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195A -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195A
KR20220039195A KR1020200122003A KR20200122003A KR20220039195A KR 20220039195 A KR20220039195 A KR 20220039195A KR 1020200122003 A KR1020200122003 A KR 1020200122003A KR 20200122003 A KR20200122003 A KR 20200122003A KR 20220039195 A KR20220039195 A KR 2022003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ion
edible
pepsin
extract
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긴내
한의정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195A/ko
Publication of KR2022003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95A/ko
Priority to KR1020230115306A priority patent/KR2023012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식용곤충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enzyme decomposition product of edible insects}
본 발명은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용곤충은 오래 전부터 한국뿐 아니라,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식품으로 사용되었다. 식용곤충은 이제까지 알려진 종류가 1900종 이상에 이른다.
2008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는 곤충사육과 섭취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2012년 식용곤충산업 관련 자료를 발간과 더불어 2013년 이후로 미래의 기아퇴치, 영양보충 및 단백질공급, 환경오염의 저감 등을 위한 대비로 전 세계가 식용곤충을 주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10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곤충의 이용과 활용에 다각적인 관심과 산업성장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이후로 곤충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신소재식품의 인증 절차를 통하여 벼메뚜기, 누에번데기, 백강잠, 갈색거저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쌍별귀뚜라미, 장수풍뎅이 유충 7종의 곤충이 식품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으며, 풀무치, 아메리카왕거저리, 수벌 번데기의 식품등록이 진행 중이다.
식용곤충은 가축과 비교해 사육이 용이하며, 사육환경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식이성섬유, 칼슘, 철과 같은 무기질, 및 비타민을 풍부히 포함하며 높은 영양가치를 가지므로 육류를 대체하기 충분한 바, 고단백, 고영양, 고기능성의 식품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식용곤충의 의약 및 건강기능식품에 활용하기 위한 효과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에 따라 일부 기능성 효과들이 보고되었으나, 효과를 더욱 개선할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9-0122319호(2019.10.30)
일 구체예에 따르면, 식용곤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및 펩신으로 처리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향상시킨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식용곤충 또는 이의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용곤충(edible insects)은 그 전부 또는 일부 성분을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들을 의미하며,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은 전통적으로 식품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국가기관에서 식품 원료로서 사용이 허가된 곤충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식품원료로서 사용이 허가된 곤충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은 예를 들면 딱정벌레목(Coleoptera), 나비목(Lepiodoptera), 벌목(Hymenoptera), 메뚜기목(Orthoptera), 또는 노린재목(Hemiptera)의 곤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식용곤충은 참검정풍뎅이(Holotrichia diomphalia) 유충,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유충, 누에(Bombyx mori)의 유충 또는 번데기, 메뚜기(Oxya japonica Thungberg),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tus),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atratus)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은 건조된 것일 수 있으며,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산화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활성산소종(ROS)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상온 또는 가온 조건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온 조건은 예를 들면 15 내지 30℃, 또는 20 내지 25℃일 수 있고, 상기 가온 조건은 물을 용매로 하는 경우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 분해물은 하기 단백질 분해 효소 중 어느 하나에 가수분해된 것일 수 있다: (a) 펩신; (b)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c) 펩신 및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는 EC 3.4.21.62 및 EC 3.4.24.28 를 포함하는 효소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EC 3.4.21.62는 예를 들면 서브틸리신(subtilisin)일 수 있고, 상기 EC 3.4.24.28은 예를 들면 바실로라이신(Bacillolysi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상품명 Protamex®인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 분해물은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및 펩신을 동시에 처리하거나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경우,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로 1차 가수분해하고 펩신으로 2차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일반적인 식품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식용곤충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용곤충을 이용함으로써 안전하고, 항산화 작용에 의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 노화 및 산화 관련 질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추출, 효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식용곤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식용곤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와 접촉시켜 제1효소 분해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효소 분해물을 펩신과 접촉시켜 제2효소 분해물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은 식품 또는 화장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식용곤충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므로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환원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재료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참검정풍뎅이 유충(Holotrichia diomphalia, 이하 HD 또는 굼벵이로 지칭할 수 있음),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이하 TM 또는 밀웜으로 지칭할 수 있음), 및 동애등에 유충(Hermetia illucens, HI)는 주식회사 동의보감에서 구입하였다.
항산화실험 및 기타 실험에 사용된 1,1-diphenyl-2-picrylhydrazy(DPPH), Bovineserum albumin(BSA), gallic acid, Folin-Ciocalteau reagent, Hydrogen peroxide,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AAPH) 및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ABTS)는 Sigma chemical Co.로부터 구입하였다. 식용곤충 추출에 사용된 효소(protamex 및 pepsin)은 Novozyme Co.로부터 구입하였다. 그 외 모든 분석시약은 특급 또는 HPLC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 제조
(1) 식용곤충 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식용곤충 시료(HD, TM, HI)를 분쇄하고 분쇄물 2g을 증류수 100ml에 첨가한 후 상온(20 내지 3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여과지(Whatman No.6)으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얻었으며, 각각 굼벵이 물 추출물(water extract of Holotrichia diompharia, WHD), 밀웜 물 추출물(water extract of Tenebrio molitor, WTM), 및 동애등에 물 추출물(water extract of Hermetia illucens, WHI)로 명명하였다.
