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875B1 -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875B1
KR101866875B1 KR1020160072671A KR20160072671A KR101866875B1 KR 101866875 B1 KR101866875 B1 KR 101866875B1 KR 1020160072671 A KR1020160072671 A KR 1020160072671A KR 20160072671 A KR20160072671 A KR 20160072671A KR 101866875 B1 KR101866875 B1 KR 10186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refraction
lens assembl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975A (ko
Inventor
조중길
배동민
Original Assignee
(주)헥스하이브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헥스하이브,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filed Critical (주)헥스하이브
Priority to KR102016007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875B1/ko
Priority to PCT/KR2016/012641 priority patent/WO2017159950A1/ko
Publication of KR2017013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주변 360° 전방위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은,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사발(bowl) 측면 형상의 광굴절면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광굴절면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광반사면의 하부에 광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진 반사굴절 렌즈, 및 광출사면을 통해 아래로 출사되는 광(光)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며 렌즈 조립체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투과하여 결상된 광(光)을 감지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및 이미지 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한 본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System and black box for picking up image omnidirectionally}
본 발명은 주변의 360°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아래 방향으로 인도하고, 이를 이미지(image)화하여 기록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과 이를 포함한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black box)는 본래 항공기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고도, 항로, 속도, 엔진 상황 등 항공기의 운항 상태 및 관제소와의 교신 내용 등을 기록하는 장치이며, 항공기 사고 후 이를 회수하여 분석하면 해당 항공기의 사고 경위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근래에는 블랙박스가 자동차에도 도입되어, 자동차 운행시 또는 운행 정지시의 영상과 차량 속도 등 주행 정보를 기록하여 사고 정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카메라의 촬상 각도가 제한적이어서 자동차 주변 모든 방향의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전방, 후방, 좌측방, 및 우측방이 각각 촬영되도록 복수의 블랙박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블랙박스 시스템을 갖추는데 큰 비용이 들며, 복수의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장소와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블랙박스를 작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커서 자동차 배터리(battery)의 방전이 촉진될 수도 있다.
한편, 모터 사이클(motor cycle), 자전거, 휠보드(wheel board) 등 자동차보다 소형이면서 보행 속도보다 빠른 이동 수단의 경우, 및 스키, 스노우 보드 등 속도감 있는 레포츠의 경우에,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운행 중 사고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사고 정황 파악을 위해 블랙박스가 필요하나,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설치 가능한 블랙박스의 설치 장소 및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01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5960호
본 발명은, 주변 360° 전방위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으로서, 천장, 벽 등 제한된 설치 장소 및 설치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가능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사발(bowl) 측면 형상의 광굴절면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상기 광굴절면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상기 광반사면의 하부에 상기 광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진 반사굴절 렌즈, 및 상기 광출사면을 통해 아래로 출사되는 광(光)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투과하여 결상된 광(光)을 감지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및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한 본체를 구비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본체 외부의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 및 상기 본체의 외관을 한정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hous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이 헬멧(helmet)에 부착되거나, 상기 헬멧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측면을 둘러싸서 수용하도록 사발 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반사굴절 렌즈 홀더(holder),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상면을 가리는 것으로,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체결되어 상기 반사굴절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조립체 커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지지하며, 상단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통 어셈블리(barrel assembly)를 구비하며,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광굴절면으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내면을 가지고 동일 두께의 사발 측면형으로 형성되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반사면은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상면에 마련되며, 아래로 오목하게 파여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체결되면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외주부가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밀착되며, 상기 반사굴절 렌즈는, 상기 광굴절면을 이루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는, 상기 플랜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는, 외주변에서 아래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플랜지 및 플랜지 지지부 외측을 감싸는 스커트를 포함하여서, 상기 스커트가 