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412A -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Google Patents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6412A KR20220036412A KR1020200117867A KR20200117867A KR20220036412A KR 20220036412 A KR20220036412 A KR 20220036412A KR 1020200117867 A KR1020200117867 A KR 1020200117867A KR 20200117867 A KR20200117867 A KR 20200117867A KR 20220036412 A KR20220036412 A KR 20220036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extinguishing
- mixing
- inlet
- extinguishing agent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62C5/024—Apparatus in the form of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3—Arrangements, nature or configuration of flow guid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소화약제와 소화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킬 수 있으며, 압력 손실의 따른 토출 효율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인라인 이덕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은 소화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소화수가 공급되고, 후단은 포소화약제를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와 소화약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형성된 포소화약제를 토출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전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되, 상기 유입구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재에 의한 내경 감소로 발생하는 압력 저하로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형성된 흡입관을 통해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며,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관체; 및 내측면은 상기 벤츄리관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외측면은 상기 몸체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여 상기 벤츄리관을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은 소화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소화수가 공급되고, 후단은 포소화약제를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와 소화약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형성된 포소화약제를 토출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전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되, 상기 유입구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재에 의한 내경 감소로 발생하는 압력 저하로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형성된 흡입관을 통해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며,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관체; 및 내측면은 상기 벤츄리관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외측면은 상기 몸체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여 상기 벤츄리관을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소화약제와 소화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킬 수 있으며, 압력 손실의 따른 토출 효율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인라인 이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A급 화재(일반화재), B급 화재(유류화재) 및 C급 화재(전기화재) 등으로 구분되며, A급 화재의 경우, 소화수단으로 주로 물 즉, 소화수를 살포되고 있는 반면, B급 화재의 경우, 포소화약제가 채용되고 있다.
B급 화재에 사용되는 포소화약제는 소화약제(Foaming Agent)를 물(소화수)에 적정량을 혼합한 후, 공기 또느 불활성 기체를 기계적으로 혼입시킴으로써 기포(Foam)을 발생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포소화약제의 기포는 유류보다 가벼운 미세한 거품의 집합체로서, 이는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질식효과와 함께 혼합된 소화수에 의한 냉각효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물품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음에 따라 일반화재 발생 시, 소화수단인 물의 소화효과가 낮아져 포소화약제를 채용하여 진화하는 사례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포소화약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화설비 상에 소화수 및 소화약제를 혼합하는 장치(이하, '소화약제 혼합장치'라 함.)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포소화약제 혼합장치는 소화설비의 용량, 사용 목적, 설비 구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소화수 및 소화약제의 공급 및 혼합원리에 따라 크게 관로 혼합 방식(line proportione type), 펌프 혼합 방식(pump proportioner type), 차압 혼합 방식(pressure proportioner type) 및 압입 혼합 방식(pressure side proportioner type)으로 구분된다.
이 중 관로 혼합 방식(line proportione type)의 포소화약제 혼합장치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소화약제를 흡입하여 소화수와 혼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포소화약제 혼합용 이덕터(Eductor)는 관로 혼합 방식의 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일종이다.
포소화약제 혼합용 이덕터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소화약제를 정량 흡입하고, 이를 소화수와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시켜 포소화약제를 생성하는 장치로, 미국등록특허 제6,138,767호 및 미국공개특허 제2007/0137716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의 단일체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소화수 공급라인과 포소화약제를 공급라인에 직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벤츄리관 형태의 단일체로 형성된 소화약제 혼합용 이덕터의 경우, 압력 및 유량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내경의 변화로 인한 압력 손실로 인해 포소화약제의 토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소화 시스템 상에서 수원으로부터 이덕터 간의 높이차가 발생할 경우, 소화수의 공급라인 상의 손실수두가 커지므로 이덕터의 토출 효율 저하가 가중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화수 공급라인상에 부스트펌프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부스트펌프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설치비용이 소모되므로 비경제적이다.
한편, 포소화약제는 팽창비에 따라 크게 기포의 팽창률이 낮은 저팽창(Low expansion)용 포소화약제와 팽창률이 높은 고팽창(High expansion)용 포소화약제로 나눠진다.
