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35A - 접이식 롤테이너 - Google Patents

접이식 롤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135A
KR20220037135A KR1020200119718A KR20200119718A KR20220037135A KR 20220037135 A KR20220037135 A KR 20220037135A KR 1020200119718 A KR1020200119718 A KR 1020200119718A KR 20200119718 A KR20200119718 A KR 20200119718A KR 20220037135 A KR20220037135 A KR 2022003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able
cold storage
fold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832B1 (ko
Inventor
김세준
강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0011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1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moving on a surface, e.g. wheels,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접이식 롤테이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는 접이가 용이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거나 펼칠 경우 손끼임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냉박스를 포함하여 적재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신선식품을 신선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개폐부가 2단으로 접힐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냉박스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롤테이너 {FOLDABLE ROLLTAINER}
본 발명은 접이식 롤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가 용이한 접이식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테이너(Rolltainer)는 바닥판과 바닥판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밑판에 설치되는 캐스터로 구성되어 바닥판 상부에 물류를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한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롤테이너는 무거운 물류나 많은 양의 물류를 이송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물류를 적재하여 보관하는 보관대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롤테이너는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바닥판과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어 비사용시에는 롤테이너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져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온에 보관되는 신선식품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할 수 있으며,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8326호(2005.12.19 공개)
본 발명은 접이가 용이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거나 펼칠 경우 손끼임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롤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냉박스를 포함하여 적재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신선식품을 신선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커버개폐부가 2단으로 접힐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냉박스의 개폐가 용이한 접이식 롤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면이 "Π"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이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하부에 이웃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프레임부 양 측부에 형성되되, X자 형태로 마련되는 제1,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지지부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지지부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롤테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는 접이가 용이하고, 접거나 펼칠 경우 손끼임을 방지하여 부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보냉박스를 포함하여 신선식품을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보냉박스의 커버개폐부가 2단으로 접힐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냉박스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100)에서 보냉박스(15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끼임방지부(13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냉박스(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커버개폐부(152)의 개폐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프레임부(110), 바닥부(120),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캐스터부(140), 보냉박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프레임부(110) 하부에 바닥부(120)가 형성되고, 프레임부(110) 내측과 바닥부(120) 상부에 보냉박스(150)가 마련되어 보냉박스(150) 내부에 물류가 적재되어 이송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좌우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접이식 롤테이너(100)에서 보냉박스(15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접이식 롤테이너(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단면이 "Π"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미표기)이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가 관통된 봉 형태일 수 있으며 다수의 봉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상면프레임(111), 측면프레임(112), 연결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한 쌍의 상면프레임(111)과, 상면프레임(111) 양단 하방향에 복수개의 측면프레임(112)이 형성되고,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은 연결프레임(11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면프레임(111)은 봉 형상의 제1 상면프레임(111a)과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112)은 상면프레임(111)을 지지하도록 상면프레임(111) 양단 하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측면프레임(112)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상면프레임(111a) 양단 하방향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측면프레임(112a)과 제2 상면프레임(111b) 양단 하방향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면프레임(112b)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프레임부(110)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적은 양의 물류를 이송시키거나 보관하는 경우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110)의 상기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보관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 표면은 필요에 따라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은 아연 또는 니켈로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프레임(113)은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연결프레임(113) 양단은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과 삽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연결프레임(113)은 직각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내경이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13) 양단 내측에 각각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연결프레임(113)과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은 공지된 볼트너트 