상기 플랜지 지지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탑재 고정된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board), 및 상기 경통 어셈블리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통 어셈블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본체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내주면에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통(barrel)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는, 상기 광투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통의 상부를 둘러싸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상부 및 하부의 외주면에는 수형 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통 상부의 수형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통 하부의 수형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부재들 중에서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상기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black box)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는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helme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가 렌즈 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되고, 반사굴절 렌즈와 대등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의 전방위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장소가 천장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가 렌즈 조립체보다 아래로 가도록 선 자세로 본체가 지지될 수 있는 장소에 놓거나 고정하는 방식으로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벽 상단, 전봇대 상단, 또는 자동차의 루프(roof) 위에 고정 설치하여 주변 감시, 촬영, 및 사고 원인 파악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본체와 하나의 렌즈 조립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면서도 전방위를 촬상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battery)를 내장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용량과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영상 시스템을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유리하다. 따라서, 예컨대, 모터 사이클, 자전거와 같은, 자동차 이외의 이동 장치를 운전하는 경우 운전자의 헬멧에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을 고정 장착하여 블랙박스로 사용함으로써, 사고 원인을 파악하거나 운전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렌즈 조립체와 본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렌즈 조립체의 반사굴절 렌즈, 반사굴절 렌즈 홀더, 및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3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을 구비한 블랙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렌즈 조립체와 본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은 아래에 배치되는 본체(80)와, 상기 본체(80)보다 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80)에 고정 지지되는 렌즈 조립체(11)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렌즈 조립체의 반사굴절 렌즈, 반사굴절 렌즈 홀더, 및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3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렌즈 조립체(11)는 렌즈 조립체 하우징(housing)과, 상기 렌즈 조립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반사굴절 렌즈(12) 및 제1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 조립체 하우징은 반사굴절 렌즈 홀더(holder)(40)와, 렌즈 조립체 렌즈 조립체 커버(cover)(50)와, 경통 어셈블리(barrel assembly)(74)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은 상기 렌즈 조립체(11)를 중심으로 주변 360° 방향의 이미지를 한번에 포착하는 영상 시스템이다.
반사굴절 렌즈(12)는, 하측으로 볼록한 광굴절면(15)과, 광반사면(13)과, 상기 볼록한 광굴절면(15)의 중앙에 광출사면(16)을 구비하고, 외주부에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확장된 플랜지(17)를 구비한다. 광굴절면(15)으로는 외부의 광(光)이 입사되어 굴절된다. 광반사면(13)은 미러 코팅(mirror coating)이 된 면으로 상기 광굴절면(15)으로 입사된 광이 광반사면(13)을 통해 반사된다. 상기 광반사면(13)은 반사굴절 렌즈(12)의 상면에 마련되고 아래로 오목하게 파여진 면이다. 광출사면(16)으로는 상기 광반사면(13)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出謝)된다. 부연하면, 반사굴절 렌즈(12)는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사발(bowl) 측면 형상의 광굴절면(15)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광굴절면(15)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13)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광반사면(13)의 하부에 상기 광반사면(13)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16)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갖는다.
반사굴절 렌즈 홀더(40)는 상면이 개방된 사발 측면형 용기(container) 형태의 부재로서, 여기에 반사굴절 렌즈(12)의 측면 및 하면이 둘러싸여 수용된다. 반사굴절 렌즈 홀더(40)는 반사굴절 렌즈(12)가 수용되었을 때 광굴절면(15)으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측으로 볼록하며 투명한 광투과부(41)와, 반사굴절 렌즈(12)의 광출사면(16)과 정렬되도록 광투과부(41)에서 이어져 파이프(pipe) 형상으로 아래로 연장된 연결부(47)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47)의 통공을 통해 상기 광출사면(16)에서 출사된 광(光)이 아래로 향해 진행한다. 상기 연결부(47)의 내주면에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광투과부(41)는 상기 광굴절면(15)으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내면을 가지고 동일 두께의 사발 측면형으로 형성되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렌즈 조립체 커버(50)는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에 체결되어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여, 반사굴절 렌즈 홀더(40) 내부에 수용된 반사굴절 렌즈(12)의 상면을 가리며, 반사굴절 렌즈(12)를 반사굴절 렌즈 홀더(4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외주부에는 반사굴절 렌즈(12)의 플랜지(17)를 지지하도록 방사 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지지부(42)의 일 부분은 확장되지 않고, 상기 플랜지 지지부(42)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파여져 홈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43)에서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롯(slot)(44)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44)은 상기 플랜지 지지부(42)와 단차진다.
