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852A -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852A
KR20220038852A KR1020200121158A KR20200121158A KR20220038852A KR 20220038852 A KR20220038852 A KR 20220038852A KR 1020200121158 A KR1020200121158 A KR 1020200121158A KR 20200121158 A KR20200121158 A KR 20200121158A KR 20220038852 A KR20220038852 A KR 2022003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words
teaching
word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744B1 (ko
Inventor
박수형
김유석
이수현
박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Priority to KR102020012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7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은, (a)교수 매체를 통해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단계와, (b)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와, (c)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단계의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English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eaching media}
본 발명은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과거보다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 흐름에 대응하여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어학용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어 회화 교수법들은 대부분 단어의 조합을 통해 일방적으로 말하기를 가르치거나, 영어를 문법, 어휘, 독해 그리고 듣기 등의 여러 개의 과목으로 나눠서 가르치는 방식이 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머리 속에서 분단된 지식들을 조합해 회화에 적용하는 것이 고스란히 학습자의 역할로 남겨졌기 때문에 큰 효과를 내지 못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90023호(2019.06.18.공고), “외국어학습을 위한 청크단위 분리 규칙과 핵심어 자동 강세 표시 구현 방법 및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835127호(2018.03.06.공고), “영어 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15041호(2016.10.06.공개), “음성인식 기반의 발음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어 문장의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은, (a)교수 매체를 통해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단계와, (b)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와, (c)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단계의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고,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며,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2회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어 문장의 상기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2회 이상 반복 출력되면서 각 구간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은, 상기 (c)단계 이후에, (d)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영상정보로 표시되는 단계와, (e)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은, 상기 (e)단계 이후에, (f)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e)단계의 상기 발음 현상들과 동일한 발음 현상들을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이 음성 정보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은, 상기 (a) 내지 (f)단계의 영어 문장들이 활용되는 단계들로써, (g)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f)단계에서의 영어 문장들 중 선택된 한 영어 문장(이하 “학습 문장”이라 함)이 미리 정해진 어순의 원리에 따라 상기 어순의 원리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판단되는 단계와, (h)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영상 정보로써 표시되는 단계와, (i)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학습자를 통해 영어 단어들로 바뀌는 단계와, (j)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i)단계를 통해 바뀐 영어 단어들이 상기 학습 문장이 되기 위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영상 정보로써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순의 원리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학습 문장에서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장치는, 영어 문장들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되는 영어 문장을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외부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해서, 영어 문장을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 중 어느 하나의 어순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가 더 탑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어 문장의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 따라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장치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교수 매체를 통해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된다.
단계(S12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음 현상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발음 현상은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원어민들이 편의를 위해 단어를 철자 그대로 발음하는 대신 일부 자음을 뭉개거나, 탈락시키거나 연결해서 발음하는 경향을 정리한 자료를 말한다.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 포함되는 동화, 탈락, 연음, 축약 현상의 구체적인 예들 및 이를 기준으로 영어 문장이 구간 분리되는 예들을 아래에 설명하였다.
동화현상
1. 동화 현상 d, 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와 [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과 비슷하게 발음된다.
(1)la t er[래이털] (X) → [래이러r]
(2)co d er[코덜] (X) → [코러r]
2. 동화 현상 rd, r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rd]와 [r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o rd er[올덜] (X) → [오러r]
(2)so rt er[솔털] (X) → [소러r]
3. 동화 현상 dd, t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d]와 [t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ki dd ing [키딩] (X) → [키링] (O)
(2)be tt er [베털] (X) → [베러r] (O)
4. 동화 현상 ddl, ttl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dl]과 [ttl]은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mi ddl e [미들] (X) → [미를] (O)
(2)li ttl e [리틀] (X) → [리를] (O)
5. 동화 현상 단어 끝 d, t 연음
[d], [t]로 끝난 단어가 뒤따르는 단어와 연음이 될 경우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ha d it a ll [해드 이트 얼] (X) → [해리럴] (O)
(2)no t at a ll [낫 애트 얼] (X) → [나래럴] (O)
6. 동화 현상 s + p, t, k, ch
단어가 [s]로 시작될 경우 뒤따르는 자음 [p], [t], [k(ch)]는 강세를 받아 된소리로 발음된다.
