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585A - 승화 전사 장치 - Google Patents

승화 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585A
KR20220035585A KR1020200117512A KR20200117512A KR20220035585A KR 20220035585 A KR20220035585 A KR 20220035585A KR 1020200117512 A KR1020200117512 A KR 1020200117512A KR 20200117512 A KR20200117512 A KR 20200117512A KR 20220035585 A KR20220035585 A KR 20220035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vacuum pump
transfer
air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920B1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제이 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제이 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제이 더블유
Priority to KR102020011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9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51/00Details or accessories of prin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P2251/10Pump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승화 전사 장치는, 피전사체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구비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 개방면에 배치되는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덮는 트레이 덮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덮개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가변 시키는 밀폐 막을 포함하는 가변 챔버; 상기 전사지가 상기 피전사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사지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및 상기 트레이 및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화 전사 장치{SUBLIMATION PRINTING DEVICE}
본 개시는 승화 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변 챔버를 구비하는 승화 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화 전사는 핸드폰 케이스 등과 같은 피전사체에 문자, 그림, 도형 또는 패턴 등의 문양이 옮겨지도록 하는 작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화 전사는 피전사체에 인쇄되고자 하는 문양을 전사지에 인쇄하고,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전사지에서 피전사체로 옮기는 작업일 수 있다.
근래의 핸드폰 케이스와 같은 피전사체의 경우, 곡면, 홀, 슬롯(slot) 등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때, 승화 전사의 불량율은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얼마나 밀착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3차원 구조를 갖는 피전사체의 곡면 부분에는 전사지가 완전히 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승화 전사 장치는 진공 펌프를 구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 펌프가 구비된 승화 전사 장치도 진공 펌프가 공기를 흡입하는 세기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면, 전사지가 구겨진 채로 피전사체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완벽히 밀착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일환으로, 승화 전사 장치에서 피전사체와 전사지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는 방안도 존재한다. 그러나, 승화 전사 장치는 대부분 한번에 여러 개의 피전사체에 승화 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넓은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면서도, 내부 공간의 온도를 높이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0370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온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챔버를 구비하는 승화 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화 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승화 전사 장치는, 피전사체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구비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 개방면에 배치되는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덮는 트레이 덮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덮개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가변 시키는 밀폐 막을 포함하는 가변 챔버; 상기 전사지가 상기 피전사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사지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및 상기 트레이 및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니들 밸브; 및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니들 밸브를 통해 제 1 세기로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니들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비통전 상태에 있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통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챔버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가변 수단으로 상기 밀폐 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 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전사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트랩;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승화 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덮개가 트레이를 덮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변 챔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가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승화 전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승화 전사는 열 전사(thermal transfer)의 일 예로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지에 인쇄된 문자, 그림 또는 패턴 등의 문양을 핸드폰 케이스 등과 같은 피전사체에 옮기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승화 전사 장치는 전사지에 인쇄된 문양이 피전사체로 온전하게 옮겨질 수 있도록 진공 펌프, 가열 수단 및 가변 챔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트레이(tray)(100), 트레이 덮개(200), 가변 챔버(300), 진공 펌프(400)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승화 전사 장치(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트레이(100)는 피전사체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피전사체는 승화 전사 장치(1000)에 의해 승화 전사가 수행되는 대상일 수 있다. 일례로, 피전사체는 핸드폰 케이스, 이어폰 케이스 등과 같이 곡면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피전사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피전사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피전사체가 핸드폰 케이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핸드폰 케이스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피전사체가 이어폰 케이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이어폰 케이스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트레이(10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승화 전사 장치(1000)가 승화 전사를 수행하더라도, 적어도 지그는 트레이(100)의 상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1개, 3개, 6개 또는 9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그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피전사체에 동시에 승화 전사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지그에 대한 내용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트레이(100)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 및 피전사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의 일 영역이 함몰 형성 