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772A -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 Google Patents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772A
KR20220037772A KR1020200120649A KR20200120649A KR20220037772A KR 20220037772 A KR20220037772 A KR 20220037772A KR 1020200120649 A KR1020200120649 A KR 1020200120649A KR 20200120649 A KR20200120649 A KR 20200120649A KR 20220037772 A KR20220037772 A KR 2022003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pass
unit
color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성신
Original Assignee
오성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신 filed Critical 오성신
Priority to KR102020012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772A/en
Publication of KR2022003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pass road automatic-guid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hi-pass road automatic-guid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traffic accident and a traffic congestion around a tollgate by notifying a driver of whether an entry into a hi-pass road i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pass road is open such that a vehicle can enter and pass therethrough, the hi-pass road automatic-guide system displays light for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enter, to guide the vehicle into a road that the vehicle can enter, and, when the hi-pass road is closed such that the vehicle cannot enter and pass therethrough, the system displays light for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not enter, to lead the vehicle to avoid moving into a road that the vehicle cannot enter, thereby preventing a traffic accident and a traffic congestion. Moreover, the system informs the driver of a hi-pass road that a vehicle can enter through a navigator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 terminal of the vehicle when entering into a tollgate, thereby bringing about safe driving and a smooth traffic flow.

Description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여부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톨게이트에서 차량 안전사고 및 차량 정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high-pass lane gui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pass lane automatic system that can prevent a vehicle safety accident and vehicle congestion at a toll gate in advance by informing the driver whether it is possible to enter the high-pass lane in advance. It is about the guidance system.

현재 고속도로는 고속도로 입구에서 통행권을 발행하고, 출구에서 통행권을 반납하면서 요금을 정산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통행권을 발행하는 장비와 요금 정산장비는 통행요금 징수시스템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Currently, expressways issue a pass at the entrance of the expressway and return the pass at the exit to settle the fare. At this time, the equipment that issues tolls and the toll settlement equipment are integrated and operated as a toll collection system.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은 사람이 직접 통행료를 정산하는 유인 일반 차로와 이용차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된 자동요금 단말기를 통해 요금 징수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차량이 톨게이트에서 정지하지 않고 통행 요금을 정산하도록 하는 무인 수납 차로를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다. The toll collection system is a manned general lane where people directly pay tolls, and in order to solve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used, the toll collection system acqui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oll collection through the automatic toll terminal installed in the vehicle. Unmanned storage lanes that allow tolls to be settled without stopping can be operated separately.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유료 도로의 경우에는 통행요금을 납부하여야 하는데, 최근 통행요금 징수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통행요금 자동징수 시스템(이하, "하이패스 시스템"이라 함)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In the case of toll roads such as expressways, tolls must be paid. Recently, an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h-pass system") that automatically handles toll collection has been installed and operated.

하이패스 시스템(Hi-Pass System)은 차량에 구비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와 톨게이트 등에 고정 설치되어 통행요금을 정산하는 통행요금 징수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차로와 달리, 하이패스 차로에서는 차량이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기 때문에 하이패스 차로를 통제하는 시스템 고장시 보다 신속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The Hi-Pass System is composed of a high-pass terminal provided in a vehicle and a toll-collecting device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toll gates and the like to settle tolls. Unlike general lanes, vehicles pass through high-pass lanes without stopping, so a more rapid response plan is required in case of a system failure in the high-pass lane.

하이패스차로는 차량이 정지하는 것 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차로 바닥에 차량 유도표시가 도색되어 있거나 차로의 양측에 스탠드타입으로 유도등이 설치되어 차량을 안내하고 있다. Since the high-pass lane moves continuously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vehicle guidance signs are painted on the floor of the lane or stand-type guidance ligh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ane to guide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move safely.

기존에는 하이패스차로에 도색된 유도 표시부는 장시간 사용시 차량 바퀴와 마찰되어 도색이 지워지므로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식별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며, 하이패스차로 양측에 세워진 유도등의 경우 차량 운전자가 좌우 살피는 과정에서 시야를 놓쳐 전방 차량과 추돌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In the past, the guidance display part painted on the high-pass lane may rub against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the paint will be erased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process of looking left and right,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such as a collision with a vehicle in front because of the loss of view.

