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352A -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352A
KR20220033352A KR1020200115641A KR20200115641A KR20220033352A KR 20220033352 A KR20220033352 A KR 20220033352A KR 1020200115641 A KR1020200115641 A KR 1020200115641A KR 20200115641 A KR20200115641 A KR 20200115641A KR 20220033352 A KR20220033352 A KR 20220033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pening
base
fan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건
박형근
이환수
최인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352A/ko
Priority to PCT/KR2021/009075 priority patent/WO2022055112A1/ko
Publication of KR2022003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52A/ko
Priority to US18/118,535 priority patent/US202302042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vertic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29C33/302Assembling a large number of mould elements to constitute on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8Blades for rotors, stators, fans, turbines or the like, e.g. screw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팬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중심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입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제1 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FAN, AIR CONDITIONER HAVING FAN, AND MENUFACTURING METHOD OF FA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은 회전력에 의해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로 냉장고,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팬은 공기의 흡입방법과 토출방법 및 그 형상에 따라 축류팬 및 원심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에는 다양한 필터가 배치될 수 있는데, 필터들은 공기조화기의 공기 유동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에는 다른 종류의 팬들에 비해 정압이 높게 발생되는 원심팬이 적용된다.
원심팬은 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강제 송풍되도록 하는 팬이다. 일반적으로, 원심팬은 팬모터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와 유입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부를 포함한다. 원심팬의 배출구는 베이스와 유입부 사이에서 원심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원심팬은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회전축 방향을 따라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되는 공기는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성능이 개선된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중심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입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제1 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베이스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유입부 하면(下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이 상기 제1 개구의 타단에 대하여 후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개구의 내부에 포개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의 일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중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중공은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랫 바(Flat 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중공은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 중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는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중공부의 단면의 면적은 제1 개구에서 제2 개구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중공부의 단면은,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상기 중공부 및 상기 제1 개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복수의 제1 개구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 중 어느 하나의 일단으로부터 나머지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의 일단 및 타단을 잇는 연결선 중,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제1 연결선은 상기 유입부에 인접한 제2 연결선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의 돌출 방향인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팬모터가 장착되는 베이스 및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며 돌출된 만곡부가 형성되는 제1 면 및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유입부의 하면(下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 및 상기 중공부의 일측은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상면을 형성하는 제1 금형, 블레이드의 제1 면을 형성하는 제2 금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하면을 형성하는 제3 금형 및 블레이드의 제2 면 및 상기 유입부 상면을 형성하는 제4 금형이 결합되어 수지가 주입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돌출되는 캐비티 코어(Cavity Core)를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하며, 상기 캐비티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3 금형에 고정된 상태로 성형공간에 수지를 주입하여 팬을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공간 및 상기 캐비티 코어의 주위로 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 코어의 상기 제1 금형에 인접한 부분의 둘레에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베이스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제3 금형에 고정된 상기 캐비티 코어의 일단의 주위에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유입부의 하면(下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에 위치한 제1 면, 상기 베이스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금형 내지 상기 제4 금형이 결합 시, 상기 제4 금형은 상기 캐비티 코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 코어 및 상기 함몰부 사이에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만곡부를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지가 퍼져나가도록 상기 제1 금형 측에서 상기 성형공간에 상기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에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복수로 마련된 상기 캐비티 코어 중 인접한 두 개의 캐비티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지의 유동을 제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홈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의 중심에 마련되는 베어링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1금형의 상기 베어링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고정부에 베어링이 삽입된 후, 상기 제1 금형 내지 상기 제4 금형이 결합하여 상기 베어링이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을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이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각 구성들을 별도로 생산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지점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의 제조방법은 블레이드 내측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코어를 코어 양단에서 지지한 후 수지를 고압 주입함으로써, 코어 손상을 방지하여 제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팬의 제조방법은 특정 영역의 수지의 유동을 제한하여 공기가 특정 영역에서 갇힘으로써 생기는 팬의 성형 하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X1-X1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3-X3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4-X4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5-X5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X2-X2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1 금형 및 제3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1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3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캐비티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2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Y 영역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4 금형 및 함몰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나 청소기와 같이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유입구(20)와 배출구(21)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1)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0)가 형성되고, 유입구(20)의 둘레의 외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0)와 팬(100) 사이에는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유입유로(P1)가 마련되며, 팬(100)과 배출구(21) 사이에는 팬(10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배출유로(P2)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21)는 하부 하우징(13)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21)는 X축 방향으로 2개와 Y축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배출구(21)는 공기를 실내의 사방으로 각각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조화기(1)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저면에는 유입구(20)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17)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유입 가이드(19)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드(19)는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팬(40)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사각 환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팬(100)의 외곽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사각 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놓여지며,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될 수 있다. 드레인 트레이(16)는 열교환기(3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0)가 사각 환 형태인 경우 드레인 트레이(16)도 사각 환 형태일 수 있고, 열교환기(30)가 원형인 경우 드레인 트레이(16)도 원형일 수 있다.
