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736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736A
KR20220036736A KR1020200119292A KR20200119292A KR20220036736A KR 20220036736 A KR20220036736 A KR 20220036736A KR 1020200119292 A KR1020200119292 A KR 1020200119292A KR 20200119292 A KR20200119292 A KR 20200119292A KR 20220036736 A KR20220036736 A KR 2022003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group
cover window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늘
임승준
임윤빈
이은선
김세정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0011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736A/ko
Publication of KR2022003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9D1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ING FILM OF FLEXIBLE DISPLAY DEVICE, COVER WINDOW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용 기재의 박막화 및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또는 전면판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유리 또는 강화 유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자체의 무게로 인한 모바일 장치가 고중량화되는 원인이 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의 문제가 있으며, 유연성이 낮아 플렉서블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플라스틱 수지가 연구되고 있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경량이면서도 깨질 우려가 적어 보다 가벼운 모바일 기기를 추구하는 추세에 적합하다. 대표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기판의 경우 경도 및 내스크레치성이 유리 소재에 비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수지 기판에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고경도 및 내마모성을 보완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일례로, 폴더블용 디스플레이 기재에 대한 하드 코팅은 기존의 유리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면 경도 및 내스크레치성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는 폴더블용 디스플레이용 필름에 적용할 경우 유연성이 떨어져 하드 코팅막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드 코팅은 외부 환경, 예를 들어 태양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흡광제 등을 포함하는데, 자외선 흡광제를 포함함에 따라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강화 유리 커버 윈도우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에도 고경도 및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면서도, 자외선 차단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여 외부광에 장시간 노출하더라도 유연성, 부착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거의 없어 벤더블, 플렉서블, 롤러블, 또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하드 코팅 필름과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flexible)" 이란, 직경이 5mm의 원통형 만드렐(mandrel)에 감았을 때 길이 5 mm 이상의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벤더블(bendable), 플렉시블(flexible),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의 커버 필름(윈도우)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 및 수평균분자량(Mn)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단위: Da(Dalton))을 의미한다. 상기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분석 장치와 시차 굴절 검출기(Refractive Index Detector) 등의 검출기 및 분석용 컬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온도 조건, 용매, flow rate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조건의 구체적인 예로, 30℃의 온도, 클로로포름 용매(Chloroform) 및 1 mL/min의 flow rate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보닐기; 에스테르기; 이미드기; 아미노기; 포스핀옥사이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티옥시기; 아릴티옥시기; 알킬술폭시기; 아릴술폭시기; 실릴기; 붕소기;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아르알케닐기; 알킬아릴기; 알킬아민기; 아랄킬아민기; 헤테로아릴아민기; 아릴아민기; 아릴포스핀기; 또는 N, O 및 S 원자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는 비페닐기일 수 있다. 즉, 비페닐기는 아릴기일 수도 있고, 2개의 페닐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Figure pat00001
는 다른 치환기에 연결되는 결합을 의미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에 적용 가능한 하드 코팅 필름에 포함되는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에도 고경도 및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면서도, 자외선 차단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여 외부광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유연성, 부착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되고, 또한,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거의 없어 벤더블, 플렉서블, 롤러블, 또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커버 윈도우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하드 코팅 필름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였으나,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에 따라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외에도, 상기 폴리실록산 및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께 포함함으로 인해, 외부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자외선 차단성 및 내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경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광에 장시간 노출하더라도 유연성, 부착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310 nm 내지 36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320 nm 내지 360 nm 또는 330 nm 내지 36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310 nm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경우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가 저하되고, 장시간 외부광 조사시 하드 코팅 필름 성분 분해가 