되어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100)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는 전사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00)의 상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에 피전사체가 안착된 경우, 피전사체 및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 전체를 덮도록 전사지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트레이(100)의 상면의 일 영역은 함몰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는 함몰 형성된 영역에 비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전사지는 트레이(100)의 돌출된 테두리 영역까지 모두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사지는 후술할 트레이 덮개(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트레이(100)의 형상과 관련된 내용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트레이(10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100)의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트레이(100)의 하면과 흡입관을 통해 연결된 진공 펌프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공간은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 전사지가 덮임으로써 전사지와 트레이(100) 사이에 생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에 의해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 전사지는 피전사체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진공 펌프 및 흡입관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0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트레이(10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열선 등이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그는 승화 전사에 적절한 온도인 130℃까지 예열 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그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사지는 피전사체에 좀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트레이(1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트레이 덮개(200)는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 배치되는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트레이(100)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일 영역은 트레이(10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00)는 상면의 일 영역이 함몰 형성됨에 따라, 일 영역에 비해 돌출된 테두리가 트레이(1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사지는 트레이(100)의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 덮개(200)는 트레이(100)의 테두리에 배치된 전사지가 압착되도록 트레이(100)를 덮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트레이 덮개(200)가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트레이(100)를 덮은 경우, 전사지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 사이에 고정되어 공기 교환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00)와 연결된 진공 펌프는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 안착된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100)의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덮개(200)가 완전히 밀착되어 트레이(100)를 덮지 못하는 경우, 트레이 덮개(200)와 트레이(100)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전사지는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트레이 덮개(200)와 트레이(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사지가 트레이 덮개(200)와 트레이(100)의 사이에 압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전사지는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펌프에 의해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입되더라도, 전사지의 일 영역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사지가 트레이(100)의 함몰 영역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트레이(100)와 트레이 덮개(200) 사이에 구비되는 전사지에 대한 내용은 도 2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가변 챔버(300)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공간을 가변 시키는 밀폐 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덮개(200)가 트레이(100)를 덮도록 결합된 경우, 트레이 및 트레이 덮개(200)는 가변 챔버(300)에 구비된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 덮개(200)가 트레이(100)를 덮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챔버(300)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전사 공간을 효율적으로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일례로, 가열 수단은 가변 챔버(300)의 외부에 구비되어 파이프 등을 통해 연결되는 히트 펌프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 수단은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은 밀폐 막에 의해 부피가 가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은 가열 수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의 부피가 너무 클 경우, 가열 수단에 의해 내부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내부 공간의 부피가 너무 작은 경우, 사용자가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에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삽입하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챔버(300)는 밀폐 막을 구비하고, 밀폐 막을 통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챔버(300)는 사용자가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내부 공간에 삽입시키는 경우, 내부 공간의 부피가 넓어 지도록 밀폐 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챔버(300)는 가변 전사 장치(1000)가 승화 전사를 수행하기 위해 가열 수단을 통해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내부 공간의 부피가 좁아 지도록 밀폐 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챔버(300)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장치로 밀폐 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가변 챔버(300)에 대한 내용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진공 펌프(400)는 흡입관을 통해 트레이(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펌프(400)는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밀착되도록 전사지 및 트레이(100)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트레이(100) 및 진공 펌프(400)를 연결하는 흡입관에는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펌프(400)가 흡입관을 통해 트레이(100)의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할 때, 적절한 세기로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는 경우, 전사지는 뒤틀림이나 변형이 발생한 채로 피전사체에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진공 펌프(400)가 동작을 시작함과 동시에 공기를 너무 세게 흡입하는 경우, 전사지는 뒤틀리거나 또는 변형되어 전사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진공 펌프(400)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니들 밸브(500)는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밸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 밸브(500)는 밸브 바디의 내부에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바늘 형상으로 형성된 유량 조절 수단이 구비되는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니들 밸브(500)를 통해 진공 펌프(40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진공 펌프(400)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탄성체에 의한 복원력 및 솔레노이드(solenoid)에 의한 자기력을 활용하여 전자적으로 온-오프 동작하는 밸브일 수 있다.
