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887B1 - 전방위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전방위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887B1
KR101991887B1 KR1020170056259A KR20170056259A KR101991887B1 KR 101991887 B1 KR101991887 B1 KR 101991887B1 KR 1020170056259 A KR1020170056259 A KR 1020170056259A KR 20170056259 A KR20170056259 A KR 20170056259A KR 101991887 B1 KR101991887 B1 KR 10199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refraction
coating layer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145A (ko
Inventor
조중길
배동민
Original Assignee
(주)헥스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헥스하이브 filed Critical (주)헥스하이브
Priority to KR102017005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8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위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부분 구(球)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부에는 중앙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오목홈 형태의 상면을 가지고, 중앙부 저면에는 일정직경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된 출사면을 구비한 반사굴절렌즈와, 상기 반사굴절렌즈의 상면에 코팅되어 외부로부터 반사굴절렌즈의 내부로 입사한 입사광을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일정내경의 센터홀을 갖는 반사코팅층과, 상기 출사면의 연직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출사면을 통해 내려오는 출사광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광투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조립체와; 상기 렌즈조립체의 광투과렌즈를 통과한 빛을 받아 이미지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메인회로보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장치는, 반사굴절렌즈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차광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영상의 왜곡을 유발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높고, 또한 그 하부에 위치조절용 힌지부를 구비하므로, 사용 중 필요에 따라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전방위 촬상장치{Omnidirectional imaging pickup device}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60도 사방에서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이미지 센서로 유도하고, 이를 이미지화하여 기록하는 전방위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위 촬상장치는, 이를테면 주변 360도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받아 영상화 하는 촬영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방위 촬상장치는, 가령 실사지도 제작용 영상촬영에서부터, 주변 대상물의 일반 촬영은 물론 천체 관찰 등의 분야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보안 및 감시 시스템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분야, 또는 각종 스포츠나, 차량용 블랙박스의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방위 촬상장치는, 렌즈 조립체와, 상기 렌즈 조립체에 의해 안내된 빛이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영상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회로보드와,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등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가령,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2-78674호(전방위카메라 및 전방위렌즈)에는, 렌즈프리즘과, 상기 렌즈프리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렌즈 및 조리개와 촬상소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프리즘은 광학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그 상면에 반사층을 가져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반사층에 반사되어 경통 내부로 유도되게 한다. 상기 반사층은 렌즈프리즘의 상면에 증착된 알루미늄층으로서, 그 저면, 즉, 렌즈프리즘과 접하는 면이 반사면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 렌즈프리즘의 중심축부에는 차광부가 마련된다. 상기 차광부는 렌즈프리즘의 중심부에 수직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 내부에 검정페인트를 채워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반사층에 반사되어 하부로 유도되는 빛의 반사각도에 따른 미광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반사층에 촬상수단이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방위카메라는, 렌즈프리즘의 중심축부에 상기 차광부를 정밀하게 형성하여야 하는 만큼 제작이 어렵고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차광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단 렌즈프리즘의 중심축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을 형성해야 하는데, 상기 구멍의 중심축선과 렌즈프리즘 자체의 중심축선을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구멍이 미세하게 편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구멍 내주면의 거칠기가 균일하지 않아, 예컨대 상기 내주면에 미세한 흠집이 있을 경우, 차광부에 부딪힌 광의 경로가 설계된 경로로부터 틀어져 영상 왜곡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2-78674호(전방위카메라 및 전방위렌즈)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전방위 촬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를 가져, 장착된 상태로 그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전방위 촬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장치는, 부분 구(球)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부에는 중앙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오목홈 형태의 상면을 가지고, 중앙부 저면에는 일정직경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된 출사면을 구비한 반사굴절렌즈와, 상기 반사굴절렌즈의 상면에 