렌즈 조립체 커버(50)의 직경은 반사굴절 렌즈(12)의 직경 또는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렌즈 조립체 커버(50)는 상기 플랜지(17)와 상기 플랜지 지지부(42)를 감쌀 수 있도록 외주변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연장된 스커트(skirt)(51)와, 상기 스커트(51)의 하단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잠금 돌기(53)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돌기(53)는 상기 홈부(43)와 정렬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50)를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에 체결할 때 상기 플랜지(17)가 상기 잠금 돌기(53)를 가로막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17)의 일 부분은 주변보다 방사 방향으로 덜 확장된 플랜지 절단면(18)이 형성된다.
반사굴절 렌즈(12)를 반사굴절 렌즈 홀더(40) 내부에 안치하고, 잠금 돌기(53)와, 플랜지 절단면(18)과, 홈부(43)를 정렬하고, 렌즈 조립체 커버(50)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상면을 폐쇄하고, 렌즈 조립체 커버(50)를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 돌기(53)가 슬롯(44)을 따라 미끄러져 플랜지 지지부(42)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50)를 의도적으로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50)는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상면을 폐쇄한 채 체결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 커버(50)가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에 체결되면 반사굴절 렌즈(12)의 외주부, 즉 플랜지(17)가 렌즈 조립체 커버(50)의 외주부와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플랜지 지지부(42)에 밀착되므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내부 공간에서 진동하거나 흔들림 없이 위치 고정된다.
상기 광출사면(16)을 통해 아래로 출사된 광(光)은 제1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는 순차적으로 투과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는 반사굴절 렌즈(12)의 아래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경통 어셈블리(74)는 상기 제1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를 지지하고, 상기 광출사면(16) 및 상기 제1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와 일렬로 정렬되게 아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86)를 포함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본체와,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연결부(47)에 결합된다. 상기 경통 어셈블리(74)는 경통(barrel)(60)과, 본체 결합 브라켓(55)을 구비한다.
본체 결합 브라켓(55)은 본체(80) 내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86)가 탑재 고정된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circuit board)(87)에 고정 결합된다. 본체 결합 브라켓(55)의 하단부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에 볼트(bolt)(89)에 의해 체결되도록 볼트 체결부(59)가 마련된다. 볼트(89)에 의해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55)과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가 체결되면, 복수의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가 이미지 센서(86)와 일렬로 정렬된다. 본체 결합 브라켓(55)의 내주면에는 필터 지지 돌출부(56)가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필터 지지 돌출부(56)에 이미지 센서(86)에 수광되는 광(光)을 보정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36)가 고정 지지된다. 본체 결합 브라켓(55)의 상부는 파이프(pipe) 형상의 부분으로 내주면에 암형 나사면이 형성된다.
경통(60)은 상기 연결부(47)와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55) 사이에 개재되며, 제1 경통 부재(61)와 제2 경통 부재(70)를 구비한다. 제1 경통 부재(61)의 내주면에는 제1 및 제2 광투과 렌즈(20, 22)가 지지된다. 제1 경통 부재(61)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형 나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된다. 제2 경통 부재(70)의 내주면에는 제3, 제4, 및 제5 광투과 렌즈(24, 26, 28)가 지지된다. 상기 제3 및 제4 광투과 렌즈(24, 26)는 서로 밀착되게 접합된 렌즈이다. 제2 경통 부재(70)의 상부 외주면과 하부 외주면에는 각각 수형 나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경통 부재(61) 상부의 수형 나사면은 상기 연결부(47)의 암형 나사면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경통 부재(61) 하부의 암형 나사면은 상기 제2 경통 부재(70) 상부의 수형 나사면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2 경통 부재(70) 하부의 수형 나사면은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55) 상부의 암형 나사면과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연결부(47)와 제1 경통 부재(61), 제1 경통 부재(61)와 제2 경통 부재(70), 및 제2 경통 부재(70)와 본체 결합 브라켓(55)가 암형 나사면과 수형 나사면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부재들 중에서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부재 사이의 거리, 즉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경통 부재(61)를 제2 경통 부재(70)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경통 부재(61, 7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제1 경통 부재(61)에 지지된 제1 및 제2 광투과 렌즈(20, 22)와, 제2 경통 부재(70)에 지지된 제3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4, 26, 28)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경통 부재(7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외경이 큰 확장 외경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확장 외경부(71)를 잡고 제2 경통 부재(70)를 제1 경통 부재(70)에 대해, 또는 본체 결합 브라켓(55)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의 광투과부(41)와 연결부(47)의 경계 부분에는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경통 스토퍼(barrel stopper)(46)가 구비된다. 제1 경통 부재(61)를 상기 연결부(47)에 결합할 때, 상기 경통 스토퍼(46)가 제1 경통 부재(61)의 상단을 가로막아 반사굴절 렌즈(12)와 제1 경통 부재(61)의 충돌과 그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제1 경통 부재(61)의 상단에는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렌즈 스토퍼(lens stopper)(65)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 스토퍼(65)는 제1 경통 부재(61)의 내주면에 지지된 제1 광투과 렌즈(20)가 제1 경통 부재(61)의 상단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막는다.
