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097A -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097A
KR20220040097A KR1020200122889A KR20200122889A KR20220040097A KR 20220040097 A KR20220040097 A KR 20220040097A KR 1020200122889 A KR1020200122889 A KR 1020200122889A KR 20200122889 A KR20200122889 A KR 20200122889A KR 20220040097 A KR20220040097 A KR 2022004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ibs
reinforcing bar
manufacturing apparatu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김정대
주식회사 엔에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대, 주식회사 엔에이엠티 filed Critical 김정대
Priority to KR102020012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097A/ko
Publication of KR2022004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1/00Creels, i.e. apparatus for supplying a multiplicity of individual th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를 가연하여 꼬인 리브용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를 개시하며,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섬유강화 보강근의 리브를 형성하는 섬유강화 보강근도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리브용 섬유 또는 섬유강화 보강근은 강력이 부여되어 쉽게 끊어지지 않고, 꼬임으로 표면적이 넓어져 보강근 로드 및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Rib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Rebar And Fiber Reinforced Plastic Rebar Using The Product Therewith}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브용 섬유의 원사를 가연하여 꼬움으로써, 리브용 섬유가 끊어지지 않도록 강력을 부여하고, 리브용 섬유 외면의 굴곡으로 보강근 로드 및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는 리브용 섬유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한 반면, 인장력에 취약한 바,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내부에 철근을 삽입하여 양생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철근은 제설재나 해수환경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부식되어 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근을 대체하여 섬유강화 복합체로 만들어진 보강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내식, 내열, 내부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고, 반영구적인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콘크리트 내에서 인장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거동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섬유강화 복합체 로드에 리브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접합도를 높이고 있으나, 그럼에도 보강근 로드가 리브와 분리되거나, 보강근 전체가 콘크리트와 분리되어 별개로 거동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89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30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에 사용되는 원사에 강력을 부여하고, 외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보강근 로드 및 콘크리트와 접합력이 높아지도록, 원사를 가연하여 꼬인 리브용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보강근의 로드와도 접합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와 일체의 거동을 하는, 섬유강화 보강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사를 가연하여 일정한 두께와 형상으로 리브용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브용 섬유의 원사가 권선된 크릴; 상기 크릴을 지지하여 상기 크릴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며, 중심축에 형성된 인출홀을 통해 상기 크릴의 원사를 인출하여, 인출된 원사를 가연함으로써 꼬인 섬유를 형성하는 가연부; 상기 가연부에서 꼬인 섬유에 장력을 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섬유의 말림을 풀어주는 장력이동부; 및 상기 장력이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섬유를 당겨감도록 회전하는 스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릴의 원사는 텍스(tex) 2200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릴의 원사는 권선된 내주면에서부터 풀어져 상기 인출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는, 상기 스풀부보다 먼저 회전하여 상기 인출홀에서 인출되는 원사의 쳐짐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동부는, 상기 가연부의 인출홀을 통해 인출되어 가연되는 섬유가 꺽여 통과하는 경로유도홀; 및 상기 경로유도홀을 통과한 섬유를 지지하는 롤러 또는 봉을 포함하여 상기 섬유에 장력을 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동부에 지지되는 상기 섬유를 상기 스풀부가 당길 수 있도록 통과시키되, 상기 섬유가 상기 스풀부에 분산되어 감겨지도록 상기 섬유를 상기 스풀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무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의 회전속도는 구동시간 내 일정하되, 상기 스풀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섬유가 감겨서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로 제조되어 가연된 리브용 섬유가 보강근의 로드에 나선형으로 와인딩되어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10 ~ 14mm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중심축과 45 ~ 5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0.4 ~ 1.2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섬유강화 보강근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에 의하면, 리브용 섬유의 원사를 가연하여 일정한 굵기와 형상을 가지는 리브용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리브용 섬유에 강력을 부여하고, 차후 보강근 로드 및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에 의하면, 가연부의 일정한 회전과, 스풀부의 회전 조절을 통해, 리브용 섬유 전체를 일정한 굵기와 면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꼬이는 간격 또한 동일하게 형성하여, 리브용 섬유 전체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보강근에 의하면, 보강근의 리브가 꼬인 섬유로 형성되어 그 표면적이 넓어지는 바, 보강근의 로드 및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와 일체의 거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크릴 및 이를 지지하는 가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장력이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좌우 무빙기와 스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섬유강화 보강근에 리브로 와인딩되는 리브용 섬유(B')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크릴(10), 가연부(20), 장력이동부(30), 및 스풀부(50)를 포함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하는 섬유강화 보강근이란 용어는 섬유(B)에 수지, 경화제, 안료 등이 함침되어 경화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을 말하는 것으로, 강화섬유 자체로 해석되지 않음은 명세서 전체적인 기재를 통해 명확하다. 한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B') 또는 그 원사(A)는 유리섬유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현무암 섬유, PVA 섬유,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는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또는 제조장치로 간략히 호칭될 수 있고,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함이 있어 원사(A)는 리브용 섬유(B')를 만들기 위한 기초재료를 말하며, 섬유(B) 또는 리브용 섬유(B')는 원사(A)가 가연되어 꼬인 상태를 말한다.
