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087A -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087A
KR20220035087A KR1020220030970A KR20220030970A KR20220035087A KR 20220035087 A KR20220035087 A KR 20220035087A KR 1020220030970 A KR1020220030970 A KR 1020220030970A KR 20220030970 A KR20220030970 A KR 20220030970A KR 20220035087 A KR20220035087 A KR 2022003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packaging container
discharge
disposable packag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Priority to KR102022003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5087A/ko
Publication of KR2022003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포장 용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포장 용기의 튜브 몸체부와 상부 손잡이를 한번에 사출한 후 포장 용기의 상부 손잡이를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단의 얇은 절개 피막부가 간편하게 절단되어 토출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노즐 타입의 토출부로 부터 분리된 상부 손잡이가 토출부에 재결합되어 잔여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 disposable package}
본 발명은 주로 일회용의 소량 화장품을 담는 용기로 사용되며, 나아가 항공기 기내식의 양념이나 회정식의 초간장 또는 염모제 등과 같이 한번 개봉하고 나면 내용물이 산화되어 재사용이 어려운 제품을 1회 사용량 담아 포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용기의 상부 손잡이를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단의 얇은 절개 피막부가 간편하게 절단되어 용기의 토출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의 포장 용기는 여러가지 페이스트상 물질인 치약이나 식품 및 연고,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튜브로 이루어진 바디에 내용물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바디 일측에 장착된 숄더의 배출공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며, 보관시에는 소정의 캡을 숄더와 결합시켜 배출공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튜브형 포장 용기는 통상적으로 압출 합지 방식으로 다수의 수지를 적층하여 제작된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를 사이드 실링하여 원통형의 바디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를 금형에 삽입하여 그 상단에 배출공이 형성된 숄더 부분을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한 다음, 금속 박판으로 배출공 상단을 완전히 덮도록 리드 실링하고, 숄더에 별도로 성형하여 제작된 캡을 씌운 다음 상기 바디 하단을 통해 내용물을 충진시키고 밀봉함으로써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숄더와 캡은 서로 탈,장착이 가능한 나사결합 혹은 억지 끼움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튜브 용기들은 최초 사용시 캡을 분리하여 열고, 숄더의 배출공에 부착된 금속 박판을 제거한 후 바디 부분을 눌러 숄더의 배출공를 통해 내용물을 일정 분량 배출시켜 사용한 다음, 재사용을 위하여 캡을 다시 결합하여 보관 및 휴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스턴트 제품의 증가와 더불어 포장 식품의 안정성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한번 사용한 후 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튜브 용기의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회용 튜브 용기의 경우 그 사용목적이 일회용임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디와 숄더, 캡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여 내용물의 양과 비례한 가격을 제시하지 못한 체 사용자에게 가격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숄더의 배출공에 금속 박판을 리드 실링하는 과정은 자동화 공정이 용이하지 못하여 더욱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0909254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함)와 등록특허공보 제10-1336466호(이하, '선행기술 2' 이라함)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 1,2는 라미네이트 쉬트를 감아서 길이 방향으로 접합하여 원통형으로 제작하는 바디 부분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 토출부를 가진 숄더캡이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되는 별개의 구성품이고, 이들은 일부 겹침(중첩)하여 고주파 내지 핫에어 시스템으로 용착하여 용기를 제작하는 것으로서 이는 원통형의 바디 부분과 숄더 부분을 압출 합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관계로,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압출 합지 방식에서의 합지 오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 1은 넓은 입구부를 가지고 있어서 잔여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숄더 캡에 나선형으로 가공된 결합부를 형성하여 캡형으로 구성하는 것이고, 선행기술 2는 뚜껑이 한번 분리되고 나면 재결합이나 입구 차단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 1은 나선형 결합부 형성에 다른 구조가 복잡한 것이고, 상기 선행기술 2는 분리된 뚜껑이 토출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재결합 도구로 사용될 수는 없는 구조적 단점을 가진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09254호(공고일 2009.07.27.) 등록특허공보 제10-1336466호(공고일 2013.12.04.)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3-535773호(공고일 2003.12.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51416호(공고일 2001.11.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포장 용기의 튜브몸체부와 상부 손잡이를 한번에 사출한 후 상부 손잡이를 비틀어 회전시키면 튜브몸체부 상단의 얇은 절개 피막부가 간편하게 절단되어 토출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포장 용기 토출부를 가리우도록 튜브몸체부 상단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확장 손잡이부 상부에 재결합용 마감핀을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확장 손잡이부가 튜브몸체부로부터 분리되면서 개방되는 노즐 형상의 토출부를 재결합용 마감핀으로 강제 끼움하며 차단시켜 잔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일회용 포장 용기는,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담겨지도록 개방되는 하단부가 고주파 용착으로 밀봉 처리되고, 상부측에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튜브 몸체부; 상기 튜브 몸체부의 토출부를 가리우도록, 상기 토출부와 얇은 이음막의 절개 피막부로 연결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비틀림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는 넓은 면적의 확장 손잡이부; 및 상기 확장 손잡이부 상측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튜브 몸체부부터 비틀어 상기 절개 피막부를 회전시키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토출부를 강제 막음하게 되는 재결합용 마감핀;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튜브 몸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부는, 튜브 몸체부로 부터 멀어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배출공을 가지는 노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은, 