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33A -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133A
KR20220037133A KR1020200119713A KR20200119713A KR20220037133A KR 20220037133 A KR20220037133 A KR 20220037133A KR 1020200119713 A KR1020200119713 A KR 1020200119713A KR 20200119713 A KR20200119713 A KR 20200119713A KR 20220037133 A KR20220037133 A KR 2022003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browsing
partner
purchase managemen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710B1 (ko
Inventor
장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Priority to KR102020011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7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스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웹 표준 준수 등 IT 환경에서 제공되는 표준 정책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협력사 및 고객사 상호간에 일반 구매업무에서 확장된 구매업무까지 통합적으로 동일 프레임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W3C의 웹 표준에 따른 크로스 브라우징을 기반으로 하여 물품 특성에 따른 구매영역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견적, 입찰 및 역경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방식에 따른 전자계약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고, 물품 소싱을 위해 사전 심의과정을 거쳐 등록되는 협력사 풀을 관리하며, 물품 구매 포털 및 협력사 포털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구매 관리서버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특정 물품 소싱을 위한 협력사로 등록을 요청하는 협력사 단말기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구매방식 선택 후 구매할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여 협력사에 해당 물품의 견적, 입찰 또는 역경매를 요청하기 위한 고객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PURCHASE BASED ON WEB STANDARD CORSS BROWSING}
본 발명은 구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스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웹 표준 준수 등 IT 환경에서 제공되는 표준 정책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협력사 및 고객사 상호간에 일반 구매업무에서 확장된 구매업무까지 통합적으로 동일 프레임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인터넷의 상용화로 인해 기업들 또한 원부자재, 설비, 공사, 용역, 서비스, 소모성 자재와 같은 물품을 필요에 따라 구입하는데 있어서 구매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매 시스템은 기업이 필요한 자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입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매인건비와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구매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기업들이 인터넷 기반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 및 판매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웹 표준화나 구매관리의 표준화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각 기업별로 서버에 접근할 때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한편, 다양한 물품의 통합적인 구매관리를 위한 기능이 부족하거나 관련 업무 처리의 확장성이 유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컴퓨터 환경이나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구매관리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웹 표준화를 기반으로 구현됨과 아울러 확장성 있는 구매업무의 처리가 가능한 솔루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7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70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웹 표준 준수 등 IT 환경에서 제공되는 표준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크로스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협력사 및 고객사간 일반 구매업무에서 확장된 구매업무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동일 프레임에서 유연성 있게 구축할 수 있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W3C의 웹 표준에 따른 크로스 브라우징을 기반으로 하여 물품 특성에 따른 구매영역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견적, 입찰 및 역경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방식에 따른 전자계약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고, 물품 소싱을 위해 사전 심의과정을 거쳐 등록되는 협력사 풀을 관리하며, 물품 구매 포털 및 협력사 포털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구매 관리서버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특정 물품 소싱을 위한 협력사로 등록을 요청하는 협력사 단말기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구매방식 선택 후 구매할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여 협력사에 해당 물품의 견적, 입찰 또는 역경매를 요청하기 위한 고객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포털은 고객사 단말기로 물품에 대한 구매요청,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매입전표, 구매지표, 발주, 기성, 납입지시, 납품, 정산, 입고, 대금 및 세금계산서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며, 상기 협력사 포털은 협력사 단말기로 물품 판매를 위한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수주, 기성, 납품, 정산, 대금 및 세금계산서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물품에 대한 소싱 구분별 점유율, 소싱 그룹별 점유율, 소싱 구분별 응찰률, 계약금액, 납기지연, 소싱 리드타임 및 조달 리드타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매지표 생성모듈과, 텍스트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된 물품에 대한 품목별 구매량, 단가추이, 원가절감율, 소싱그룹 비율 및 발주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매지식인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협력사에 대한 기간별 발주물량, 발주금액, 