크릴(10)은 리브용 섬유(B')를 제조하기 위한 원사(A)가 권선된 것으로 제조장치의 기초재료를 구성하는 바, 리브용 섬유(B')를 제조하기 위해 크릴(10)은 주기적으로 소모된다. 권선되어 판매되는 원사(A) 그 자체는 가늘고 표면이 매끈하여, 강도가 낮고 다른 부재와의 접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가연하여, 끊어지지 않도록 강력을 부여하고, 꼬임으로 표면적을 넓혀 콘크리트 등 타 부재와의 접합력이 우수한 리브용 섬유(B')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가연부(20)는 크릴(10)를 지지하고 회전시켜 원사(A)를 가연함으로써 꼬인 섬유(B)를 형성한다. 가연부(20)를 통한 크릴(10)의 회전은 크릴(10) 중심을 기준으로 크릴(10) 전체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크릴(10) 중심축에 연장되게 형성된 가연부(20)의 인출홀(21)에는 크릴(10)의 원사(A)가 통과하여 인출된다(도 1의 확대도 A 참조). 이와 같이, 크릴(10) 회전 중심축으로 원사(A)를 인출하여, 가연부(20)를 통한 크릴(10) 전체의 회전은 원사(A)를 가연하여 꼬는 힘으로만 전환되고, 크릴(10)의 원사(A)를 풀지 않는다. 추후 서술하나, 크릴(10)의 원사(A)는 스풀부(50)의 감는 회전으로 섬유(B)가 당겨져 풀리게 된다. 가연부(20)를 통한 크릴(10) 전체의 회전으로 원사(A)를 가연하여 꼬인 섬유(B)를 형성할 수 있는 바, 리브용 섬유(B')는 강력이 부여되어 쉽게 끊어지지 않으며, 꼬임으로 인해 표면적이 넓어져 타부재와의 접합력이 우수하다.
장력이동부(30)는 가연부(20)에서 꼬인 섬유(B)를 지지하여 장력을 가하는 지지부(31)를 포함한다. 원사(A)가 가연부(20)를 통해 꼬여져 섬유(B)를 형성하다보면, 그 꼬임이 과다하여 말려지게 된다(도 1의 확대도 B 참조). 장력이동부(30)는 이와 같은 섬유(B)의 말림을 풀어주는 구성으로, 섬유(B)를 지지하여, 후술하는 스풀부(50)의 당기는 힘, 장력을 전달하여 섬유(B)를 이동시킴에 따라, 섬유(B)의 말리는 부분을 풀어주어 섬유(B)가 일정한 굵기와 형상으로 꼬일 수 있다.