상기 확장 손잡이부 상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상기 배출공의 내경보다 큰 원기둥 구간의 강제끼움부와, 상기 강제끼움부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점진적으로 그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간의 가이드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부 상측 단면이 상기 배출공의 내경보다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포장 용기는, 포장 용기의 튜브 몸체와 상부 손잡이를 한번에 사출한 후 포장 용기의 상부 손잡이를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단의 얇은 절개 피막부가 간편하게 절단되어 토출부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토출부를 노즐 타입으로 구성하면서 분리된 상부 손잡이가 노즐 타입의 토출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재결합 도구로 사용 가능한 것이며, 이를 통해 포장 용기 내에 남은 잔여 내용물은 효과적으로 보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와 상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와 상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로부터 상부 손잡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부 손잡이의 재결합용 마감핀이 튜브 몸체부의 토출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 몸체부 성형금형과 이로부터 성형되는 튜브 몸체부의 일부 단면을 보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와 상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와 상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로부터 상부 손잡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일회용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튜브 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부 손잡이의 재결합용 마감핀이 튜브 몸체부의 토출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 몸체부 성형금형과 이로부터 성형되는 튜브 몸체부의 일부 단면을 보인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포장 용기는, 튜브 몸체부(10), 상부 손잡이(20), 절개 피막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튜브 몸체부(10)는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와 사출물의 결합체로서, 내용물이 담겨지도록 개방되는 하단부가 고주파 용착으로 밀봉 처리되고 상부측에는 노즐 형태로서 배출공(11a)을 가지는 토출부(1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튜브 몸체부(10)는, 도 5 및 도 6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를 감아서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실링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바디 부분(101)을 제작하고, 이를 상기 성형금형(200)의 원통형 몸체부(201)에 삽입한 후, 라미네이트 쉬트로 성형되는 상기 바디 부분(101)의 상측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200)의 숄더캡 성형부(202)와의 경계부(203)에 이르도록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성형금형(200)과 마주하는 상부금형(300)을 조립한다.
그리고 나서 여기에 동일한 물성을 갖는 소재를 금형 내부로 주입하여 줌으로서, 바디 부분(101) 상부에 숄더캡 부분(102)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를 이루며 토출부(11) 일체형의 단일 튜브 몸체부(10)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손잡이(20)는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숄더부와 함께 성형되는 사출물인데,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측인 상기 토출부(11)의 끝단에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성형금형(200)과 마주하는 상부금형(300)을 통해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함께 사출되는 것이며, 이는 덮개부(21), 확장 손잡이부(22), 재결합용 마감핀(23)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21)는 상기 절개 피막부(30)를 통해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부(11)에 연결되는 것인데, 상기 덮개부(21)는 상기 성형금형(200)의 숄더캡 성형부(202) 상측에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구 성형핀(204)에 의해서 하단의 일부를 중공부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부(11)와의 경계부를 최소 두께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토출부(11)와 상기 덮개부(21)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절개 피막부(30)는 최소의 비틀림 힘만으로도 쉽게 파손되어 상기 상부 손잡이(20)를 상기 튜브 몸체부(10)로부터 분리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 확장 손잡이부(22)는 상기 덮개부(2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 의해 비틀림이 가능하도록 넓은 면적을 가진 것이다.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은 상기 튜브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된 상기 상부 손잡이(20)를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기 토출부(11)에 재결합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기 확장 손잡이부(2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손잡이(20)가 상기 튜브 몸체부(10)로부터 분리시 상기 토출부(11)의 배출공(11a)에 끼움되면서 상기 배출공(11)를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 선단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부(23b)가 형성될 수 있고,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상기 가이드부(23b)의 최대 직경(d1)은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가이드부(23b)을 가지는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의 하단부가 상기 배출공(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튜브 몸체부(10)내의 내용물이 남아 있을 때 그 내용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은, 상기 확장 손잡이부(22) 상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큰 원기둥 구간의 강제끼움부(23a)와, 상기 강제끼움부(23a)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점진적으로 그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간의 가이드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부(23b) 상측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개 피막부(30)는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손잡이(20)가 사출을 통해 일체형 구조를 이룰 때 상기 토출부(11)와 상기 상부 손잡이(20)의 덮개부(21)를 연결하는 얇은 절개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상부 손잡이(20)를 비틀어 회전시킬 때 절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포장 용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튜브 몸체부(10), 그리고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측에 상부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 금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를 유지하며 성형한다.
