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76A -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076A
KR20220039076A KR1020200121711A KR20200121711A KR20220039076A KR 20220039076 A KR20220039076 A KR 20220039076A KR 1020200121711 A KR1020200121711 A KR 1020200121711A KR 20200121711 A KR20200121711 A KR 20200121711A KR 20220039076 A KR20220039076 A KR 2022003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d unit
unit
subject
exa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887B1 (ko
Inventor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주)커넥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넥슨 filed Critical (주)커넥슨
Priority to KR102020012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출력부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향, 진동, 전류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Smart diagnostic device with improved accuracy}
본 발명은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진 대상자의 인체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각종 정보에 대한 수집을 진행함과 동시에, 신체 부위별 이상 유무 및 특정 병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내환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에게 전달하는 청진기는 최신 영상진단 장치인 MRI(Magnetic Resonanee Imaging System)나 CT(Computerized Tomography)등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의료진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이용률이 높은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청진기를 살펴보면, 음파탐지부에 약 40㎝ 길이의 한정된 합성수지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청진 시, 의료진은 튜브의 길이 때문에 고개를 숙여 청진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혈압측정시 청진기의 줄은 방해가 될뿐더러 잡음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아울러, 청진 진행 시, 검진 대상자의 신체 접촉 진행에 의해, 각종 노이즈가 발생하고, 상기 노이즈로 인한 생체음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오진이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청진기는 검진 대상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서 발생되는 생체음을 한정적으로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혈관 등에 문제가 있는 검진 대상자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는 경우, 진단 가능 영역이 좁은 종래의 청진기 만으로는 검진 대상자의 혈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1명의 검진 대상자에 대해, 1명의 사용자 즉, 의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일대일 진찰하였으므로 오진이 발생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었으며,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는 음파는 사용자가 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08417호 (2013.09.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진 대상자의 생체음을 기반으로 하여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면서도,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진단 시, 진단 가능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고 다양한 진단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출력부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향, 진동, 전류, 온도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생체음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생체음 센서 및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 시 발생하는 마찰음을 포함하는 노이즈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노이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음 신호 및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쇄시키는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노이즈 상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음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심박수치, 심전도수치, 체온수치, 산소포화수치, 혈압수치, 혈당수치, 화상정보, 초음파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복합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복합 정보 수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부위 중,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임의로 선택된 제 1 구역에서 상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제 1 헤드 유닛과, 상기 본체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구역에서 상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제 2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 유닛은, 제 1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제 1 헤드 유닛 및 상기 제 1 헤드 유닛을 통한 상기 생체음의 획득 시점 이후,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제 2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헤드 유닛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과, 상기 제 2 헤드 유닛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인 측정 시간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정보인 기준 시간차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측정 시간차 정보와 기준 시간차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검진 대상자의 신체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 유닛은, 헤드 유닛 몸체와, 상기 헤드 유닛 몸체와 체결되면서, 검진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헤드 유닛 몸체 내에 마련되면서, 상기 접촉부 측으로 소정의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접촉부는 단면이 소정 곡률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촉부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을 통한 진단 대상자의 진단 정보 획득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생체음만으로 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청진기에 비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진단 대상자의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유무선 통신연결되는 출력부를 통해, 다수의 의사 즉, 사용자가 1인의 진단 대상자에 대한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축됨으로써, 1인의 사용자에 의한 진단이 아닌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진단을 진행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음 