스풀부(50)는 장력이동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되는 섬유(B) 전체를 당겨감도록 회전한다. 스풀부(50)의 회전으로 섬유(B)는 스풀부(50)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겨지게 되고, 이를 통해 전체 섬유(B)가 당겨지는 바, 섬유(B)의 이동 및 원사(A)의 풀림에 근원적인 힘이 된다. 스풀부(50)에 섬유(B)가 당겨 감겨짐으로써 리브용 섬유(B')가 제조되는 바, 스풀부(50)는 제조된 리브용 섬유(B')를 쉽게 분리 형성할 수 있도록, 별도의 원통이 결합되거나, 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로드가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리브용 섬유(B')는 일정한 굵기와 형태로 가연되는 바(도 1의 확대도 C 참조), 강력이 부여되어 쉽게 끊어지지 않으며, 꼬임으로 그 표면적이 넓어져 차후 보강근 로드 및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크릴(10) 및 이를 지지하는 가연부(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크릴(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사(A)가 권선된 소모품으로, 구체적으로 이에 사용되는 원사(A)는 텍스(tex, 섬유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로, 1km 길이당 무게 g) 2200의 굵기를 가지는 제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텍스 4400 등 너무 굵은 원사(A)를 사용하는 경우, 차후 보강근의 리브를 형성함에 로드에 함침된 수지가 리브 전체에 전이되지 않아, 리브가 보강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텍스 1400 등 얇은 원사(A)를 사용하는 경우, 가연하더라도 강력과 굵기가 부족하여 쉽게 끊어질 수 있다.
그리고, 권선된 크릴(10)의 원사(A)는, 도 2와 같이 권선된 내주면에서부터 풀어져 가연부(20)의 인출홀(21)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주면으로부터 풀어지는 경우, 크릴(10)의 중심으로 간섭되는 것이 없어 원사(A)를 엉킴없이 풀어낼 수 있다.
가연부(20)는 도 2와 같이, 크릴(10)을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별도의 모터(M1)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가연부(20)가 크릴(10)을 지지하는 형태는 크릴(10)이 소모품으로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분리와 결합에 대한 조정이 쉽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별도의 모터(M1)를 통한 가연부(20)의 회전은 스풀부(50)의 회전보다 먼저 이루어져 인출홀(21)에서 인출되는 원사(A)의 쳐짐을 유도할 수 있다. 스풀부(50)의 회전이 가연부(20)보다 먼저 이루어지거나, 또는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 원사(A) 또는 섬유(B) 전체는 팽팽하게 당겨져 이를 가연하기 위해서는 많은 회전과 힘이 필요해질 수 있다, 따라서, 쳐짐을 유도하여 적은 회전과 힘으로 원사(A)를 가연할 수 있도록 가연부(20)는 스풀부(50)보다 먼저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장력이동부(3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장력이동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B)의 말림을 풀고, 섬유(B)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경로유도홀(32)과 지지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유도홀(32)은 가연부(20)의 인출홀(21)을 통해 인출되어 가연되는 섬유(B)가 꺽여 통과하는 구성으로 장력이동부(30)의 초입에 형성된다. 인출홀(21)과 경로유도홀(32)로 섬유(B) 또는 원사(A)가 꺽임에 따라 마찰지지되고, 원사(A)의 가연은 인출홀(21)과 경로유도홀(32) 사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 원사(A)를 일정한 굵기와 형상으로 가연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경로유도홀(32)은 홀로 형성되어, 섬유(B)의 꼬임이 과다하여 말리더라도 섬유(B)가 이동하는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정해진 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의 초입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1)는 가연부(20)를 통해 꼬인 섬유(B)가 과다하게 말린 것을 풀어주는 구성으로, 경로유도홀(32)을 통해 이동경로의 초입이 잡힌 섬유(B)를 지지한다. 이는 도시와 같이 다수의 롤러(31a) 또는 봉(31b)을 포함하여 이동과정에 꼬인 섬유(B)가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섬유(B)에 장력을 전달하여 과다하게 말린 것을 풀어준다. 지지부(31)는 도시와 같이 섬유(B)의 이동 경로를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 방향에서 지지하는 위치만 상하로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의 좌우 무빙기(40)와 스풀부(5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는, 장력이동부(30)를 통해 이동된 섬유(B)를 스풀부(50)가 당겨 감기 전에 스풀부(50) 좌우로 이동시켜 섬유(B)를 스풀부(50)에 분산시키는 좌우 무빙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우 무빙기(40)는 장력이동부(30)와 스풀부(50) 사이에 위치하여 장력이동부(30)에 지지되는 섬유(B)를 스풀부(50)가 당길 수 있도록 통과시킨다. 그리고, 스풀부(50)가 리브용 섬유(B')를 당겨 감음에 있어서, 스풀부(50)에 리브용 섬유(B')가 분산되도록 리브용 섬유(B')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좌우로 움직인다. 좌우 무빙기(40)의 좌우 움직임은 도시와 같이 모터(M2)에 연결된 리니어 구성(41)과 가이드홈(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무빙기(40)를 통해 리브용 섬유(B')가 분산되어야 스풀기에 다량의 섬유(B)를 감을 수 있다.
