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326A -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 Google Patents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326A
KR20050118326A KR1020040043414A KR20040043414A KR20050118326A KR 20050118326 A KR20050118326 A KR 20050118326A KR 1020040043414 A KR1020040043414 A KR 1020040043414A KR 20040043414 A KR20040043414 A KR 20040043414A KR 20050118326 A KR20050118326 A KR 2005011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se plate
cargo
deck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형
Original Assignee
이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형 filed Critical 이호형
Priority to KR102004004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8326A/ko
Publication of KR2005011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61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maintained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uxiliary locking elements, e.g. spring loaded loc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롤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파레트의 특성과 일종의 롤데크의 특성을 접목시킨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기본적으로 지게차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판의 한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운반의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바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램프가 설치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3개의 모서리부분에 연장되게 보호바 및 데크이탈방지턱이 설치될 수 있고 램프 잠금부를 포함하여 램프를 닫은 후에 램프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CONVEYANCE-IMPROVING ROLLTAINER}
본 발명은 화물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파레트의 특성과 일종의 롤데크의 특성을 접목시켜 운반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롤테이너라 부르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화물의 수송/운반/하역/적재 등은 물류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에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파레트이다. 파레트는 화물의 보호와 효율적인 운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화물의 적재공간인 사각형태의 받침틀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여러가지 부가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형태로 사용되어진다. 본체를 구성하는 받침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운반의 편의를 위해 본체에 지게차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화물의 운반도중 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보호대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물류창고내에서의 화물의 운반, 적재 과정등을 살펴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레트의 문제점을 알 수 있다. 화물차 등에서 하역작업을 통해 상품박스를 내리고 파레트에 쌓은 후 이를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물류창고는 메자닌 플로어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품을 메자닌 상층과 하층으로 이동시켜 전환적재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품을 파레트에 올리는 과정에서 공간배열을 고려하고 다층으로 쌓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지게차가 들어갈 수 있는 곳까지만 옮길 수 있다. 파레트를 옮길 때에 상품박스가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메자닌 플로어로 옮길 때는 매우 주의하지 않으면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파레트에 쌓인 상품을 메자닌 플로어의 상층 및 하층으로 옮긴 후에 이를 다시 하역하여 한 박스씩 이동시키기 위하여 자동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메자닌 플로어에서이동수단이었다(메자닌 플로어로 지게차는 들어갈 수 없는 것이므로 파레트자체에 물건을 적재한 상태로 이를 물류보관할 수 없음). 이동된 상품박스를 데크에 전환적재하는 과정을 다시 거쳐서 이를 적절한 공간에 위치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를 다시 도매나 소매점으로 배송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반대공정을 그대로 거쳐야 한다. 이는 물리적, 시간적, 인적 소모가 매우 크게 되어 물류비용의 증대로 이어진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304146호는 파레트의 하부에 바퀴들을 설치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롤데크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를 지게차를 이용해 운반하기 어려우며 운반시 상품의 이탈방지가 어렵다. 공개특허 제2000-0018058은 조립형의 보호대와 아래부분의 바퀴를 가지는 파레트를 공개하고 있는데 지제차에 의하지 않고도 파레트의 단거리 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화물차에서 내린 상품박스를 파레트에 적재시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적재후 다시 보호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지게차를 이용해 운반하기 어려워 메자닌 플로어의 상층으로 이송하기 곤란하다. 설령 지게차의 발을 넣는 개구부를 위의 인용고안이나 발명에 부가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물류창고의 메자닌 플로어 형식에서 전환적재의 불필요한 과정의 문제 등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등록특허 제0148930호에서는 상기 인용고안이나 발명에서 파레트에 상품박스를 쌓는 과정을 보다 쉽게 쌓게 하기 파레트에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상품박스를 손쉽게 파레트에 적재하고 다시 하역하는 것을 돕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파레트가 복잡해지는 단점과 아울러 메자닌 플로어에서의 전환적재시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효율성이 그다지 높지 못하다. 공개특허 제2001-0012492호에서는 휘일형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파레트를 보여주고 있는데 휘일형 물품을 파레트 위에서 고정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파레트 상판에 자체적으로 트랙과 지지체를 가지며 휘일형 물품의 안정적 고정을 위하여 경사진 램프를 물품의 휘일에 맞게 다수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물품의 규격이 정해지고 특정한 물품만을 적재하고 이동시킨다는 단점과 지게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곳에서의 운반이 어렵다는 문제점등이 있다.