일례로,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진공 펌프(400)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진공 펌프(400)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진공 펌프(400)의 동작 또는 승화 전사 장치(1000)가 승화 전사를 수행하는 동작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대한 내용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관은 티(tee) 등의 배관 부속 자재를 통해 니들 밸브(500)가 배치되는 제 1 배관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배치되는 제 2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병렬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진공 펌프(400)가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세기는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진공 펌프(400)의 동작 초반부인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은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비통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펌프(400)는 니들 밸브(500)가 배치된 제 1 배관을 통해서만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통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펌프(400)는 니들 밸브(500)가 배치된 제 1 배관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배치된 제 2 배관을 통해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니들 밸브(500)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진공 펌프(400)가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배관을 통해 레귤레이터(regulator)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는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레귤레이터는 니들 밸브(500)와 연결되어 니들 밸브(5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레귤레이터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밸브에 대한 내용은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관에는 전사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트랩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물질 제거 트랩은 진공 펌프(400)의 바로 전단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진공 펌프(40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필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물질 제거 트랩에 대한 내용은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진공 펌프(400)를 통해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승화 전사 장치(1000)는 가변 챔버(300)를 구비하여, 승화 전사가 적절한 온도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통해 전사지가 피전사체에 밀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피전사체가 트레이(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에 안착되고, 전사지가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을 덮은 경우, 트레이 덮개(200)는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트레이(100)를 덮을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트레이 덮개(200)가 트레이(100)를 덮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덮개가 트레이를 덮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트레이(100)는 함몰 형성된 상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지그(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전사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110)에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100)는 상면이 평평하도록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트레이 덮개(2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hinge) 등을 통해 트레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 덮개(2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의 회전을 통해 트레이(100)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는 상면의 일 영역이 함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 각각은 함몰 형성된 영역에 비해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 덮개(200)가 트레이(100)의 상방에 덮이는 경우, 트레이 덮개(200) 및 트레이(100) 각각의 테두리가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 중 하나는 함몰 형성된 영역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례로, 트레이(100)의 상면이 평평한 판상형으로 형성된 경우, 트레이 덮개(200)는 함몰 형성된 영역을 구비하여,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트레이 덮개(200)의 상면이 평평한 판상형으로 형성된 경우, 트레이는 함몰 형성된 영역을 구비하여,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공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씰링(sealing)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는 고무 등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피전사체(120)가 적어도 하나의 지그(110)에 안착된 경우, 피전사체(120)의 상방, 즉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는 전사지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전사지(130)는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전사지(130)는 트레이(100)의 테두리까지 덮이도록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사지(130)가 트레이(100)의 상부 개방면에 안착된 경우, 트레이 덮개(200)는 트레이(100) 및 전사지(130)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c)를 참조하면, 트레이 덮개(2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등을 통해 회전하여, 트레이(100) 및 전사지(130)를 덮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00) 또는 트레이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사지(130)가 압착되도록 토글 방식의 적어도 하나의 걸쇠 또는 래치 클램프(latch clamp)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100) 또는 트레이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씰링 부재 및 전사지(130)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클램프 등을 통해 압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트레이 덮개(200)와 트레이(1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공기가 외부에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400)에 의해 수행되는 전사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동작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트레이(10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트레이(100)의 하면은 진공 펌프(400)와 연결되는 흡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 및 흡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흡입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트레이(100), 진공 펌프(400), 니들 밸브(500), 솔레노이드 밸브(600), 적어도 하나의 레귤레이터(700), 이물질 제거 트랩(800) 및 흡입관(9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이(100) 및 진공 펌프(400)는 흡입관(9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관(900)은 파이프(pipe), 플렉시블 파이프(flexible pipe) 또는 호스(hose)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흡입관(900)은 제 1 분기점(9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기점(910)은 티(tee) 등의 배관 부속 자재를 통해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으로 분기되는 지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은 직접 트레이(100)의 하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분기점(910)에 의해 분기된 제 1 배관(920)에는 니들 밸브(500) 및 레귤레이터(7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니들 밸브(500)를 조절하여,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배관(920)에는 레귤레이터(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니들 밸브(500)를 통과한 공기가 일정하지 못하더라도, 레귤레이터(700)에 의해 일정하게 배출되어 진공 펌프(400)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400)의 고장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분기점(910)에 의해 분기된 제 2 배관(93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0) 및 레귤레이터(7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기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진공 펌프(400)로부터 제 2 배관(93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통전 상태로 있거나, 또는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비통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4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비통전 상태인 경우, 진공 펌프(4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제 1 배관(920)을 통해서만 흡입되므로 제 1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통전 상태인 경우, 진공 펌프(4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을 통해서 흡입되므로 제 2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솔레노이드 밸브(600)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2 배관(930)에는 레귤레이터(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통과한 공기가 일정하지 못하더라도, 레귤레이터(700)에 의해 일정하게 배출되어 진공 펌프(400)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400)의 고장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600) 및 레귤레이터(7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관(900)은 바이 패스(by-pass)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 패스 배관은 니들 밸브(500)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600) 밸브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진공 펌프(400)로부터 직접 트레이(100)의 전사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흡입관(900)은 제 2 분기점(9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분기점(940)은 티 등의 배관 부속 자재를 통해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이 합쳐지는 지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물질 