저팽창용 포소화약제는 소화약제의 혼합비율이 전체 부피 대비 3% 혹은 6%로, 저팽창용 포소화약제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혼합비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반면, 팽창률이 높은 고팽창(High expansion)용 포소화약제는 소화약제의 혼합비율이 전체 부피 대비 1%로 일정한 값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단일체로 형성되는 종래의 소화약제 혼합용 이덕터의 경우, 유체와 혼합유체의 혼합비율의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입된 소화약제와 소화수의 혼합하여 포소화약제를 생성시키되, 소화수 유동상의 압력 손실에 의한 토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화약제의 혼합비율 조정이 용이한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양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은 소화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소화수가 공급되고, 후단은 포소화약제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와 소화약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형성된 포소화약제를 토출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전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되, 상기 유입구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재에 의한 내경 감소로 발생하는 압력 저하로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형성된 약제흡입관을 통해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며,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관체; 및 내측면은 상기 혼합관체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외측면은 상기 몸체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여 상기 혼합관체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체는,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의 단부가 절곡 연장되어 상기 노즐부재의 전단부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되어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관상의 약제흡입관과, 상기 유입부 후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상기 소화수와 상기 약제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상기 소화약제가 혼합되는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 후단에 연장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며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소화수와 혼합된 상기 소화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후단부 외주면이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을 따라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유입부의 후단부 내측에 압력 저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노즐부재는, 전단부 외주면에 상기 유입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된 관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혼합관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선단면이 상기 몸체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2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입된 소화약제와 소화수의 혼합하여 포소화약제를 생성시키되, 소화수 유동상의 압력 손실에 의한 토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화약제의 혼합비율 조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는 소화수 공급라인과 포소화약제를 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무전원 방식으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흡입된 소화약제와 소화수의 혼합하여 포소화약제를 생성시키되, 상기 소화수 유동상의 압력 손실에 의해 상기 포소화약제의 토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크게 몸체(10), 혼합관체(20) 및 지지체(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인라인 이덕터의 외곽을 이루며, 전단은 상기 소화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내부로 상기 소화수가 공급되고, 후단은 상기 포소화약제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관체(20)에 의해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상기 포소화약제를 토출한다.
이때, 상기 몸체(10) 양단에는 각각 플랜지(12, 1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가 상기 소화수 공급라인 및 상기 포소화약제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 너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플랜지(12, 14)가 공급라인들의 각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12, 14)는 상기 몸체(10)의 전후단의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곽부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하여 너트와 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공(13, 15)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관체(20)는 상기 몸체(10) 내측에 위치하여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소화약제를 흡입하여 소화수와 일정비율로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전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통과하도록 중공된 관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재(23)에 의한 상기 혼합관체(20)의 내경 감소로 발생하는 압력 저하로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형성된 흡입관(24)을 통해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며,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몸체(10) 후단부를 향해 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관체(20)는 유입부(22), 직관부(26) 및 확장부(2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22) 전단부에는 상기 노즐부재(23)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22) 일측에는 상기 혼합관체(20)가 분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입부(22)의 경우,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2)의 유입구 내측에 상기 노즐부재(23)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노즐부재(23)는 후단부 외주면이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23)는 상기 유입구 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22)의 내 유로 면적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입부(22)의 후단부 내측에 압력 저하를 유도한다.
이때, 상기 노즐부재(23)의 내경은 상기 소화약제의 혼합비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경이 상이한 상기 노즐부재(23)의 교체를 통해 상기 인라인 이덕터의 소화약제 혼합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노즐부재(23)의 외주면 상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입된 오링홈(23-2)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관체(20)과 상기 노즐부재(23)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재되는 오링(22-2)이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23)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안착부(2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2)의 전단부는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단차부(2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노즐부재(23)는 후단과 상기 유입부(22)의 후단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단차부(22-1)에 상기 안착부(23-1)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즐부재(23)가 상기 소화수의 유동을 따라 상기 혼합관체(2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부(22)의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되어 형성된 관상의 상기 약제흡입관(24)은 상기 몸체(10)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라인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흡입관(24)이 상기 유입부(22) 후단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재(23)의 테이퍼진 후단부 측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약제흡입관(24) 단부에는 상기 약제공급라인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유입부(22) 후단에는 상기 직관부(26)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직관부(26)는 상기 유입부(22)를 통과한 상기 소화수와 상기 약제흡입관(24)으로부터 흡입된 상기 소화약제가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관부(26)의 내경이 상기 유입부(22)보다 작게 형성이 되며, 전단에서 후단까지 내경이 일정한 값을 갖는 직관의 형상을 가진다.