신용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평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협력사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협력사 등급 관리모듈과, 협력사 및 고객사간 구매요청, Rfx(Request for x), 업체선정, 계약, 발주생성, 납입지시, 납품서 및 입고 순서에 따른 구매요청 품목별 진행현황을 공유하기 위한 구매요청현황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고객사 단말기에 의해 발주 요청된 입고 대상 품목과 자동 연계하여 협력사에 의한 납품 현황, 납품 특이사항 및 발주 조건이 기재된 납품서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위한 납품서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자체 리소스 활용 및 송수신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며, 물품 구매에 관한 은행 및 상역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협력사 신용평가 정보 수신 및 보증증권 발행을 위해 외부기관과 연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외부 통합 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웹 표준 준수 등 IT 환경에서 제공되는 표준 정책을 최대한 수용하여 외부 기술, 업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
2. 다양한 컴퓨터 환경이나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구매관리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크로스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함
3. 내외자 조달이 가능하고 다양한 물품 특성에 따른 통합적인 구매 방식을 지원할 수 있음
4. 여러 협력사의 선정 및 등급 관리를 통해 고객사 및 협력사간 신뢰성 있는 거래를 지원할 수 있음
5. 물품 구매요청부터 입고까지의 전체 구매 진행현황을 가시성 있게 모니터링할 수 있음
6. 구매 포털 및 협력사 포털을 구분하여 전체 구매/납품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중 통합구매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포털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협력사 포털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지표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지식인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협력사 등급 평가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품목별 진행현황의 일례를 나타낸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레이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통합구매 관리서버, 협력사 단말기 및 고객사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W3C의 웹 표준에 따른 크로스 브라우징을 기반으로 하여 물품 특성에 따른 구매영역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견적/입찰/역경매와 같은 구매방식에 따른 전자계약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고, 물품 소싱을 위해 사전 심의과정을 거쳐 등록되는 협력사 풀을 관리하며, 물품 구매 포털 및 협력사 포털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구매 관리서버와,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특정 물품 소싱을 위한 협력사로 등록을 요청하는 협력사 단말기와,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구매방식 선택 후 구매할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여 협력사에 해당 물품의 견적, 입찰 또는 역경매를 요청하기 위한 고객사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협력사 단말기 및 고객사 단말기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전반적인 구매 관련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통신하게 되고, 이러한 협력사 단말기 및 고객사 단말기는 데스크탑, 태블릿, 넷북,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통합구매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중 통합구매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합구매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구매 포털(도 3 참조)
- 고객사 단말기로 물품에 대한 구매요청,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매입전표, 구매지표, 발주, 기성, 납입지시, 납품, 정산, 입고, 대금, 세금계산서 관리 등을 지원함
- 원부자재, 설비, 공사, 용역, 서비스, 소모성 자재 등과 같은 물품 특성에 따라 구매유형이 구분되고, 진행현황(예: 당월 계약만료, 익월 계약만료, 공급업체 가입승인 등), 소싱관리(구매요청, 견적요청, 견적확인, 입찰요청, 입찰확인, 계약대상, 계약내역), 내자조달(납입지시, 납품서, 입고대상, 거래명세서, 계산서 등), 기타 외자조달을 전반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
- 고객사의 구매 프로세스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매요청 단계부터 대금지급까지의 전체 구매 프로세스를 지원하게 되고, 견적/입착/역경매 방식을 통해 다양한 업체 선정과 매각 프로세스를 지원하게 됨
- 견적의 경우 물품별 견적서 항목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전견적 기능을 통해서 구매요청 품목을 접수받기 전에 지정업체(협력사)를 통해서 물품 가격의 확인이 가능하며, 수의계약 지원과 이력관리 기능을 통해 구매물품 가격변화 또한 확인할 수 있음
- 입찰의 경우 일반경쟁/제한경쟁/지명경쟁 입찰방식, 목표가 설정기능, 구매품목별 입찰공고 검색기능을 통해 사전에 입찰품목을 협력업체와 공유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역경매의 경우 실시간 진행 현황 모니터링, 최저가 자동 낙찰, 옵션기능에 의한 진행방법 제어(예: 랭킹 공개, 실시간 최저가 공개), 라운드 지정 입찰, 마감시간 자동연장, 순경매 및 매각처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또한, 싱글 윈도우 기반으로 To-Do 리스트, 구매 관련 현황/지표, 협력사와의 커뮤니티(게시판, 공지사항), 전체 입찰공고 내역 확인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협력사 포털(도 4 참조)
- 협력사 단말기로 물품 판매를 위한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수주, 기성, 납품, 정산, 대금, 세금계산서 관리 등을 지원함
- 입찰(예: 견적요청, 입찰, 선정 등), 계약서(서명대기 등), 수주/납품, 정산, 거래명세서, 사용자 정보관리, 소싱관리, 내자조달, 공지사항, 게시판, FAQ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전체 입찰공고 내역, 실시간 투찰현황/진행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음
* 구매지표 생성모듈(도 5 참조)
- 물품에 대한 소싱 구분별 점유율, 소싱 그룹별 점유율, 소싱 구분별 응찰률, 계약금액, 납기지연, 소싱 리드타임, 조달 리드타임 등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함
- 고객사에서 과거에 각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소싱하는데 따라 구분되는 물품이나 그룹화된 물품의 점유율/응찰률이나, 납기까지의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함