결합으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연결프레임(113)은 양단 내측에 내경의 원주를 따라 나사산을 수용할 수 있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13) 내부에 삽입되는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은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13) 양단의 나사부는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의 나사산과 각각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113)은 상면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볼트,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프레임(113)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프레임(113)의 표면은 필요에 따라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은 아연 또는 니켈로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레임부(110)는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13)이 형성됨으로써 상면프레임(111)과 측면프레임(112)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면프레임(111), 측면프레임(112), 연결프레임(113) 등이 불량 또는 파손될 경우, 프레임부(11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가 필요한 프레임만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제1 고정부(114)와 제2 고정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4)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상면프레임(111) 일측에 마련되어 상면프레임(1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고정부(114)는 제1 상면프레임(1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4a)가 형성되고, 제1 결합부(114a)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상면프레임(111b)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제1 연결부가(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결합부(114a)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되,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부재(미표기)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구조는 서로 대칭되는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이 연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내측에 제1 상면프레임(111a)을 위치시키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의 상기 사다리꼴 형상과 역사다리꼴 형상이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요철구조로 형성되어 제1 결합부(114a)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는(114b)는 내측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가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경우 제1 고정부(114)가 제2 상면프레임(111b)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홈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수용될 수 있다(도 2a 참조).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5)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상기 프레임 일측에 적어도 1 이상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고정부(115)는 제1 상면프레임(11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115a)가 형성되고, 제2 결합부(115a)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상면프레임(111b)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제2 연결부(11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부(115a)의 구조는 제1 결합부(114a)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결부(115b)는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15c)가 형성되고, 걸림부(115c)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단이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15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부(115d)와 걸림부(115c)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15d)에 외력을 가한 후, 손잡이부(115d)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손잡이부(115d)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접이식 롤테이터(100)가 접힌 경우 제2 고정부(115)가 제2 상면프레임(111b) 방향으로 회동되고, 외력에 의해 손잡이부(115d)가 상방향으로 당겨진 후 걸림부(115c) 내측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위치하면 외력을 제거하여 손잡이부(115d)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제2 고정부(115)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도 2b 참조).
한편, 바닥부(120)는 프레임부(110)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이식 롤테이너(100)에 적재되는 물류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부(120) 재질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바닥부(120)는 이웃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121)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121)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2) 하부와 연결되는 두 개의 봉(121a)이 형성되고, 두 개의 봉(121a) 사이에 두 개의 봉(121a)과 직교되는 복수의 봉(121b)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받침부재(121)가 맞닿는 부분은 하부힌지(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부(120)는 하부힌지(122)의 위치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한 쌍의 받침부재(121)가 접힐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받침부재(1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받침부재(121)가 맞닿는 부분에 접힘선이 마련되어 받침부재(121)의 접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20)는 한 쌍의 받침부재(121)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접힘선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받침부재(121)은 일정 크기를 갖는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부(120)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적은 양의 물류를 이송시키거나 보관하는 경우 프레임부(110)가 형성되는 크기에 따라 바닥부(120)의 상기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보관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바닥부(120)가 접히도록 형성됨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보관하게 되는 경우 접이식 롤테이너(100)의 부피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부(130)는 프레임부(110) 양 측부에 형성되어 접이식 롤테이터(100)가 펼쳐지고 접힐 때 측면프레임(112)을 지지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지부(130)는 제1 측면프레임(112a)과 제2 측면프레임(112b)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측면프레임(112a)과 제2 측면프레임(112b)을 지지하고 연결시킬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제1,2 지지부(131, 132), 고정결합부(133), 이동결합부(134), 끼임방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지지부(131, 132)는 X자 형태로 마련되되, 중심부에 회전축(미표기)이 형성되고, 제1,2 지지부(131, 13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2 지지부(131, 132)사이의 상하 각도(α) 조절이 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2 지지부(131, 13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상하 각도(α)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고정결합부(133)는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를 측면프레임(112)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가 측면프레임(112) 상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결합부(134)는 제1,2 지지부(131, 132) 하부를 측면프레임(112)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측면프레임(11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고정결합부(133)의 하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이동결합부(134)는 측면프레임(112)을 내측에 수용하고, 내경이 측면프레임(112)의 외경보다 큰 이동부(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134a)는 측면프레임(112)의 외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1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히는 경우, 이동부(134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넓혀지고,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α)는 작아질 수 있다(도 2b 참조). 