제1 경통 부재(61) 내주면에 지지된 제1 광투과 렌즈(20)와 제2 광투과 렌즈(22) 사이에는 링(ring) 형상의 제1 스페이서(spacer)(30)가 개재되고, 제2 경통 부재(70) 내주면에 지지된 제4 광투과 렌즈(26)와 제5 광투과 렌즈(28)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2 스페이서(32)가 개재된다. 상기 제1 스페이서(30)는 제1 광투과 렌즈(20)와 제2 광투과 렌즈(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스페이서(32)는 제4 광투과 렌즈(26)와 제5 광투과 렌즈(2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스페이서(30)를 대체하여 다른 종류의 제1 스페이서, 부연하면, 제1 스페이서(30)와 상하 방향 두께가 차이 나는 제1 스페이서를 제1 광투과 렌즈(20)와 제2 광투과 렌즈(22) 사이에 개재하면 제1 광투과 렌즈(20)와 제2 광투과 렌즈(22) 사이의 간격이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제2 스페이서(32)를 대체하여 다른 종류의 제2 스페이서, 부연하면, 제2 스페이서(32)와 상하 방향 두께가 차이 나는 제2 스페이서를 제4 광투과 렌즈(26)와 제5 광투과 렌즈(28) 사이에 개재하면 제4 광투과 렌즈(26)와 제5 광투과 렌즈(28) 사이의 간격이 변경된다.
제2 경통 부재(7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링(ring) 형상의 리테이너(retainer)(34)가 고정된다. 상기 리테이너(34)의 외주면에는 수형 나사면이 형성되고, 제2 경통 부재(70)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형 나사면에 대응되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34)의 수형 나사면이 상기 제2 경통 부재(70)의 암형 나사면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34)는 제2 경통 부재(70) 내주면에 지지된 제3 내지 제 5 광투과 렌즈(24, 26, 28)와 제2 스페이서(32)를 가로막아, 이들이 제2 경통 부재(70) 하단을 통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경통 부재(61)에 제2 경통 부재(70)가 결합된 때 상기 제2 경통 부재(70)의 상단은 제1 경통 부재(61) 내주면에 지지된 제2 광투과 렌즈(22)를 밀착 지지한다. 상기 제2 경통 부재(70)의 상단은 제1 경통 부재(61) 내주면에 지지된 제1 및 제2 광투과 렌즈(20, 22)와 제1 스페이서(30)가 제1 경통 부재(61)에서 아래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막는 리테이너(retainer)의 기능을 한다.