센서 및 노이즈 센서를 탑재하여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음 등에 의한 노이즈를 감쇠시켜, 보다 명확한 생체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정보 수집 센서의 탑재를 통해,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검진 기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청진 진행 시, 특정 장기의 생체음만을 한정적으로 획득하여 검진을 진행하는 종래의 청진기에 비해, 1회 청진 진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를 연결하는 혈관의 상태 등 추가적인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헤드 유닛을 통해, 미사용 시, 상기 제 1 헤드 유닛을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헤드 유닛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진 대상자의 혈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간차 정보를 기반으로, 검진 대상자의 장기를 상호 연결하는 혈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간차 정보를 기반으로, 검진 대상자의 장기를 상호 연결하는 혈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모듈을 통해, 상술한 헤드부의 접촉부가 검진 대상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검진 대상자가 저온의 접촉부에 의해 느낄 수 있는 불편감,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곡률을 보유하도록 설계되는 접촉부를 통해, 검진 대상자의 팔목, 발목 등 굴곡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면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검진 대상자의 팔목, 발목 등 굴곡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변형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면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부의 헤드 유닛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부의 헤드 유닛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통해 획득한 생체음 획득 시점을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는, 본체부(100), 헤드부(200), 제어부(300), 출력부(40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진단 대상자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기 위해 파지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본체부(100)내에 제어부(300) 및 통신부(500)가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부(200)는 상술한 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200)는 헤드 유닛(210) 및 센싱 모듈(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부위 중,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에 접촉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 유닛(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헤드 유닛(210a) 및 제 2 헤드 유닛(210b)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헤드 유닛(210a)은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헤드 유닛(210a)은 진단 대상자의 신체 구역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구역 상에서 상술한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헤드 유닛을 통해, 미사용 시, 상기 제 1 헤드 유닛을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은 상기 본체부(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통신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은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구역에서 상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재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은 상기 제어부와 무선 통신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을 통해 획득한 각종 정보를 무선 통신 기반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 2 헤드 유닛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진 대상자의 혈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청진 진행 시, 특정 장기의 생체음만을 한정적으로 획득하여 검진을 진행하는 종래의 청진기에 비해, 1회 청진 진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를 연결하는 혈관의 상태 등 추가적인 정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헤드부 내에 마련되면서, 음향, 진동, 전류, 온도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220)은 생체음 센서(221), 노이즈 센서(222) 및 복합 정보 수집 센서(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생체음 센서(221)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인 생체음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이즈 센서(222)는,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 시 발생하는 마찰음 및 주변 소음을 포함하는 신호인 노이즈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체음 센서 및 노이즈 센서를 탑재하여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음 등에 의한 노이즈를 감쇠시켜, 보다 명확한 생체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정보 수집 센서(223)는 심박수치, 심전도수치, 체온수치, 산소포화수치, 혈압수치, 혈당수치, 초음파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복합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복합 정보 수집 센서(223)는 ECG(electrocardiogram) 센서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합 정보 수집 센서의 탑재를 통해,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검진 기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생체음 신호 및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쇄시키는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노이즈 상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음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생체음 센서 및 노이즈 센서를 탑재하여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음 등에 의한 노이즈를 감쇠시켜, 보다 명확한 생체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어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진단 대상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부(200) 및 제어부(300)와 유무선 통신 연결되는 상기 출력부(400)를 통해, 다수의 의사 즉, 사용자가 1인의 진단 대상자에 대한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축됨으로써, 1인의 사용자에 의한 진단이 아닌 다수의 사용자에 의한 진단을 진행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제어부(300)와 출력부(400) 간 유무선 통신연결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며,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더불어, 수집된 상기 기준정보의 저장을 진행하여 동일한 검진 대상자의 