반대로 프레임부(11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지는 경우, 이동부(134a)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좁혀지고,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α)는 커질 수 있다(도 2a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끼임방지부(135)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상측은 지지부(130)가 펼쳐지고 하측은 지지부(130)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끼임방지부(135)의 제1 보호부(135a)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제1 보호부(135a)와 제2 보호부(135b)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끼임방지부(135)는 제1 지지부(131) 일측에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기 회전축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끼임방지부(135)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제1 보호부(13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부(135a)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제2 보호부(135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보호부(135b)는 일측이 제1 보호부(135a)의 외주면에 제1 곡선(C1)으로 접하고, 제1 곡선(C1)의 일단에서 직선(L)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미표기)와, 제1 곡선(C1)의 타단에서 제2 곡선(C2)으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부와 만나는 곡선부(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히는 경우, 이동부(134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α)가 작아질 수 있다. 이 때,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간격(D)은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즉, 끼임방지부(135)는 제1 보호부(135a) 및 제2 보호부(135b)가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간격(D)이 멀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2 보호부(135b)에 의해 상기 간격(D)은 보다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부(135)는 제1 보호부(135a) 외주면에 한 쌍의 제2 보호부(135b)가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2 보호부(135b)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끼임방지부 보다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캐스터부(140)는 바닥부(120) 하방향에 형성되고, 복수의 바퀴(141)가 형성되어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스터부(140)는 일측에 위치고정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바퀴(141)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물류를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된 물류를 외부로 꺼내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냉박스(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냉박스(150)는 내부에 물류를 적재하여 물류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부(110) 내측 및 바닥부(120)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냉박스(150)는 보냉커버(151), 커버개폐부(152), 날개부(153), 온도측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냉커버(151)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면(151a), 하면(151b), 측면(151c), 전면(151d), 후면(151e)이 형성되고, 내부에 물류를 적재하여 물류를 보관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냉커버(151)는 상기 적재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단열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냉커버(151)의 전면(151d)과 후면(151e)은 상기 단열부재의 일면에 판 형상의 단프라 시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단프라 시트가 마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프라 시트는 내부에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프라 시트는 강성이 높으므로 보냉커버(151)의 형태유지에 용이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보냉커버(151)는 상기 적재공간이 저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냉매포켓(미도시)이 형성되어 적어도 1 이상의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선식품을 신선하게 이송 및 보관할 수 있다.
보냉커버(151)는 상면(151a)과 측면(151c)의 모서리에 복수의 커버걸이(151f)가 형성되어 프레임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걸이(151f)는 밸크로 재질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걸이(151f)는 일측에 고무밴드와 같은 탄성재질이 구비되어 보냉커버(151)가 프레임부(110)에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보냉커버(151) 상면(151a)은 한 쌍의 상판이 이웃하여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상판이 맞닿는 부분은 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판은 상기 접힘선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보냉커버(151)는 상면(151a)과 마주보는 위치에 하면(15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물류를 이송시키거나 보관할 경우, 하면(151b) 상부에 물류가 적재될 수 있다. 하면(151b)은 한 쌍의 하판이 이웃하여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하판이 맞닿는 부분은 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판은 상기 접힘선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보냉커버(151) 상면(151a)과 하면(151b)의 양 측부 사이에는 측면(151c)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151c)은 한 쌍의 측판이 이웃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이 맞닿는 부분은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151c)은 각 꼭짓점마다 대각선 방향으로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대각선 방향의 접힘선은 상기 측판이 맞닿는 부분의 접힘선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냉박스(150)를 접을 경우, 상면(151a)은 상기 접힘선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접히고 하면(151b)은 상기 접힘선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접히며, 측면(153c)은 내측으로 접히되 상기 접힘선을 따라 사다리꼴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접어서 보관하게 되는 경우 보냉박스(150)도 간편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접이식 롤테이너(100)의 부피를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도 1b 참조).