앞서 언급한 상기 유입부(22) 후단과 상기 노즐부재(23)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노즐부재(23)으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상기 소화수와 상기 약제흡입관(24)으로부터 흡인된 상기 소화약제가 서로 만나는데, 이때, 상기 유입부(22)와 상기 직관부(26)의 내경의 변화로 인해 형성된 단차 즉, 단면의 변화로 난류 유동이 발생하여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22)와 상기 직관부(26)의 내경의 변화와 더불어 상기 직관부(26)가 직관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소화수 및 상기 소화약제 혼합물이 상기 직관부(26)를 따라 직진성을 가지며 높은 유속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관부(26) 후단에는 상기 확산부(28)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28)는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소화수와 혼합된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몸체(10) 후단부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혼합관체(20) 내부의 압력 회복을 유도한다.
그러나, 상기 혼합관체(20) 내 압력 손실은 여전히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인라인 이덕터는 상기 지지체(3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30)는 내측면은 상기 혼합관체(20)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외측면은 상기 몸체(10)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여 상기 혼합관체(20)를 상기 몸체(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소화수 유동에 의해 상기 혼합관체(20)가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 내주면과 상기 지지체(30) 외주면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몸체(10)와 상기 혼합관체(20) 사이에 상기 소화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시켜 상기 혼합관체(20)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에 의해 상기 인라인 이덕터의 토출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체(30)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주면과 상기 지지체(30) 외주면 사이에 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인라인 이덕터로 유입된 상기 소화수 중 상기 혼합관체(20)로 유입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몸체(10)와 상기 혼합관체(20)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몸체(10) 후단부까지 유동하여 상기 몸체(10) 후단부에서 상기 혼합관체(2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소화약제 혼합물이 혼합되고, 적정농도의 포수용액 즉, 소화에 사용될 수 있는 포소화약제를 최종적으로 생성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10)의 구경은 상기 혼합관체(20)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10)와 상기 혼합관체(20) 사이에서는 상기 혼합관체(20) 내부에 비해 압력 손실이 적게 발생하므로 상기 몸체(10)와 상기 혼합관체(20) 사이를 통과한 소화수가 상기 혼합관체(2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소화약제 혼합물과 상기 인라인 이덕터 후단으로 동시에 토출됨으로써 상기 인라인 이덕터의 토출 효율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재(23)가 상기 혼합관체(2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23-1)가 상기 단차부(22-1)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화수의 유동 방향으로 가해지는 유압이 상기 안착부(23-1)에 작용하여 상기 단차부(22-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소화수의 공급량이 갑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예상치못한 역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혼합관체(20)로부터 상기 노즐부재(23)가 분리되거나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관체(20), 즉 상기 유입부(22) 내주면에나사산(22-3)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23)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22-3)에 대응하는 결합나사산(2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산(22-3)과 상기 결합나사산(23-3)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노즐부재(23)는 상기 혼합관체(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30)는 상기 혼합관체(20)를 상기 몸체(10)에 고정시켜 상기 소화수 유동에 의해 상기 혼합관체(20)가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 내주면과 상기 지지체(30) 외주면을 상호 이격시켜 상기 혼합관체(20)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에 의한 상기 인라인 이덕터의 토출 효율 저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수가 유동하는 유로 형성을 위하여 제1 지지체(32)와 제2 지지체(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지지체(3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된 관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혼합관체(20)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혼합관체(20) 외주면과 상기 제1 지지체(32) 내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체(34)는 상기 제1 지지체(32)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선단면이 상기 몸체(10)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상기 몸체(10)로부터 상기 혼합관체(20)의 지지하며, 상기 제2 지지체(34)들 사이로 상기 소화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체(34)의 각 단부는 상기 몸체(10) 내주면 용접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 내주면 및 상기 제2 지지체(34)의 각 단부에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체(34)의 각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결합단부(미도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 내주면에 상기 결합단부(미도시)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미도시) 내에 상기 결합단부(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0)에 상기 제2 지지체(34)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10)와 상기 지지체(3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몸체
12, 14 : 플랜지
20 : 혼합관체
22 : 유입부
23 : 노즐부재
24 : 약제흡입관
26 : 직관부
28 : 확장부
30 : 지지체
32 : 제1 지지체
34 : 제2 지지체
12, 14 : 플랜지
20 : 혼합관체
22 : 유입부
23 : 노즐부재
24 : 약제흡입관
26 : 직관부
28 : 확장부
30 : 지지체
32 : 제1 지지체
34 : 제2 지지체
Claims (5)
- 양단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은 소화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소화수가 공급되고, 후단은 포소화약제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수와 소화약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형성된 포소화약제를 토출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전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되, 상기 유입구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노즐부재에 의한 내경 감소로 발생하는 압력 저하로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형성된 약제흡입관을 통해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며, 상기 소화수와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혼합관체; 및