이때,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손잡이(20)를 사출 성형시,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손잡이(20) 사이는 얇은 두께의 절개 피막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서 수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충진시킨 다음, 상기 하단부를 접은 후 고주파로 용착시키면, 내용물이 충진된 일회용 포장 용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튜브 몸체부(10)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는, 1회 사용할 분량의 화장품이 될 수 있고, 그 밖에도 항공기 기내식과 함께 제공되는 일회용의 양념이나 회정식의 초간장 등이 포장될 수 있으며, 또한 염모제와 중화제 등과 같은 계량된 내용물을 담는 기능성 화장품의 포장 용기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완성된 제품을 사용하고자 이용자가 상부 손잡이(20)의 확장 손잡이부(22)를 잡고 비틀면, 상기 상부 손잡이(20)의 덮개부(21)와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토출부(11)를 연결하고 있는 얇은 두께의 절개 피막부(30)가 파단되면서, 상기 상부 손잡이(20)는 분리되고, 이에따라 상기 토출부(11)의 배출공(11a)가 개방되면서 상기 튜브 몸체부(10)내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튜브 몸체부(10)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튜브 몸체부(10)내의 남아 있던 내용물은 공기중으로 산화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된 상부 손잡이(20)의 재결합용 마감핀(23)을 상기 토출부(11)의 배출공(11a)에 끼운다.
즉,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에는 가이드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3b)의 최대 직경(d1)은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므로, 점진적으로 그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간의 가이드부(23b)를 상기 배출공(11a)를 통해 상기 토출부(11)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23b) 상측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고 있는 까닭에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확장 손잡이부(22) 상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큰 원기둥 구간의 강제끼움부(23a)에 이르게 되면서, 상기 배출공(11a)은 긴밀하게 밀폐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이 상기 배출공(11a)를 밀폐하는 마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상기 튜브 몸체부(10)에 남아 있던 내용물들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튜브 몸체부(10)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회용 포장 용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튜브 몸체부 11; 토출부
11a; 배출공 20; 상부 손잡이
21; 덮개부 22; 확장 손잡이부
23; 재결합용 마감핀 23a; 강제끼움부
23b; 가이드부 30; 절개 피막부

Claims (6)

  1.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담겨지도록 개방되는 하단부가 고주파 용착으로 밀봉 처리되고, 상부측에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튜브 몸체부(10);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토출부(11)를 가리우도록, 상기 토출부(11)와 얇은 이음막의 절개 피막부(30)로 연결되는 덮개부(21);
    상기 덮개부(21)의 상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비틀림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는 넓은 면적으로 구성되는 확장 손잡이부(22); 및
    상기 확장 손잡이부(22) 상측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1)를 상기 튜브 몸체부(10)로 부터 비틀어 상기 절개 피막부(30)를 회전시키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1)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토출부(11)를 강제 막음하게 되는 재결합용 마감핀(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부(11)는,
    튜브 몸체부(10)로 부터 멀어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배출공(11a)을 가지는 노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합용 마감핀(23)은,
    상기 확장 손잡이부(22) 상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큰 원기둥 구간의 강제끼움부(23a)와, 상기 강제끼움부(23a)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점진적으로 그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간의 가이드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부(23b) 상측 단면이 상기 배출공(11a)의 내경보다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4.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를 감아서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실링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바디 부분(101)을 제작하는 단계;
    이를 숄더캡 성형금형(200)의 원통형 튜브 몸체부(201)에 삽입한 후, 라미네이트 쉬트로 성형되는 상기 바디 부분(101)의 상측 단부가 상기 성형금형(200)의 숄더캡 성형부(202)와의 경계부(203)에 이르도록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성형금형(200)과 마주하는 상부금형(300)을 조립하는 단계;
    여기에 동일한 물성을 갖는 소재를 숄더캡 성형금형 내부로 주입하여 줌으로서, 바디 부분(101) 상부에 숄더캡 부분(102)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를 이루며 토출부(11) 일체형의 단일 튜브 몸체부(10)를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서 수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충진시킨 다음, 상기 상기 튜브 몸체부(10) 하단부를 접은 후 고주파로 용착시켜 내용물이 충진된 일회용 포장 용기가 완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손잡이(20)를 사출 성형시, 상기 튜브 몸체부(10)와 상기 상부 손잡이(20) 사이는 얇은 두께의 절개 피막부(30)가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200)의 숄더캡 성형부(202) 상측에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구 성형핀(204)에 의해서 하단의 일부를 중공부로 유지하여서, 상기 튜브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부(11)와의 경계부를 최소 두께로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용기 제조방법.