팬(100)은 하우징(10)의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팬(100)은 열교환기(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팬(10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에는 팬(100)의 구동을 위한 팬모터(109)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X1-X1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100)은 팬 모터(109, 도 2 참조)에 설치되어 회전축(R)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100)은 천정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송풍 기구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팬(100)은 유입부(110)와, 블레이드(120)와, 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10)와, 블레이드(120)와, 베이스(13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팬(1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은 팬(100)의 회전방향(R1)과 일치한다.
유입부(11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0)는 대략 중앙이 개방된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110)는 팬 유입구(119)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유입구(119)를 통해 공기가 팬(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110)는 팬 유입구(11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팬 배출구(139)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유입부(110)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3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30)는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팬모터 수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30)는 가운데 유입부(110)를 향하여 돌출된 베이스 중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133)는 대략 속이 빈 반구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상면(132) 중 베이스 중심부(133)에 대응되는 영역에 팬 모터 수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133) 중심에는 팬모터(109)의 모터 축이 삽입되는 베어링(300)이 인서트 성형 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134)는 팬모터(109)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수용부(134)는 팬(100)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110)와 베이스(130) 사이에는 팬 배출구(139)가 형성될 수 있다. 팬 배출구(139)는 팬(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유입부(110)와 베이스(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베이스(130)로부터 유입부(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팬(1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팬(100)이 회전함에 따라 정압이 형성되는 제1 면(121)과, 부압이 형성되는 제2 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21)은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면(122)은 베이스(130)의 회전 방향(R1)과 반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블레이드(120)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제1 면(121) 및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팬(100)은 팬모터(109)에 의해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제2 면(122)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면(121)에 형성되는 정압에 의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20)는 중공부(124) 및 제1 면(121)에 형성된 만곡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24)는 블레이드(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123)는 제1 면(12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중공부(124)의 일측은 기 만곡부(123)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124)는 블레이드(120)의 중량을 감소시켜 팬(100)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중공부(124)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20)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코어가 일단만 지지될 경우, 고압의 수지 주입과정에서 코어가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베이스 상면(132)을 형성하는 금형 및 이로부터 돌출되어 중공부(124)를 형성하도록 블레이드(120)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캐비티 코어(Cavity Core)의 일단이 유입부 하면(111)을 형성하는 금형에 고정된 상태로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팬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공부(124)는 베이스 상면(132)에서 시작되어 유입부(110)를 향하여 올라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124)는 대략 지느러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124)는 중공부(124)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20)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캐비티 코어(Cavity Core, 도 20 참조)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중공부(124)는 제1 개구(125) 및 제2 개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25)는 베이스 상면(132)에 형성되며 중공부(124)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배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개구(125)는 중공부(124)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126)는 유입부 하면(111)에 형성되며 중공부(124)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배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개구(125)는 중공부(124)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25)는 제2 개구(126)에 대비하여 큰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에 수직한 중공부(124)의 단면의 면적은 제1 개구(125)에서 제2 개구(126)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부 하면(111)에 형성되는 제2 개구(126)가 베이스 상면(132)에 형성되는 제1 개구(125)보다 