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20B1 -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20B1
KR100677820B1 KR1020060049782A KR20060049782A KR100677820B1 KR 100677820 B1 KR100677820 B1 KR 100677820B1 KR 1020060049782 A KR1020060049782 A KR 1020060049782A KR 20060049782 A KR20060049782 A KR 20060049782A KR 100677820 B1 KR100677820 B1 KR 10067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tion optical
illumination
optical devic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163A (ko
Inventor
주성철
Original Assignee
(주)모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솔 filed Critical (주)모비솔
Publication of KR20060079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20B1/ko
Priority to PCT/KR2007/0015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11458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and having centering means being part of the lens for the self-positioning of the lightguide at the focal point, e.g. holes, wells, indents, ni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프리즘 타입의 복수의 조명광학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빛을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대물면 상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도록 방사되는 상기 빛을 상기 대물면에 집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명광학부;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물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센서에 집광시키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조명광학부 및 수광부와 상호 조립되며, 상기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커버구조물을 포함한다.
광학구조, 산란광, 조도, 렌즈, 포인팅장치, 광마우스, 입력장치

Description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Micro integral optic device with lighting optical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광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4-89907호의 광학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광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커버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면 상에서의 조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면 상에서의 제2광원에 의한 조명분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광원배치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광원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프리즘 타입의 복수의 조명광학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광학장치는 볼록렌즈 형태의 발광표면을 가지는 LED(100)에서 방사된 빛이 광학적 투명체로 제작된 렌즈 및 반사면 일체형 광학구조물(110)의 오른쪽으로 유입되어 두 번의 반사를 거쳐 물체의 표면(120)에 반사된 후 결상렌즈를 거쳐 센서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종래의 광학장치에 따르면 볼록렌즈 형태를 띠는 LED 표면에서 빛이 방사됨으로써 방사패턴이 균일한 광원을 확보할 수 있고, 반사면을 단순히 광로만 계산하여 설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초점심도가 큰 결상렌즈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학장치는 박형의 초소형 광학장치를 위한 광학구조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며, 이러한 광학구조를 그대로 초소형으로 만들 경우 광효율이 심각하게 떨어져 광학장치가 제대로 동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4-89907호의 광학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LED 대신 LED칩을 COB로 부착하기 때문에 광원에서 방사된 빛을 집속하기 위한 제1렌즈면(200)를 구비해야 하며, 물체표면으로 광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반사면(2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학구조는 전체적으로 마우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동일한 평면에 센서(220)와 LED(230)를 COB로 부착하여 광학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광학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해 PCB상에 COB 또는 SMT가 가능한 박형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면 박형 구조의 구현은 가능하게 되나, 이러한 광원의 방사특성은 빛이 여러 방향으로 퍼지는 람베르시안(Lambertian) 형태의 방사특성을 가지므로 단순한 볼록렌즈, 평면 형태의 반사면, 그리고 출사면은 저품위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즉, 이미지센서에서 획득되는 영상품질을 저하시키고, 센서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박형 LED의 발산형태 광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획득에 필요한 지역에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광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광학구조물이 최적화되어야 소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휴대정보기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전력 고효율 구현이 필요하므로 광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광학구조물은 광가이드 기능과 함께 집광기능을 가지고 있어 광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광학구조에서와 같이 종래의 광학구조는 광경로상에 유효하지 않은 빛의 성분이 모두 잡음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광학적 투명체인 광학구조물의 몸체 내에서 산란되어 제2렌즈면(24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조리개의 예시가 없어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직접 센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직접적으로 결상렌즈에 흘러든다면, 이 빛은 대물면에 반사되어 결상렌즈에 유입되는 빛에 비하여 큰 광량을 가지기 때문에 센서의 신호대 잡음비를 매우 저하시키므로 센 서의 