(1) sp oil [스포일] (X) → [스뽀일] (O)
(2) st ool [스툴] (X) → [스뚤] (O)
(3) sk ip [스킵] (X) → [스낍] (O)
(4) sch edule [스케쥴] (X) → [스께쥴] (O)
7. 동화 현상 단어 끝 p, k 연음
[p], [k(ch)]로 끝난 단어가 뒤따르는 단어와 연음이 될 경우 강세를 받아 된소리로 발음된다.
(1)kee p a ll [키프 올] (O) → [키뻘]
(2)thin k a bout [띵크 어바웃] (O) → [띵꺼바웃]
8. 동화 현상 dr
단어가 [dr]로 시작되거나 단어 중간에 [dr]이 나올 경우 발음이 동화되어 마치 [쥬르]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 dr aw [드러어] (X) → [쥬뤄어] (O)
9. 동화 현상 tr
단어가 [tr]로 시작되거나 단어 중간에 [tr]이 나올 경우 발음이 동화되어 마치 [츄르]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1) tr ain [트레인] (X) → [츄뤠인] (O)
10. 동화 현상 d, t, s + y
[d], [t], [s]로 끝난 단어 뒤에 [y]로 시작하는 단어가 나올 경우 각각 [쥬], [츄], [슈]로 발음된다. ([s]에 경우 단어 끝에서 [ㅅ]와 [ㅈ]의 발음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쥬]로 발음될 수도 있다.)
(1)misse d y ou [미스드 유] (X) → [미스쥬] (O)
(2)wha t y ou [와트 유] (X) → [와츄] (O)
(3)thi s y ear [디스 이얼] (X) → [디셔r] (O)
11. 동화 현상 ds, ts
단어 끝이 [ds]혹은 [ts]로 끝날 때 이 둘은 동화되어 각각 [ㅈ]와 [ㅊ]로 발음된다.
(1)frien ds [프렌드스] (X) → [프렌즈] (O)
(2)ge ts [게트스] (X) → [게츠] (O)
탈락현상(deletion)
탈락 현상이란 특정 환경에서 영어의 소리(주로 자음)가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 것을 말함.
1. 탈락 현상 d - d, t - t
앞 단어가 [d]나 [t]로 발음으로 끝나고 뒤따르는 단어 역시 [d]나 [t]일 경우 앞에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이 되지 않는다.
(1)foo d d rive [푸드 드라이브] (X) → [푸쥬롸이브] (O)
(2)wha t t ime [와트 타임] (X) → [와타임] (O)
2. 탈락 현상 조음점이 같은 단어
앞 단어의 끝 발음과 뒤따르는 단어의 첫 발음의 *조음점이 같을 경우 앞에 발음이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1)convenien ce s tore [컨비니언스 스토어] (X) → [컨비니언스토어] (O)
3. 탈락 현상 nd, nt
단어 끝에 철자가 [nd] 혹은 [nt]로 끝날 경우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1)se nd [센드] (X) → [센] (O)
(2)appointme nt [어포인트먼트] (X) → [어포인먼] (O)
4. 탈락 현상 단어 가운데 nd, nt
단어 가운데 철자 [nd] 혹은 [nt]가 나올 경우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이화현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1)rese nt ment [리젠트먼트] (X) → [리센먼] (O)
5. 탈락 현상 2 단어 사이 3연속 자음 중간 d, t 탈락
2 단어 사이에 자음이 3개 이상 몰려있을 때 가운데 위치한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1)o ld m an [올드 맨] (X) → [올맨] (O)
(2)ke pt b ack [켑트 백] (X) → [켑백] (O)
6. 탈락 현상 단어 중 3연속 중간 자음 p, b, t, d, k 탈락
한 단어 안에 3개 이상의 자음이 몰려있을 때 가운에 위치한 [b], [d], [k]. [p],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1)la stl y [라스틀리] (X)
Figure pat00001
[라슬리] (O)
(2)sta mps [스탬프스] (X)
Figure pat00002
[스탬스] (O)
7. 탈락 현상 인칭대명사 h 탈락
철자 [h]로 시작하는 인칭대명사(he, his, him, her)에 [h]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1)di d h e [디드 히] (X) → [디리] (O)
(2)whe n h is [원 히즈] (X) → [웬니즈] (O)
(3)wa s h im [워즈 힘] (X) → [워짐] (O)
(4)gi ve h er [기브 헐] (X) → [기버r] (O)
연음 현상(connected speech)
영어에서 앞 단어의 자음 소리가 뒤따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첫 음절과 연결되어 마치 두 단어가 하나가 연결된 것처럼 들리는 것을 가리킴. 연음 현상에 경우 연음이 되는 과정에서 동화 현상과 탈락 현상이 함께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1. 연음 현상 부정관사 a, an