발생하여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360 nm 초과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경우 장파장에서 흡광하는 발색단(chromophore)으로 인하여 최종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이 변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트리아진(triazine)계, 트리아졸(triazole)계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트리아졸(triazole)계로서 TINUVIN 109, TINUVIN 326, TINUVIN 328, TINUVIN 384-2, TINUVIN 99-2, TINUVIN 900, TINUVIN 928, TINUVIN 1130; 트리아진(triazine)계로서 바스프사의 TINUVIN 479, TINUVIN 460, TINUVIN 477, 아데카사의 ADEKA STAB LA-F70 등이 있으며,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전체 총량을 기준으로 500 내지 20,000 ppm, 1,000 내지 10,000 ppm, 1,500 내지 9,000 ppm 또는 2,000 내지 8,000 ppm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광경화 반응을 방해하여 최종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자외선 흡수율이 떨어져 내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200 nm 내지 28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개시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시제는 210 nm 내지 270 nm 파장 또는 220 nm 내지 26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가 200 nm 미만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경우 경화램프 파장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경화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개시제가 280 nm 초과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경우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가 저하되고,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예를 들어,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l-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 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류; 아실포시핀옥사이드류; 티타노센류 화합물;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벤조일벤조산 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0.5 내지 5 중량% 또는 1 내지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표면 경화만 일어나거나 에폭시 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경도가 낮을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빠른 경화속도로 인하여 크랙과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작용기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지환식 에폭시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 -Rb-CH=CH-COO-Rc-, -Rd-OCO-CH=CH-Re-, -RfORg-, -RhCOORi-, 또는 -RjOCORk-이고,
Rb 내지 Rk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작용기는 에폭시기를 포함하여,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고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의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거의 없어 벤더블, 플렉시블, 롤러블, 또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는 Ra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알릴렌, -Rb-CH=CH-COO-Rc-, -Rd-OCO-CH=CH-Re-, -RfORg-, -RhCOORi-, 또는 -RjOCORk-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에서 Rb 내지 Rk는 단일 결합,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a는 메틸렌, 에틸렌, 또는 -RfORg-일 수 있으며, 이때, Rf 및 Rg는 직접결합, 메틸렌 또는 프로필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작용기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글리시독시기, 글리시독시메틸기, 글리시독시에틸기, 글리시독시프로필기 또는 글리시독시부틸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환식 에폭시기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에폭시사이클로헥실 또는 에폭시사이클로펜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한 반복 단위를 70몰% 이상, 70 내지 100몰%, 또는 80 내지 100몰%로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환식 에폭시기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한 반복 단위를 70몰% 이상, 70 내지 100몰%, 또는 80 내지 100몰%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한 반복 단위의 함량이 70몰% 미만인 경우 경화 밀도의 저하로 하드 코팅 필름이 충분한 표면 경도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은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 당량이 2.5 내지 6.3 mmol/g 또는 3.0 내지 6 mmol/g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의 당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 막밀도 감소로 경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 brittle 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작용기의 당량은 폴리실록산의 분자량을 작용기의 수로 나눈 값으로, H-NMR 또는 화학적 적정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R1SiO3/2)a(R2SiO3/2)b(R3R4SiO2/2)c(R5R6R7SiO1/2)d(SiO4/2)e(O1/2R8)f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폰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 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 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 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 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20 의 아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20 의 알킬아릴기이되, R1 내지 R7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일 수 있다.
이때, R1 내지 R7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의 전체 반복단위의 총 몰비 함량에 대해, 70몰% 이상, 70 내지 100몰%, 또는 80 내지 100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한 반복 단위의 함량이 70몰% 미만인 경우 경화 밀도의 저하로 하드 코팅 필름이 충분한 표면 경도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R8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일 수 있다.