또한, 기존에는 다수개의 하이패스 차로 중 적어도 어는 하나를 보수하는 경우, 이동형 진입금지표지판을 설치하여 차량진입을 금지시키고 있으나, 야간, 안개낀 날, 흐린 날 등에는 차량 운전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보수 중인 하이패스차로로 진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pair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igh-pass lanes, a movable entry prohibition sign is installed to prohibit vehicle entry, but at night, foggy days, cloudy days, etc. There is a risk of entering into a high-pass lane and causing a safety accid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774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8774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449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1449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1347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7134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634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0634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이패스 차로를 개방할 시 차량의 진입가능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이 진입 가능한 차로로 진입할 수 있게 유도하고, 하이패스 차로를 폐쇄할 시 진입불가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이 진입 불가한 차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 및 차량 정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high-pass lane is opened, the vehicle's entry possible state is displayed with light emission to induce the vehicle to enter the accessible lane, and to close the high-pass lan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utomatic high-pass lane guidance system that can prevent vehicle safety accidents and vehicle congestion in advance by inducing vehicles to not enter into an impossible lane by displaying a light-emitting display of the city inaccessible state.

또한, 본 발명은 톨게이트 진입시 운전자에게 진입 가능한 하이패스 차로를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의 단말기로 미리 알려줌으로써, 안전운행 및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high-pass lane guidance system that can facilitate safe driving and traffic flow by notifying the driver of a high-pass lane that can be entered when entering a tollgate through a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 terminal of the vehicle.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은 하이패스 차로 상방에 하이패스 차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겐트리부와; 상기 겐트리부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표식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표식과 진입불가표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식유도부와; 상기 겐트리부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색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색상과 진입불가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색상유도부와; 외부에서 송출되는 유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유도제어신호에 따라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식유도부 및 상기 색상유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상기 표식유도부 및 상기 색상유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유도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관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high-pass lane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gantry unit installed above the high-pass lane to cross the high-pass lane; a mark inducing unit provided in the gantry unit to selectively display any one of an entry possibility mark and an entry impossibility mark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with respect to the high-pass lane as a mark; a color inducing unit provided in the gantry unit to selectively display any one of an accessible color and a non-enterable color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for the high-pass lane as a color; The operation of the marker induction unit and the color induction unit is respectively performed to receive an indu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selectively display any one of an accessible state and an inaccessible state for the high-pass lan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duction control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indu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rk induction unit and the color indu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respectively.

상기 표식유도부는 상기 겐트리부 상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진입가능표식과 상기 진입불가표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상기 겐트리부의 전방 측을 향해 발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rk induction part is installed on the gantry part,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provided to emit light to display any one of the entry allowed mark and the entry impossible mark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do.

상기 색상유도부는 상기 겐트리부의 전면 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겐트리부의 전면 측을 향해 근접하는 차량을 향해 상기 진입가능표식과 대응되는 상기 진입가능색상인 녹색광 또는 상기 진입불가표식과 대응되는 상기 진입불가색상인 적색광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상기 겐트리부의 전방 측을 향해 면발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inducing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green light or the approach which is the accessible color corresponding to the entry possibility mark toward a vehicle approach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color among the red light, which is the color that cannot be entered corresponding to the impossibility mark, is surface-emitted and display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상기 겐트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겐트리부 전방 측의 하이패스 차로 상에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 노면상에 해당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이미지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이미지와 진입불가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유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high-pass lane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spaced apart from the gantry part by a certain distanc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entry impossibility state for the high-pass lane on the road surface of the high-pass lane, respectively, as an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inducing unit for selectively displaying any one image among the image that can be entered and the image that cannot be entered.