(2) 식용곤충 단독 효소 가수분해물 제조
건조된 식용곤충 시료(HD, TM, HI)를 분쇄하고 분쇄물 2g을 증류수 100ml에 첨가한 후 protamex 또는 pepsin을 효소/기질 비율 1:100(중량기준)으로 첨가하였다. Protamex는 Novozyme사에서 판매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상품명으로, 구체적인 성분은 바실러스속(Bacillus spp.)에서 유래한 단백질 분해효소 혼합물(protease complex)이며, EC numbers는 3.4.21.62 및 3.4.24.28이다. EC 3.4.21.62는 서브틸리신(subtilisin)일 수 있다. EC 3.4.24.28은 바실로라이신(bacillolysin)일 수 있다.
각 효소의 최적 조건에 따라 2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00℃로 가온하여 불활성화시켰다. 여과지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여과하고, protamex 가수분해물을 PRHD(protamex extracts of HD), PRTM(protamex extracts of TM), PRHI(protamex extracts of HI)로 명명하고, pepsin 추출물을 PHD(pepsin extracts of HD), PTM(pepsin extracts of TM), PHI(pepsin extracts of HI)로 명명하였다. Protamex 및 pepsin의 최적 반응 조건은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하였다.
enzyme Temperature(℃) pH
Protamex 40 6
Pepsin 37 2
(3) 식용곤충 2차 효소 가수분해물 제조
건조된 식용곤충 시료(HD, TM, HI)를 분쇄하고 분쇄물 2g을 증류수 100ml에 첨가한 후 protamex를 효소/기질 비율 1:100(중량기준)으로 첨가하여 상기 효소 최적 조건에 따라 24시간 동안 1차 효소 반응시키고 100℃로 가온하여 불활화시켰다.
상기 1차 효소 반응물을 pepsin을 효소/기질 비율 1:100(중량기준)으로 첨가하여 상기 효소 최적 조건에 따라 24시간 동안 2차 효소 반응시켰다. 2차 가수분해물은 PPHD(protamex and pepsin extracts of HD), PPTM(protamex and pepsin extracts of TM), PPHI(protamex and pepsin extracts of HI)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일반성분 분석
(1) 단백질 함량 측정
단백질 함량은 Lowry 등(1951)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험관에 각 식용곤충 물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물 1ml 및 2N NaOH 100㎕를 혼합하여 100℃에서 10분간 가수분해시키고, Lowry reagent 1m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Folin-Ciocalteau reagent 0.1 m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SA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내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2) 당 함량 측정
당 함량은 phenol sulfuric acid method로 측정하였다. 시험관에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1ml 및 80% phenol 용액 25 ㎕, 황산 2.5ml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lucose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 곡선을 작성하고,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내에 포함된 탄수화물 함량을 계산하였다.
(3) 페놀 함량측정
페놀 함량은 Singleton 등(200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험관에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40 ㎕ 및 Folin-Ciocalteau reagent 200㎕, 증류수 1160㎕를 혼합하였다. 이후 5분 이내에 20% sodium carbonate 600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곡선을 작성하였으며,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phenol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4) 성분분석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한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Sample  Extract Yield (%) Protein (%) Carbohydrate (%) Polyphenol (%)
Holotrichia
diompharia
WHD 24.59 ± 0.00 14.95 ± 0.04 1.92 ± 0.22 1.11 ± 0.09
PRHD 55.63 ± 0.48 21.78 ± 0.51 1.59 ± 0.15 2.72 ± 0.19
PHD 67.33 ± 0.97 32.30 ± 0.17 1.54 ± 0.12 2.94 ± 0.08
PPHD 79.21 ± 0.75 55.63 ± 0.32 0.90 ± 0.03 2.11 ± 0.26
Tenebrio
molitor
WTM 19.15 ± 0.73 10.65 ± 0.47 1.00 ± 0.04 2.32 ± 0.17
PRTM 48.37 ± 0.48 21.17 ± 0.18 1.67 ± 0.12 1.13 ± 0.19
PTM 60.45 ± 0.24 36.59 ± 0.08 0.73 ± 0.11 2.15 ± 0.23
PPTM 72.21 ± 0.48 48.14 ± 0.41 0.23 ± 0.01 1.55 ± 0.19
Hermetia
illucens
WHI 12.23 ± 0.72 16.59 ± 0.18 1.51 ± 0.04 1.75 ± 0.09
PRHI 44.20 ± 0.24 32.05 ± 0.52 1.98 ± 0.10 2.09 ± 0.21
PHI 57.38 ± 0.24 36.55 ± 0.42 0.74 ± 0.06 2.85 ± 0.13
PPHI 69.31 ± 0.01 56.18 ± 2.47 0.19 ± 0.04 2.77 ± 0.06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수율을 평가한 결과, 상온 추출물 보다는 효소 가수분해물이 약 2 내지 3배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2차 효소 가수분해물의 경우 굼벵이, 밀웜, 및 동에등애가 각각 79.21±0.75, 72.21±0.48, 69.31±31로 나타났으며, protamex 및 pepsin 중 하나만 사용하여 가수분해한 것보다 현저히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일반성분 함량을 평가한 결과 2차 효소 가수분해물에서 당 함량은 현저히 낮아졌으며, 폴리페놀의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고, 단백질 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실시예 4: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1)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Park 등(2009)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각 샘플은 62.5, 125, 및 250 ㎍/ml의 농도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7mM ABTS 및 2.4 nM의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ABTS+ 라디칼 용액을 414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 = 3.6×104 M-1cm-1)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라디칼 용액과 가수분해물 50 ㎕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식 1으로 계산하였다.