정상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소형 박형의 광학 방식 센서를 구현하기 위해 광원과 센서, 그리고 조명 대상물이 매우 접근하여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밝은 광원과 감도가 높은 센서를 매우 근접하게 설치하므로 잡광이 일부만 유입되어도 센서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거나 정상 동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밝은 광원과 감도가 높은 센서를 광학적,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구조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광학 조명의 경우 대물면에서의 조도는 대물면의 각 지점에서 광원까지 광학 거리 제곱에 역비례하는 조도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과 센서, 그리고 조명 대상물이 매우 접근하여 위치하게 되면서 조명이 필요한 지역 내부에서 각 지점으로부터 광원까지 거리 차이를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소형 박형의 광학시스템에서는 광원에서 가까운 쪽이 밝고 광원에서 먼 쪽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조명균일도 품위가 떨어지며, 이는 센서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광섬유다발과 같은 광가이드 구조물을 사용하여 조명이 필요한 지역들을 세분하여 직접 조명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체화 제작 및 원가 절감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산란하여 직접적으로 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하여 빛의 전달거리에 따른 조도의 저하를 보상함으로써 조도의 균일도를 확보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구부를 제외한 센서커버구조물의 형태를 완전 밀폐형 구조로 설계하여 조리개 기능과 더불어 센서 보호 기능을 갖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렌즈구조물과 센서커버구조물을 단순히 PCB에 끼워 상호 조립하여 광학장치 생산시 조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단순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빛을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대물면 상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도록 방사되는 상기 빛을 상기 대물면에 집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명광학부;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물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센서에 집광시키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조명광학부 및 수광부와 상호 조립되며, 상기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커버구조물을 포함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광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는 한 쌍의 광원(300, 300')에서 방사된 빛의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조명광학부(310, 310'), 조명광학부(310, 310')를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보호몸체(350), 이동을 감지할 물체가 위치하는 대물면(340), 대물면(340)의 물체에 반사된 빛을 센서(360)에 집광하기 위한 수광부(320), 대물면(340)에 위치하는 물체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360) 및 센서(360)를 보호하고 센서(360)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커버구조물(370)을 포함한다.
광원(300, 300')은 칩형태의 LED 광원으로서 복수 개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 각각의 광원은 광학 특성이 다른 물체에 대한 반사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색의 LED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300, 300')은 LED뿐 아니라, LD 또는 IR diode chip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장치가 하나의 광원과 복수의 조명광학부를 구비할 경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광섬유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광학부의 입사렌즈에 공급할 수 있다.
제1조명광학부(310)는 제1광원(300)에서 방사된 빛을 집광하여 대물면(340)으로 전달하기 위한 3개의 광학면을 갖는 프리즘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1조명광학부(310)와 동일한 구조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대물면(340)을 기준으로 제1조명광학부(310)와 대향되어 구비되는 제2조명광학부(310')는 제1조명광학부(310) 및 수광부(32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제1조명광학부(31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1조명광학부(310)는 제1광원(300)에서 방사된 빛을 1차적으로 모아 평행광으로 만드는 프리즘 구조의 제1입사렌즈(311), 제1입사렌즈(311)로부터 평행광을 입사받아 2차적으로 모아 반사하는 제1반사렌즈(312) 및 제1반사렌즈(312)에 반사된 빛을 모아 대물면(340)에 비춰주는 제1출사렌즈(3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입사렌즈(311)는 모든 방향으로 퍼지는 제1광원(300)의 빛을 모을뿐 아니라, 제1광원(300)의 빛이 평형성을 갖도록 하는 빔포밍(beam for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제1반사렌즈(312)는 제1입사렌즈(311)를 통과한 빛의 경로를 바꾸어 주며, 좌우로 퍼지는 빛의 성분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제1출사렌즈(313)는 최종적으로 제1조명광학부(310)가 목표로 하는 대물면(340)에 빛이 모이게 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제1조명광학 부(310)는 입체의 x, y, z축이 있을 경우, 제1입사렌즈(311)가 x축으로 퍼지는 빛을 모아주고, 이 빛을 반사하기 위한 제1반사렌즈(312)는 y축으로 퍼지는 빛을 모아주며, 제1출사렌즈(313)는 다시 z축으로 퍼지는 빛을 대물면(340)에 모이게 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제1조명광학부(310)의 제1입사렌즈(311), 제1반사렌즈(312) 및 제1출사렌즈(313)는 각각 구면, 비구면의 구형, 실린더형 및 토로이달(torroidal)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조명광학부(310)에 포함되는 3가지의 렌즈는 각각의 위치에서 무차별적인 방향으로 퍼지는 제1광원(300)의 빛을 모아 대물면(340)으로 보내는 기능을 함으로써, 광경로상의 무효한 빛을 유효한 빛으로 바꾸어 준다. 따라서, 칩 형태의 LED를 광원(300)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의 효율을 최대화하여 광원의 광량을 낮추고, 이로 인해 광학장치의 소모전력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광부(320)는 대물면(340)에 위치한 물체에 반사된 빛을 센서(360)에 모아주는 결상렌즈(321)를 포함한다.