상기 이미지유도부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의 상방 또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 주변의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또는 복수의 레이저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하이패스 차로를 향해 상기 진입가능표식 및 상기 진입가능색상과 대응되는 진입가능이미지 또는 상기 진입불가표식 및 상기 진입불가색상인과 대응되는 진입불가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하이패스 차로의 노면상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이미지투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inducing unit includes a support frame extending above the high-pass road or around the high-pass road,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or a plurality of laser diodes, Proj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entry allowed mark and the entry allowed color or the entry impossible image corresponding to the entry not allowed marker and the entry impossible color to b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of the high pass la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mage projection unit.

상기 관제부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또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하이패스 차로 각각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a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 smart phone carried by the driv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state of being able to enter the high-pass lane and the state of being unable to enter each of the high-pass lanes.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은 하이패스 차로를 개방 즉, 진입 및 통행이 가능한 경우에는 차량의 진입가능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이 진입 가능한 차로로 진입할 수 있게 유도하고, 하이패스 차로를 폐쇄 즉, 진입 및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진입불가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이 진입 불가한 차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 및 차량 정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vehicle to enter into the accessible lane by displaying the luminescent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high-pass lane is opened, that is, when entering and passing is possible, and the high-pass lane When the vehicle is closed, that is, when it is impossible to enter and pass through, it is possible to prevent vehicle safety accidents and vehicle congestion in advance by illuminating the light-emitting display to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impossible lane.

또한, 본 발명은 톨게이트 진입시 운전자에게 진입 가능한 하이패스 차로를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의 단말기로 미리 알려줌으로써, 안전운행 및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safe driving and traffic flow by notifying the driver of a high-pass lane that can be entered when entering a toll gate through a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 terminal of the vehicl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의 겐트리부, 표식유도부, 색상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의 이미지유도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gantry part, a mark guidance part, and a color guidance part of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mage guidance unit of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high-pass vehicl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은 겐트리부(10)와, 표식유도부(20)와, 색상유도부(30)와, 이미지유도부(40)와, 제어부(50)와, 관제부(60)를 구비한다.1 to 4 show an automatic high-pass lan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 the automatic high-pass vehicl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ntry unit 10, a mark guide unit 20, a color guide unit 30, an image guide unit 40, and a control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겐트리부(10)는 하이패스 차로(L) 상방에 하이패스 차로(L)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The gantry part 10 is installed above the high-pass road L to cross the high-pass road L.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의 겐트리부(10)는 두 개 이상의 하이패스 차로(L)를 연결하여 차로간 구분시설을 제거한 다차로 하이패스에 적용 또는 각 하이패스 차로(L)를 독립적인 차로를 이루도록 구분시실이 마련된 단차로 하이패스에 모두 적용 가능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단차로 하이패스에 적용한 것을 설명한다.The gantry part 10 of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ulti-lane high-pass in which the separation facility between lanes is removed by connecting two or more high-pass lanes L or each high-pass lane L. All can be applied to the stepped high-pass in which compartments are provided to form an independent lane, but in this embodiment, the application to the stepped high-pass will be described.

겐트리부(10)는 하이패스 차로(L)의 폭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하이패스 차로(L)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1)와, 각 수직지지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이패스 차로(L)의 상부에서 하이패스 차로(L)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antry part 1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1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high-pass road L in the width direction at interval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high-pass road L, and each vertical support. and a horizontal support 12 installed to cross the high-pass road L from the upper part of the high-pass road L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to each other.

표식유도부(20)는 겐트리부(10)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L)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표식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표식(21)과 진입불가표식(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The mark induction unit 20 is provided in the gantry unit 10 so that the enter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for the high pass lane (L) can be recognized as a mark to the driver, respectively, the enter possible mark 21 and the enter impossible mark Any one of (22) marks is selectively displayed.

표식유도부(20)는 겐트리부(10)의 수평지지대(12) 상에 설치 및 지지되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전광판 구조로 형성된다. The mark guide unit 20 is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2 of the gantry unit 10, and is formed in an LED signboar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표식유도부(20)는 복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진입가능표식(21)을 'O' 모양이나 '↓'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식유도부(20)는 복수의 LED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진입불가표식(22)을 'X'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mark induction unit 20 may selectively drive a plurality of LEDs to display the entry possible mark 21 in an 'O' shape or a '↓' shape. In addition, the mark induction unit 20 may selectively drive a plurality of LEDs to display the entry prohibition mark 22 in an 'X' shape.