내측면은 상기 혼합관체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외측면은 상기 몸체 내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하여 상기 혼합관체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체는,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로 공급되는 상기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의 단부가 절곡 연장되어 상기 노즐부재의 전단부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둘레방향 일측에 분기되어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소화약제가 흡입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관상의 약제흡입관과,
상기 유입부 후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상기 소화수와 상기 약제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상기 소화약제가 혼합되는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 후단에 연장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며,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소화수와 혼합된 상기 소화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확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후단부 외주면이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중공된 관상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을 따라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유입부의 후단부 내측에 압력 저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전단부 외주면에 상기 유입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된 관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혼합관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선단면이 상기 몸체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2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867A KR102530570B1 (ko) | 2020-09-14 | 2020-09-14 |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867A KR102530570B1 (ko) | 2020-09-14 | 2020-09-14 |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412A true KR20220036412A (ko) | 2022-03-23 |
KR102530570B1 KR102530570B1 (ko) | 2023-05-10 |
Family
ID=8096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7867A KR102530570B1 (ko) | 2020-09-14 | 2020-09-14 |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057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7481A (ja) * | 1993-03-31 | 1994-10-04 | Nohmi Bosai Ltd | 泡消火設備の泡原液混合装置 |
US6138767A (en) | 1997-06-13 | 2000-10-31 | Williams Fire & Hazard Control, Inc. | Through the pump foam system |
KR20030011305A (ko) * | 2001-02-16 | 2003-02-07 | 미야케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 소화방법 및 소화장치 |
JP2006132653A (ja) * | 2004-11-05 | 2006-05-25 | Denso Corp | 二重管、二重管の製造方法、二重管の支持部材 |
US20070137716A1 (en) | 2005-12-05 | 2007-06-21 | Stoops Kyle A | Foam eductor |
JP2018000948A (ja) * | 2016-06-27 | 2018-01-11 |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
-
2020
- 2020-09-14 KR KR1020200117867A patent/KR102530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7481A (ja) * | 1993-03-31 | 1994-10-04 | Nohmi Bosai Ltd | 泡消火設備の泡原液混合装置 |
US6138767A (en) | 1997-06-13 | 2000-10-31 | Williams Fire & Hazard Control, Inc. | Through the pump foam system |
KR20030011305A (ko) * | 2001-02-16 | 2003-02-07 | 미야케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 소화방법 및 소화장치 |
JP2006132653A (ja) * | 2004-11-05 | 2006-05-25 | Denso Corp | 二重管、二重管の製造方法、二重管の支持部材 |
US20070137716A1 (en) | 2005-12-05 | 2007-06-21 | Stoops Kyle A | Foam eductor |
JP2018000948A (ja) * | 2016-06-27 | 2018-01-11 |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0570B1 (ko) | 2023-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70367B1 (en) | Liquid sprayers | |
US5445226A (en) | Foam genera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hose delivering pressurized liquid | |
US8360339B2 (en) |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 |
AU2011334656B2 (en) | An improved apparatus for generating mists and foams | |
US561377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from pressurized liquid | |
US10099078B1 (en) | Compressed air foam mixing device | |
AU2002251620A1 (en) | Liquid sprayers | |
US4828038A (en) | Foam fire fighting apparatus | |
US20070137716A1 (en) | Foam eductor | |
US20120305272A1 (en) | Foam generating device for fire hoses | |
JPS588288B2 (ja) | エゼクタ組立体 | |
KR102530570B1 (ko) | 포소화약제 혼합용 인라인 이덕터 | |
RU2304993C2 (ru) | Смесите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US20230081536A1 (en) | High-expansion foam generator | |
US20120247790A1 (en) | Foam propellant system | |
CN115427115B (zh) | 用于产生消防目的的气液混合物的设备 | |
US11691041B1 (en) | Compressed air foam mixing device | |
RU208973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нертной пенопульпы | |
CN110743118B (zh) | 一种泡沫灭火系统及灭火方法 | |
KR100589037B1 (ko) | 공기폼혼합기와 이를 채택한 폼 헤드 어셈블리 | |
WO2021211597A1 (en) | High-expansion foam generator having a nozzle housing with a reduced diameter to length ratio | |
AU616909B2 (en) | Foam fire fighting apparatus | |
CA2251760C (en) | Nozzle for use with fire-fighting foams | |
JP2008245932A (ja) |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