코팅되어 외부로부터 반사굴절렌즈의 내부로 입사한 입사광을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일정내경의 센터홀을 갖는 반사코팅층과, 상기 출사면의 연직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출사면을 통해 내려오는 출사광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광투과렌즈와, 상기 광투과렌즈를 수용 지지하는 경통을 포함하는 렌즈조립체와; 상기 렌즈조립체의 광투과렌즈를 통과한 빛을 받아 이미지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메인회로보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홀은, 상기 반사코팅층이 코팅되지 않은 비코팅영역으로서, 출사면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출사면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홀의 내측 영역에는, 블랙계열의 흡광층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상기 렌즈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이미지센서와 메인회로보드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케이싱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돌출부를 링크시키며 돌출부를 통해 케이싱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굴절렌즈는, 일정곡률을 가지며 입사광을 통과시켜 상기 반사코팅층으로 유도하는 광굴절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반사굴절렌즈를 그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광굴절면과 동일한 곡률의 내향곡면부를 가지는 렌즈홀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장치는, 반사굴절렌즈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차광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영상의 왜곡을 유발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전방위 촬상장치는, 그 하부에 위치조절용 힌지부를 구비하므로, 사용 중 필요에 따라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에서의 렌즈조립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반사굴절렌즈(23)와 반사코팅층(23b)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장치(10)의 기본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전방위 촬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장치(10)는, 사방에서 입사하는 입사광을 받아들인 후 하향 반사하는 렌즈조립체(20)와, 상기 렌즈조립체(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렌즈조립체(20)를 지지하고 렌즈조립체(20)를 통해 입사한 입사광을 처리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42)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힌지부(42)는, 베이스플레이트(42b)를 통해 외부의 설치대상, 가령 차량의 지붕상부나 헬멧(A) 등에 고정되는 지지수단으로서, 회동핀(42a)을 통해 돌출부(41b)를 지지한다. 상기 설치대상에 대한 베이스플레이트(42b)의 고정방식은, 접착방식 또는 끼움방식 또는 고정부속을 통한 체결방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b)는 후술하는 케이싱(41)의 하부에 고정된 부재로서, 회동핀(42a)을 통해 힌지부(42)에 지지된다. 결국 상기 케이싱(41)은 회동핀(42a)을 통해 힌지부(42)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화살표 a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본체(40)는 힌지부(42)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운동 가능하며 그 상부에 상기 렌즈조립체(20)를 갖는다. 상기 본체(40)를 구성하는 케이싱(41)의 내부공간(41a)에는, 렌즈조립체(20)를 통과해 입사한 입사광을 처리하여 데이터화 하는 센서회로보드(도 3의 29)와 이미지센서(29a)와 메인회로보드(45)와 배터리(47) 등이 내장된다. 이러한 본체(40)의 내부 구성은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렌즈조립체(20)는, 사방에에서 입사하는 입사광을 받아들인 후 하부로 반사시켜, 반사광이 본체(40) 내부의 이미지센서(도 3의 29a)에 도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렌즈조립체(20)는, 대략 반구의 형태를 취하는 반사굴절렌즈(23)와, 상기 반사굴절렌즈(23)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반사코팅층(23b)과, 상기 반사코팅층(23b)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렌즈홀더(21)와, 상기 반사굴절렌즈(23)와 렌즈홀더(21)의 상부에 씌워지는 커버(25)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5)는 렌즈홀더(21)에 대해 반사굴절렌즈(2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43은 받침케이싱이다. 상기 받침케이싱(43)은 본체(40)의 일부로서 후술할 경통(28)을 지지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41)의 상부에 렌즈조립체(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조립체(20)는, 부분 구(球)의 형태를 취하는 반사굴절렌즈(23)와, 상기 반사굴절렌즈(23)의 상면에 적층되는 반사코팅층(23b)과, 상기 반사굴절렌즈(23)를 수용하는 렌즈홀더(21)와, 상기 반사굴절렌즈(23)의 상부에 씌워지는 커버(25)와상기 반사굴절렌즈(23)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투과렌즈(27a,27b,27c, 27d,27e)와, 경통(28)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굴절렌즈(23)는, 투명한 광학수지나 유리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외주면이 일정곡률을 갖는 부분 구(球) 형태를 취하는 광굴절면(23a)과, 오목홈 형상의 상면(23c)과, 출사면(23h)을 갖는다.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반사굴절렌즈(23)와 렌즈홀더(21)와 커버(25)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에서의 렌즈조립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광굴절면(23a)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서 외부로부터 입사한 입사광을 통과시켜 상기 반사코팅층(23b)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광굴절면(23a)은 기하학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말하자면 광굴절면(23a)의 표면에 접하는 임의의 평면에 직교하는 직선은 한 점에 만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면(23c)은 반사굴절렌즈(23) 상부에 형성된 홈부(23f)의 바닥면이기도 하다. 여하튼 상기 상면(23c)은 반사굴절렌즈(23)의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오목홈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상면(23c)이 중심축(Z)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룸은 물론이다.