표식유도부(20)는 앞서 설명한 진입가능표식(21) 또는 진입불가표식(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겐트리부(10)의 전방 측을 향해 발광시켜 겐트리부(10) 측으로 접근하는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rk induction unit 20 emits ligh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10 by emitt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ntry possible marks 21 or non-entry marks 22 to the driver approaching the gantry unit 10 side. make it recognizable

색상유도부(30)는 겐트리부(10)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L)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색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색상과 진입불가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The color inducing unit 30 is provided in the gantry unit 10 so as to allow the driver to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for the high pass lane L as a color, respectively, in any one of an accessible color and a non-enterable color. Optionally display the color of

색상유도부(30)는 겐트리부(10)의 전면 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LED를 구비하여 겐트리부(10)의 전면 측을 향해 접근하는 차량을 향해 진입가능표식(21)과 대응되는 진입가능색상인 녹색광 또는 진입불가표식(22)과 대응되는 진입불가색상인 적색광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겐트리부(10)의 전방 측을 향해 면발광시켜 겐트리 측으로 접근하는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lor induc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LEDs to approach the vehicle approach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10. Mark 21 The driver approaching the gantry side by emitting any one color from among the green light, which is an accessible color corresponding to, or the red light, which is a color that is not allowed to enter, corresponding to the entry prohibition mark 22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10 make it recognizable.

색상유도부(30)는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LED가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된 LED모듈과, LED모듈의 전면 측에 배열되어 LED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산 및 분산시키는 확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색상유도부(30)는 반투명 커버에 의해 녹색광이나 적색광이 겐트리부(10)의 전면을 따라 면발광하므로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The color inducing unit 30 includes an LED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capable of emitting red, blue, and green light are arranged in a matrix pattern, and is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D module to diffuse and disper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ffusion cover. Since the color inducing unit 30 emits green light or red light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gantry unit 10 by the translucent cover,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it even from a distance.

이미지유도부(40)는 겐트리부(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겐트리부(10) 전방 측의 하이패스 차로(L) 상에 설치된다.The image guide unit 40 is installed on the high-pass road L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10 spaced apart from the gantry unit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미지유도부(40)는 하이패스 차로(L) 노면상에 해당 하이패스 차로(L)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이미지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이미지(41)와 진입불가이미지(4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The image inducing unit 40 is configured to allow the entry possible image 41 and the entry impossible state to be recognized as images to the driver, respectively, for the high-pass lane L on the high-pass lane L road surface. Any one of the images 42 is selectively displayed.

이미지유도부(40)는 지지프레임(45)과, 이미지투사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mage induction unit 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frame 45 and an image projection unit 46 .

지지프레임은 하이패스 차로(L)의 상방 또는 하이패스 차로(L) 주변의 상방으로 연장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겐트리부(1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다.The support frame extends above the high-pass road L or around the high-pass road L, and in this embodiment, the same structure as the gantry part 10 described above is applied.

이미지투사부(46)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하이패스 차로(L)의 노면상에 진입가능표식(21) 및 진입가능색상과 대응되는 진입가능이미지(41) 또는 진입불가표식(22) 및 진입불가색상인과 대응되는 진입불가이미지(4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하이패스 차로(L)의 노면상에 투사하여 표시한다. 이때, 진입가능이미지(41)와 진입불가이미지(42)는 각각 앞서 설명한 진입가능표식(21)과 진입불가표식(22)과 대응되는 이미지 및 진입가능색상과 진입부가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projection unit 46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corresponds to the entry allowed mark 21 and the entry allowed color on the road surface of the high pass lane L, and the entry allowed image 41 or entry non-entry marker 22 and entry Any one image among the images 42 corresponding to the inaccessible color person is projected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high-pass lane L. At this time, the entry allowed image 41 and the entry non-entry image 42 hav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ntry possible markers 21 and 22, respectively, and colors corresponding to the entry allowed colors and the entry additional colors. It is preferable to do