센서커버구조물(370)은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구비되어 밝은 광원(300, 300')과 높은 감도의 센서(360)를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또한, 외부의 광원(300, 300')에서 방사되는 빛으로부터 센서(360)를 암실형태로 격리시키며, 광원(300, 300')에서 방사된 빛이 산란하여 센서(3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란광차단부(372)를 일체형 구조로 포함한다.
즉, 광원(300, 300')에서 방사되는 빛이 직접적으로 결상렌즈(321)에 유입되면, 이 빛은 대물면(340)에 반사되어 결상렌즈(321)에 유입되는 빛에 비하여 더욱 큰 광량을 가지므로 소량의 광량일지라도 장치의 광학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센서(360)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플립칩(flip chip) 등의 공정으로 PCB에 부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커버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광학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센서커버구조물(370)은 센서(360)에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조명광학부(310, 310') 및 수광부(320) 하측에 위치시키고, 광학적 조리개 역할을 하는 개구부(371)를 제외한 센서커버구조물(370)의 형태를 완전 밀폐형 구조로 설계하여 조리개 기능 및 센서 보호 기능을 갖는다.
또한, 센서커버구조물(370)은 PCB(380)에 구비된 홀에 조립되기 위한 센서커버지지대(373)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제1조명광학부(310)와 수광부(320) 사이 및 제2조명광학부(310')와 수광부(320) 사이에 센서커버구조물(370)과의 조립을 위한 한 쌍의 조립홀(33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조립홀(332)에 센서커버구조물(370)에 구비된 한 쌍의 산란광차단부(372)를 끼워 조립하여 조명광학부(310, 310')의 빛이 광학장치의 광학구조 내부를 통과하여 수광부(3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빛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불투명 재질인 한 쌍의 산란광차단부(372)가 상기 조립을 통해 제1조명광학부(310)와 수광부(320) 사이 및 제2조명광학부(310')와 수광부(320) 사이를 가로막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센서커버구조물(370)과 렌즈구조물(330)은 조립시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조명광학부(310, 310')와 수광부(320)를 포함하는 렌즈구조물(330)은 자신과 조립되는 센서커버구조물(370)의 하부에 위치하는 PCB(380)에 조립되기 위한 렌즈지지대(331)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또한, 여러 기능의 구성들을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 가지는 렌즈구조물(330)은 사출 구조물로서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센서커버지지대(373) 및 렌즈지지대(331)를 단순히 PCB(380)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광학장치 생산시 조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면 상에서의 조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물면(340)에 도달하는 제1광원(300) 및 제2광원(300')의 빛은 그 도달거리에 따라 조도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제1조명광학부(310)의 경우, 제1광원(300)으로부터의 빛은 제1조명광학부(310)를 거쳐 대물면(340)에 도달하고, 대물면(340)에 도달한 빛은 대물면(3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도 7 그래프의 A 곡선과 같은 조도 관계를 보인다.
즉, 그래프의 중심점(0.0)이 대물면(340)의 중심점일 때, 제1조명광학부(310)와 가까운 쪽의 대물면(340)상에 도달하는 제1광원(300)에서 발생한 빛의 조도가 제1조명광학부(310)와 먼 쪽의 대물면(340)상에 도달하는 제1광원(300)에서 발생한 빛의 조도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에,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도록 대략 균일화를 위해 제1조명광학부(310)와 대향되는 제2조명광학부(310')를 구비시킨다.