[식 1]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bs.control-Abs.sample)/Abs.control]×100
상기 식 1에서 Abs.control은 control의 흡광도이고, Abs.sample은 샘플의 흡광도를 의미한다.
(2)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의 DPPH 라디말 소거 활성은 Heo 등(2005)dl 기술한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각 샘플을 62.5, 125, 및 250 ㎍/ml의 농도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가수분해물 0.1ml과 0.15mM DPPH 0.1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bs.control-Abs.sample)/Abs.control]×100
(3) 환원력(Reducing power) 평가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 200 ㎕에 0.1M phosphate buffer (pH 6.0) 300 ㎕와 1% potassium ferricyanide 500 ㎕를 각각 혼합하여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0%의 trichloroacetic acid를 가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 500 ㎕와 증류수 500 ㎕, 0.1% ferri chloride 100 ㎕를 각각 혼합하여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도 1은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를 개시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모든 농도(62.5, 125, 및 250 ㎍/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차 효소 가수분해물의 고농도(250㎍/ml) 투여군을 살펴보면, PPHD 투여군이 59.77±0.12%, PPTM 투여군이 63.34±0.11%, PPHI 투여군이 52.21±0.14%로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는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를 개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모든 농도(62.5, 125, 및 250 ㎍/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차 효소 가수분해물의 고농도(250㎍/ml) 투여군을 살펴보면, PPHD 투여군이 26.34±0.13%, PPTM 투여군이 26.19±0.16%, PPHI 투여군이 25.19±0.19%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3은 식용곤충 물 추출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환원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모든 농도(62.5, 125, 및 250 ㎍/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차 효소 가수분해물의 고농도(250㎍/ml) 투여군에서 우수한 환원력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식용곤충 또는 이의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곤충은 참검정풍뎅이(Holotrichia diomphalia) 유충,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유충, 누에(Bombyx mori)의 유충 또는 번데기, 메뚜기(Oxya japonica Thungberg),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tus),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atratus)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추출한 것인,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온에서 추출한 것인,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해물은 하기 단백질 분해 효소 중 어느 하나에 가수분해된 것인, 식품 조성물:
    (a) 펩신;
    (b)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및
    (c) 펩신 및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는 EC 3.4.21.62 및 EC 3.4.24.28 를 포함하는 효소인 것인,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분해물은 바실러스속 균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로 1차 가수분해하고 펩신으로 2차 가수분해한 것인,
    식품 조성물.
  8. 식용곤충 추출물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22003A 2020-09-22 2020-09-22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20039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03A KR20220039195A (ko) 2020-09-22 2020-09-22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230115306A KR20230129354A (ko) 2020-09-22 2023-08-31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03A KR20220039195A (ko) 2020-09-22 2020-09-22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306A Division KR20230129354A (ko) 2020-09-22 2023-08-31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95A true KR20220039195A (ko) 2022-03-29

Family

ID=809973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03A KR20220039195A (ko) 2020-09-22 2020-09-22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230115306A KR20230129354A (ko) 2020-09-22 2023-08-31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306A KR20230129354A (ko) 2020-09-22 2023-08-31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39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68A (ko) 2022-04-28 2023-11-06 농업회사법인(주)애니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19A (ko) 2018-04-20 2019-10-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19A (ko) 2018-04-20 2019-10-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68A (ko) 2022-04-28 2023-11-06 농업회사법인(주)애니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및 동애등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354A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03B1 (ko) 발효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30129354A (ko) 식용곤충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Zhang et al. Antimicrobial Capa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Protein from R ushan Bay Oyster (C rassostrea gigas)
KR20120024262A (ko)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15127339A (ja) 抗糖化用組成物
JP2014065683A (ja) 抗糖化用組成物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97123B1 (ko) 탈지 난황 단백질 가수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2399204B1 (ko) 흑마늘대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25312B1 (ko) 그래프팅기술을 이용한 곤충 유래 식품 단백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곤충 유래 조성물
KR20230060310A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5362B1 (ko) 세모가사리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JP6260804B2 (ja) 抗糖化用組成物
KR20200084560A (ko) 피조개 가수분해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7963B1 (ko) 탈지미강 효소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293782B1 (ko) 땅콩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141712B1 (ko)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5639B1 (ko) 흰목이버섯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226131B1 (ko) 발효 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87292B1 (ko) 홍삼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6607418B2 (ja) 抗糖化用組成物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