본 발명은 물류창고에서의 하역, 운반, 적재, 전환적재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롤테이너 구조를 제시함으로서 물류창고에서의 인적,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혁신적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운반성 향샹 롤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파레트에 상품박스 등을 적재하는 것이 번거롭지 않고 편리해야 하며, 파레트의 이동시 상품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게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곳에서의 운반성을 가져야 하며, 메자닌 플로어에서의 컨베이어이외의 다른 이동수단을 강구하여 이동의 편리성이 추구되어야 하며 파레트에 적재된 상품들을 전환적재할 때 불필요한 전환적재의 공정이 필요없는 롤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지게차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판의 한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운반의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4개 이상의 바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램프가 설치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3개의 모서리부분에 연장되게 보호바 및 데크이탈방지턱이 설치될 수 있고 램프 잠금부를 포함하여 램프를 닫은 후에 램프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지니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장방형의 틀로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11)를 포함하고 있고 개구(11)는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한쪽모서리로부터 연장되게 램프(20)가 설치된다. 램프(20)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한쪽모서리와 램프연결부재(13)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램프연결부재(13)는 여러가지가 쓰일 수 있으며 경첩도 그 중의 하나이다. 램프연결고리(14)는 침모양의 것으로 램프(20)에 이것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는 선택사항이며 이러한 구성이 있는 경우 별도의 램프연결부재(13)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때에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 화물이 적재되어 이동하는 경우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바(30)를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램프(20)가 설치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3개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게 구성한다. 램프(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램프(20)도 보호바(30)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램프(20)를 닫은 경우 램프(20)의 수직길이보다 약간 상단의 보호바(30)의 위치에 잠금핀(31)으로 고정된 잠금막대(32)를 사용하여 램프(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잠금핀(31)을 사용함으로써 잠금막대(32)는 회전할 수 있고 램프(20)를 개폐할 수 있다. 잠금핀과 잠금막대를 램프 잠금부라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의 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테이너 바퀴(15)가 설치되어 롤테이너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개 이상의 파레트 바퀴(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늘릴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8개 이하가 균형성, 지지성, 단순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롤테이너는 지게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게차 포크를 위한 개구(11)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지게차가 들어올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한 이동성을 갖추게 된다. 물류창고의 대부분의 형식인 메자닌 플로어내에서도 충분한 이동성을 갖게 되어 기존 컨베이어벨트외의 또 다른 이동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램프를 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램프(20)를 열어서 그 한 모서리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러한 램프(20)는 화물을 베이스플레이트(10)로 적재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데크(바퀴가 달린 데크로 롤데크라고도 함)가 손쉽게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파레트의 경우 파레트의 상면플레이트부분은 홈 등을 만들어 적재되는 물건이 잘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을 지니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판은 바퀴등이 잘 움직이도록 매끈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모서리부에서 조금 연장되게 데크이탈 방지턱(12)을 구성하여 화물의 이송시 보다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램프(20)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램프손잡이(2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테이너는 일정한 중량감을 위하여 철과 같은 금속류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좀 더 가벼운 경금속의 재질로도 가능하며, 물론 플라스틱 제품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는 롤데크에 실린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그 작동원리를 함께 설명하겠다. 화물을 화물차 등에서 하역한 후 이를 파레트에 옮겨 싣는 경우 파레트는 일반적으로 화물박스(50)에 비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여러 행과 열로 다수의 박스가 적층되게 되는데 공간적 배치등으로 인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화물이 적재된 파레트 자체를 물류창고의 저장공간에 바로 배치하면 그다지 문제가 생기지 않겠지만 대개는 메자닌 플로어의 특정위치에 나누어 배치하게 되므로 이를 다시 메자닌 플로어 등에서 다시 하역하여 이동시키게 되는 전환적재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메자닌 플로어의 공간에서는 지게차 등이 들어갈 수 없으므로 이의 파레트 자체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어서 컨베이어벨트를 통하여 한 박스씩 일정한 이동을 시킨후에 다시 데크등에 나누어 실어 일정한 저장공간으로 이동시켜 화물을 보관하게 된다. 이 경우 인력과 시간활용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화물을 미리 데크에 적재하고 화물이 적재된 데크를 파레트로 이동시킨다면 여러가지 과정이 매우 단순해짐으로서 일부분 해결된다. 데크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것으로 박스를 여러 행과 열로 적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박스 공간크기에 상부로 적재하는 것이므로 공간배치등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40)위에 화물박스(50)를 적재하며 이를 바로 본 발명에서의 롤테이너로 이송한다. 데크는 아래부분에 데크 바퀴(41)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데크를 파레트의 베이스플레이트(10)위로 옮기기 위해서는 램프(20)라는 구성요소가 필수적이다. 데크를 움직여 약간 경사가 진 램프(20)를 이동경로로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위로 수용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화물이 적재된 다수의 데크를 본 발명의 롤테이너의 베이스플레이트(10)위로 이동시키고 나서 램프손잡이(21)를 이용하여 램프(20)를 닫고 잠금막대(32)로 램프(20)를 고정시킨다. 지게차의 포크를 개구(11)에 삽입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파레트를 이동시키며 메자닌 플로어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본 파레트를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지게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부분이나 아주 근거리의 이동시에는 파레트를 인력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근거리 이동시에는 지게차사용시보다 시간적인 절약이 된다. 메자닌 플로어로 이동된 롤테이너에서 각각의 저장장소로 이동되어 적재되는 과정은 매우 효율적이게 된다. 즉 메자닌 플로어에서 롤테이너를 인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한 후 롤테이너의 램프(20)를 열고 각각의 데크를 경사진 램프(20)를 통해 하역하고 이를 예정된 물류 저장장소에 그대로 적재하면 된다.