제2 경통 부재(70)의 내주면에는 제3 내지 제5 광투과 렌즈(24, 26, 28)보다 높은 위치에 조리개(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개(72)는 제1 경통 부재(61)의 내주면에 지지된 광투과 렌즈(20, 22)와 제2 경통 부재(70)의 내주면에 지지된 광투과 렌즈(24, 26, 28) 사이에 배치된다. 조리개(72)는 이미지 센서(86)에 결상되는 광량(光量)을 결정하는 것으로, 제2 경통 부재(7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링(ring)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만약,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경통 부재(61)와 제2 경통 부재(70)로 분리 가능한 경통(60)이 아니라, 분리 불가능한 일체형의 경통이 본 발명에 구비된다면, 복수의 광투과 렌즈들이 적절한 유효경과 조립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광투과 렌즈 배열을 가져야만 한다. 또는, 중심부와 외주부의 두께 차이가 큰 광투과 렌즈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이럴 경우, 렌즈 성형시 에러(error)가 빈번하여 수율이 저하되고, 경통의 설계가 매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72)를 중심으로 제1 경통 부재(61)에 지지되는 광투과 렌즈(20, 22)와, 제2 경통 부재(70)에 지지되는 광투과 렌즈(24, 26, 28)로 각각 모듈(module)화하여 별개로 제조 및 검사하고, 제1 경통 부재(61)의 모듈과 제2 경통 부재(70)의 모듈을 조립함으로써 불량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11)에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와 렌즈 조립체 커버(50),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와 제1 경통 부재(61), 제1 경통 부재(61)와 제2 경통 부재(70), 제2 경통 부재(70)와 본체 결합 브라켓(55)의 결합에는 체결 볼트 및 접착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를 제1 및 제2 경통 부재(61, 70)의 내주면에 지지하는 데에도 체결 볼트 및 접착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 조립체(11)의 조립 후에도 렌즈(11, 20, 22, 24, 26, 28)의 교체나 렌즈들(11, 20, 22, 24, 26, 28) 간의 정렬 상태 재조정을 위한 분해와 재조립이 용이하여, 조립 능률이 향상되고, 조립 불량율이 저하되며, 생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반사굴절 렌즈 홀더(40)와 제1 경통 부재(61), 제1 경통 부재(61)와 제2 경통 부재(70), 및 제2 경통 부재(70)와 본체 결합 브라켓(55)가, 암형 나사면과 수형 나사면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인접한 렌즈 사이의 간격이 스페이서(30, 32)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렌즈의 종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변경된 렌즈에 따라 적절하게 렌즈 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아래에서 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을 구비한 블랙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체(80)는 본체 하우징(housing)과, 그 내부에 이미지 센서(86), 메인 회로 보드(120), 배터리(116), 마이크(microphone)(131) 등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본체 베이스(110)와, 배터리 홀더(holder)(100)와, 본체 커버(cover)(90)와,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를 포함한다.
본체 커버(90)는 원형의 원판부(94)와, 상기 원판부(94)의 중앙부에서 관(管)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관부(9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94)의 하측면에는 가청(可聽) 음파를 전기적인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rophone)(131)가 탑재된다. 영상 시스템(10) 주변의 음파가 상기 마이크(131)에 큰 손실 없이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131)와 위아래로 정렬되는 상기 원판부(94)의 지점에 음파 전달 통공(96)이 형성된다.
관부(91)의 상단에는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가 복수의 볼트(bolt)(미도시)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는 렌즈 조립체(11)의 경통 어셈블리(74)가 이미지 센서(86)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렌즈 조립체(11)를 지지한다.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의 중앙의 통공으로 렌즈 조립체(11)의 경통(60)이 삽입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의 중앙 통공 내주면을 따라 경통 가이드(83)가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경통(60)이 Z축과 평행한 자세로 이미지 센서(86)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미지 센서(86)는 렌즈 조립체(11)의 복수의 광투과 렌즈(20, 22, 24, 26, 28)을 투과하여 결상된 광(光)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86)는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에 탑재 고정된다.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의 외주부에는 한 쌍의 본체 결합 브라켓 체결 통공(88a)과 한 쌍의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체결 통공(88b)이 형성된다.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의 경통 가이드(83) 외주에는 한 쌍의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 체결부(82)가 마련된다.