KR1020220030970A 2020-06-17 2022-03-11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5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970A KR20220035087A (ko) 2020-06-17 2022-03-11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90A KR20210155949A (ko) 2020-06-17 2020-06-17 일회용 포장용기
KR1020220030970A KR20220035087A (ko) 2020-06-17 2022-03-11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90A Division KR20210155949A (ko) 2020-06-17 2020-06-17 일회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87A true KR20220035087A (ko) 2022-03-21

Family

ID=791762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90A KR20210155949A (ko) 2020-06-17 2020-06-17 일회용 포장용기
KR1020220030970A KR20220035087A (ko) 2020-06-17 2022-03-11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90A KR20210155949A (ko) 2020-06-17 2020-06-17 일회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5594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416Y1 (ko) 2001-07-14 2001-11-17 정남승 뚜껑과 한 몸으로 된 1회용 프라스틱 용기
JP2003535773A (ja) 2000-06-07 2003-12-02 ロックタイト (アール アンド ディー) リミテッド 再使用可能な切離しキャップを有するノズル組立体、ノズル組立体を有する容器、およびその包装
KR100909254B1 (ko) 2007-07-25 2009-07-27 김재찬 일회용 튜브 용기
KR101336466B1 (ko) 2012-02-20 2013-12-04 김재찬 일회용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5773A (ja) 2000-06-07 2003-12-02 ロックタイト (アール アンド ディー) リミテッド 再使用可能な切離しキャップを有するノズル組立体、ノズル組立体を有する容器、およびその包装
KR200251416Y1 (ko) 2001-07-14 2001-11-17 정남승 뚜껑과 한 몸으로 된 1회용 프라스틱 용기
KR100909254B1 (ko) 2007-07-25 2009-07-27 김재찬 일회용 튜브 용기
KR101336466B1 (ko) 2012-02-20 2013-12-04 김재찬 일회용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49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50898B (zh) 保护气溶胶阀杆的护套
IT9022563A1 (it) Contenitore in laminato flessibile con inserto di apertura e richiusura.
JP5996354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US3295710A (en) Multiple container package
US3817427A (en) Toothpaste tubes and similar tubular contain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8690013B2 (en) Single-use applicator
JPH08503667A (ja) 溶接線のない射出成形部品の製造
US20190112107A1 (en) Tubular container with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LU101902B1 (en) Recipient to dispense or receive a product for in situ mixing
US11655078B2 (en) Tubular container comprising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US20080093379A1 (en) Collapsible tube construction
US4039103A (en)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s
KR20190094162A (ko)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JP2004059141A (ja) プラスチック製詰め替え容器
KR20220035087A (ko) 일회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6866015B2 (ja) 二重容器
CN203564540U (zh) 一种混药组合盖及包括该组合盖的输液容器
JP6396191B2 (ja) 二重容器
KR20130095439A (ko) 일회용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4678664B2 (ja) ツイストオフ口部付き少容量容器
JP7258429B2 (ja) 二重容器
JP6410654B2 (ja) 二重容器
JP6877983B2 (ja) キャップ
CN218490399U (zh) 一种单腔掰折挤出型化妆品掰折打开片
US202302119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 container, pouch container, pouch container with cap, and double container with discharg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