커버개폐부(152)는 보냉커버(151)의 전면(151d)에 형성되어 보냉커버(151) 전면(151d)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커버개폐부(152)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되, 1단 뿐만 아니라 2단에 걸쳐 개폐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개폐부(152)는 일측에 제1 커버개폐부(152a)와 제2 커버개폐부(152b)를 구분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제1 커버개폐부(152a)는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방향으로 접힐 수 있으며, 제2 커버개폐부(152b)는 상단에 접힘선이 형성되어 제2 커버개폐부(152b)가 상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커버개폐부(152a)는 내부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자석(미도시)이 마련되며, 제1 커버개폐부(152a)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방향으로 접힐 때 상기 제1 자석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2 커버개폐부(152b) 내부에 제2 자석(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개폐부(152a)가 상방향으로 접히면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자석결합되어 제1 커버개폐부(152a)가 제2 커버개폐부(152b)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보냉커버(151) 전면(151d)의 양측단 및 하단 내부에는 제3 자석(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153)는 보냉커버(151) 전면(151d)의 양측단 및 하단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4 자석(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전면(151d)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날개부(153)는 좌우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석과 자석결합될 수 있다. 전면(151d)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부(153)는 상하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자석과 자석결합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보냉커버(151)가 프레임부(110) 내측과 바닥부(120)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냉커버(151) 전면(151d)의 양측단 및 하단과 자석결합되어 있는 날개부(153)를 좌, 우, 하방향으로 펼치면 상기 제4 자석이 자력에 의해 프레임부(110)와 바닥부(120) 외면에 자석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냉커버(151)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류를 보냉커버(151) 내부에 적재하거나, 보냉커버(151) 내부에 적재된 물류를 꺼낼 때 보냉커버(151)의 움직임을 최소화화여 사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커버개폐부(152)의 개폐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개폐부(152)를 개방시키는 경우, 먼저 날개부(153)를 좌, 우, 하방향으로 펼쳐 날개부(153)가 프레임부(110)와 바닥부(120) 외면에 자석결합되어 보냉커버(15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개폐부(152)는 1단 또는 2단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1단으로 개폐되는 경우, 상기 접힘선들을 따라 제1 커버개폐부(152a) 및 제2 커버개폐부(152b)가 동시에 상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개폐부(152a)의 상기 제1 자석은 자력에 의해 프레임부(110) 외면에 붙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보냉커버(151) 전면(151d)이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자석을 프레임부(110) 외면에서 떼어 상기 개방된 전면(151d)을 덮어 보냉커버(151) 전면(151d)을 폐쇄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2단으로 개폐되는 경우, 먼저 제1 커버개폐부(152a)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방향으로 접히고(도 5a 참조), 상기 제2 자석에 제1 자석이 자석결합되어 제1 커버개폐부(152a)가 제2 커버개폐부(152b)에 고정된다(도 5b 참조). 다음으로 일면에 제1 커버개폐부(152a)가 고정된 제2 커버개폐부(152b)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방향으로 접혀 보냉커버(151) 전면(151d)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보냉커버(151) 전면(151d)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된 제1 자석을 떼어 프레임부(110) 외면에 붙여 고정시킬 수 있다(도 5c 참조).
반대로 일면에 제1 커버개폐부(152a)가 고정된 제2 커버개폐부(152b)를 하방향으로 내리고, 상기 제2 자석에 결합된 제1 자석을 떼어 제1 커버개폐부(152a)를 하방향으로 내려 상기 개방된 전면(151d)을 덮어 보냉커버(151) 전면(151d)을 폐쇄시킬 수 있다.