본 발명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컨베이어를 활용한 메자닌 랙에서의 화물이동과 본 발명의 롤테이너를 활용한 경우를 실험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로 정리하여 보았다.
지 표 기존 컨베이어 본발명 롤테이너 단 위
시간당 이동 박스수 200 480 박스
30데크 이동당 소요시간 70 25
운반,하역,적재 최소필요인원 3 2
시간당 휴식회수(작업피로도) 4 1
1데크는 작은 박스 7단으로 적재되어 실시한 것이며 상기 값은 메자닌 플로어에서만의 값의 비교이므로 그 전단계의 과정까지 고려한다면 보다 개선된 효율성을 보여줄 것이다. 상기 값은 매우 놀라울 정도의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을 롤테이너에 적재하는 것이 편리하게 되며 특히 데크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에 편리성이 도모되며 또한 휘일형물품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지게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나 근거리의 이동시 인력으로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며 메자닌 플로어에서도 컨베이어이외의 다른 이동수단이 강구되며 롤테이너에 적재된 상품들을 불필요하게 전환적재하는 공정이 없어진다. 이로써 물류창고내에서의 화물의 운반, 적재 과정등이 매우 간단해지고 효율적으로 되어 인적,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혁신적 개선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의 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테이너의 램프를 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롤데크에 실린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개구
12 : 데크이탈방지턱 13 : 램프연결부재(경첩)
14 : 램프연결고리 15 : 롤테이너 바퀴
20 : 램프 21 : 램프손잡이
30 : 보호바 31 : 잠금핀
32 : 잠금막대 40 : 데크 플레이트
41 : 데크 바퀴 50 : 화물박스

Claims (3)

  1. 지게차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판의 한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재되는 화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운반의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하는 바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램프가 설치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3개의 모서리부분에 연장되게 보호바 및 데크이탈방지턱이 설치되어 적재된 화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 양 끝부분에서 연장되는 보호바에 램프 잠금부를 포함하고 있어 램프를 닫은 후에 램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테이너.
KR1020040043414A 2004-06-14 2004-06-14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KR20050118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14A KR20050118326A (ko) 2004-06-14 2004-06-14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14A KR20050118326A (ko) 2004-06-14 2004-06-14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64U Division KR200361963Y1 (ko) 2004-06-14 2004-06-14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26A true KR20050118326A (ko) 2005-12-19

Family

ID=3729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14A KR20050118326A (ko) 2004-06-14 2004-06-14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8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18B1 (ko) 2019-07-15 2020-11-13 공간찬넬주식회사 양쪽 접이식 롤테이너
KR20220037135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접이식 롤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18B1 (ko) 2019-07-15 2020-11-13 공간찬넬주식회사 양쪽 접이식 롤테이너
KR20220037135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접이식 롤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1441B2 (en) Mobile platform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9988206B2 (en) Modular shipping apparatus and system
US6935248B2 (en) Pallet and conveyor system for loading onto transport
JPS6152054B2 (ko)
NL1008057C2 (nl) Transportsamenstel.
US10934053B1 (en) Adjustable pallet rack
US10919666B2 (en) Sled configured for shipping vessel
US3151754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s
US20030209171A1 (en) Stackable pallet
US6637351B1 (en) Shipping pallet with retractable rails
NL2015047B1 (nl)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opslaan van voorwerpen, waaronder rolcontainers.
US9440769B2 (en) Platform for use in a logistic system
KR200361963Y1 (ko)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CA3063910A1 (en) Quad foot nestable block pallet
KR20050118326A (ko)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JP4322811B2 (ja) コイル状搬送物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へのコイル状搬送物の積載構造体、搬送物積載パレットの段積構造体及び使用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積載段積パレットの収容構造体及び搬送方法、並びにコイル状搬送物の輸送方法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US20080190917A1 (en) Freight Handling Apparatus
US20090047089A1 (en) Storage unit for dunnage
US20050163602A1 (en) Pallet and conveyor system for loading onto transport
JP3119119U (ja) 遊技台専用カート
GB1593083A (en) Pallets
JPS61268563A (ja) 壁と開いた側、および品物のための折り畳みできる棚を有する運搬車
US20040022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group of containers
US20100166530A1 (en) Structural arrangement at a train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