한 쌍의 볼트(미도시)가 한 쌍의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체결 통공(88b)을 관통하여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 체결부(8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센서(86)가 고정 탑재된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가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다른 한 쌍의 볼트(89)가 한 쌍의 본체 결합 브라켓 체결 통공(88a)을 관통하여 본체 결합 브라켓(55)의 한 쌍의 볼트 체결부(59)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조립체(11)가 이미지 센서(86)가 고정 탑재된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에 고정 결합된다.
본체 커버(90)의 관부(91)의 상단부에는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체결부(92)가 마련되고,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체결부(92)에 대응되는 본체 커버 체결부(84)가 마련된다. 복수의 볼트(미도시)로 상기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체결부(92)와 상기 본체 커버 체결부(84)를 관통 체결함으로써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가 본체 커버(90)에 고정 결합된다. 렌즈 조립체(11)가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 및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에 결합된 상태로,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가 본체 커버(90)에 결합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센서(86)는 본체 커버(90)의 관부(91)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의 외주 측면에는 한 쌍의 볼트 통공(89)이 마련된다. 렌즈 조립체(11)의 경통(60)을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81)의 중앙 통공에 끼워 넣고, 상기 한 쌍의 볼트 통공(89)을 통해 한 쌍의 볼트(미도시)를 끼워 넣고 볼트의 말단이 제1 경통 부재(61) 외주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이면, 제1 경통 부재(61)는 나사 결합된 제2 경통 부재(7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제2 경통 부재(70)는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87)에 고정된 본체 결합 브라켓(55)과 상기 고정된 제1 경통 부재(61)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역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따라서, 광투과 렌즈들(20, 22, 24, 26, 28)과, 밴드 패스 필터(36)와, 이미지 센서(86)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는 이들간의 정렬이 반복적인 사용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고퀄리티(high quality)의 촬상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배터리 홀더(100)는 관(管) 형상의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 내측에 배터리(116)를 에워싸는 배터리 브라켓(101)을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배터리(116)는 배터리 홀더(10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브라켓(101) 내부에 끼워진다. 메인 회로 보드(main circuit board)(120)는 배터리 브라켓(101)의 위에 상기 배터리 홀더(100)의 외주벽 내측에 탑재된다. 본체 커버(90)의 원판부(94) 하측면에 하향 돌출된 복수의 배터리 홀더 체결부(95)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홀더 체결부(95)에 대응되는 배터리 홀더(100)의 지점에 상향 돌출된 복수의 본체 커버 체결부(103)가 마련된다. 복수의 볼트(105)가 상기 복수의 본체 커버 체결부(103)와 메인 회로 보드(120)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 홀더 체결부(95)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홀더(100)가 본체 커버(90)에 고정 결합되며, 메인 회로 보드(120)는 상기 복수의 본체 커버 체결부(103)에 고정 탑재된다.
메인 회로 보드(120)에는 이미지 센서(86)에서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가 탑재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에 실장된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120)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로 보드(120)에는 저장 매체인 SD 메모리 카드(125)(secure digital memory card)125)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SD 메모리 카드 소켓(socket)(124)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120)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본체(80) 외부의 기기, 예컨대, 본체(80) 외부의 컴퓨터(computer)나 서버(server)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로 보드(120)에 USB 코드(universal serial bus cord)의 단자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USB 소켓(socket)(126)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USB 코드를 통해 메인 회로 보드(120)와 본체(80) 외부의 컴퓨터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유선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SB 소켓(126)에는 USB 메모리(memory)의 단자가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120)에는 통신 수단의 다른 일 예로서 WIFI 모듈(128)이 탑재될 수 있다. WIFI 모듈(128)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본체(80) 외부의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본체(80) 외부에서 SD 메모리 카드(125)를 상기 SD 메모리 카드 소켓(124)에 착탈하기 위해 개방된 SD 메모리 카드 슬롯(slot)(98)과, 본체(80) 외부에서 USB 단자를 상기 USB 소켓(126)에 착탈하기 위해 개방된 USB 슬롯(99)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홀더(100)의 외주벽에는 메인 회로 보드(120)와 이미지 센서(86)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 누르는 전원 버튼(button)(118)이 마련된다. 메인 회로 보드(120)의 일 측에는 상기 전원 버튼(118)이 눌려지면 접촉 가압되어 전원 공급 회로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접촉 스위치(tact switch)(122)가 탑재된다.