이미지투사부(46)는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R, G, B 레이저다이오드 또는 LED, DMD칩, 광학렌즈 등을 구비하여 컬러영상을 스크린상에 투사하는 통상적인 DLP방식의 프로젝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image projection unit 46 is provided with R, G, and B laser diodes or LEDs, DMD chips, optical lenses, etc.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to project a color image onto a screen of a conventional DLP type projector.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50)는 톨게이트 관제부(60)에서 송출되는 유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유도제어신호에 따라 각 하이패스 차로(L)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식유도부(20), 색상유도부(30), 이미지유도부(4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indu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ll gate control unit 60, and selects any one state from the allowable state and the impossible state for each high-pass lane L according to the received induction control signal. The operations of the mark induction unit 20, the color induction unit 30, and the image induction unit 40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s .

관제부(60)는 각 하이패스 차로(L)의 진입 가능여부에 따라 제어부(50)로 표식유도부(20), 색상유도부(30), 이미지유도부(4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유도제어신호를 송출한다.Induction contro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rker induction unit 20, the color induction unit 30, and the image induction unit 40 to the control unit 50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 unit 60 can enter each high-pass lane L, respectively. send a signal

또한, 관제부(60)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70) 또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850)으로 하이패스 차로(L) 각각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비게이션 또는 스마트폰에서는 관제부(60)에서 송출되는 정보를 음성이나 영상으로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entry possible state and an entry impossible state for each of the high pass lanes L with the navigation device 70 installed in the vehicle or the smartphone 850 carried by the driver, In a vehicle navigation device or a smart phon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 may be displayed to the driver by voice or imag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fi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겐트리부
20 : 표식유도부
30 : 색상유도부
40 : 이미지유도부
50 : 제어부
60 : 관제부
70 : 내비게이션
80 : 스마트폰
10: gantry
20: mark induction part
30: color induction part
40: image induction unit
50: control unit
60: control unit
70: navigation
80: smartphone

Claims (6)

하이패스 차로 상방에 하이패스 차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겐트리부와;
상기 겐트리부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표식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표식과 진입불가표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식유도부와;
상기 겐트리부에 구비되어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색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색상과 진입불가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색상유도부와;
외부에서 송출되는 유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유도제어신호에 따라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식유도부 및 상기 색상유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상기 표식유도부 및 상기 색상유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유도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관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a gantry unit installed above the high-pass lane to cross the high-pass lane;
a mark inducing unit provided in the gantry unit to selectively display any one of an entry possibility mark and an entry impossibility mark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with respect to the high-pass lane as a mark;
a color inducing unit provided in the gantry unit to selectively display any one of an accessible color and a non-enterable color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non-entry state for the high-pass lane as a color;
The operation of the marker induction unit and the color induction unit is respectively performed by receiving an indu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selectively displaying any one of an accessible state and an inaccessible state for the high-pass lan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duction control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 indu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rker induction unit and the color indu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유도부는 상기 겐트리부 상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진입가능표식과 상기 진입불가표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식을 상기 겐트리부의 전방 측을 향해 발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rk induction part is installed on the gantry part,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provided to emit light to display any one of the entry allowed mark and the entry impossible mark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유도부는 상기 겐트리부의 전면 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겐트리부의 전면 측을 향해 근접하는 차량을 향해 상기 진입가능표식과 대응되는 상기 진입가능색상인 녹색광 또는 상기 진입불가표식과 대응되는 상기 진입불가색상인 적색광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을 상기 겐트리부의 전방 측을 향해 면발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lor inducing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green light or the approach which is the accessible color corresponding to the entry possibility mark toward a vehicle approach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unit A high-pass car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light is emitt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to display any one color among the red light, which is the color that is not allowed to enter, corresponding to the prohibition ma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겐트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겐트리부 전방 측의 하이패스 차로 상에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 노면상에 해당 하이패스 차로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각각 운전자에게 이미지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진입가능이미지와 진입불가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유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n the high-pass lane on the front side of the gantry part spaced apart from the gantry part by a certain distanc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ntry possible state and the entry impossibility state for the high-pass lane on the road surface of the high-pass lane, respectively, as an image. The high-pass car automatic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n image inducing unit for selectively displaying any one image from among the image that can be entered and the image that cannot be ente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유도부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의 상방 또는 상기 하이패스 차로 주변의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또는 복수의 레이저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하이패스 차로를 향해 상기 진입가능표식 및 상기 진입가능색상과 대응되는 진입가능이미지 또는 상기 진입불가표식 및 상기 진입불가색상인과 대응되는 진입불가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하이패스 차로의 노면상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이미지투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mage guide unit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ly above the high-pass lane or around the high-pass lane;
I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and ha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or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nd toward the high-pass lan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ntry allowed mark and the accessible color, or the entry prohibition mark and the entry impossibility. A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image among the images that cannot be entered corresponding to the color-in on the road surface of the high-pass lan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또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하이패스 차로 각각에 대한 진입가능상태와 진입불가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차로 자동 안내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river with an entry possible state and an entry impossible state for each high-pass lane with a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 smartphone carried by the driver.
KR1020200120649A 2020-09-18 2020-09-18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KR202200377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49A KR20220037772A (en) 2020-09-18 2020-09-18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49A KR20220037772A (en) 2020-09-18 2020-09-18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72A true KR20220037772A (en) 2022-03-25