0<a≤1, 0≤b≤1, 0≤c≤1, 0≤d≤1, 0≤e≤1, 0≤f≤1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에 포함된 (R1SiO3/2) 구성 단위 및 (R2SiO3/2) 구성 단위는 T 단위체이며, T 단위체는 3개의 실록산 결합이 형성된 구성 단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T 단위체가 포함된 폴리실록산은 경화 밀도를 높여 하드 코팅 필름의 표면 경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T 단위체인 (R1SiO3/2) 구성 단위 및 (R2SiO3/2) 구성 단위의 몰비는 각각 a 및 b인 것으로,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실록산 총 100몰%에 대해 T 단위체의 몰비는 70 내지 100몰%, 80 내지 99.9몰%, 85 내지 99몰%, 90 내지 98몰%일 수 있다(즉, 0.7≤a+b≤1, 0.8≤a+b≤0.999, 0.85≤a+b≤0.99, 또는 0.9≤a+b≤0.9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및 b의 비율은, 1:0 내지 1, 1:0.01 내지 0.9, 1:0.05 내지 0.7, 또는 1:1 내지 0.5일 수 있으며, 상기 a 및 b의 비율이 1:0인 경우, a의 몰비가 0.7≤a≤1, 0.8≤a≤0.999, 0.85≤a≤0.99, 또는 0.9≤a≤0.9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에 포함된 (R3R4SiO2/2) 구성 단위는 D 단위체이며, D 단위체는 2개의 실록산 결합이 형성된 구성 단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R3R4SiO2/2) 구성 단위의 몰비는 c인 것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총 몰비 함량에 대해 D 단위체의 몰비는 0≤c≤1, 0.01≤c<0.3, 또는 0.05≤c≤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에 포함된 (R5R6R7SiO1/2) 구성 단위는 M 단위체이며, M 단위체는 1개의 실록산 결합이 형성된 구성 단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R5R6R7SiO1/2) 구성 단위의 몰비는 d인 것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실록산 총 몰비 함량에 대해 M 단위체의 몰비는 0≤d≤1, 0.01≤d<0.3, 또는 0.05≤d≤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3R4SiO2/2) 구성 단위 및 (R5R6R7iO1/2) 구성 단위의 몰비의 합(c+d)는 0≤c+d<0.3, 0.01≤c+d≤0.29, 0.05≤c+d≤0.25, 또는 0.07≤c+d≤0.2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은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이고, R2 내지 R7은 수소, 아미노기, 머캅토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폰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t-부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t-부톡시기, 페닐기, 나프탈렌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에는 (SiO4/2) 구성 단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4개의 실록산 결합이 형성된 구성 단위이다. 또한, 상기 (SiO4/2) 구성 단위의 몰비는 e인 것으로, e는 0≤e≤1, 0.01≤e<0.3, 또는 0.05≤e≤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에는 (O1/2R8) 구성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O1/2R8) 구성 단위의 몰비는 f인 것으로, f는 0≤f≤1, 0.01≤f<0.3, 또는 0.05≤f≤0.2일 수 있다.
상기 R8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수소 원자,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등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단위들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은, 각 구성단위의 실록산 단량체, 구체적으로는 1종의 알콕시실란 단독, 또는 1종의 알콕시실란과 이종의 알콕시실란 간의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알콕시실란의 함량비 제어를 통해 각 구성단위의 몰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실록산을 구성하는 각 구성 단위의 몰비는 1H-NMR 또는 29Si-NMR 스펙트럼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제조시 반응온도, 촉매의 양, 종류 용매 등을 이용한 반응 속도 조절을 통해 중량평균 분자량(Mw), 수평균 분자량(Mn), 분자량 분포 등이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실록산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 1,500 내지 45,000 또는 2,000 내지 4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경도가 구현되지 않고 오히려 연성이 발현될 우려가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은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 내지 10,000, 1,500 내지 9,000, 또는 2,000 내지 8,000일 수 있다. 상기한 수평균 분자량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조성물 내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증가되고, 표면 경도가 향상되어, 내마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은 분자량 분포(Mw/Mn)가 1.0 내지 10.0, 1.1 내지 8.0, 또는 1.2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분자량 분포를 가질 경우, 표면 경도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폴리실록산이 액상으로 존재하여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값이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60 내지 95중량부, 65 내지 90중량부, 또는 70 내지 85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최종 제조되는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는 높아지나 굽힘 특성이 저하되어 반복적인 굽힘 동작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일정한 경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이러한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하드 코팅 필름의 터프니스(toughness)를 통한 스트레스(stress) 저항 특성을 부여하여 경화시 수축을 최소화하여 휨 특성을 개선하고, 또한, 내충격성 및 경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굴곡성 등의 유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복 단위 A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족 중심 그룹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 유래의 반복 단위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프로판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B-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E-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F-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 단위 A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의 양 말단에 각각 글리시딜 에테르의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 A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이 중합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양 말단에 결합된 글리시딜 에테르의 에폭시기가 개환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복 단위 A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1은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또는 하기 화학식 (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t-부틸, 또는 n-부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복 