매우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20)의 살 빼기를 효과적으로 달성함과 동시에 중공부(124)를 통하여 발생되는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개구(125)가 제2 개구(126)에 대비하여 큰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되므로, 베이스 상면(132)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개구(126)는 제1 개구(125)의 일단에서 제1 개구(125)의 내부에 포개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개구(125)의 형상은 전형적인 항공기 날개의 단면 형상인 에어포일(Airfoil)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의 일단(125a)은 베이스 상면(132)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개구의 타단(125b)은 베이스 상면(13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의 일단(125a)은 외측 반경(D1)을 지니는 원주를 따라 베이스 상면(13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반경(D1)은 베이스 테두리의 반경(D3)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팬(1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1 개구(125) 즉, 제1 개구의 일단(125a) 역시 외측 반경(D1)을 지니는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의 타단(125b)은 내측 반경(D2)을 지니는 원주를 따라 베이스 상면(13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반경(D2)은 외측 반경(D1)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팬(1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1 개구(125) 즉, 제1 개구의 타단(125b) 역시 외측 반경(D2)을 지니는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외측 반경(D1), 내측 반경(D2), 베이스 테두리의 반경(D3)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외측 반경(D1)/베이스 테두리의 반경(D3)<0.92
내측 반경(D2)/베이스 테두리의 반경(D3)>0.58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을 기준으로 제1 개구의 일단(125a)은 제1 개구의 타단(125b)에 대하여 후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소정의 베이스 상면(132)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선을 가정할 때, 베이스(130)가 회전방향(R1)으로 회전 시, 제1 개구의 타단(125b)이 선을 먼저 통과한 뒤 제1 개구의 일단(125a)이 나중에 통과하도록 제1 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공부(124)의 일부는 회전축(R)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개구(126)로부터 제1 개구(125)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중공(127)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중공(127)은 제1 개구(125)로부터 제2 개구(126)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랫 바(Flat 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공부(124)의 일측은 기 만곡부(123)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공부(124)의 일측에 가이드 중공(127)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중공(127)은 블레이드(120)의 내부 중 만곡부(123)와 대응되는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상면(132)에는 소정의 형상을 지닌 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5)은 복수의 제1 개구(125)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12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35)은 복수의 제1 개구(125)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125) 사이에 형성되며, 베이스(130)의 반경방향으로 제1 개구(135)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홈(135)은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125) 중 어느 하나의 일단(125a)으로부터 나머지의 타단(125b)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홈(135)의 연장방향(R1')은 베이스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홈(135)의 형상은 짧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30)의 두께와 홈의 깊이(135a)의 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4의 X1-X1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3-X3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4-X4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5-X5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에 의하여 만곡부(123), 만곡부(123)와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과의 관계 및 만곡부(123)와 중공부(124)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베이스(130)에 인접한 블레이드(1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유입부(110), 구체적으로 유입부 상면(112)에 인접한 블레이드(1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도 9의 블레이드(120)의 단면과 도 11의 블레이드(120)의 단면 사이에 위치한 블레이드(1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블레이드(120)의 단면은 회전축(R)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가정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20)의 단면은 전형적인 항공기 날개의 단면 형상인 에어포일(Airfoil)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의 단면의 일단 및 타단을 잇는 연결선(L)을 가정할 수 있다. 