- 구매 과정의 전반적인 일정을 사전에 점검하여 실제 물품 수급까지의 기간을 예측 가능하도록 함
* 구매지식인 모듈(도 6 참조)
- 텍스트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된 물품에 대한 품목별 구매량, 단가추이, 원가절감율, 소싱그룹 비율, 발주현황 등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함
- 고객사가 구매하려는 물품을 검색엔진을 통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검색된 물품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매지표를 제공함으로써 구매 이전이나 이후로 물품 수급이나 구매단가 절감에 도움을 받도록 함
* 협력사 등급 관리모듈(도 7 참조)
- 협력사에 대한 기간별 발주물량, 발주금액, 신용등급, 현금흐름등급 등을 평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협력사 등급을 설정함
- 온라인을 통해 협력사 가입과 현황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 운영자에 의한 자체 평가 및 사전 심사(예: 체크리스트, 스크린 기능 활용)가 이루어질 수 있음
- 신용등급이나 현금흐름등급과 같은 평가사항은 외부 신용평가기관, 보증증권기관 등을 통해 자동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
* 구매요청현황 관리모듈(도 8 참조)
- 협력사 및 고객사간 구매요청, Rfx(Request for x), 업체선정, 계약, 발주생성, 납입지시, 납품서 및 입고 순서에 따른 구매요청 품목별 진행현황을 공유하도록 기능함
- 협력사 및 고객사 모두 구매요청 품목별 진행현황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각 단계 처리의 진행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위험요소를 사전에 점검하면서 구매 절차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음
- 참고로 Rfx는 Rfb(Request for bid), Rfi(Request for information), Rfp(Request for proposal), Rfq(Request for quotation), Rft(Request for tender)과 같이 고객사에서 협력사에게 구매 프로세스를 처리하는데 따른 요청사항을 포괄적으로 의미함
* 입찰 관리모듈
- 일반경쟁, 제한경쟁, 지명식 경쟁 등의 다양한 경쟁 입찰방식을 통한 업체선정 기능, 물품 구매 유형별 입찰 공고문 템플릿 제공 기능, 진행방법을 통한 옵션 기능(가격평가/비가격평가, 총액/품목별 평가, 목표가 설정, 입찰 자격심사 등) 제공
- 여러 종류의 입찰방식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사에서 희망하는 협력사를 선별하거나 물품을 구매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 전자계약 관리모듈
- 다양한 계약서 템플릿 관리를 위한 계약서식 작성 기능, 공인인증서 기반 전자서명을 통한 계약 기능, 매매계약 이외 도급계약 처리 기능, 단가계약 관리 및 이력관리 기능, 업무처리 단계별 변경계약 기능, 계약이행에 따른 보증증권(예: 계약이행보증, 선급금 보증, 하자 보증 등) 발행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전자 계약을 위한 통합적인 기능을 지원하여 협력사 및 고객사간 간편한 온라인 계약 체결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납품서 관리모듈
- 고객사 단말기에 의해 발주 요청된 입고 대상 품목과 자동 연계하여 협력사에 의한 납품 현황, 납품 특이사항, 발주 조건 등이 기재된 납품서를 생성하여 공유하도록 기능함
- 납품서 작성 및 인쇄 기능, 납품서 인쇄 시 바코드 출력 기능, 납품 스케줄에 따른 납입지시 기닝, 품목별 특성을 반영한 항목관리(유통기한, 특이사항 등) 기능, 고객사의 입고 대상 품목으로의 자동 연계 기능, 납품현황 및 미납현황의 구매/자재 담당자와 공유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음
* 로그인 관리모듈
- 고객사 및 협력사의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권한을 관리하고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며, 웹 표준을 준수하여 크로스 브라이징을 지원함
- 아이디 생성 및 비밀번호 설정에 대한 규정은 표준 보안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함
- 로그인 페이지는 협력사에 공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포털 페이지로 활용 가능함
* 내부 레이어(도 9 참조)
- 물품 구매에 관한 은행 및 상역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협력사 신용평가 정보 수신 및 보증증권 발행을 위해 외부기관과 연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외부 통합 레이어를 구비함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는 은행, 상역 EDI, 신용평가 정보 수신, 보증증권 발행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외부 통합 레이어에서는 은행/상역 EDI 송수신, 관세환급/통관/보세장치장 송수신, 협력업체 신용정보, 계약이행/선급/하자보증 처리와 관련하여 ebMS 방식에 의해 외부기관(예: 관세청, 무역통계진흥원, 은행/적하보험사/상역기관/KTNET, 신용평가사, 보증증권사)과 ebXML에 따라 인증서 기반 암호화 통신하도록 기능함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W3C의 웹 표준에 따른 크로스 브라우징을 기반으로 하여 물품 특성에 따른 구매영역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견적, 입찰 및 역경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매방식에 따른 전자계약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고, 물품 소싱을 위해 사전 심의과정을 거쳐 등록되는 협력사 풀을 관리하며, 물품 구매 포털 및 협력사 포털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구매 관리서버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특정 물품 소싱을 위한 협력사로 등록을 요청하는 협력사 단말기와;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구매방식 선택 후 구매할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여 협력사에 해당 물품의 견적, 입찰 또는 역경매를 요청하기 위한 고객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포털은 고객사 단말기로 물품에 대한 구매요청,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매입전표, 구매지표, 발주, 기성, 납입지시, 납품, 정산, 입고, 대금 및 세금계산서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포털은 협력사 단말기로 물품 판매를 위한 견적, 입찰, 역경매, 전자계약, 보증보험, 수주, 기성, 납품, 정산, 대금 및 세금계산서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물품에 대한 소싱 구분별 점유율, 소싱 그룹별 점유율, 소싱 구분별 응찰률, 계약금액, 납기지연, 소싱 리드타임 및 조달 리드타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매지표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텍스트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된 물품에 대한 품목별 구매량, 단가추이, 원가절감율, 소싱그룹 비율 및 발주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매지표로 시각화하여 구매 포털에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매지식인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협력사에 대한 기간별 발주물량, 발주금액, 신용등급 및 