-23 2021-07-29 Omnidirectional camera module comprising dome-shaped cover unit
PCT/KR2021/009874 WO2022065664A1 (ko) 2020-09-23 2021-07-29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45A KR102446196B1 (ko) 2020-09-23 2020-09-23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63A true KR20220040563A (ko) 2022-03-31
KR102446196B1 KR102446196B1 (ko) 2022-09-26

Family

ID=8084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45A KR102446196B1 (ko) 2020-09-23 2020-09-23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73508A1 (ko)
KR (1) KR102446196B1 (ko)
WO (1) WO20220656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883A (ko) * 2011-10-07 2013-04-17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US20140233935A1 (en) * 2010-06-23 2014-08-21 Panasonic Corporation Dom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171B2 (ja) * 2009-10-06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監視カメラ
KR101457138B1 (ko) * 2014-03-28 2014-10-3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난반사 및 미광 차단 수단을 구비한 돔형 감시카메라
KR101866875B1 (ko) * 2016-06-10 2018-07-23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3935A1 (en) * 2010-06-23 2014-08-21 Panasonic Corporation Dome camera
KR20130037883A (ko) * 2011-10-07 2013-04-17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3508A1 (en) 2023-08-31
KR102446196B1 (ko) 2022-09-26
WO2022065664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94B1 (ko)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KR101076986B1 (ko) 싱글 뷰포인트 굴절반사렌즈
KR100691267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결상 렌즈
DE60229104D1 (de) Panoramaobjektiv
EP2466373A1 (en) Flash Lens and Flash Module Employing the Same
JPH07333505A (ja) 撮像装置
CN111474665A (zh) 光学镜头、应用该光学镜头的镜头模组及电子装置
US20220276471A1 (en) Camera module using small reflector, and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using same
KR100700507B1 (ko)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KR102446196B1 (ko)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CN111510597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11480852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H0716017B2 (ja) 光半導体装置
KR20210004835A (ko) 소형 반사부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JP3607281B2 (ja) 携帯端末装置
TWI460472B (zh) 攜帶型電子裝置
KR100677820B1 (ko)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CN214795271U (zh) 棱镜、光学镜组、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2153617B1 (ko) 소형 반사부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KR102117846B1 (ko) 휴대 단말기용 3d 입체 이미지 광학장치
CN215219287U (zh) 光学镜头、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20240125591A1 (en) Wide field-of-view metasurface optics, sensors, cameras and projectors
JP2000089122A (ja) ドアカメラ
JP2005221896A (ja) 結像素子
JP3377069B2 (ja) 光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