즉, 제2조명광학부(310')와 먼 쪽의 대물면(340)상은 제1조명광학부(310)를 기준으로 할 때 제1조명광학부(310)와 가까운 쪽의 대물면(340)상에 해당하므로 제1조명광학부(310)로부터의 높은 조도의 빛과 제2조명광학부(310')로부터의 낮은 조도의 빛이 서로 합쳐지고, 제2조명광학부(310')와 가까운 쪽의 대물면(340)상은 제1조명광학부(310)와 먼 쪽의 대물면(340)상에 해당하므로 제1조명광학부(310)로부터의 낮은 조도의 빛과 제2조명광학부(310')로부터의 높은 조도의 빛이 서로 합쳐져,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대략 균일화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대향되는 제1, 2조명광학부(310, 310')를 통해 대물면(340)상에서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대략 균일화를 이룬 빛이 센서에 도달하게 되어 광학장치의 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면 상에서의 제2광원에 의한 조명분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프는 제2조명광학부(310')를 거쳐 대물면(340)상에 도달한 제2광원(300')에서 발생한 빛의 조명분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래프의 좌측부분은 녹색을 나타내며 그래프의 우측부분은 붉은색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녹색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좌측부분은 제2조명광학부(310')로부터 먼 쪽의 대물면(340)상의 조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조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붉은색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우측부분은 제2조명광학부(310')로부터 가까운 쪽의 대물면(340)상의 조도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의 불균일화로 인한 광효율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대물면(340)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조명광학부(310, 310')를 구비시킴으로써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도록 대략 균일화를 이루어 광학장치의 광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광원배치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광원배치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학장치는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의 균일화를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조명광학부(31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두 개의 조명광학부(310)를 구비하여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의 균일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상렌즈(321)를 기준으로 두 개의 조명광학부(31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고, 세 개의 조명광학부(310)를 구비하여 대물면(340)상에서의 조도의 균일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상렌즈(321)를 기준으로 세 개의 조명광학부(310)가 상호 일정한 각을 유지하여 배치함에 바람직하다. 물론, 조도의 균일화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네 개 이상의 조명광학부(3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조명광학부(310) 각각은 대물면(340)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복수의 조명광학부(310)는 상호간에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게 위치시킨 다.
이때, 광원(300)은 조명광학부(310)와 동일 개를 구비하여 하나의 조명광학부에 하나의 광원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광학부(310)가 복수 개일 경우, 하나의 광원(300)만을 구비시켜 조명광학부(310)와 동일 개의 광원(300)을 구비시킬 경우와 동일한 광학장치의 성능을 기대할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광원(300)으로부터의 빛을 광섬유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조명광학부(310) 각각에 공급해 줌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학장치는 박형 및 소형의 광학 방식센서에서 문제가 되는 조명 품질저하와 발광부의 빛이 직간접 경로로 결상계 및 센서에 유입되어 센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현하였고, 또한 센서커버구조물 및 렌즈구조물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낮은 경비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장치를 초소형 광학방식의 광학장치 센서모듈로 사용하여 초소형 포인팅장치 또는 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방식의 지문 센서로 소형화할 경우에도 조명품질의 저하나 산란광으로 인한 센서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광학장치를 초소형 광학방식의 센서모듈로 사용하여 초소형 지문 센싱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초소형 지문 센싱 장치는 PC나 휴대형 단말기에서 보안기능을 강화하는데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서 소형 박형의 포인팅장치나 입력장치를 구현하여 시계형, 반지형, 단추형 등 무선입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장치는 노트북이나 초소형 노트북 타블렛(tablet) PC등에 내장되어 적은 공간에서 고성능의 포인팅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형의 고성능 포인팅장치를 내장하거나 부착하는 유무선 키보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장치는 소형의 박형 포인팅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기존 단말기들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기능을 대치하거나 포인팅기능을 추가하는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휴대형 게임기기에서도 소형 포인팅장치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장치를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원격제어장치에 적용하여 다기능 고성능의 원격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장치를 이용한 초소형 포인팅장치는 Kiosk 등 여러 사람이 접근하고 사용하는 기기에 내장되어 그 성능을 고도화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면의 렌즈를 일체형으로 갖는 렌즈구조물을 구 비함으로써 광원의 빛을 평형성을 갖도록 모아주고, 좌우로 퍼지는 빛을 중앙으로 모아주며, 대물면에 빛이 한 점으로 모이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복수의 조명광학부를 통해 대물면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대물면상에 도달하는 빛의 조도를 균일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광학부를 통해 광경로상의 무효한 빛을 유효한 빛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칩 형태의 LED를 광원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의 효율을 최대화하여 광원의 광량을 낮추고, 이로 인해 광학장치의 소모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커버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산란하여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를 제외한 센서커버구조물의 형태를 완전 밀폐형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조리개 기능과 더불어 센서 보호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구조물과 센서커버구조물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이들을 단순히 PCB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광학장치의 생산시 조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단손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빛을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대물면 상의 조도가 일측에 치우치지 않도록 방사되는 상기 빛을 상기 대물면에 집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명광학부;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물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센서에 집광시키기 위한 수광부;