상기 출사면(23h)은 반사굴절렌즈(23)의 저면 중심축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상기 반사코팅층(23b)의 반사면에 반사된 반사광을 받아 하부의 광투과렌즈(27a)로 유도하는 부분이다. 상기 출사면(23h)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반사굴절렌즈(23)의 상단 외곽부에는 플렌지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렌지부(23d)는 반사굴절렌즈(2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더(21)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된다.
한편, 상기 반사코팅층(23b)은 상기 상면(23c)에, 미러코팅(mirror coating) 또는 알루미늄 증착 방식으로 적층된 반사층으로서, 상면(23c)에 밀착한 반사면(23e)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면(23e)은 광굴절면(23a)을 통해 입사한 입사광을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23h)로 내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반사코팅층(23b)의 중앙부에는 센터홀(23g)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홀(23g)은 반사코팅층(23b)이 형성되지 않은 비코팅영역(S)으로서, 출사면(23h)의 연직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비코팅영역(S)은 상기 출사면(23h)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반사코팅층(23b)에 의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이므로 당연히 반사 능력이 없다. 즉, 상기 광굴절면(23a)을 통해 입사한 입사광 중, 비코팅영역(S)으로 입사한 입사광은 반사되지 않고, 상기 반사코팅층(23b)이 제공하는 반사면(23e)에 부딪힌 입사광만 출사면(23h)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터홀(23g)의 내부 영역에 흡광층(23k)을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흡광층(23k)은 블랙계열의 적층체로서, 상기 광굴절면(23a)을 통해 입사한 입사광 중 비코팅영역(S)에 입사한 광을 아예 흡수한다. 상기 흡광층(23k)으로서 블랙칼라의 무광페인트나 카본시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4의 경우 상기 흡광층(23k)이 센터홀(23g)의 내부에만 적용되었지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광층(23k)을 센터홀(23g)은 물론 반사코팅층(23b)에 전체적으로 적층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반사굴절렌즈(23)와 반사코팅층(23b)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비코팅영역(S)과 코팅영역 즉, 반사코팅층(23b)의 상부에 흡광층(23k)이 전체적으로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흡광층(23k)에 있어서 반사코팅층(23b)을 커버하고 있는 부분은, 반사코팅층(23b)을 완전히 커버 및 보호하여 반사코팅층(23b)의 성능을 배가시킨다.
한편 상기한 비코팅영역(S)을 적용한 이유는, 상기 반사면(23e)에 반사된 반사광에 의한 미광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광투과렌즈(27a)나 경통(28)의 상단부가 반사면(23e)에 비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렌즈홀더(21)는 반사굴절렌즈(23)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투명한 하우징으로서, 바닥면 중앙에 경통연결부(21b)를 갖는다. 상기 경통연결부(21b)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부경통(28a)에 대해 나사 결합한다.
아울러 렌즈홀더(21)의 상단 외주면에는 다수의 끼움홈(21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1c)은 커버(25)의 스커트부(25a)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기(미도시)가 끼워지는 걸림턱이다.