Family

ID=8093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649A KR20220037772A (en) 2020-09-18 2020-09-18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772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429A (en) 2008-12-03 201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 entry lane of tollgate
KR101714493B1 (en) 2016-11-30 2017-03-0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of hi-pass tollgate
KR101771347B1 (en) 2016-02-29 2017-08-2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Tollgate base station for providing tollgate congestion information and vehicle for guiding tollgate optimal path
KR101787743B1 (en) 2017-02-10 2017-11-15 (주)에스하이웨이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429A (en) 2008-12-03 201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 entry lane of tollgate
KR101771347B1 (en) 2016-02-29 2017-08-2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Tollgate base station for providing tollgate congestion information and vehicle for guiding tollgate optimal path
KR101714493B1 (en) 2016-11-30 2017-03-0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of hi-pass tollgate
KR101787743B1 (en) 2017-02-10 2017-11-15 (주)에스하이웨이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839B2 (en) Traffic sign projection system
CN101419749B (en) Low-visibility road traffic guiding method
US20070200730A1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21291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ane guideline in crossload
CN105957373A (en) Intersection traffic guide system
KR101655730B1 (en) Smart Type Traffic Safety System Including Projector
CN106165006A (en) For showing the information of getting on the bus, transfer information or the method for the information of evacuation for rail vehicle
KR100389501B1 (en) control method of traffic signal lamp for protecting
KR102331250B1 (en) Traffic safety warning system for Cross Road using LED and Beam Projector
KR20220037772A (en) High-pass lane automatic guidance system
KR20200089829A (en) Reversible lane operating system
KR100577932B1 (en) Device for displaying traffic signals, traffic-control signs and traffic information by one unit
Traffic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KR20160093154A (en) Guiding Route Providing System Of Intersection With LED
KR102403128B1 (en) Applic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ach time zone of the right lane of road
CN211181065U (en) Intelligent projection road guiding marking system
CN110396947B (en) Bus station structure utilizing existing sidewal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70132919A (en) Device for Display the Line in a Crosswalk
TWI799147B (en) High-efficiency projected luminous traffic signs
KR20210097521A (en) Lighthouse type traffic lights and traffic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97260B1 (en) Safety signal control system using LED module
JP2011013946A (en) Wrong-way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02619901B1 (en) Pedestrian traffic light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caused by vehicles turning right
KR200388788Y1 (en) Position Indicator For Express Highway
RU2116208C1 (en) Device for checking observation of traffic regulations by vehicle 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