연결선(L)은 에어포일의 시위(Chord)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회전축(R)을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120)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R)을 따라 복수의 연결선(L)을 가정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베이스(130)에 인접한 연결선(L)을 제1 연결선으로, 상대적으로 유입부(110)에 인접한 연결선(L)을 제2 연결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중공부(124)의 단면은 블레이드(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개구(125)에 인접하며 회전축(R)에 수직한 중공부(124)의 단면은, 제1 개구(125)에 인접하며 회전축(R)에 수직한 블레이드(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의 경우 베이스 하면(131)에 대응되는 블레이드(120)의 단면으로서, 도 9의 중공부(124)의 단면은 제1 개구(125)의 형상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도 9 내 지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선(L)이 베이스(130)에서 유입부(110)에 가까워질수록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R2)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을 제1 방향(R2)으로 정의할 때, 블레이드(120)는 제1 연결선(L)이 제2 연결선에 대하여 제1 방향(R2)으로 기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팬 유입구(119)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12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지점을 베이스(130) 측으로 이동시켜 난류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선(L)이 베이스(130)에서 유입부(110)에 가까워질수록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도 연결선(L)을 따라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으로 뒤틀리게 된다.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과 반대방향 즉, 제1 방향(R2)으로 제1 면(121)이 뒤틀리는 과정에서, 제1 면(121)은 중공부(124)와 중첩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면(121) 및 중공부(124)의 중첩되는 영역에 제1 면(121)으로부터 돌출되는 만곡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만곡부(123)가 형성됨으로써, 팬(100)의 사출 성형과정에서 중공부(124)가 제1 면(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곡부(123)의 돌출방향을 제2 방향(R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방향(R3)은 제1 방향(R2)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곡부(123)는 제2 방향(R3)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중공부(124)의 일측은 기 만곡부(123)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공부(124)의 일측에 가이드 중공(127)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중공(127)은 블레이드(120)의 내부 중 만곡부(123)와 대응되는 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만곡부(123)에는 중공부(124)의 일측에 대응되는 만곡 라인(123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부(124)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중공(127)을 따라 만곡 라인(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만곡 라인(123a)은 제2 개구(126)에 인접한 영역에서 시작하여 회전축(R) 방향으로 베이스(13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만곡부(123)의 최대 돌출량은 다음과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만곡 라인(123a)으로부터 연결선(L)에 내린 수선 길이/연결선(L)의 길이≥0.1
도 12는 도 6의 X2-X2 단면도이다.
홈(135)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베이스(130)의 두께(130a)와 홈의 깊이(135a)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마련될 수 있다.
홈의 깊이(135a)/베이스의 두께(130a)>0.6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1 금형 및 제3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1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3 금형의 정면도이다. 16은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캐비티 코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는, 베이스(130), 유입부(110) 및 블레이드(120)를 포함하는 팬(10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조장치는, 팬(100)이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130), 중심부에 팬 유입구(119)가 형성되며 베이스(130)의 일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입부(110) 및 베이스(130)와 유입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124)를 포함하는 블레이드(12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마련될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는 제1 금형(210) 내지 제4 금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210)은 베이스 상면(132)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금형(220)은 블레이드(120) 내측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금형(220)은 블레이드(120)의 제2 면(122) 중 상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금형(220)은 베이스 하면(131) 중 베이스 중심부(133)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금형(230)은 유입부(110) 하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금형(220) 및 제3 금형(230)은 제1 금형(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금형(210)은 제2 금형(220) 또는 제3 금형(230)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 금형(220) 또는 제3 금형(230)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금형(2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금형은 블레이드(120) 및 베이스 하면(131) 중 베이스 중심부(133)를 제외한 나머지 하면 및 유입부(110)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금형은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 및 블레이드 제2 면(122)하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금형은 복수의 코어(241, 도 2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210) 내지 제4 금형이 결합하여 수지가 주입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형(210)측으로부터 성형공간을 향하여 수지가 주입될 수 있다. 성형공간에 주입된 수지가 냉각되어 팬(100)을 형성할 수 있다. 성형공간은 팬(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20)는 상술한 성형공간 및 캐비티 코어(250)의 주위로 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 코어(250)는 중공부(12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제1 금형(210)은 제3 금형(23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 금형(210)이 제3 금형(2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다가, 제1 금형(210)이 제3 금형(230)과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제1 금형(210)으로부터 돌출되는 캐비티 코어(Cavity Core, 250)의 일단(251)은 제3 금형(230)에 고정될 수 있다.