상기 렌즈홀더(21)의 상단 테두리부에, 반사굴절렌즈(23)의 플렌지부(23d)를 올리고, 반사굴절렌즈(23)의 상부에 커버(25)를 씌운 상태로, 상기 끼움돌기를 끼움홈(21c)에 끼워 결합시키면, 반사굴절렌즈(23)는 렌즈홀더(21)와 커버(25)의 사이에 수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렌즈홀더(21)의 내부에는 내향곡면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향곡면부(21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굴절렌즈(23)의 광굴절면(23a)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사면(23h)의 연직 하부에 다수의 광투과렌즈(27a,27b,27c,27d,27e)가 경통(28)에 감싸인 상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렌즈(27a,27b,27c,27d,27e)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29a)가 탑재되어 있는 센서회로보드(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29a)는, 상기 출사면(23h)을 하향 통과한 후 광투과렌즈(27a,27b,27c,27d,27e)를 통과한 출사광을 받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통(28)은, 상단부가 상기 렌즈홀더(21)의 경통연결부(21b)에 나사 결합하는 상부경통(28a)과, 상기 상부경통(28a)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하부경통(28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경통(28a)과 하부경통(28b)의 상대위치는 나사 결합정도를 조절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이는, 상기 상부경통(28a)에 수용되어 있는 광투과렌즈(27b)와, 하부경통(28b)에 수용되어 있는 다른 광투과렌즈(27c)의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경통(28a)에 대한 하부경통(28b)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없다면, 상기 광투과렌즈(27a,27b,27c,27d,27e)가 적절한 유효경과 조립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광투과렌즈의 배열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더욱이 각 광투과렌즈의 중심부와 테두리부와의 두께 차이가 커져야 하는데, 이는 렌즈나 경통의 제작 상의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경통(28a) 및 그 내부에 지지되는 광투과렌즈(27a,27b)와, 하부경통(28b)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광투과 렌즈(27c,27d,27e)를 모듈화 하여 조립함으로써 상기한 제작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경통(28a)의 광투과렌즈(27b)와 하부경통(28b)의 광투과렌즈(27c)의 사이에는 조리개(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리개(30)는 상부경통(28a)에서 하부경통(28b)으로 이동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경통(28b)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된다.
또한, 상기 하부경통(28b)에는 받침부재(26)가 고정된다. 상기 받침부재(26)는 센서회로보드(29)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광투과렌즈(27e)의 연직 하부에 이미지센서(29a)가 정위치 되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기 센서회로보드(29)의 하부에는 메인회로보드(45)와 배터리(47)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47)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전방위 촬상장치(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메인회로보드(45)는 배터리(47)의 상부에 위치하며 배터리(47)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적당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29a)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메인회로보드(45)에는 상기 이미지센서(29a)에서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탑재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에 실장 되는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회로보드(45)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미도시)도 당연히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저장수단으로서, 가령 SD메모리카드나 USB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SD메모리카드를 메인회로보드(45)에 접속하기 위한 SD메모리카드소켓이나 USB포트가 탑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메인회로드(45)에는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터나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수단의 일예로, 와이파이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모듈은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전방위 촬상장치(10)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촬상장치(10)가 헬멧( A)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헬멧(A)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또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탈 때 착용하는 헬멧이다.
상기와 같이 헬멧(A)에 장착된 촬상장치는, 이동 중 주변의 상황을 연속적으로 촬영 및 저장하는 블랙박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전방위 촬상장치 20:렌즈조립체 21:렌즈홀더
21a:내향곡면부 21b:경통연결부 21c:끼움홈
23:반사굴절렌즈 23a:광굴절면 23b:반사코팅층
23c:상면 23d:플렌지부 23e:반사면
23f:홈부 23g:센터홀 23h:출사면
23k:흡광층 25:커버 25a:스커트부
26:받침부재 27a,27b,27c,27d,27e:광투과렌즈 28:경통
28a:상부경통 28b:하부경통 29:센서회로보드
29a이미지센서 30:조리개 40:본체
41:케이싱 41a:내부공간 41b:돌출부
42:힌지부 42a:회동핀 42b:베이스플레이트
43:받침케이싱 45:메인회로보드 47:배터리

Claims (6)

  1. 부분 구(球)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부에는 중앙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오목홈 형태의 상면을 가지고, 중앙부 저면에는 일정직경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된 출사면을 구비한 반사굴절렌즈와,
    상기 반사굴절렌즈의 상면에 코팅되어 외부로부터 반사굴절렌즈의 내부로 입사한 입사광을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일정내경의 센터홀을 갖는 반사코팅층과,
    상기 출사면의 연직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출사면을 통해 내려오는 출사광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광투과렌즈와,
    상기 광투과렌즈를 수용 지지하는 경통을 포함하는 렌즈조립체와;
    상기 렌즈조립체의 광투과렌즈를 통과한 빛을 받아 이미지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신호를 저장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메인회로보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홀은, 상기 반사코팅층이 코팅되지 않은 비코팅영역으로서, 출사면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출사면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센터홀은, 비코팅영역에 입사한 광을 흡수하기 위해 내부영역에 블랙계열의 적층체가 적층된 흡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광층은
    상기 반사굴절렌즈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한 센터홀의 내측 영역에서부터 반사코팅층의 상부까지 전체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렌즈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이미지센서와 메인회로보드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케이싱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돌출부를 링크시키며 돌출부를 통해 케이싱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굴절렌즈는, 일정곡률을 가지며 입사광을 통과시켜 상기 반사코팅층으로 유도하는 광굴절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반사굴절렌즈를 그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광굴절면과 동일한 곡률의 내향곡면부를 가지는 렌즈홀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촬상장치.