부정관사 [a]와 [an]은 앞 단어와 연결되어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1)ge t a [게트 어] (X) → [게러] (O)
(2)ha d a n [해드 언] (X) → [해런] (O)
2. 연음 현상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모음 [a], [e], [i], [o], [u]로 시작하는 단어는 앞 단어와 연결되어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1)ha ve a ny [해브 애니] (X) → [해배니] (O)
축약 현상 (reduction)
영어에는 내용 해석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용어(content word)'와 문장을 구성하는 기능을 하지만 내용 해석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기능어(function word)'가 있다. 내용어는 주로 주어(명사), 동사 등을 포함하며 기능어는 조동사, 전치사, 접속사 등을 포함한다. 이때 기능어에 속한 원래 강세를 받아 또박또박하게 발음 되어야 할 음절들이 애매 모음(약모음)인 // (schwa, 슈와)로 대체되어 약하게 발음된다. 축약 현상은 이 과정에서 기능어가 통째로 발음이 잘 안 되는 현상을 말한다.
1. 축약 현상 do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do]는 자음 소리만 남아 [ㄷ]로 발음되고, 말하는 속도가 빨라지면 [ㄹ]로도 발음될 수 있다.
2. 축약 현상 can / could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can]과 [could]는 자음 소리만 남아 [ㅋ] 혹은 [큰]으로 발음될 수 있다.
3. 축약 현상 have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have]는 [헤]나 [브(v)]로 발음될 수 있다.
4. 축약 현상 of
기능어(전치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of]는 [오]로 발음될 수 있다.
5. 축약 현상 to
기능어(전치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to]는 자음 소리만 남아 [ㄷ]로 발음되고, 말하는 속도가 빨라지면 [ㄹ]로도 발음될 수 있다.
6. 축약 현상 will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will[은 [을]로 발음될 수 있다. *애매 모음을 참고할 것
7. 축약 현상 going to gonna
기능어(조동사) will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조동사구 'be going to'에 경우 축약되어 [gonn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gonn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친구들과의 문자 메시지 와 같은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gonna'로 표기하기도 한다.)
8. 축약 현상 want to wanna
'want + to 부정사'의 경우 [to]가 축약된 형태로 자주 사용됨에 따라 전체가 축약되어 [wann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wann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wanna'로 표기하기도 한다.)
9. 축약 현상 have got to / have to gotta
기능어(조동사) have to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조동사구 'have got to/have to'에 경우 축약되어 [gott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gott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gotta'로 표기하기도 한다.)
10. 축약 현상 out of outta
'out + of'에 경우 전치사 [of]가 축약된 형태로 자주 사용됨에 따라 전체가 축약되어 [outt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outt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outta'로 표기하기도 한다.)
<영여 문장이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예들>
1. 동화/탈락 현상이 적용된 단어 앞을 끊는다.
(1)You'd / be tt er see a doctor. *동화 현상 단어 앞을 끊음
(2)I have an / appoi nt me nt at 6. *탈락 현상 단어 앞을 끊음
2. 두 단어에 걸쳐 생겨나는 동화/탈락 현상에 경우 단어 앞 뒤를 끊는다.