    상기 조명광학부 및 수광부와 상호 조립되며, 상기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커버구조물; 및
    상기 센서커버구조물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산란광이 상기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란광차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광학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평행광으로 모아주기 위한 입사렌즈;
    상기 입사렌즈로부터 평행광을 입사받아, 광경로를 상기 대물면 방향으로 보정하며, 일축에 대해 퍼지는 빛을 모아주기 위한 반사렌즈; 및
    상기 반사렌즈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타축에 대해 퍼지는 빛을 대물면에 모아주기 위한 출사렌즈
    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커버구조물은,
    상기 센서커버구조물 및 산란광차단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PCB에 조립하기 위한 센서커버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광차단부는 상기 조명광학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의 조립홀에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광차단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광원과 동일 개수인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 각각은, 상기 대물면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는 상호간에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렌즈, 반사렌즈 및 출사렌즈는 투명의 프리즘 구조인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렌즈, 반사렌즈 및 출사렌즈의 형태는 각각 구면형, 비구면의 구형, 실린더형 및 토로이달형 중 어느 하나인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복수의 조명광학부로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박형의 LED, LD 및 IR 다이오드 칩 중 어느 하나인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유선 광마우스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무선 광마우스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노트북실장형 포인팅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휴대형 단말기용 포인팅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원격제어장치용 포인팅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키오스크용 내장 포인팅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는 지문센싱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KR1020060049782A 2006-03-30 2006-06-02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KR10067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1544 WO2007114587A1 (en) 2006-03-30 2007-03-29 Integrated micro-op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25 2006-04-28
KR20060038525 2006-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63A KR20060079163A (ko) 2006-07-05
KR100677820B1 true KR100677820B1 (ko) 2007-02-02

Family

ID=3717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782A KR100677820B1 (ko) 2006-03-30 2006-06-02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376B1 (ko) * 2011-06-15 2013-05-14 주식회사 엔투에이 광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03B1 (ko) * 2018-09-14 2020-12-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내부반사 차단구조를 갖는 라이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376B1 (ko) * 2011-06-15 2013-05-14 주식회사 엔투에이 광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63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94B1 (ko)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KR100700507B1 (ko)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US8851713B2 (en) Lens member and optical unit using said lens member
TW201342584A (zh) 光電模組及包含該模組之裝置
JPH0983018A (ja) 発光ダイオードユニット
KR20080033847A (ko) 선형 집광기
JP2011198473A (ja) 集光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6747448B2 (ja) 光路変換素子、光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光伝送システム
US11408773B2 (en) On-board radiation sensing apparatus
US5675143A (en) Proximity switch
US20060278815A1 (en) Regressive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witch
KR101875380B1 (ko) 발광 패키지
KR100677820B1 (ko) 복수의 조명광학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일체형 광학장치
CN100389339C (zh) 用于将目标照亮并使目标成像的光学系统、用户单元和方法
US8428450B2 (en) Integrated optical module
US8413902B2 (e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optical component thereof
KR101024573B1 (ko) 프레넬 렌즈를 구비한 초소형 광학입력장치
KR20200113438A (ko) 카메라 모듈
TWI608263B (zh) Optical socket and light module with it
KR200260592Y1 (ko) 원격검침을 위한 광센싱시스템
TW202125034A (zh) 光源裝置及光學檢測系統
CN115499639B (zh) 具有3d摄像模组的显示装置和电子设备
WO2007114587A1 (en) Integrated micro-optic device
CN115499640B (zh) 具有3d摄像模组的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1607833B1 (ko) 플래쉬 모듈용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