캐비티 코어의 타단(252)은 제1 금형(210)에 형성된 코어 안착부(2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3 금형에는 캐비티 코어의 일단(251)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어 고정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 코어의 일단(251)은 제3 금형(230)에 고정된 상태로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팬을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캐비티 코어(250)의 주변에 수지가 채워지며, 캐비티 코어(250)의 제1 개구 성형 위치(252a)를 따라 중공부(124)의 제1 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 코어의 일단(251)의 주변에도 수지가 채워질 수 있다. 캐비티 코어의 일단(251)의 둘레인 제2 개구 성형 위치(251a) 중 제3 금형(230)과 접하는 부분에는 수지가 채워지지 않게 된다. 즉, 제2 개구 성형 위치(251a) 중 제3 금형(230)과 접하는 부분에 제2 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캐비티 코어(250)의 제1 금형(210)에 인접한 부분의 둘레에 수지가 주입되어, 베이스 상면(132)에 형성되며 중공부(124)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125)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3 금형(230)에 고정된 상기 캐비티 코어의 일단(251)의 주위에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유입부 하면(111)에 형성되며 중공부(124)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126)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베이스 상면(13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지가 퍼져나가도록 제1 금형(210) 측에서 수지 주입구(213)을 통하여 성형공간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제1 금형(210)은 제1 금형(210)에 형성되는 돌출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복수의 캐비티 코어(250) 중 인접한 두 개의 캐비티 코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수지 주입구(213)에서 인접한 두 개의 캐비티 코어 사이를 향하는 방향(Z)으로 흐르는 수지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돌출부(211)에 의하여 베이스 하면(131)에 홈(135)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211)의 형상은 홈(13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지 주입구(213)에서 인접한 두 개의 캐비티 코어 사이를 향하는 방향(Z)으로 흐르는 수지의 유동을 제한하여,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의 중앙에서 공기가 갇혀 성형공간에 수지가 충분히 채워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2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8는 도 13의 Y 영역 확대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제1 금형(210)은 제1 금형(210)의 중심에 마련되는 베어링 고정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형(220)은 제1 금형(210)의 베어링 고정부(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어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고정부(212)에 베어링(300)이 삽입된 후, 제1 금형(210) 내지 제4 금형이 결합하여 성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금형(210) 내지 제4 금형이 결합하여, 성형공간이 형성되면 베어링(300)은 복수의 지지돌기(2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300)은 복수의 지지돌기(22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성형공간에 수지가 주입되어 팬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 중심부(133)에 베어링(300)이 인서트된 팬(100)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성형공간 내에서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으며, 사출 형성된 팬(10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4 금형 및 함몰부의 사시도이다.
블레이드(120)가 상기 베이스(130)의 회전방향(R1)에 위치한 제1 면(121), 베이스(130)의 회전 방향(R1)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 면(122) 및 제1 면(121)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123)를 포함하는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금형(210) 내지 제4 금형이 결합 시, 제4 금형은 상기 캐비티 코어(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2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어(241) 중 어느 하나는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코어(241) 중 다른 하나는 블레이드(120)의 제1 면(121)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어(241) 중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241)가 제1 면(1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면(121)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코어(241)에는 캐비티 코어(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240a)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 코어(250) 및 함몰부(240a) 사이에 수지가 주입되어 만곡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240a)에는 만곡 라인(123a)에 대응되는 함몰 라인(123a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조화기
2; 제조장치
100; 팬
109; 팬모터
110; 유입부
120; 블레이드
121; 제1 면
122; 제2 면
123; 만곡부
124; 중공부
125; 제1 개구
126; 제2 개구
130; 베이스
135; 홈
210; 제1 금형
220; 제2 금형
230; 제3 금형
240a: 함몰부
241: 복수의 코어(제4 금형)
250; 캐비티 코어
R; 회전축

Claims (20)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중심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입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제1 면,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베이스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유입부 하면(下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상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이 상기 제1 개구의 타단에 대하여 후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개구의 내부에 포개지는 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일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중공으로 마련되는 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공은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개구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랫 바(Flat bar) 형상으로 마련되는 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공은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 중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는 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중공부의 단면의 면적은 제1 개구에서 제2 개구로 향할수록 점점 작아지는 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중공부의 단면은, 상기 제1 개구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는 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상기 중공부 및 상기 제1 개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복수의 제1 개구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1 개구 중 어느 하나의 일단으로부터 나머지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의 일단 및 타단을 잇는 연결선 중,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제1 연결선은 상기 유입부에 인접한 제2 연결선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되는 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돌출 방향인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련되는 팬.