KR1020170056259A 2017-05-02 2017-05-02 전방위 촬상장치 KR10199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9A KR101991887B1 (ko) 2017-05-02 2017-05-02 전방위 촬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9A KR101991887B1 (ko) 2017-05-02 2017-05-02 전방위 촬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45A KR20180122145A (ko) 2018-11-12
KR101991887B1 true KR101991887B1 (ko) 2019-06-21

Family

ID=6439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59A KR101991887B1 (ko) 2017-05-02 2017-05-02 전방위 촬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7849B (zh) * 2022-09-05 2024-02-06 同济人工智能研究院(苏州)有限公司 一种全景镜头及气体监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845A (ja) * 2005-06-03 2006-12-14 Asahi Kasei Corp 明所コントラスト向上部材
JP2012078674A (ja) * 2010-10-04 2012-04-19 Nippon Seiki Co Ltd 全方位カメラ及び全方位レンズ
KR101543770B1 (ko) * 2014-04-17 2015-08-11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헬멧 부착형 카메라 마운트
KR101671340B1 (ko) * 2016-03-15 2016-11-01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렌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46B1 (ko) * 2014-05-12 2016-01-19 (주)헥스하이브 전 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83033B1 (ko) * 2015-05-27 2018-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845A (ja) * 2005-06-03 2006-12-14 Asahi Kasei Corp 明所コントラスト向上部材
JP2012078674A (ja) * 2010-10-04 2012-04-19 Nippon Seiki Co Ltd 全方位カメラ及び全方位レンズ
KR101543770B1 (ko) * 2014-04-17 2015-08-11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헬멧 부착형 카메라 마운트
KR101671340B1 (ko) * 2016-03-15 2016-11-01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45A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033B1 (ko) 렌즈 모듈
TWI644116B (zh) 光學裝置
US10627514B2 (en) Image ranging system, light source module and image sensing module
US9169979B2 (en) Light projector and sensor
WO2020006706A1 (zh) 指纹模组和电子设备
US20040175080A1 (en) Optical link device
TWI708110B (zh) 鐳射投射器、圖像獲取裝置和電子設備
US11754447B2 (en) On-board radiation sensing apparatus
US20210215804A1 (en) Lidar device
KR20180032709A (ko) 광학계 모듈 및 그를 갖는 스캐닝 라이다
WO2019174434A1 (zh) 结构光投射器、深度相机和电子设备
TW201944163A (zh) 鐳射投射器、相機模組和電子裝置
KR101991887B1 (ko) 전방위 촬상장치
KR101866875B1 (ko)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CN115616734A (zh) 透镜组、光学装置与电子装置
KR102354606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2007178391A (ja) 傾斜角検出装置
CN111953875B (zh) 深度检测组件及电子设备
WO2020253686A1 (zh) 激光投射模组、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2135701B (zh) 摄影机及红外线发光二极管调整装置
TWI502239B (zh) 鏡頭模組
JP6197843B2 (ja) 虚像表示装置
KR20180003988A (ko) 블랙박스 일체형 라이다
CN220859852U (zh) 杯盖及杯子
CN205809395U (zh) 一种摄像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