단위 B는 반복 단위의 양쪽에 각각 케톤 결합 및 에테르 결합이 포함된 반복 단위로, 락톤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 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 화합물은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β-프로피오락톤, β-부티로락톤, β-발레로락톤,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릴로락톤, δ-발레로락톤, β-메틸-δ-발레로락톤, δ-스테아로락톤, ε-카프로락톤, 2-메틸-ε-카프로락톤, 4-메틸-ε-카프로락톤, ε-카프릴로락톤 및 ε-팔미토락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 단위 B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L2는 직접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L2는 직접 결합,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펜틸렌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A와 반복 단위B의 비율은 1:0.05 내지 0.9, 1:0.1 내지 0.7, 또는 1:0.15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반복 단위B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반복 단위 B에 포함된 에스테르기가 조성물의 경화를 방해하여 미반응 물질이 남게 되고, 이로 인해 경화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복 단위B의 비율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공중합체로 구현되는 물성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5에서, L1 및 L2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5의 반복 단위는 케톤 결합, 에테르 결합 및 히드록시기 등의 작용기를 모두 포함함으로 인해 이를 폴리실록산과 함께 경화시 유연성, 경도 및 내충격성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말단에 글리시딜 에테르(glycidyl ether)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시, 상기 폴리실록산에 포함된 에폭시 함유 작용기와 상기 공중합체에 함유된 글리시딜 에테르 작용기가 가교하면서 단분자성 혹은 미반응성 잔류기 없이 균일한 경화막 형성 및 가교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제조시 반응온도, 촉매의 양, 종류 용매 등을 이용한 반응 속도 조절을 통해 중량평균 분자량(Mw), 수평균 분자량(Mn), 분자량 분포 등이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50 내지 20,000, 500 내지 18,000, 또는 700 내지 15,000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미반응 에스테르 잔류에 의한 경화 지연의 문제점이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폴리실록산과의 혼용성이 떨어지고 고점도 물성에 의해 취급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과, 락톤 화합물이 공중합된 화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과 락톤 화합물의 중량비는 1:0.05 내지 0.9, 1:0.1 내지 0.7, 또는 1:0.15 내지 0.5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은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B-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E-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F-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판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톤 화합물은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β-프로피오락톤, β-부티로락톤, β-발레로락톤,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릴로락톤, δ-발레로락톤, β-메틸-δ-발레로락톤, δ-스테아로락톤, ε-카프로락톤, 2-메틸-ε-카프로락톤, 4-메틸-ε-카프로락톤, ε-카프릴로락톤 및 ε-팔미토락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5 내지 40중량부, 10 내지 35중량부, 또는 15 내지 2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최종 제조되는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최종 제조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실록산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0:5 내지 90, 100:10 내지 80, 또는 100:2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공중합체를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공중합체로 인한 물성 확인이 어렵고, 90중량부 초과로 포함하면 경화물의 경화도가 감소하여 하드 코팅 필름에 필요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필름화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 코팅 필름의 표면 경도 개선을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β-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크릴레이트, 4-부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 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포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콜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들 중에서도 상술한 폴리실록산과의 조합 사용시 표면 경도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6 내지 9개일 수 있다. 관능기가 6개 미만이면 경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9개 초과이면 경도는 우수하나 점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자내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분자내 히드록시기를 1개 이상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더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 1 내지 15중량부, 또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포함에 따른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인해 표면 경도 개선 효과가 오히려 저해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공정상 문제가 없을 경우 무용제(solvent-free)로 사용 가능하지만, 선택적으로 코팅시 조성물의 점도 및 유동성을 조절하고 조성물의 도포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 계 용매; 또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무기충전제, 활제, 코팅조제, 방오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 총함량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화방지제는 양이온 개시제로부터 기인하는 산화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페놀릭계, 포스페이트계, 아미닉계, 티오에스테르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1 내지 2 관능성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불소계 계면 활성제 또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가교 공중합체 내에 분산 또는 가교되어 있는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상기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에서, 상기 폴리실록산에 포함된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가, 상기 공중합체에 포함된 글리시딜 에테르 작용기와 가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화 밀도가 촘촘해지면서 연필 경도 및 내구성은 향상되고, 유연성 또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하기 일반식 1에 따른 흡광 밀도가 10 내지 100 ppm/㎛, 15 내지 90 ppm/㎛, 또는 20 내지 80 ppm/㎛일 수 있다.