제거 트랩(800)은 제 2 분기점(94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트랩(800)은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을 통과한 이물질이 진공 펌프(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 각각에는 공기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gauge) 등이 더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흡입관(900)은 트레이(100)와 진공 펌프(4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흡입관(900)은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펌프(400)는 제 1 배관(920)에 구비된 니들 밸브(500) 및 제 2 배관(93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챔버(300)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챔버(300)는 밀폐 막을 통해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가변 챔버(300)가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가변 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변 챔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가변 챔버(300)는 내부 공간(310), 밀폐 막(320) 및 가변 수단(3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공간(310)에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110), 피전사체(120) 및 전사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310)은 가열 수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일례로, 내부 공간(310)은 파이프 등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히트 펌프(미도시) 등과 같은 가열 수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310)은 가열 수단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펌프(400)는 좀 더 효율적으로 트레이(100) 및 전사지(1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밀폐 막(320)은 내부 공간(310)의 부피를 가변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 막(320)은 가변 수단(32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변 수단(321)은 유압식 또는 기계식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가변 수단(321)은 유압식 실린더 또는 기계식 실린더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변 수단(321)은 모터, 기어 및 체인의 결합을 통해 밀폐 막(3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일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막(320)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가변 수단(321)은 밀폐 막(3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간(310)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일례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사용자가 트레이(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그(110)에 피전사체(120)를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밀폐 막(320)이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승화 전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4의 (b)와 같이 밀폐 막(3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간(310)의 온도는 가열 수단에 의해 효율적으로 승화 전사에 적합한 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3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은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챔버(3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개방하여,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투입한 후 상기 적어도 한 면을 닫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밀폐 막(320)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투입하기 위해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개방하고,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밀폐 막(3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투입한 후 밀폐 막(3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가변 챔버(300)의 내부 공간(310)에는 복수개의 트레이(100)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챔버(300)에 트레이(100) 및 트레이 덮개(200)를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막(320)이 내부 공간(310)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내부 공간(310)의 온도는 가열 수단에 의해 효율적으로 승화 전사에 적합한 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하, 승화 전사 장치(1000)가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가 제 1 세기 또는 제 2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인식한 경우(S110, No), 니들 밸브(500)를 통해 제 1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타이머 등을 통해 승화 전사 작업이 시작된 직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진공 펌프(400)의 동작이 시작된 직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승화 전사 장치(10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인식한 경우, 진공 펌프(400)가 제 1 배관(920)을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비통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비통전 상태가 되어 제 2 배관(920)에 흡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진공 펌프(400)를 통해 제 1 세기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승화 전사 장치(10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다고 인식한 경우(S110, Yes),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통해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다고 인식한 경우, 진공 펌프(400)가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통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통전 상태가 되어 제 2 배관(92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진공 펌프(400)를 통해 제 2 세기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니들 밸브(500)를 통해 진공 펌프(400)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직접 조절하지 않더라도, 승화 전사 장치(1000)는 승화 전사에 적합한 세기로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승화 전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화 전사 장치(1000)의 내부에는 진공 펌프(400), 적어도 하나의 밸브(500, 600), 레귤레이터(700), 이물질 제거 트랩(800) 및 흡입관(9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입관(900)은 일단은 트레이(100)의 하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진공 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관(900)은 제 1 분기점(910)에서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으로 분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 각각은 트레이(100)의 하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배관(920)에는 니들 밸브(500) 및 레귤레이터(700)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관(920)에는 진공 펌프(4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배관(93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0) 및 레귤레이터(700)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배관(930)에도 진공 펌프(4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배관(920) 및 제 2 배관(930)은 제 2 분기점(940)에서 하나의 흡입관(900)으로 합쳐질 수 있다. 그리고, 하나로 합쳐진 흡입관(900)은 이물질 제거 트랩(80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 트랩(800)은 진공 펌프(400)의 전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이물질 제거 트랩(800)과 진공 펌프(400)는 흡입관(900)을 통해 연결되지 않고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승화 전사 장치(1000)는 니들 밸브(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공 펌프(400)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승화 전사 장치(1000)는 별도의 프로세서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승화 전사를 수행하기에 적절한 세기로 공기의 흡입을 조절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피전사체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가 구비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 개방면에 배치되는 전사지의 일 영역이 압착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덮는 트레이 덮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덮개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가변 시키는 밀폐 막을 포함하는 가변 챔버;
    상기 전사지가 상기 피전사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사지 및 상기 트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및
    상기 트레이 및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를 포함하는,
    승화 전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니들 밸브; 및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승화 전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니들 밸브를 통해 제 1 세기로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니들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제 1 세기보다 큰 제 2 세기로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승화 전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도록 비통전 상태에 있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전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통전 상태에 있는,
    승화 전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챔버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가변 수단으로 상기 밀폐 막을 조절하는,
    승화 전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그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승화 전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흡입하는 공기의 세기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승화 전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전사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트랩;
    을 더 포함하는,
    승화 전사 장치.