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118)이 눌려지면 접촉 스위치(122)가 가압되어 전원 공급 회로가 연결되고, 메인 회로 보드(120)와 이미지 센서(86)에 전력이 공급되어 영상 시스템(10)이 작동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 버튼(118)이 다시 한번 눌려지면 접촉 스위치(122)가 다시 가압되어 연결되어 있던 전원 공급 회로가 차단되고, 메인 회로 보드(120)와 이미지 센서(86)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영상 시스템(10) 작동이 꺼진다. 상기 메인 회로 보드(120)와 이미지 센서(86)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본체(80)에 내장된 배터리(116)에서 공급될 수도 있고, 본체(80)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배터리(116)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미지 센서(86) 및 메인 회로 보드(120)에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116)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원판 형상의 본체 베이스(110) 상측면에는 완충 패드(pad)(114)가 마련된다. 배터리(116)가 배터리 브라켓(101)에 끼워진 상태로, 배터리 홀더(100)의 하부가 폐쇄하도록 본체 베이스(110)를 배터리 홀더(100)에 결합하면, 배터리(116)의 하측면이 완충 패드(114)에 밀착 지지되고 배터리(116)의 상측면은 배터리 브라켓(101)에 밀착된다. 따라서, 배터리(116)는 배터리 홀더(100) 내부에서 진동하지 않게 고정된다.
본체 베이스(110)에 마련된 후크(hook)(112)와, 상기 후크(112)에 간섭되도록 배터리 홀더(100)에 마련된 후크 리시버(receiver)(106)를 포함하는 록킹 유닛(locking unit)에 의해 배터리 홀더(100)에 본체 베이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반대로, 록킹 유닛은 배터리 홀더(100)에 마련된 후크와, 본체 베이스(110)에 마련된 후크 리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록킹 유닛에 의하지 않고 볼트(미도시) 체결에 의해 배터리 홀더(100)와 본체 베이스(110)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터 사이클 운전자용 헬멧(helmet)(3)에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은 모터 사이클 운행 중 일어난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는 블랙박스(black box)로서 사용되거나, 모터 사이클의 이동 경로와 운전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은 상기 헬멧(3)의 상측면에 점착 테이프, 끈, 양면 테이프, 볼트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헬멧(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전방위 촬영용 영상 시스템(10)을 구비한 블랙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그 외에도, 자전거 운전자용 헬멧, 스키어용 헬멧(skier helmet), 스노우 보더용 헬멧(snow boarder helmet)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의 루프에 전방위 촬영용 영상 시스템(10)이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헬멧이 아니라 모터 사이클이나 자전거 차체에 전방위 촬영용 영상 시스템(10)이 고정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10)은, 주변 360° 방향으로 자신과 대등한 높이이거나 또는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물체를 촬상할 수 있다. 특히, 렌즈 조립체(11)가 본체(8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80)를 헬멧, 담벽 상단, 전봇대 상단, 또는 차량 지붕에 설치하고, 상기 본체(80) 위에 상기 렌즈 조립체(11)를 고정 탑재하여 주변을 촬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 방식을 통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주변 감시 및 물체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11: 렌즈 조립체
12: 반사굴절 렌즈 41: 반사굴절 렌즈 홀더
60: 경통 80: 본체
81: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 86: 이미지 센서
90: 본체 커버 100: 배터리 홀더
110: 본체 베이스 116: 배터리

Claims (12)

  1.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사발(bowl) 측면 형상의 광굴절면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상기 광굴절면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상기 광반사면의 하부에 상기 광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진 반사굴절 렌즈, 및 상기 광출사면을 통해 아래로 출사되는 광(光)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투과하여 결상된 광(光)을 감지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및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측면을 둘러싸서 수용하도록 사발 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반사굴절 렌즈 홀더(holder),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상면을 가리는 것으로,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체결되어 상기 반사굴절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조립체 커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지지하며, 상단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통 어셈블리(barrel assembly)를 구비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광굴절면으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내면을 가지고 동일 두께의 사발 측면형으로 형성되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탑재 고정된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board), 및 상기 경통 어셈블리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통 어셈블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본체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내주면에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통(barrel)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본체 외부의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 및 상기 본체의 외관을 한정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hous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이 헬멧(helmet)에 부착되거나, 상기 헬멧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면은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상면에 마련되며, 아래로 오목하게 파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7.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사발(bowl) 측면 형상의 광굴절면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상기 광굴절면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상기 광반사면의 하부에 상기 광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진 반사굴절 렌즈, 및 상기 광출사면을 통해 아래로 출사되는 광(光)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를 투과하여 결상된 광(光)을 감지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및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체결되면 상기 반사굴절 렌즈의 외주부가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와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밀착되며,