(1)I / wante d t o / show you something. * 탈락 현상 앞 뒤를 끊음
(2)I do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탈락/동화 현상 앞 뒤를 끊음
3. 두 단어에 걸쳐 생겨나는 연음 현상에 경우 두 단어 사이를 끊는다.
(1)He really does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연음이 된 단어들의 사이를 끊음
4. 축약 현상이 적용된 단어 앞 뒤를 끊는다.
(1)I ordered two cups / of / coffee. *축약 현상이 적용되는 of 앞 뒤를 끊음
(2)I / wanna / order two cups / of / coffee. *축약 현상으로 want to = wanna 앞 뒤를 끊음
5. 한 문장에 발음 현상이 1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 모든 지침을 따라 문장의 모든 구간을 분리한다.
(1)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연음 현상과 탈락 현상 반영
(2)I / do 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탈락/동화 현상 모두 반영
(3)He really / does 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탈락/연음 현상 모두 반영
(4)I / o rd ered two cups / of / coffee. *동화/축약 현상 모두 반영
(5)I / wanna // o rd er two cups / of / coffee. *축약/동화 현상 모두 반영
위의 마지막 문장을 보면 축약 현상 때문에 'wanna'의 뒤를 자른 것이 동화 현상 때문에 'order'의 앞을 자른 것과 겹쳐진다. 이와 같이 두 발음 현상 사이에 충돌이나 중복이 있을 경우 자르는 위치가 겹치거나 추가적인 장소를 자르기만 해도 되기 때문에 모든 영어 문장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단계(S13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10)의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0) 및 단계(S12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 또는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고, 상기 단계(S13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2회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2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상기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2회 이상 반복 출력되면서 각 구간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이를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영어 문장을 기준으로 그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교수 매체를 통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에 대한 음성정보가 3회 반복해서 출력된다. 이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이 상술한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5개 구간으로 구분되어 각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3회씩 출력되면서 모든 구간에 걸쳐 순차적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에 대한 음성정보가 2회 반복해서 출력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단계(S14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
단계(S15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은 교수 매체를 통해 음성정보 또는 영상정보로 출력되거나 멀티미디어 영상으로 출력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e)단계의 상기 발음 현상들과 동일한 발음 현상들을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이 음성정보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어 회화가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에서 시작되듯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방법 역시 영어 문장을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이때 영어 문장을 보여주거나 해석해주는 기존의 학습법과는 달리 오로지 전체 문장과 발음 현상을 토대로 편집된 구간을 반복해서 듣는 것 만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문장을 들을 수 있게 만들어준다.
부연 설명하면, 미 국방부 언어교육원에서 세계 제 2차대전때 활용했다고 알려져 유명해진 '듣는 언어 기술(Audio-lingual Technique)'과 같은 방법들은 외국어 회화 공부의 핵심이 말하기가 아니라 듣기이며 정확하게 듣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서 듣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확한 반복 청취 횟수 등의 세부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며 한국어가 모국어인 이들이 전혀 다른 알파벳 체계와 발성을 가진 영어에 접근함으로써 겪는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며,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다시 말해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원어민들의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오는 발음 현상들 때문에 학습자의 기대치와 실제로 들리는 발음 사이에 괴리가 생기면서 영어 문장이 잘 들리지 않게 되므로, 영어 문장을 구간으로 자르고 반복 청취를 함에 따라 발음 현상의 영향이 최소화되면서 듣는 훈련이 진행되도록 한 다음, 전체 문장을 다시 들음으로써 자연스럽게 발음 현상이 적용되는 부분을 느끼고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구간 반복의 이유는 전체 문장을 반복해서 들음으로써 발음 현상의 영향으로 문장이 잘 들리지 않는 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 뒤, 발음 현상을 바탕으로 나눠진 구간을 반복해서 들음으로써 문장에 포함된 발음 정보를 조각조각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전체 문장을 들려줌으로써 해당 단어들이 문장에 들어가 발음 현상에 받는 영향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 예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60)의 영어 문장들이 활용되는 단계들로써 단계(S170) 내지 단계(S200)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단계(S17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10) 내지 단계(ㄴ160)에서의 영어 문장들 중 선택된 한 영어 문장(이하 “학습 문장”이라 함)이 미리 정해진 어순의 원리에 따라 상기 어순의 원리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판단된다.