[일반식 1]
흡광 밀도 = 하드 코팅 필름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총 함량 / 하드 코팅 필름의 두께.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흡광 밀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자외선을 완벽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흡광 밀도가 지나치게 크면 광경화 반응을 저해하여 경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180 ㎛, 50 내지 150 ㎛, 또는 60 내지 120 ㎛일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강도가 증가하지만,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폴딩시 깨지기 쉽고,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폴딩성이 확보되더라도 강도가 불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390 nm 이하의 파장에서 5% 이하, 4% 이하, 3% 이하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0.01% 이상 또는 0.05%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이 390 nm 이하 또는 10 내지 350 nm의 파장에서 5% 이하의 투과율을 나타냄으로 인해,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이 우수한 경도 및 유연성을 가지면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우수한 내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SHIMADZU의 UV-Vis-NIR Spectrophotometer 장비인 Solidspec 3700을 사용하여 Transmittance mode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표면에 대한 하중 750g의 조건에서의 연필 경도는 6H 이상, 7H 이상, 또는 8H 이상일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 및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양면에 각각 하드 코팅 필름이 형성되는 경우, 2개의 하드 코팅 필름은 조성 또는 두께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투명성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또는 술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 PEEK),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단층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다층 구조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폴리카보네이트(PC)의 공압출로 형성한 다층 구조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공중합체(copolymer)를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필요에 따라 플라즈마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제안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그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거나 얇으면 표면 경도, 내충격성 저하 또는 폴딩 특성의 문제가 있는 바, 그 범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례들 들면,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20 내지 200㎛, 30 내지 150㎛, 또는 5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팅층의 두께의 총 합은 50 내지 200 ㎛, 60 내지 180 ㎛, 80 내지 160 ㎛, 또는 100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팅층의 두께의 총 합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폴딩시 깨지기 쉽고,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폴딩성이 확보되더라도 강도가 불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커버 윈도우 중간에 2 mm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이 마주 보도록 90° 각도로 하드 코팅 필름의 안쪽으로 접었다 폈다를 25 ℃에서 1.5초당 1회의 속도로 20만회 반복하였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거의 없어 벤더블, 플렉서블, 롤러블, 또는 폴더블 모바일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커버 윈도우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를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놓은 후 커버 윈도우의 중간 부분에 접히는 부위의 간격이 2 mm가 되도록 하고 커버 윈도우의 양 쪽을 바닥면에 대하여 90도로 접었다 폈다를 25 ℃에서 1.5초당 1회의 속도로 20만회 반복하는 방식으로 굽힘에 대한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접히는 부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윈도우를 직경(R) 2 mm의 봉에 닿도록 놓고 커버 윈도우의 나머지 부분을 고정하고, 봉을 중심으로 커버 윈도우의 양 쪽을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히는 부분은 커버 윈도우의 내부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측정 편의상 접히는 부분을 제외한 커버 윈도우의 나머지 양 쪽이 대칭이 되도록 커버 윈도우의 중앙 부분이 접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굽힘 특성 평가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20만회의 굽힘을 실시한 후에도 1 cm 이상, 또는 3 mm 이상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접거나, 말거나, 휘게 하는 등의 실제 사용 상태에 있어서도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낮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용으로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해 30℃ 온도 및 30% 습도 조건에서, 3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광선을 50 W/m2 강도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이후, 상기 커버 윈도우 중간에 2 mm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이 마주 보도록 90° 각도로 하드 코팅 필름의 안쪽으로 접었다 폈다를 25℃에서 1초당 1.5회의 속도로 20만회 반복하였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외부광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해 30℃ 온도 및 30% 습도 조건에서, 3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광선을 50 W/m2 강도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전후의,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의 변화량이 3 이하, 2 이하, 1 이하, 또는 0.01 내지 0.9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선을 조사하기 전,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한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값(L* 0a* 0b* 0)을 색차계 장치로 측정하고, 또한, 상기 광선을 조사한 이후,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한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값(L* 1a* 1b* 1)을 색차계 장치로 측정하고, 하기 일반식 2와 같이, 두 값의 차의 절대 값을 계산하여, 상기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