한편, 스풀부(50) 또한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리브용 섬유(B')를 당겨 감는다. 가연부(20)를 회전시키는 모터(M1)나 좌우 무빙기(40)를 움직이는 모터(M2)의 회전속도는, 구동시간동안 일정함이 바람직하다. 가연부(20)를 회전하는 모터(M1)가 일정하게 회전하여야 구동시간동안 가연되는 힘이 동일한 바, 섬유(B)는 동일한 굵기와 형상을 전체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무빙기(40)를 회전하는 모터(M2) 또한 구동시간 동안 일정하게 회전해야 스풀기 전체에 고르게 리브용 섬유(B')가 분산된다. 다만, 스풀부(5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는 그 회전속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함이 바람직하다. 섬유(B)가 감긴 스풀부(50) 전체의 외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바, 스풀부(50)의 회전속도(각속도)가 일정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섬유(B)가 많이 당겨져, 섬유(B) 전체가 동일한 굵기와 형태로 가연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풀부(50)의 회전은 섬유(B)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당기도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함이 바람직한다. 가연부(20)를 일정하게 회전시키고, 스풀부(50)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리브용 섬유(B') 전체를 일정한 굵기와 면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꼬이는 간격 또한 동일하게 형성하여, 리브용 섬유(B') 전체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하나의 리브용 섬유(B')를 제조하도록 각 구성이 하나일 수 있고, 또는 도 4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제조장치에서 복수의 리브용 섬유(B')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섬유강화 보강근(1)의 리브(1b)를 형성할 수 있는 바, 도 5를 참조하여 섬유강화 보강근(1)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보강근(1)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섬유강화 보강근(1)은, 상기 서술한 제조장치로 제조되어 가연된 리브용 섬유가 보강근 로드(1a)에 나선형으로 와인딩되어 리브(1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1b)를 형성하여, 보강근 로드(1a)와 리브(1b), 그리고 보강근(1) 전체와 콘크리트 간의 접합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와 보강근(1)이 일체의 거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섬유강화 보강근(1)에 있어서, 리브(1b)는 10 ~ 14mm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b)의 간격이 9 mm 이하인 경우에는 간격 간에 수지함유량이 적어져, 보강근(1)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푸석거려 보강근(1)의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리브(1b)의 간격이 15 mm 를 넘어가는 경우, 간격 간에 수지함유량이 많아 수지가 전부 다 경화되지 않아 인장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적어 보강근(1)이 콘크리트와 분리 거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리브(1b)는 보강근 로드(1a)이 중심축과 45 ~ 50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가 45도 미만인 경우 수지 함칭성에 일관성이 잃는 공정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리브(1b)가 슬립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50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과정에서 리브(1b)가 슬립되어 불량이 발생하며, 수지가 고르지 못해 보강근(1)이 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리브(1b)는 로드(1a)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0.4 ~ 1.2mm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높이가 0.4mm 이하인 경우, 리브(1b) 내부의 수지가 마디마다 균일하지 않고, 제품의 밑 부분으로 흘러 내려 제품의 경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1.2mm 이상이면, 리브(1b) 전체에 수지가 함침될 수 없고, 섬유 그 자체로만 생산되어 강성이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 보강근
1a: 로드
1b: 리브
10: 크릴
20: 가연부
21: 인출홀
30: 장력이동부
31: 지지부
31a: 롤러
31b: 봉
32: 경로유도홀
40: 좌우 무빙기
41: 리니어 구성
50: 스풀부
A: 원사
B: 섬유
B': 리브용 섬유
M1, M2: 모터

Claims (9)

  1. 리브용 섬유의 원사가 권선된 크릴;
    상기 크릴을 지지하여 상기 크릴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며, 중심축에 형성된 인출홀을 통해 상기 크릴의 원사를 인출하여, 인출된 원사를 가연함으로써 꼬인 섬유를 형성하는 가연부;
    상기 가연부에서 꼬인 섬유에 장력을 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섬유의 말림을 풀어주는 장력이동부; 및
    상기 장력이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섬유를 당겨감도록 회전하는 스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릴의 원사는 텍스(tex) 2200의 굵기를 가지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릴의 원사는 권선된 내주면에서부터 풀어져 상기 인출홀로 인출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는, 상기 스풀부보다 먼저 회전하여 상기 인출홀에서 인출되는 원사의 쳐짐을 유도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동부는,