이때, 상기 어순의 원리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학습 문장에서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를 포함한다.
단계(S18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
단계(S19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학습자를 통해 영어 단어들로 바뀐다.
단계(S20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90)을 통해 바뀐 영어 단어들이 상기 학습 문장이 되기 위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
상기 어순의 원리 및 그에 기반하는 단계(S170)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단계(S180) 내지 단계(S200)의 구체적인 예들을 아래에 설명한다.
먼저,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다'의 어순 (2형식)]
_______ 는 ~이다 정체/상태/장소
I am ____________________.
You are ____________________.
He is ____________________.
She is ____________________.
It is ____________________.
We are ____________________.
They are ____________________.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 ['~하다/~주다'의 어순 (1/3/4형식)]
_______는 ~한다/준다 (~에게) _____________를
I go.
You disappear.
He eats food.
She plays games.
It shows (us) progress.
We tell them lies.
They give us clues.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 ['~게 만들다/~하게 하다'의 어순 (5형식)]
_______는 ~게 만들다/하다 __________가 ___________
I make her angry.
You make me happy.
He makes her cry.
She wants me to leave.
It makes you think.
We help him move.
They see me run.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를 영어 문장 “I have an appointment at 6”을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연음 현상과 탈락 현상 반영
난 6시에 약속이 있다.
교육자는 위 문장의 한국어 풀이를 학습자에게 보여준다.
나는 / 약속을 / (갖고)있다.
이 과정에서 전치사를 포함한 전치사 구 등은 먼저 배제한다.
*핵심 내용어의 나열을 다루는 상기 어순의 원리에서 전치사, 관사 및 접속사와 같은 개념들은 학습자가 핵심 어순에 익숙해진 뒤 스스로를 더 많은 영어 문장에 노출시키면서 직접 습득하고 그 쓰임을 정확하게 다듬어 나가도록 한다. 그런 뒤 한국어로 표기된 각 단어를 영어로 아는지 학습자에게 묻고 매칭시킨다.
나는 / 약속을 / (갖고)있다.
I appointment have
이어서 교수 매체를 통해서 영어 단어가 어순과 의미의 맞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나는 / (갖고)있다 / 약속을
I have appointment
마지막으로 어순의 원리 표에서 위 해당 어순을 찾은 뒤 어순에 맞춰 다양한 단어를 넣고 문장을 만드는 것을 연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교육법의 대부분은 영어 문장을 눈으로 보여준 뒤 문법으로 문장을 해석하여 독해 능력을 키워주면 영어를 듣고 이해하는 청해(listening comprehension) 능력이 향상된다고 착각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장치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장치는 저장부(10), 제어부(20), 스피커(3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0)는 영어 문장들이 저장된다.
제어부(20)는 저장부(10)로부터 검출되는 영어 문장을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21)가 탑재된다.
그리고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21)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20)에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해서, 영어 문장을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 중 어느 하나의 어순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22)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스피커(30)는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외부 송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을 갖는 영어 교수 장치의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저장부 20 : 제어부
21 :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 22 :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
30 : 스피커 40 :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0)

  1. (a) 교수 매체를 통해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단계;
    (b)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
    (c)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단계의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고,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며,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2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어 문장의 상기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2회 이상 반복 출력되면서 각 구간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d)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영상정보로 표시되는 단계;
    (e)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이후에,
    (f)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e)단계의 상기 발음 현상들과 동일한 발음 현상들을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이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f)단계의 영어 문장들이 활용되는 단계들로써,
    (g)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f)단계에서의 영어 문장들 중 선택된 한 영어 문장(이하 “학습 문장”이라 함)이 미리 정해진 어순의 원리에 따라 상기 어순의 원리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판단되는 단계;
    (h)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영상정보로 표시되는 단계;
    (i)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학습자를 통해 영어 단어들로 바뀌는 단계와,
    (j)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i)단계를 통해 바뀐 영어 단어들이 상기 학습 문장이 되기 위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영상정보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순의 원리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학습 문장에서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8. 영어 문장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되는 영어 문장을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외부 송출하는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영어 교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해서, 영어 문장을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 중 어느 하나의 어순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가 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수 장치.