커버개폐부(152)는 2단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커버개폐부(152)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온도측정부(154)는 보냉커버(151)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적재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것으로, 보냉커버(151)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온도측정부(154)는 보냉커버(151) 내측에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물류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측정부(154)는 커버개폐부(152) 외면에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온도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창(미표기)을 구비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재공간의 온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온도측정부(154)는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알람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특정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설정된 특정 온도 보다 높아지면 알람이 울릴 수 있다. 따라서 보냉박스(150)에 신선식품처럼 저온 유지가 필요한 물류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냉매포켓에 냉매를 넣어 상기 적재공간의 온도가 저온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에 원하는 저온 온도를 설정한 후 보냉박스(15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적재공간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상기 알람에 의해 사용자가 이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냉매를 교체하여 신선식품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지고 접히는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프레임부(110)에 보냉박스(150)가 결합되어 사용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보냉박스(150) 내측에 물류가 적재되어 이송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경우, 제1,2 지지부(131, 132)의 이동부(134a)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좁혀지고,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α)는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1 고정부(114)는 제1 결합부(114a)가 제1 상면프레임(111a)에 결합되고, 제1 연결부(114b)의 상기 홈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수용되어 프레임부(110)를 고정시키므로,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외부에서 발생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접이식 롤테이너(100)를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연결부(114b)를 제2 상면프레임(111b)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연결부(114b)와 제2 상면프레임(111b)의 결합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프레임부(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접힐 수 있다. 이 때, 바닥부(120)와 보냉커버(151)도 함께 접힐 수 있으며, 바닥부(120)와 보냉커버(151)가 접히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1,2 지지부(131, 132)는 이동부(134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 지지부(131, 132)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이 넓혀지고, 제1,2 지지부(131, 132)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α)는 작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상면프레임(111a)에 결합된 제2 고정부(115)를 제2 상면프레임(111b)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손잡이부(115d)를 상방향으로 당겨 걸림부(115c) 내측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위치하면 외력을 제거하여 손잡이부(115d)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제2 고정부(115)에 제2 상면프레임(111b)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이식 롤테이너(100)가 외부에서 발생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이식 롤테이너(100)는 접힌 상태로 보관 가능하므로 부피를 줄여 보관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접이식 롤테이너 110: 프레임부
111: 상면프레임 111a, 111b: 제1,2 상면프레임
112: 측면프레임 112a, 112b: 제1,2 측면프레임
113: 연결프레임 114: 제1 고정부 114a: 제1 결합부 114b: 제1 연결부
115: 제2 고정부 115a: 제2 결합부
115b: 제2 연결부 115c: 걸림부
115d: 손잡이부 120: 바닥부
121: 받침부재 122: 하부힌지
130: 지지부 131, 132: 제1,2 지지부
133: 고정결합부 134: 이동결합부
134a: 이동부 135: 끼임방지부
135a: 제1 보호부 135b: 제2 보호부
140: 캐스터부 150: 보냉박스 151: 보냉커버 152: 커버개폐부 152a, 152b: 제1,2 커버개폐부 153: 날개부
154: 온도측정부

Claims (8)

  1. 단면이 "Π"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이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하부에 이웃하는 한 쌍의 받침부재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프레임부 양 측부에 형성되되, X자 형태로 마련되는 제1,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지지부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지지부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롤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2 지지부 사이의 상하 각도가 커지면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2 지지부 사이의 상기 상하 각도가 작아지면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접이식 롤테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 일측에 상기 제1,2 지지부의 회전축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제1 보호부가 형성되는 끼임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롤테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제2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보호부는 일측이 상기 제1 보호부의 외주면에 제1 곡선으로 접하고, 상기 제1 곡선의 일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 제1 곡선의 타단에서 제2 곡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직선부와 만나는 곡선부가 형성되는 접이식 롤테이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하방향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는 캐스터부와,
    상기 프레임부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면에 적어도 1 이상의 냉매를 수용하는 복수의 냉매포켓이 형성되는 보냉박스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롤테이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냉박스는 단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보냉박스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단열부재 일면에 단프라 시트가 마련되되, 상기 단프라 시트는 내부에 복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접이식 롤테이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냉박스는 전면에 상기 전면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커버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개폐부는 일측에 제1 커버개폐부와 제2 커버개폐부를 구분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개폐부 상단에 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선들을 따라 2단으로 접힘 가능한 접이식 롤테이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냉박스 전면의 양측단 및 하단에는 내부에 자석이 마련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바닥부에 자석결합되는 접이식 롤테이너.
