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79A - 스마트 청진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079A
KR20220039079A KR1020200121715A KR20200121715A KR20220039079A KR 20220039079 A KR20220039079 A KR 20220039079A KR 1020200121715 A KR1020200121715 A KR 1020200121715A KR 20200121715 A KR20200121715 A KR 20200121715A KR 20220039079 A KR20220039079 A KR 2022003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ntrol unit
subje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주)커넥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넥슨 filed Critical (주)커넥슨
Priority to KR102020012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079A/ko
Publication of KR2022003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청진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출력부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향, 진동, 전류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청진기{Smart Stethoscope}
본 발명은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검진 대상자의 생체음을 기반으로 하여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임상의가 각 주파수 영역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종류 및 노이즈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게 진단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스마트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내환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에게 전달하는 청진기는 최신 영상진단 장치인 MRI(Magnetic Resonanee Imaging System)나 CT(Computerized Tomography)등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의료진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이용률이 높은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청진기를 살펴보면, 음파탐지부에 약 40㎝ 길이의 한정된 합성수지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청진 시, 의료진은 튜브의 길이 때문에 고개를 숙여 청진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혈압측정시 청진기의 줄은 방해가 될뿐더러 잡음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아울러, 청진 진행 시, 검진 대상자의 신체 접촉 진행에 의해, 각종 노이즈가 발생하고, 상기 노이즈로 인한 생체음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오진이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청진기는 검진 대상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서 발생되는 생체음을 한정적으로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혈관 등에 문제가 있는 검진 대상자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는 경우, 진단 가능 영역이 좁은 종래의 청진기 만으로는 검진 대상자의 혈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1명의 검진 대상자에 대해, 1명의 사용자 즉, 의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일대일 진찰하였으므로 오진이 발생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08417호 (2013.09.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진 대상자의 생체음을 기반으로 하여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면서도, 각 주파수 영역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종류 및 노이즈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게 진단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스마트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청진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출력부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향, 진동, 전류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싱 모듈은 소정 형상의 파형을 가지는 생체음 신호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모듈을 통해 수집한 상기 생체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가공한 정보인 가공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로 송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은, 제 1 주파수 영역대, 제 2 주파수 영역대 및 소음 주파수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는, 헤드부가 진단 정보를 수집하며 제어부가 상기 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검진 대상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청진 진행 시, 임상의의 진료를 도울 수 있음과 동시에, 임상의의 오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생체음만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청진기에 비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진단 대상자의 진단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음 신호에 대해,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가공하여 제공되는 가공 진단 정보를 통하여, 각 주파수 영역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종류 및 노이즈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게 진단 정보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진단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청진기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진단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청진기(1000)는 본체부(100), 헤드부(200), 제어부(300), 출력부(40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임상의가 진단 대상자에 대한 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임상의의 목에 걸어지는 종래의 전자식 청진기 등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00)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00)는 검진 대상자의 신체 일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단 정보는 임상의가 진단 대상자의 진단에 필요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신체 부위의 소리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단 정보는 외부 잡음 및 다른 부위로부터 유입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모듈(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 모듈(210)은 소정 형상의 파형을 가지는 생체음 신호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 모듈(210)은 음향, 진동, 전류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싱 모듈(210)은 임상의가 검진 대상자의 진단에 필요한 그 어떠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0)가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임상의의 진료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가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임상의의 오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생체음만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청진기에 비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진단 대상자의 진단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300)는 센싱 모듈(210)을 통해 수집한 상기 생체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가공한 정보인 가공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주파수 영역은 제 1 주파수 영역대, 제 2 주파수 영역대 및 소음 주파수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0)는 생체음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가공하여 제공하는 가공 진단 정보를 통하여, 각 주파수 영역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종류 및 노이즈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각 주파수 영역대에서 취득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종류 및 노이즈 신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게 진단 정보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제어부(300)는 상기 가공 진단 정보를 출력부(400)로 송출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임상의나 검진 대상자가 출력부(400)를 통해 상기 가공 진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300)에서 음향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와 출력부(400) 간 유무선 통신연결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며,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더불어, 수집된 상기 기준정보의 저장을 진행하여 동일한 검진 대상자의 검진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진단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기준정보의 저장뿐만 아니라, 상술한 이상유무판단정보 및 통합 이상유무판단정보의 저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진 대상자에 대한 검진 이력을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본 발명의 진단 장치(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스마트 청진기
100 : 본체부
110 : 진동판
200 : 헤드부
210 : 센싱 모듈
300 : 제어부
400 : 출력부
500 : 통신부

Claims (2)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200);
    상기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진 대상자의 신체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 정보인 이상 유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진단 정보 및 상기 이상 유무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와 출력부(400) 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00)는,
    음향, 진동, 전류 및 움직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측정 가능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센싱 모듈(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청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210)은,
    소정 형상의 파형을 가지는 생체음 신호를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210)을 통해 수집한 상기 생체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가공한 정보인 가공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400)로 송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은,
    제 1 주파수 영역대, 제 2 주파수 영역대 및 소음 주파수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주파수 영역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청진기.
KR1020200121715A 2020-09-21 2020-09-21 스마트 청진기 KR20220039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5A KR20220039079A (ko) 2020-09-21 2020-09-21 스마트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15A KR20220039079A (ko) 2020-09-21 2020-09-21 스마트 청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79A true KR20220039079A (ko) 2022-03-29

Family

ID=8099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715A KR20220039079A (ko) 2020-09-21 2020-09-21 스마트 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0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17B1 (ko) 2012-02-24 2013-09-13 (주)유엔씨 전자청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17B1 (ko) 2012-02-24 2013-09-13 (주)유엔씨 전자청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8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lth index using electroconductive fiber
US2015037432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fetal and maternal health monitoring
WO2013089072A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聴診器、情報管理プログラム、測定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20080763A (ko) 건강 상태 검사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건강 상태 검사 방법
US20140005547A1 (en) Remotely controlled ultrasound apparatus and ultrasound treatment system
US11937901B2 (en) Arteriovenous fistula stenosi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sensing device
CN105659239A (zh) 评估无线传感器与被监测患者之间的关联的系统和方法
US9107597B2 (en)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electrocardiogram
CN108366776A (zh) 患者监护仪、生命体征软件控制方法和程序
CN104398246B (zh) 一种基于柔性传感器检测人体血压的指环式芯片
KR20220039076A (ko) 검진 신뢰성이 향상된 스마트 진단 장치
KR20140146782A (ko) 동물 무선 청진진단 시스템
KR20220039079A (ko) 스마트 청진기
KR20140126064A (ko) 유방조직 이상 유무 자가 검사 장치 및 방법
US10674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CN111465350A (zh) 超声波诊断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20257195A1 (en) Audio pill
CN216417154U (zh) 一种便携式动静脉内瘘动态监测装置
KR20220027518A (ko) 인체 다중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진단 장치
KR101790772B1 (ko) 가이드용 초음파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형 초음파 진단 시스템
CN111918411A (zh) 一种人体健康数据的传输系统及实时医疗检测服
KR20060082922A (ko) 무선 통신 환경에 기반한 임산부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JP7193080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1638A (ko) 스마트폰의 초음파를 이용한 간이 종양 추적 장치
JP405511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