KR1020200121158A 2020-09-21 2020-09-21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58A KR102405744B1 (ko) 2020-09-21 2020-09-21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58A KR102405744B1 (ko) 2020-09-21 2020-09-21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52A true KR20220038852A (ko) 2022-03-29
KR102405744B1 KR102405744B1 (ko) 2022-06-07

Family

ID=8099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58A KR102405744B1 (ko) 2020-09-21 2020-09-21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7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374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러닝 및 시맨틱 기술을 응용한 발음 교정 서비스 장치
KR101449898B1 (ko) * 2014-02-12 2014-10-13 문성원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오디오 파일 생성 방법
KR20150011042A (ko) * 2013-07-17 2015-01-30 김상열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20160115041A (ko)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인식 기반의 발음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KR101835127B1 (ko) 2016-11-29 2018-03-06 안준영 영어 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
KR101990023B1 (ko) 2017-05-26 2019-06-18 주식회사 엠글리쉬 외국어학습을 위한 청크단위 분리 규칙과 핵심어 자동 강세 표시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1707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르테크 말하기 연습자의 학습용 피드백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374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러닝 및 시맨틱 기술을 응용한 발음 교정 서비스 장치
KR20150011042A (ko) * 2013-07-17 2015-01-30 김상열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101449898B1 (ko) * 2014-02-12 2014-10-13 문성원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오디오 파일 생성 방법
KR20160115041A (ko)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인식 기반의 발음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KR101835127B1 (ko) 2016-11-29 2018-03-06 안준영 영어 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
KR101990023B1 (ko) 2017-05-26 2019-06-18 주식회사 엠글리쉬 외국어학습을 위한 청크단위 분리 규칙과 핵심어 자동 강세 표시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1707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르테크 말하기 연습자의 학습용 피드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744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eld Cognitive validity
Wilbur The use of ASL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English and literacy
Walker-Jones Hebrew for biblical interpretation
Prator Phonetics vs. phonemics in the ESL classroom: when is allophonic accuracy important?
KR20170055146A (ko)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Fitria English Accent Variations of American English (Ame) and British English (Bre): An Implic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KR102405744B1 (ko)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
Bailly et al. Synchronous reading: learning French orthography by audiovisual training
Rojas et al. Assessing the bilingual (Spanish/English) population
KR20220078874A (ko) 영어 교육 제공 프로그램
KR20220078875A (ko) 영어 교육 프로그램
KR20220078870A (ko) 발음 현상을 기반으로 영어 문장의 청해력을 향상시키는 영어 교육 방법
KR20220078873A (ko)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제공 프로그램
KR20220078868A (ko)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KR20220078872A (ko)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장치
KR20220078862A (ko) 영어 교육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20078876A (ko) 영어 문장의 청해력을 향상시키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KR20220078861A (ko) 기록매체
KR20220078865A (ko) 발음 현상을 기반으로 영어 문장의 청해력을 향상시키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20078867A (ko)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Stenson et al. Understanding Irish spelling: A handbook for teachers and learners
Izre’el Fautes de grammaire ou grammaire des fautes? Or: Should Hebrew Speakers Be Afraid of Linguists?
KR102096965B1 (ko) 양동이 돌리기 원리를 응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장치
Ode Field notes from a phonetician on Tundra Yukaghir orthography
Anderson-Hsieh et al. Slowed-Down Speech: A Teaching Tool for Listening/Pronunc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