현금흐름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평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협력사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협력사 등급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협력사 및 고객사간 구매요청, Rfx(Request for x), 업체선정, 계약, 발주생성, 납입지시, 납품서 및 입고 순서에 따른 구매요청 품목별 진행현황을 공유하기 위한 구매요청현황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고객사 단말기에 의해 발주 요청된 입고 대상 품목과 자동 연계하여 협력사에 의한 납품 현황, 납품 특이사항 및 발주 조건이 기재된 납품서를 생성하여 공유하기 위한 납품서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매 관리서버는 물품 구매에 관한 은행 및 상역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협력사 신용평가 정보 수신 및 보증증권 발행을 위해 외부기관과 연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외부 통합 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KR1020200119713A 2020-09-17 2020-09-17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KR10245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13A KR102450710B1 (ko) 2020-09-17 2020-09-17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713A KR102450710B1 (ko) 2020-09-17 2020-09-17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33A true KR20220037133A (ko) 2022-03-24
KR102450710B1 KR102450710B1 (ko) 2022-10-05

Family

ID=8093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713A KR102450710B1 (ko) 2020-09-17 2020-09-17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671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외주견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32740A (ko) 2014-05-16 2015-11-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구매 및 물류 관리 시스템
KR20170037030A (ko) 2015-09-25 2017-04-04 전자부품연구원 구매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87423B1 (ko) * 2016-06-09 2017-11-15 주식회사 아이비케이시스템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80048011A (ko) * 2016-11-02 2018-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고객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671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외주견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132740A (ko) 2014-05-16 2015-11-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구매 및 물류 관리 시스템
KR20170037030A (ko) 2015-09-25 2017-04-04 전자부품연구원 구매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87423B1 (ko) * 2016-06-09 2017-11-15 주식회사 아이비케이시스템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80048011A (ko) * 2016-11-02 2018-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고객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710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Matching indirect procurement process with different B2B e-procurement systems
KR101355418B1 (ko) 공모될 일 세트의 채무 증서를 위한 최적 가격결정 및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595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of a product 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ite
US20080300959A1 (en) Enterprise application procurement system
US200400735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procurement, such as via an electronic reverse auction
US2008012615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ortation and exportation transaction logistics facilitation
KR100727425B1 (ko) 단체 주도 구매 중개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에적용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8548868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ggregrate demand for buyer specified goods and services
US20110246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JP6118959B2 (ja) 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
US20010047329A1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US20140337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on Of The Marketing And Sale of High Value Items Over A Network
WO2002023421A1 (fr) Systeme mediateur d&#39;affacturage
JP200303043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融資申請処理方法
Adebiyi et al. Development of electronic government procurement (e-GP) system for Nigeria public sector.
KR101666083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JP2016085757A (ja) 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
KR102450710B1 (ko)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KR20170014338A (ko) 모듈화 구조를 갖는 이알피 시스템
JP2010108342A (ja) 質屋運営方法、質屋運営システム、古物営業運営方法、古物営業運営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66084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2011019120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idding custom parts
KR20020003593A (ko) 섬유상품의 인터넷 무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4926A (ko) 온라인 매매 서버를 이용한 무역 중개방법
US200600853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ctioning government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