KR1020200119718A 2020-09-17 2020-09-17 접이식 롤테이너 KR10241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18A KR102417832B1 (ko) 2020-09-17 2020-09-17 접이식 롤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18A KR102417832B1 (ko) 2020-09-17 2020-09-17 접이식 롤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35A true KR20220037135A (ko) 2022-03-24
KR102417832B1 KR102417832B1 (ko) 2022-07-06

Family

ID=8093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18A KR102417832B1 (ko) 2020-09-17 2020-09-17 접이식 롤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372A (ja) * 1997-04-15 1998-10-27 Sunrex Kogyo Kk 折り畳み式保冷保温ボックス
JPH11100029A (ja) * 1997-09-29 1999-04-13 Sanrekkusu Kogyo Kk 保冷保温ボックス及びこれを一体に取付けたかご車
KR200206910Y1 (ko) * 2000-08-02 2000-12-15 현준구 다목적 유모차
KR200391402Y1 (ko) * 2005-03-17 2005-08-05 김동민 쇼핑장치
KR20050118326A (ko) 2004-06-14 2005-12-19 이호형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JP3187235U (ja) * 2013-09-05 2013-11-14 金沢車輌株式会社 台車
KR102025009B1 (ko) * 2018-03-20 2019-09-24 김용준 사각 트레이용 폴딩형 무빙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235B2 (ja) * 1994-02-16 2001-07-11 理研計器株式会社 ホルムアルデヒド検知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372A (ja) * 1997-04-15 1998-10-27 Sunrex Kogyo Kk 折り畳み式保冷保温ボックス
JPH11100029A (ja) * 1997-09-29 1999-04-13 Sanrekkusu Kogyo Kk 保冷保温ボックス及びこれを一体に取付けたかご車
KR200206910Y1 (ko) * 2000-08-02 2000-12-15 현준구 다목적 유모차
KR20050118326A (ko) 2004-06-14 2005-12-19 이호형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KR200391402Y1 (ko) * 2005-03-17 2005-08-05 김동민 쇼핑장치
JP3187235U (ja) * 2013-09-05 2013-11-14 金沢車輌株式会社 台車
KR102025009B1 (ko) * 2018-03-20 2019-09-24 김용준 사각 트레이용 폴딩형 무빙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832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277B2 (en) Retractable spinner wheels for a luggage case
CA2776372C (en) Display system with mounting assemblies and associated methods
US3746358A (en) Hand cart for stacking goods in interlocking relationship
KR101792033B1 (ko) 롤테이너 및 롤테이너용 커버를 포함하는 쿨테이너
US20100187226A1 (en) Easy-to-dismantle display packaging
KR101671462B1 (ko) 상품 진열 선반
KR102417832B1 (ko) 접이식 롤테이너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US20210298495A1 (en) Retaining collapsible totes
CN112220294B (zh) 一种书画作品用悬挂展示装置
KR200462426Y1 (ko) 결로 방지막 설비
CN107458705A (zh) 一种可调式运输托盘
US2020018080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a fold down multiple cavity divider
US20110005950A1 (en) Transport Case For Large Plasma/LCD/LED Flat Screen Displays And Other Like Items
KR101424583B1 (ko) 접이식 다용도 카트
EP3287392B1 (en) Open container with swing lid
US10933793B2 (en) Delivery locker and assemblies
CN220275188U (zh) 置物推车
JP7217318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0188703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
CN214283913U (zh) 一种便于折叠的置物架
CN219970466U (zh) 容器
CN211033403U (zh) 一种物流用多层物品的安全型摆放架
KR20140000419U (ko) 대용량 가스용기 직립장치
CN107616644A (zh) 一种方便关闭的展示冰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