검진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7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700)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진단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700)는 상기 기준정보의 저장뿐만 아니라, 상술한 이상유무판단정보 및 통합 이상유무판단정보의 저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진 대상자에 대한 검진 이력을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본 발명의 진단 장치(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부의 헤드 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유닛은 헤드 유닛 몸체(211), 접촉부(212) 및 발열 모듈(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유닛 몸체(211)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 상에 상술한 센싱 모듈(220)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부(212)가 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12)는, 상기 헤드 유닛 몸체(211)와 체결되면서, 검진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소정 면적을 보유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12)는 상기 헤드 유닛 몸체(211)의 전면에 부착되며, 음파의 전도가 가능한 금속을 포함하는 음파 전도체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기 접촉부(212)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범위의 두께를 보유한 판상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발열 모듈(213)은, 상기 헤드 유닛 몸체 내에 마련되면서, 상기 접촉부(212) 측으로 소정의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열 모듈(213)은 상기 접촉부(212)의 노출면과 반대되는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상기 발열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가 보유한 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를 보유하고 있는 상기 접촉부가 검진 대상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검진 대상자가 저온의 접촉부에 의해 느낄 수 있는 불편감,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검진 대상자의 팔목, 발목 등 굴곡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변형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면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부의 헤드 유닛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접촉부를 제외한 구성과 관련된 내용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함에 따라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헤드 유닛(210)을 구성하는 상기 접촉부(212)는 단면이 소정 곡률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접촉부(212)는 검진 대상자의 팔목, 발목 등 굴곡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유닛(210)의 후단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212)는 상기 헤드 유닛 몸체(211)의 전면에 부착되며, 음파의 전도가 가능한 금속을 포함하는 음파 전도체로 제작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범위의 두께를 보유한 판상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소정 곡률을 보유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접촉부(212)를 통해, 검진 대상자의 팔목, 발목 등 굴곡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면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통해 취득되는 각종 정보의 제공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통해 획득한 생체음 획득 시점을 도식화한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출력되는 가공 진단 정보를 도식화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제 1 헤드 유닛(210a) 및 제 2 헤드 유닛(210b)는 각각 검진 대상자의 다른 신체 부위에 접촉되도록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헤드 유닛(210a)은 사용자의 여러 신체 부위 중, 상대적으로 심장과 근접한 구역인 제 1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은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신체 부위가 위치하는 구역인 제 2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정보인 기준 시간차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시간차 정보는, 정상 상태에 있는 검진 대상자의 제 1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1)과, 상기 제 1 구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 2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2) 간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준 시간차 정보는, 상기 검진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을 통해서, 제 2 구역의 생체음을 획득하게 되는데, 상기 생체음 획득 시점은, 상기 제 1 헤드 유닛(210a)을 통한 생체음의 획득 시점(t1) 이후의 시점(t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을 통한 생체음 획득 시점(t3)과, 상기 제 1 헤드 유닛을 통한 생체음의 획득 시점(t1)을 각각 제공받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헤드 유닛(210b)을 통한 생체음 획득 시점(t3)과, 상기 제 1 헤드 유닛(210b)을 통한 생체음의 획득 시점(t1)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인 측정 시간차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시간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측정 시간차 정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시간차 정보의 제 2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2) 보다 상기 측정 시간차 정보의 제 2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3)이 늦은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측정 시간차 정보의 제 2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3)이 상기 기준 시간차 정보의 제 2 구역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t2)과 같거나 이른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간차 정보를 기반으로, 검진 대상자의 장기를 상호 연결하는 혈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스마트 진단 장치
100 : 본체부
200 : 헤드부
210 : 헤드 유닛
210a : 제 1 헤드 유닛
210b : 제 2 헤드 유닛
210 : 헤드 유닛
211 : 유닛 몸체
212 : 접촉부
213 : 발열 모듈
220 : 센싱 모듈
221 : 생체음 센서
222 : 노이즈 센서
223 : 복합 정보 수집 센서
300 : 제어부
400 : 출력부
500 : 통신부

Claims (10)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200);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400); 및