KR1020200117512A 2020-09-14 2020-09-14 승화 전사 장치 KR10240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12A KR102406920B1 (ko) 2020-09-14 2020-09-14 승화 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12A KR102406920B1 (ko) 2020-09-14 2020-09-14 승화 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85A true KR20220035585A (ko) 2022-03-22
KR102406920B1 KR102406920B1 (ko) 2022-06-10

Family

ID=8098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12A KR102406920B1 (ko) 2020-09-14 2020-09-14 승화 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9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903A (ja) * 1998-12-25 2000-07-14 Sony Chem Corp 電子部品接続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890370B1 (ko) 2007-09-10 2009-03-25 (주)뷰팅크 3차원 곡면의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9312A (ko) * 2009-02-03 2010-08-12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장비의 로드락 챔버
JP2012101549A (ja) * 2009-11-19 2012-05-31 Navitas Co Ltd 絵付装置
KR20190023533A (ko) * 2017-08-29 2019-03-08 세메스 주식회사 진공 척
KR20190124900A (ko) * 2018-04-27 2019-11-06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20190142098A (ko) * 2018-06-15 2019-12-26 강창모 이중 트랙 진공 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903A (ja) * 1998-12-25 2000-07-14 Sony Chem Corp 電子部品接続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890370B1 (ko) 2007-09-10 2009-03-25 (주)뷰팅크 3차원 곡면의 열승화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9312A (ko) * 2009-02-03 2010-08-12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장비의 로드락 챔버
JP2012101549A (ja) * 2009-11-19 2012-05-31 Navitas Co Ltd 絵付装置
KR20190023533A (ko) * 2017-08-29 2019-03-08 세메스 주식회사 진공 척
KR20190124900A (ko) * 2018-04-27 2019-11-06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20190142098A (ko) * 2018-06-15 2019-12-26 강창모 이중 트랙 진공 집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920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1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EP0495111B1 (en)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 printing
JP4491049B1 (ja) 熱板加熱による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EP1377402A4 (en)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A COLOR IMAGE ON A THREE-DIMENSIONAL OBJECT
EP08427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type stencil printing
KR20160130523A (ko) 열 성형 장치
KR20220035585A (ko) 승화 전사 장치
JPH11333774A (ja) シート状ワーク吸着・移載ハンド
WO2006129403A1 (ja) 被運搬体を吸着保持する装置
EP3608079B1 (en) Base material holding mechanism, transport device, holding member, base material molding system, method for holding base material, and method for molding base material
TW201934457A (zh) 真空吸附方法及真空吸附裝置
CN211994557U (zh) 真空压膜装置
EP0360450A1 (en) A heated vacuum mounting press
CN109204982B (zh) 一种家用电器装饰板撕膜工装
JP2001121372A (ja) 木工機械などのテーブル装置
KR20150060506A (ko) 전사필름 고정장치
JP3832789B2 (ja) 貼付装置
JP3234037B2 (ja) 孔版印刷装置
JP2003251714A (ja) シート加工方法及び装置
KR101649323B1 (ko) 카메라용 외장시트 부착장치
JP2594507Y2 (ja) 試料装着補助装置
JPH07194900A (ja) 布類の投入装置
JP2014217980A (ja) ペースト印刷装置及びペースト印刷方法
JPH06286938A (ja) 樹脂板と成形プレートの剥離方法
CN211684188U (zh) 一种手动软板喷印台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