[일반식 2]
L*a*b*의 변화량 = ㅣL* 0a* 0b* 0 - L* 1a* 1b* 1
상술한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커버 윈도우는,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 일면에 도포한 후 경화하여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상부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한 이후,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과 유사하거나 상이한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다른 면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하부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도포 공정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스핀코팅, 또는 바코팅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는 경화를 위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경화는 통상의 방법에 따른 열경화 또는 광경화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및 광경화를 위한 열처리 또는 광 조사 조건은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파장 영역 및 광량, 또는 열처리 온도 등의 조절을 통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 코팅 필름 또는 상기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curved), 벤더블(bendable), 플렉시블(flexible),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터치패널, 웨어러블 장치 및 각종 디스플레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치,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감김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or foldable displa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가 빛이나 화면이 나오는 방향의 외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자를 제공하는 음극(cathode), 전자 수송층(Eletron Transport Layer), 발광층(Emiss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정공을 제공하는 양극(anode)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와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역할 및 작동을 하기 위해서, 상기 음극 및 양극의 전극과, 각 구성 성분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예로, 감김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or foldable display)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감김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용 분야 및 구체적인 형태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 터치 패널, 편광판, 배리어 필름, 발광 소자(OLED 소자 등), 투명 기판 등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편광판; 상기 1쌍의 편광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박막트랜지스터, 컬러필터 및 액정셀;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관측자측 또는 백라이트측의 최외각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 유리 커버 윈도우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에도 고경도 및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면서도, 자외선 차단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여 외부광에 장시간 노출하더라도 유연성, 부착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커버 윈도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및 커버 윈도우는 자외선 차단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면서도, 유연성, 고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의 물성이 우수하고, 특히 반복적인 굽힘이나 접힘 동작에 의해서도 필름의 손상이 거의 없어 벤더블(bendable), 플렉시블(flexible),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각종 계기판의 전면판, 표시부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폴리실록산(a) 제조
1000 mL 3-neck 플라스크에 실란 모노머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GPTMS, KBM-403™, Shinetsu社), 물 및 톨루엔을 넣고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GPTMS:물:톨루엔= 1mol: 3mol:4mol).
다음으로, 결과의 혼합 용액에 염기성 촉매(trimethylammonium hydroxide; TMAH)를 상기 실란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중량부로 첨가하고 100 ℃에서 2 시간 반응시켜, 글리시독시프로필 변성 실리콘(glycidoxypropyl modified silicone, 이하 GP) 100 몰%를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폴리실록산(a)을 제조하였다(수평균분자량: 2,000 g/mol, 분자량분포(PDI): 1.4, 글리시독시프로필기 당량: 6.0 mmol/g).
(R1SiO3/2)a(R2SiO3/2)b(R3R4SiO2/2)c(R5R6R7SiO1/2)d(SiO4/2)e(O1/2R8)f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글리시독시프로필기(화학식 1에서, Ra가 -RbORc-이고, Rb가 프로필렌기이고, Rc가 메틸렌기임)이고, R은 수소원자이며, a=0.97, b, c, d, e=0, f=0.03이다)
제조예 2: 폴리실록산(b) 제조
1000 mL 3-neck 플라스크에 실란 모노머인 메타아크릴트리메톡시실록산 (APTMS, KBM-503™, Shinetsu社), 메틸트리메톡시신란 (MTMS, gelest社) 물 및 톨루엔을 넣고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APTMS:MTMS:물:톨루엔= 0.2mol:0.8mol: 3mol:4mol)
다음으로, 결과의 혼합 용액에 염기성 촉매(trimethylammonium hydroxide; TMAH)를 상기 실란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중량부로 첨가하고 100 ℃에서 2 시간 반응시켜, 하기 조성의 폴리실록산(b)을 제조하였다(수평균분자량: 1,400 g/mol, 분자량분포(PDI): 1.2, 글리시독시프로필기 당량: 1.8 mmol/g).
(R1SiO3/2)a(R2SiO3/2)b(R3R4SiO2/2)c(R5R6R7SiO1/2)d(SiO4/2)e(O1/2R8)f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메타아크릴기이고, R2는 메틸기이고, R은 수소원자이며, a=0.20, b=0.77, c, d, e=0, f=0.03이다)
제조예 3: 공중합체 제조
1000 mL 3-neck 플라스크에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카프로락톤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카프로락톤 = 8mol:2mol)을 넣고, 상기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카프로락톤 100 중량부에 대해 광개시제 Irgacure-250 1 중량부를 넣었다.