    상기 가연부의 인출홀을 통해 인출되어 가연되는 섬유가 꺽여 통과하는 경로유도홀; 및
    상기 경로유도홀을 통과한 섬유를 지지하는 롤러 또는 봉을 포함하여 상기 섬유에 장력을 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동부에 지지되는 상기 섬유를 상기 스풀부가 당길 수 있도록 통과시키되, 상기 섬유가 상기 스풀부에 분산되어 감겨지도록 상기 섬유를 상기 스풀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무빙기;를 더 포함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의 회전속도는 구동시간 내 일정하되,
    상기 스풀부의 회전속도는 상기 섬유가 감겨서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8. 청구항 제1항의 제조장치로 제조되어 가연된 리브용 섬유가 보강근의 로드에 나선형으로 와인딩되어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10 ~ 14mm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중심축과 45 ~ 5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0.4 ~ 1.2mm로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KR1020200122889A 2020-09-23 2020-09-23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KR2022004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89A KR20220040097A (ko) 2020-09-23 2020-09-23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89A KR20220040097A (ko) 2020-09-23 2020-09-23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97A true KR20220040097A (ko) 2022-03-30

Family

ID=8094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889A KR20220040097A (ko) 2020-09-23 2020-09-23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0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38B1 (ko) 2006-06-09 2008-03-03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KR101013098B1 (ko)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38B1 (ko) 2006-06-09 2008-03-03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KR101013098B1 (ko)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4594B1 (en) Winding machine for continuous fiber bundle equipped with a guide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bobbin by the winding machine
CN101044284B (zh) 由高强度纤维复合材料构成的绳索
US58110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aw-molding fiber reinforced plastic rod formed with spiral groove
US8333857B2 (en) Fiber reinforced rebar with shaped sections
US20040065044A1 (en)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8511038B2 (en) Concrete panel with fiber reinforced rebar
WO2008111679A1 (ja) 丸形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繊維強化シート
WO2012109726A1 (en) Fiber reinforced rebar with shaped sections and a concrete panel including the shaped rebar sections
KR20170110806A (ko) 콘크리트용 복합재 리바의 제조 방법
JP2004238615A (ja) 一方向性プリプレグ、強化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220040097A (ko) 섬유강화 보강근 리브용 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리브용 섬유로 리브가 형성되는 섬유강화 보강근
JP2001348166A (ja) 巻取り機用ガイド装置と巻取り機
JP2019171676A (ja) 繊維強化樹脂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35703A (ja) 繊維束巻取装置および繊維束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102162865B1 (ko) 연속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한 섬유 광폭화 장치
EP3700848B1 (en) Unwinding of materials
JP2653702B2 (ja) コンクリート補強筋とその製造方法
JP4332606B2 (ja) 繊維束の引き出し方法及び繊維束引き出し装置
JP5574630B2 (ja) ガイド装置、連続繊維束の巻取機、連続繊維束の製造方法、および炭素繊維束
JP4983105B2 (ja) 撚り線材の連続製造方法
NO851726L (no)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gjenstander av fiberarmert, spesielt glassfiberarmert, plast
JP3671601B2 (ja) ガラスロービングの解舒方法
JP2004168466A (ja) 繊維束巻取装置
RU2494953C1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армирующих волокон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линий непрерыв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5101254B2 (ja) 強化繊維組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