    상기 반사굴절 렌즈는, 상기 광굴절면을 이루는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는, 상기 플랜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플랜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 커버는, 외주변에서 아래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플랜지 및 플랜지 지지부 외측을 감싸는 스커트를 포함하여서,
    상기 스커트가 상기 플랜지 지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 지지 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 회로 보드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굴절 렌즈 홀더는, 상기 광투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통의 상부를 둘러싸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상부 및 하부의 외주면에는 수형 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통 상부의 수형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결합 브라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통 하부의 수형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부재들 중에서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11. 제1 항, 제2 항, 제3 항, 제4 항, 제6 항, 제7 항, 제9항, 및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상기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black box).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helm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용 블랙박스.
KR1020160072671A 2016-03-15 2016-06-10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KR10186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71A KR101866875B1 (ko) 2016-06-10 2016-06-10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PCT/KR2016/012641 WO2017159950A1 (ko) 2016-03-15 2016-11-04 전방위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71A KR101866875B1 (ko) 2016-06-10 2016-06-10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75A KR20170139975A (ko) 2017-12-20
KR101866875B1 true KR101866875B1 (ko) 2018-07-23

Family

ID=6093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671A KR101866875B1 (ko) 2016-03-15 2016-06-10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863B1 (ko) * 2018-05-09 2020-08-06 (주)헥스하이브 캠 거치구조
KR102446196B1 (ko) * 2020-09-23 2022-09-26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KR102366936B1 (ko) * 2021-04-08 2022-02-24 이창화 헬멧 에어백 장치
WO2023229160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굴절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굴절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842A (ja) * 2004-10-20 2006-06-08 Daimei Kk ウェアラブル監視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3433B2 (ja) 2000-10-11 2006-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体の周囲監視装置
KR101065960B1 (ko) 2009-11-18 2011-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이동 시스템 및 위치 추정 방법
KR101436232B1 (ko) * 2013-01-21 2014-08-29 이선구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842A (ja) * 2004-10-20 2006-06-08 Daimei Kk ウェアラブル監視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75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875B1 (ko)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US9426340B2 (en) Vehicle CCTV camera apparatus
US20110063498A1 (en) Camera module for vehicles
US7643052B2 (en) Self-contained panoramic or spherical imaging device
JP2007199344A (ja) レンズ装置
CN108776391B (zh) 激光投射器、图像获取装置和电子设备
CN113114917B (zh) 包括由致动器驱动的被驱动体的摄像设备和移动体
KR101671340B1 (ko) 전방위 촬상용 렌즈 조립체
US5706140A (en) Optical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US20090096047A1 (en) Imaging module package
WO2019075700A1 (zh) 一种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KR20110045725A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JP717236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00124945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1662974B1 (ko)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US20230266641A1 (en) Waterproof camera system
CN113194218A (zh) 摄像头模组制造方法及电子产品制造方法
JP7263566B2 (ja) 撮像装置及び移動体
KR101991887B1 (ko) 전방위 촬상장치
US10989892B2 (en) Lens module
JP2022054320A (ja) 撮像装置
KR20050034473A (ko) 카메라 모듈
JP2013105014A (ja) 交換レンズおよび交換レンズアクセサリ
KR20180016094A (ko) 전방위 촬상 광학계
CN210643895U (zh) 一种扫地机器人传感器模组及扫地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