이후, 혼합물을 40 ℃에서 2 시간 교반하면서,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조사량: 50 mJ/㎠)하는 광중합 반응으로, 하기 화학식 6 반복 단위 및 화학식 7의 반복 단위를 4:1의 몰비로 갖는 공중합체(수평균분자량: 3,250 g/mol, 중량평균분자량: 2,680 g/mol)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7
[화학식 7]
Figure pat00008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배합으로 각각의 혼합물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26 g에 혼합(고형분 80%)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폴리실록산 a 80 g 80 g 80 g 80 g -
b 80 g
공중합체 20 g 20 g 20 g 20 g 20 g
광개시제 A 3 g 3 g 3 g - -
B - - - 3 g -
C 3 g
자외선
흡수제
a 2,000 ppm 8,000 ppm - 8,000 ppm 2,000 ppm
b - - 8,000 ppm - -
- 폴리실록산 a: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실록산
- 폴리실록산 b: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폴리실록산
- 공중합체: 제조예 3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 광개시제(A): 25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염화합물 양이온 개시제 (제품명: omnicat 250, 제조사 IGM resin, 디아릴아이도니움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염)
- 광개시제(B) 31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염화합물 양이온 개시제 (제품명: CPI-210S, 제조사 SAN-APRO, 트리아릴설포늄 헥사플로오로포스페이트염)
- 광개시제 (C) 243nm 및 332nm에서 각각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라디칼 개시제(제품명: irgacure 127, 제조사 BASF,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 자외선 흡수제(a): 36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자외선 흡수제 (제품명: TINUVIN 477, 제조사 BASF, 2-하이드록시페닐-s-트리아진)
- 자외선 흡수제(b): 25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자외성 흡수제 (제품명: Chimassorb® 81, 제조사 BASF, 벤조페논)
이후, 15cmx20cm,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일면에,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조사량: 500 mJ/㎠)해 광경화하여 100 ㎛ 두께의 하드 코팅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커버 윈도우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연필 경도 측정
커버 윈도우의 하드 코팅 필름 표면에 대해, 하중 750g, 각도 45°로 연필을 고정시킨 후 연필 경도 별로 20mm씩 총 5회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3회 이상 표면 손상이 생기지 않는 최대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2. 동적 굽힘 특성
도 1은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커버 윈도우를 재단하되, 엣지(edge) 부위의 미세 크랙을 최소화도록 80 x 140mm의 크기로 레이저 재단하였다. 측정 장비 위에 레이저 재단된 필름을 올리고, 하드 코팅 필름을 내측으로 하고, 접히는 부위의 간격(내측 곡률 직경)이 2 mm가 되도록 하여, 상온에서 필름의 양 쪽을 바닥면에 대하여 90도로 접었다 폈다를 연속 동작(필름이 접혀지는 속도는 25℃에서 1.5초당 1회)으로 20만회 반복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였다.
OK: 크랙 발생하지 않음
NG: 크랙 발생
3. 내광 촉진 시험 후 동적 굽힘 특성, 부착성 및 색좌표 변화 평가
3.1. 내광 촉진 시험
커버 윈도우의 하드 코팅 필름에 대해, Xe-arc 램프식 촉진 내광성 시험기(atlas사 제조, Ci3000+)를 사용하여, 30 ℃ 및 30 % 습도 조건에서, 광선(50 W/m2, 300~400 nm 파장)에서 200 시간 조사하였다.
3.2. 내광 촉진 시험 후 동적 굽힘 특성 평가
상기 3.1.의 내광 촉진 시험 직후, 커버 윈도우의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 장비 위에 내광 촉진 시험 처리된 커버 윈도우를 올리고, 하드 코팅 필름을 내측으로 하고, 접히는 부위의 간격(내측 곡률 직경)이 2 mm가 되도록 하여, 상온에서 필름의 양 쪽을 바닥면에 대하여 90도로 접었다 폈다를 연속 동작(필름이 접혀지는 속도는 25℃에서 1.5초당 1회)으로 20만회 반복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동적 굽힘 특성을 평가하였다.