    상기 제어부와 출력부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향, 진동, 전류, 온도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생체음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생체음 센서(221); 및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 시 발생하는 마찰음을 포함하는 노이즈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노이즈 센서(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음 신호 및 상기 노이즈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쇄시키는 노이즈 상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노이즈 상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음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심박수치, 심전도수치, 체온수치, 산소포화수치, 혈압수치, 혈당수치, 초음파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복합 정보 수집 센서(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부위 중,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 유닛(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임의로 선택된 제 1 구역에서 상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헤드 유닛(210a);
    상기 본체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구역에서 상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헤드 유닛(210b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210)은,
    제 1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는 제 1 헤드 유닛(210a); 및
    상기 제 1 헤드 유닛을 통한 상기 생체음의 획득 시점 이후, 상기 제 1 구역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구역에서 생체음을 획득하는 제 2 헤드 유닛(210b);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헤드 유닛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과, 상기 제 2 헤드 유닛에서의 생체음 획득 시점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인 측정 시간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정보인 기준 시간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측정 시간차 정보와 기준 시간차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검진 대상자의 신체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210)은,
    헤드 유닛 몸체(211);
    상기 헤드 유닛 몸체와 체결되면서, 검진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212); 및
    상기 헤드 유닛 몸체 내에 마련되면서, 상기 접촉부 측으로 소정의 열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열 모듈(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12)는,
    단면이 소정 곡률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12)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KR1020200121711A 2020-09-21 2020-09-21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KR10247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1A KR102471887B1 (ko) 2020-09-21 2020-09-21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1A KR102471887B1 (ko) 2020-09-21 2020-09-21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76A true KR20220039076A (ko) 2022-03-29
KR102471887B1 KR102471887B1 (ko) 2022-11-29

Family

ID=8099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711A KR102471887B1 (ko) 2020-09-21 2020-09-21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7838A (zh) * 2022-04-28 2022-08-30 燕山大学 一种颅内多点位血氧检测与闭环超声刺激装置
WO2023200271A1 (ko) * 2022-04-15 2023-10-19 서울대학교병원 심전도 및 청각 측면의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17B1 (ko) 2012-02-24 2013-09-13 (주)유엔씨 전자청진기
KR101407049B1 (ko) * 2013-01-16 2014-06-24 이병훈 소음신호가 중첩된 청진기의 검출신호로부터 생체신호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00029874A1 (en) * 2018-07-24 2020-01-30 Tosense, Inc. Patch-based physiological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17B1 (ko) 2012-02-24 2013-09-13 (주)유엔씨 전자청진기
KR101407049B1 (ko) * 2013-01-16 2014-06-24 이병훈 소음신호가 중첩된 청진기의 검출신호로부터 생체신호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00029874A1 (en) * 2018-07-24 2020-01-30 Tosense, Inc. Patch-based physiological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271A1 (ko) * 2022-04-15 2023-10-19 서울대학교병원 심전도 및 청각 측면의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스마트 단말기
CN114947838A (zh) * 2022-04-28 2022-08-30 燕山大学 一种颅内多点位血氧检测与闭环超声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887B1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477B2 (en) Device for mobile electrocardiogram recording
US20180220990A1 (en) Method of detecting vascular condition based on point fluctuation con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rt and device utilizing the same
JP6181176B2 (ja) 母性心拍の改良された決定に関する方法及び胎児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15037432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fetal and maternal health monitoring
KR20140035313A (ko) 무선 태아 모니터링 시스템
US201700558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atient self-measuring and recording
US119804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onitoring maternal and fetal heart rate
KR20220039076A (ko)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JP2012055354A (ja) 診断装置
US9420973B1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ng electrocardiogram
WO2015082987A1 (en) Fetomaternal parameter monitoring system
US20220005601A1 (en)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consultations and telemedicine
US9107597B2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electrocardiogram
JP2020188963A (ja) 心電波形推定装置
JP2019146772A (ja) 心拍計測処理装置
CN110916715B (zh) 一种基于微加速度传感器的心音采集装置
CN109091127A (zh) 用于监测血压的方法及其设备
CN109223042B (zh) 人体多点机械振动参数随时间演进的混合测量装置
Cosoli et al. What is my heart rate right now? Comparing data from different devices
KR20210104410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과, 초음파 장치 및 모바일 장치
JP2003093388A (ja) 医療測定システム
EP1250889A1 (en)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index for indicating vascular status
KR102570064B1 (ko) 통합형 의료 검진 장치
KR20220039079A (ko) 스마트 청진기
WO2020029255A1 (zh) 人体多点机械振动参数随时间演进的混合测量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