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팬모터가 장착되는 베이스; 및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며 돌출된 만곡부가 형성되는 제1 면 및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유입부의 하면(下面) 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개구 및 상기 중공부의 일측은 상기 만곡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베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금형, 블레이드의 제1 면을 형성하는 제2 금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하면을 형성하는 제3 금형 및 블레이드의 제2 면 및 상기 유입부 상면을 형성하는 제4 금형이 결합되어 수지가 주입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금형으로부터 돌출되는 캐비티 코어(Cavity Core)를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하며,
    상기 캐비티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3 금형에 고정된 상태로 성형공간에 수지를 주입하여 팬을 사출 성형하는 팬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공간 및 상기 캐비티 코어의 주위로 수지가 주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 코어의 상기 제1 금형에 인접한 부분의 둘레에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베이스 상면(上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개구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제3 금형에 고정된 상기 캐비티 코어의 일단의 주위에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유입부의 하면(下面)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사출 성형하는 팬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베이스의 회전방향에 위치한 제1 면, 상기 베이스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된 만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금형 내지 상기 제4 금형이 결합 시, 상기 제4 금형은 상기 캐비티 코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 코어 및 상기 함몰부 사이에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만곡부를 사출 성형하는 팬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지가 퍼져나가도록 상기 제1 금형 측에서 상기 성형공간에 상기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에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복수로 마련된 상기 캐비티 코어 중 인접한 두 개의 캐비티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지의 유동을 제한하는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홈이 사출 성형되는 팬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제1 금형의 중심에 마련되는 베어링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1금형의 상기 베어링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고정부에 베어링이 삽입된 후, 상기 제1 금형 내지 상기 제4 금형이 결합하여 상기 베어링이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을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하는 팬 제조방법.
KR1020200115641A 2020-09-09 2020-09-09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KR20220033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41A KR20220033352A (ko) 2020-09-09 2020-09-09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PCT/KR2021/009075 WO2022055112A1 (ko) 2020-09-09 2021-07-15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US18/118,535 US20230204229A1 (en) 2020-09-09 2023-03-07 Fan, air conditioner having fan, and menufacturing method of f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41A KR20220033352A (ko) 2020-09-09 2020-09-09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52A true KR20220033352A (ko) 2022-03-16

Family

ID=8063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41A KR20220033352A (ko) 2020-09-09 2020-09-09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04229A1 (ko)
KR (1) KR20220033352A (ko)
WO (1) WO20220551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0414B1 (en) * 2005-10-06 2020-05-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JP2008002379A (ja) * 2006-06-23 2008-01-10 Daikin Ind Ltd 遠心ファン
CN101960150B (zh) * 2008-04-18 2014-04-02 三菱电机株式会社 涡轮风扇以及空调机
CN107667225A (zh) * 2015-05-22 2018-02-06 三星电子株式会社 涡轮风扇和包括涡轮风扇的空气调节器
KR102124929B1 (ko) * 2019-04-05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4229A1 (en) 2023-06-29
WO2022055112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637B2 (en) Impeller for centrifugal fan and centrifugal fan
JP5769978B2 (ja) 遠心式ファン
US7461518B2 (en) Fan and air conditioner
JP4844678B2 (ja) 遠心送風機
US7670115B2 (en) Turbo fan
EP2980414A1 (en)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130004307A1 (en) Impeller and centrifugal fan having the same
EP2799719A1 (en) Axial flow fan
JP5618951B2 (ja) 多翼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143389B1 (ko) 원심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14074352A (ja) 遠心式ファン
CN108700084B (zh) 送风装置以及吸尘器
KR20150136935A (ko) 원심팬
JP4175673B2 (ja) 送風装置
CN114616426A (zh) 扩散器、扩散器组件和具有该扩散器的空调
KR20220033352A (ko)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JP5195983B2 (ja) 遠心送風機
KR102124929B1 (ko)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KR20220033347A (ko)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US20230175710A1 (en) F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f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n
KR102370822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3036444A (ja) 遠心送風機
CN113708561A (zh) 无刷电机及其叶轮
CN216131142U (zh) 风扇的叶轮、风扇及空调器