OK: 크랙 발생하지 않음
NG: 크랙 발생
3.3. 내광 촉진 시험 후 부착성 평가
상기 3.1.의 내광 촉진 시험 직후, 커버 윈도우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내광 촉진 시험 처리된 커버 윈도우의 하드 코팅 필름에 대해, 1.5 mm 간격으로 11x11번 칼로 cross-cut하여 121개의 칸을 만든 뒤, 니치반 테이프를 하드 코팅 필름에 부착 후 떼어내었다. 이때, 하기 기준에 따라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OK: 하드 코팅 필름 변화 없음
NG: 하드 코팅 필름 박리 발생
3.4. 내광 촉진 시험 전후 색좌표 변화 평가
상기 3.1.의 내광 촉진 시험 전후, 커버 윈도우의 색좌표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내광 촉진 시험 진행하기 전의 커버 윈도우에 대해 색차계(Konika Minolta Chromameter CR-400 D65)으로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값(L* 0a* 0b* 0)을 측정하고, 커버 윈도우에 대해 상기 내광 촉진 시험을 진행한 직후 커버 윈도우에 대해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값(L* 1a* 1b* 1)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L* 0a* 0b* 0와 L* 1a* 1b* 1을 하기 일반식 2에 대입하여,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의 변화량을 구하고, 하기 표 1의 색좌표 변화에 나타내었다.
[일반식 2]
L*a*b*의 변화량 = ㅣL* 0a* 0b* 0 - L* 1a* 1b* 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연필경도 7H 6H 4H 5H 4H
동적 굽힘 특성 OK OK OK NG NG
내광 촉진 시험 동적 굽힘 특성 OK OK NG NG NG
부착성 OK OK OK OK NG
색좌표 변화 <3 <3 <3 4 8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 및 2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함에도 고경도 및 우수한 유연성을 구현하면서도, 내광 촉진 시험 후에도 우수한 유연성 및 부착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비교예 1은 경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내광 촉진 시험 이후 동적 굽힘 특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함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예 2도 경도가 낮고 상온에서 동적 굽힘 특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광 촉진 시험 이후에도 동적 굽힘 특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함을 확인했다. 나아가, 비교예 3 또한 경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동적 굽힘 특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하고, 내광 촉진 시험 이후에도 동적 굽힘 특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하고 부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색좌표 변화량이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

Claims (19)

  1.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310 nm 내지 36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200 nm 내지 28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은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를 포함한 반복 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작용기는, 지환식 에폭시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 -Rb-CH=CH-COO-Rc-, -Rd-OCO-CH=CH-Re-, -RfORg-, -RhCOORi-, 또는 -RjOCORk-이고,
    Rb 내지 Rk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단위 A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의 양 말단에 각각 글리시딜 에테르의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단위 A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상기 반복 단위 B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L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이고,
    [화학식 4]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L2는 직접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단위 A와 반복 단위 B의 비율은 1:0.05 내지 0.9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5에서,
    L1 및 L2의 정의는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45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0:5 내지 90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12. 폴리실록산; 지방족 또는 방향족 중심 그룹을 포함한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유래의 반복 단위 A와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반복 단위 B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하드 코팅 필름과 광투과성 기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해 30℃ 온도 및 30% 습도 조건에서, 3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광선을 50 W/m2 강도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이후,
    상기 커버 윈도우 중간에 2 mm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이 마주 보도록 90° 각도로 하드 코팅 필름의 안쪽으로 접었다 폈다를 25℃에서 1초당 1.5회의 속도로 20만회 반복하였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에 대해 30℃ 온도 및 30% 습도 조건에서, 3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광선을 50 W/m2 강도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전후의, CIE L*a*b*의 색좌표에서 L*a*b*의 변화량이 3 이하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310 nm 내지 36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6. 제12항에 있어서,
    200 nm 내지 280 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하기 일반식 1에 따른 흡광 밀도가 25 내지 100 ppm/㎛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일반식 1]
    흡광 밀도 = 하드 코팅 필름에 포함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총 함량(ppm) / 하드 코팅 필름의 두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은 390 nm 이하의 파장에서 5%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19. 제12항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19292A 2020-09-16 2020-09-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6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92A KR20220036736A (ko) 2020-09-16 2020-09-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92A KR20220036736A (ko) 2020-09-16 2020-09-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36A true KR20220036736A (ko) 2022-03-23

Family

ID=8096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92A KR20220036736A (ko) 2020-09-16 2020-09-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6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995B1 (ko) 광학 적층체
KR2022003673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 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0598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KR20220074409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447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0450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0599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KR102375855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218A (ko)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0944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149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131A (ko)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606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9567A (ko) 하드 코팅 적층체
KR2022003622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61079A1 (en) Optical lamin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36465A (ko) 광학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76336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59056A1 (en) Cover window of substrate-less typ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10036220A (ko) 광학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452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68761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1369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219A (ko) 광학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22398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